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416B1 -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416B1
KR102073416B1 KR1020157014791A KR20157014791A KR102073416B1 KR 102073416 B1 KR102073416 B1 KR 102073416B1 KR 1020157014791 A KR1020157014791 A KR 1020157014791A KR 20157014791 A KR20157014791 A KR 20157014791A KR 102073416 B1 KR102073416 B1 KR 102073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type
communication mode
content
determining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109A (ko
Inventor
사일레쉬 파틸
후아 왕
유르겐 세잔느
파블로 에이. 아니그슈타인
준이 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channel rank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한 통신 모드의 선택과 관련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eNB 등)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고,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며,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하도록 장착된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트래픽 없음 타입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BASED ON CONTENT TYPE}
[0001]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바이스가 통신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다이버시티 모드, MIMO 멀티플렉싱 모드, 및 풀 듀플렉스 모드의 사용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2]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텔레포니(telephony),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원격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시스템들, 및 Wi-Fi 기반 액세스 시스템들(예를 들어, IEEE 802.11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0003]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도시 레벨, 국가 레벨, 지역 레벨, 및 심지어 글로벌 레벨 상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원격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어 왔다. 신생(emerging) 원격통신 표준의 일 예는 롱텀 에볼루션(LTE)이다.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발표된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모바일 표준에 대한 향상들의 세트이다. 그것은, 스펙트럼 효율도를 개선시킴으로써 모바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더 양호하게 지원하고, 비용들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시키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며, 다운링크(DL) 상에서는 OFDMA, 업링크(UL) 상에서는 SC-FDMA, 그리고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개방형(open) 표준들과 더 양호하게 통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기술에서의 추가적인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이들 개선들은 다른 다중-액세스 기술들 및 이들 기술들을 이용하는 원격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0004] 현재, Wi-Fi의 스케줄링의 경합 기반 속성으로 인해, 스트리밍 콘텐츠와 연관된 심각한 지연/지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지연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Wi-Fi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를 시도하는 경우, 잠재적으로 악화된다. 풀 듀플렉스 통신은 지연/지터 이슈들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풀 듀플렉스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의 일부로서, 디바이스는 자체 간섭 소거를 수행한다. 자체 간섭의 소거(예를 들어, 자체 간섭 소거)는, 송신 및 수신 비-선형도, DC 바이어스, 위상 잡음, 주파수 오프셋, 타이밍 오프셋, 자체 채널 추정 등과 같은 수 개의 장애들의 존재로 인해 사소한 활동이 아니다. 동작 시에, 디바이스 자신의 채널은, 디바이스가 자신의 송신을 소거하게 하도록 정확히 추정될 필요가 있다. 자체 간섭 소거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능력에서의 제한들은, 풀 듀플렉스 디바이스의 이득들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한다. 즉, 풀 듀플렉스 디바이스와 송신기 사이의 특정한 거리를 넘으면, 풀 듀플렉스 통신의 이득들이 감소한다. 추가적으로, 공간 멀티플렉싱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통신은 풀 듀플렉스 통신과 동시에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풀 듀플렉스 통신은, 신호 소거를 보조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 및 RF 체인들을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이들 동일한 다중 안테나 및 RF 체인들이 또한 공간 멀티플렉싱을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0005] 따라서, 디바이스가 통신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모드들 및 풀 듀플렉스 모드의 사용 중에서 선택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소망될 수도 있다.
