KR100360419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419B1
KR100360419B1 KR1020000012312A KR20000012312A KR100360419B1 KR 100360419 B1 KR100360419 B1 KR 100360419B1 KR 1020000012312 A KR1020000012312 A KR 1020000012312A KR 20000012312 A KR20000012312 A KR 20000012312A KR 100360419 B1 KR100360419 B1 KR 10036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inner tank
laundry
wash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214A (ko
Inventor
박관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4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 헹굼 및 탈수를 행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내조로부터 세탁물을 한번에 인출·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바구니와, 상기 인출 바구니 및 내조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조의 회전시에 상기 인출 바구니가 유동되지 않고 상기 내조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조의 내부에 인출 바구니를 삽입 또는 이탈시켜 세탁물을 한꺼번에 인출시킴에 따라 세탁물을 꺼내기 위해서 여러 번 허리를 구부려 꺼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또한 인출시킨 빨래를 건조대까지 이송시키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조의 내측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빨래를 행함과 동시에 세탁 완료 후 세탁물을 한꺼번에 인출시키는 인출 바구니를 설치하여 세탁물의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0)가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는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탁조(20)가 설치 되어있고, 상기 세탁조(20)의 다수개소 측에는 상기 아웃케이스(10)에 매달리도록 함과 동시에 댐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네 개의 걸이부재(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탁조(20)의 하부에는 내조(23)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동수단(40)이 설치 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20)는 상기 걸이부재(30)를 통해 세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매달리듯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22)와, 상기 외조(22)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구동수단(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내조(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조(22)의 상부에는 내조(2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외조(22)의 벽면을 따라 상승한 수류가 다시 내조(23)측으로 폭포수와 같이 떨어지는 원심 투과 세탁이 가능하도록 터브 커버(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조(22)의 하부에는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호스(26) 및 배수 밸브(2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조(23)의 바닥면에는 세탁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펄세이터(25)가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11)는 세탁기의 상부를 커버하여 세탁물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뚜껑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내조 구동식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아웃케이스(10)의 도어(11)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내조(23)에 세탁물 및 세제를 넣고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상기 세탁조(20)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외조(22)와 내조(23)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차 오르게 되고, 이후 상기 구동수단(40)이 동작되어 상기 펄세이터(25) 및 내조(23)를 회전시키면서 세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조(23)를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외조(22)의 상부에 터브 커버(2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내조(23)의 회전에 따른 원심 투과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탁을 실시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수단(40)이 동작을 멈추고, 상기 외조(22)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 밸브(27)가 열리면서 상기 세탁조(20) 내부의 물이 배수 호스(26)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20)에 다시 물이 공급되어 일정높이까지 차 오르게 되어 헹굼 운전을 하게 되는데, 헹굼 운전은 보통 2 ~ 3회에 걸쳐 이루어지고 상기한 세탁운전과 똑같은 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구동 수단(40)을 동작시키는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 및 헹굼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내조(23)만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운전이 진행된다. 즉 상기 내조(23)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23)에 형성된 작은 구멍을 통하여 상기 외조(22)로 이동된 후 상기 배수 호스(26)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을 마친 후 세탁물을 꺼낼 때에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 세탁물을 인출시키는 동작을 여러 회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조의 내측에 인출 바구니를 설치하여 세탁을 마친 후 상기 인출 바구니를 인출시킴으로서 세탁물을 한번에 꺼내도록 하여 세탁물 인출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의 인출 바구니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 내조 80 : 인출 바구니
81 : 세탁날개 90 : 결합수단
91 : 돌기부 93 : 홈부
110,120 : 인출바구니 130 : 상·하결합수단