[0006] 다음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그러한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고려된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관이 아니며,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서술하거나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0007]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 및 그의 대응하는 개시물에 따르면,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한 통신 모드의 선택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eNB 등)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고,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며,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하도록 장착된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트래픽 없음 타입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0008] 관련된 양상들에 따르면,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한 통신 모드의 선택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트래픽 없음 타입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방법은,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09] 다른 양상은,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한 통신 모드의 선택을 위한 통신 장치에 관련된다.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트래픽 없음 타입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 장치는,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10] 다른 양상은 통신 장치에 관련된다. 장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트래픽 없음 타입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은,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은,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0011] 또 다른 양상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가질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련된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트래픽 없음 타입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0012] 전술한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이하 완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적된 특성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성들을 상세히 기재한다. 그러나, 이들 특성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단지 몇몇만을 표시하며, 이러한 설명은 모든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0013] 도 1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4] 도 2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5] 도 3은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6] 도 4는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이벌브드 노드 B 및 사용자 장비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7] 도 5는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범위 확장된 셀룰러 영역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8] 도 6은 다수의 안테나 경로들을 갖는 장치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9] 도 7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0020] 도 8은 무선 통신의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0021] 도 9는 예시적인 장치 내의 상이한 모듈들/수단들/컴포넌트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적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0022] 도 10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23]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성들만을 표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위한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몇몇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24] 원격통신 시스템들의 수 개의 양상들은 이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들 장치 및 방법들은,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집합적으로, "엘리먼트들"로 지칭됨)에 의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서 도시될 것이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0025] 예로서,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일부,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용어로서 지칭되는지에 관계없이,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0026]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로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carry)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및 플로피 디스크(disk)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27] 도 1은 LTE 기반 통신들, 즉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130) 기반 통신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100)를 도시한다.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이벌브드 패킷 시스템(EPS)(101)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EPS(101)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장비(UE)(102),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104), EPC(Evolved Packet Core)(110), HSS(Home Subscriber Server)(120), 및 오퍼레이터의 IP 서비스들(1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EPS는 WLAN(130)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EPS(101)는 패킷-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0028] E-UTRAN은 이벌브드 노드 B(eNB)(106) 및 다른 eNB들(108)을 포함한다. eNB(106)는 UE(102)를 향한 사용자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들을 제공한다. eNB(106)는 백홀(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을 통해 다른 eNB들(108)에 접속될 수도 있다. eNB(106)는 또한,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eNB(106)는 UE(102)에 대해 EPC(110)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UE들(102)들의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기, 랩탑,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102)는 또한,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0029] eNB(106)는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110)에 접속된다. EPC(11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12), 다른 MME들(114), 서빙 게이트웨이(116),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118)를 포함한다. MME(112)는 UE(102)와 EPC(11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MME(112)는 베어러(bearer)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IP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116)를 통해 전달되며, 서빙 게이트웨이(116) 그 자체는 PDN 게이트웨이(118)에 접속된다. PDN 게이트웨이(118)는 UE IP 어드레스 할당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PDN 게이트웨이(118)는 오퍼레이터의 IP 서비스들(122)에 접속된다. 오퍼레이터의 IP 서비스들(122)은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및 PS 스트리밍 서비스(PSS)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30] WLAN(130)은 IEEE 802.11 네트워크 또는 몇몇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WLAN(130)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IEEE Std 802.11a, b, g, n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표준들 등을 구현할 수도 있다. WLAN(130)은, WLAN의 배치 사이즈에 의존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시스템은, 최대 32바이트 길이일 수도 있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WLAN(130)은, WLAN(13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UE(102)에 대한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포인트들(132)을 포함한다. 중앙화된 아키텍처에 대해, 시스템 제어기(134)는 WLAN(130) 내의 액세스 포인트(132)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동작 양상에서, WLAN(130)은, UE(102)가 액세스 포인트(132)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자(136)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0031] 도 2는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 내의 액세스 네트워크(200)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이러한 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200)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202)로 분할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더 낮은 전력 클래스 eNB들(208)은, 셀들(20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와 중첩하는 셀룰러 영역들(210)을 가질 수도 있다. 더 낮은 전력 클래스 eNB(208)는 펨토 셀(예를 들어, 홈 eNB(HeNB)), 피코 셀, 마이크로 셀,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RRH)일 수도 있다. 매크로 eNB들(204)은 각각, 각각의 셀(202)에 할당되고, 셀들(202) 내의 모든 UE들(206)에 대해 EPC(110)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의 액세스 네트워크(200)에는 중앙화된 제어기가 존재하지 않지만, 대안적인 구성들에서는 중앙화된 제어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eNB들(204)은, 라디오 베어러 제어, 승인 제어, 모바일러티 제어, 스케줄링, 보안, 및 서빙 게이트웨이(116)로의 접속을 포함하는 모든 라디오 관련 기능들을 담당한다.