111 : 고정돌기 121 : 고정홈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헹굼 및 탈수를 행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내조로부터 세탁물을 한번에 인출·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인출바구니와, 상기 내조의 하측 벽면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결합되어 상기 인출 바구니가 내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인출 바구니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의 인출 바구니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시 필요한 세탁수를 수용하는 외조(50)가 있고, 상기 외조(50)의 내측에는 구동수단(6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세탁을 행하는 내조(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조(70)의 상단측에는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불균형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소시키는 밸런서(7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조(70)에는 세탁을 완료한 후 세탁물을 한꺼번에 인출시키도록 인출바구니(80)가 결합수단(9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출바구니(80)는 세탁력을 증대시키도록 바닥측에 세탁날개(8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측에는 탈수시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내조(70)의 편심을 바로 잡는 밸런서(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90) 상기 내조(70)에 형성된 돌기부(91)와, 상기 돌기부(91)가 끼워지도록 상기 인출 바구니(80)에 형성된 홈부(9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90)은 내조(70)의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홈부(95)와,
상기 걸림홈부(95)에 끼워지도록 상기 인출바구니(80)의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턱(9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돌기부(91) 및 홈부(93)와 걸림홈부(95) 및 걸림턱(97)이 형성된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되어 있어 인출바구니(80)를 빼내고 집어넣는 과정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물 인출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은 인출 바구니(80)를 내조(70)의 내측에 넣으면, 상기 인출바구니(80)의 하부 및 내조(70)의 하부측에 형성된 돌기부(91)가 홈부(93)에 끼워지고, 상기 인출바구니(80)의 상부측에 형성된 걸림턱(97)이 상기 내조(70)의 상부측에 형성된 걸림홈(95)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 후, 도시되지 않은 조작조건을 선택하면, 도시되지 않은 급수수단에 의해 세탁수가 급수되고,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가 공급되면, 구동수단(60)이 구동되어 내조(70)가 정·역회전되고, 상기 인출바구니(80)는 결합수단(90)에 의해 상·하부측이 내조(70)와 결합되어 상기 내조(70)와 함께 회전되어 세탁을 행한다.
이때, 상기 인출 바구니(80)의 바닥측에는 세탁날개(81)가 돌출 형성되어 수류를 형성시킴에 따라 세탁효과를 높인다.
또한, 상기 인출 바구니(80)의 상단측에 형성된 밸런서(83)가 내조(70)에 설치된 밸런서(미도시)의 역할을 증대시켜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불균형을 일으키는 것을 바로 잡아 주어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줄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어 세탁을 행하는 동안 상기 인출 바구니는 물이 관통되어 흐르도록 형성되어 수류 형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 세탁력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세탁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인출 바구니(80)를 통째로 내조(70)의 바깥으로 꺼내어 세탁물을 한번에 인출시킨 다음에 세탁물이 수용된 인출 바구니(80)를 들고 건조대가 비치된 장소까지 이송하여 빨래를 널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물 인출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내조(70)의 내부에 상·하측인출바구니(110,12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상·하측인출바구니(110,120)의 상·하단측에는 내조(70)의 회전시에 상기 상·하측인출바구니(110,1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하결합수단(1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하결합수단(130)은 상기 상측인출바구니(110)의 하단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11)와, 상기 고정돌기(111)가 끼워지도록 상기 하측인출바구니(12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홈(1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출바구니(110)의 바닥측은 인출바구니(120)에 수용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인출바구니(110,120)에는 밸런서(113,123)가 형성되어 내조(70)의 불균형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잡아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는 구동수단(60)이 구동되어 내조(70)가 회전하면, 상기 내조(70)의 내부에 삽입된 상·하측인출바구니(110,120) 또한 내조(70)와 함께 회전되어 세탁을 행하고, 상기 상측인출바구니(110)의 바닥측은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115)형성되어수류에는 아무런 문제를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하측인출바구니(110,120)는 상·하결합수단(130)에 의해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고 회전되어 아무 무리 없이 세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세탁과정을 마친 후에는 상기 상측인출바구니(110)를 빼내고, 다음 하측인출바구니(120)를 빼내어 건조대로 이송시켜 옷감을 널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측인출바구니(110,120)에 옷감을 나누어 넣어서 세탁을 행한 후 인출시키도록 함에 따라 세탁물이 지나치게 무거워 사용자가 무거운 세탁물을 무리하게 힘을 가해 들어내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물 인출장치에 의하면, 내조의 내측에 인출 바구니를 결합하여 세탁물을 한꺼번에 인출시킴에 따라 세탁물을 꺼내기 위해서 여러 번 허리를 구부려 꺼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또한 인출시킨 빨래를 건조대까지 이송시키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인출바구니를 사용함에 따라 빨래가 대용량일 경우에도 무리하게 힘을 주어 꺼내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세탁 헹굼 및 탈수를 행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내조로부터 세탁물을 한번에 인출·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인출바구니와,
    상기 내조의 하측 벽면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결합되어 상기 인출 바구니가 내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인출 바구니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바구니가 내조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내조의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인출바구니의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바구니는 세탁력을 증대시키도록 바닥측에 세탁날개가 돌출 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바구니의 일측에는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내조의 불균형을 바로 잡는 밸런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바구니는 상기 내조의 내부에 상·하로 삽입되는 상·하측인출바구니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인출바구니의 하단 및 하측인출바구니의 상단에는 상·하측인출바구니를 결합시키도록 서로 끼워지는 돌기부 및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인출바구니의 바닥측은 세탁수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00012312A 2000-03-11 2000-03-11 세탁기 KR10036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312A KR100360419B1 (ko) 2000-03-11 2000-03-11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312A KR100360419B1 (ko) 2000-03-11 2000-03-11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214A KR20010088214A (ko) 2001-09-26
KR100360419B1 true KR100360419B1 (ko) 2002-11-13

Family

ID=1965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312A KR100360419B1 (ko) 2000-03-11 2000-03-11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93B1 (ko) * 2008-04-16 2010-10-04 박선규 세탁물을 바구니에 내장하고 세탁하는 전자동세탁기
KR101418074B1 (ko) * 2012-11-26 2014-07-10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반용 세탁바구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5383U (ko) * 1981-02-17 1982-08-24
KR930002753Y1 (ko) * 1991-03-18 1993-05-21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몰드다이의 캐비티 구조
JPH0658890U (ja) * 1993-01-22 1994-08-16 和夫 水野 家庭用洗濯機の脱水機
KR940024848U (ko) * 1993-04-29 1994-11-17 민평기 세탁기용 탈수조의 착탈 분리구조
KR950006428U (ko) * 1993-08-12 1995-03-20 이일우 파마롯드 세탁바구니
KR970039260U (ko) * 1995-12-09 1997-07-29 세탁기의 세탁물 섬세 세탁장치
KR970049667U (ko) * 1996-01-18 1997-08-12 엘지전자주식회사 드라이 마크 표시 의류 세탁코스가 내장된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 바구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5383U (ko) * 1981-02-17 1982-08-24
KR930002753Y1 (ko) * 1991-03-18 1993-05-21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몰드다이의 캐비티 구조
JPH0658890U (ja) * 1993-01-22 1994-08-16 和夫 水野 家庭用洗濯機の脱水機
KR940024848U (ko) * 1993-04-29 1994-11-17 민평기 세탁기용 탈수조의 착탈 분리구조
KR950006428U (ko) * 1993-08-12 1995-03-20 이일우 파마롯드 세탁바구니
KR970039260U (ko) * 1995-12-09 1997-07-29 세탁기의 세탁물 섬세 세탁장치
KR970049667U (ko) * 1996-01-18 1997-08-12 엘지전자주식회사 드라이 마크 표시 의류 세탁코스가 내장된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 바구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214A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612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30045447A (ko)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JP200613019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39388B1 (ko) 분리가능한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
KR100360419B1 (ko) 세탁기
KR100392394B1 (ko) 이물질 걸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KR100360418B1 (ko) 드럼세탁기
KR200396612Y1 (ko) 드럼세탁기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KR101054424B1 (ko) 드럼세탁기의 잔수 배출구조
KR100441095B1 (ko) 드럼세탁기
KR200399788Y1 (ko) 드럼세탁기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JP3043665B2 (ja) 糸屑採集装置
KR200399789Y1 (ko) 드럼세탁기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100263451B1 (ko) 세탁기
KR200205100Y1 (ko) 보조바스켓을 갖춘 세탁기
KR100274675B1 (ko) 드럼세탁기의 고정조
KR20080018664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잔수 배출구조
KR100316990B1 (ko) 세탁기의보푸라기제거방법
EP1165875A1 (en) Laundry machine
KR19990015991U (ko) 드럼세탁기의 물순환장치
KR200399787Y1 (ko) 드럼세탁기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KR200296906Y1 (ko) 분리판을 가진 세탁기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100867120B1 (ko)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