[0032] 액세스 네트워크(200)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은, 이용되고 있는 특정한 원격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변할 수도 있다. LTE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및 시분할 듀플렉싱(TDD) 둘 모두를 지원하기 위해, OFDM이 DL 상에서 사용되고, SC-FDMA가 UL 상에서 사용된다. 당업자들이 후속할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LTE 애플리케이션들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다른 변조 및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원격통신 표준들에 용이하게 확장될 수도 있다. 예로서, 이들 개념들은 EV-DO(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UMB(Ultra Mobile Broadband)로 확장될 수도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표준군의 일부로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발표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모바일 스테이션들에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CDMA를 이용한다. 이들 개념들은 또한,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 예컨대 TD-SCDMA를 이용하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를 이용하는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및 이벌브드 UTRA(E-UTRA),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및 OFDMA를 이용하는 Flash-OFDM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GPP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이용되는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중 액세스 기술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0033] eNB들(204)은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도 있다. MIMO 기술의 사용은 eNB들(204)이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도록 공간 도메인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상이한 스트림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도록 단일 UE(206)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다수의 UE들(206)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precode)(예를 들어, 진폭 및 위상의 스캐일링을 적용)하고, 그 후, DL 상에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이한 공간 서명들을 이용하여 UE(들)(206)에 도달하며, 이는 UE(들)(206) 각각이 그 UE(206)에 대해 예정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UL 상에서, 각각의 UE(206)는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며, 이는 eNB(204)가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0034] 채널 조건들이 양호할 경우, 공간 멀티플렉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채널 조건들이 덜 바람직할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향들로 송신 에너지를 포커싱하기 위해 빔포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포밍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0035]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양한 양상들이, DL 상에서 OFDM을 지원하는 MIMO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OFDM은, OFDM 심볼 내의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데이터를 변조하는 확산-스펙트럼 기술이다. 서브캐리어들은 정확한 주파수들로 이격된다. 간격은, 수신기가 서브캐리어들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직교성(orthogonality)"을 제공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가드 인터벌(예를 들어, 사이클릭 프리픽스)은 인터-OFDM-심볼 간섭에 대항하기 위해 각각의 OFDMA 심볼에 부가될 수도 있다. UL은, 높은 피크-투-평균 전력 비(PAPR)를 보상하기 위해 DFT-확산 OFDM 신호의 형태로 SC-FDMA를 사용할 수도 있다.
[0036] 도 3은, LTE에서의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300)이다. UE 및 eNB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3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계층 1(L1 계층)은 가장 낮은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L1 계층은 물리 계층(306)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것이다. 계층 2(L2 계층)(308)는 물리 계층(306) 위에 있으며, 물리 계층(306)을 통한 UE와 eN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0037]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308)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서브계층(310), 라디오 링크 제어(RLC) 서브계층(312),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314) 서브계층을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측 상의 eNB에서 종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 상의 PDN 게이트웨이(118)에서 종단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다른 단부(예를 들어, 원단(far end) UE, 서버 등)에서 종단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수 개의 상부 계층들을 L2 계층(308) 위에 가질 수도 있다.
[0038] PDCP 서브계층(314)은 상이한 라디오 베어러들과 로직 채널들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314)은 또한, 라디오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 및 eNB들 사이의 UE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서브계층(312)은 상부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송신, 및 데이터 패킷들의 재순서화를 제공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으로 인한 비순차적(out-of-order) 수신을 보상한다. MAC 서브계층(310)은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310)은 또한, 하나의 셀의 다양한 라디오 리소스들(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들)을 UE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310)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0039] 제어 평면에서, UE 및 eNB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제어 평면에 대한 헤더 압축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물리 계층(306) 및 L2 계층(308)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어 평면은 또한, 계층 3(L3 계층)에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서브계층(316)을 포함한다. RRC 서브계층(316)은 라디오 리소스들(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들)을 획득하는 것, 및 eNB와 UE 사이에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하부 계층들을 구성하는 것을 담당한다.
[0040] 도 4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UE(450)와 통신하는 광역 네트워크(WAN) 엔티티(410)(예를 들어, WLAN 액세스 포인트, 펨토 셀(예를 들어, 홈 eNB(HeNB), 피코 셀, 마이크로 셀,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RRH) 등)의 블록도이다. DL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부 계층 패킷들은 제어기/프로세서(475)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475)는 L2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DL에서, 제어기/프로세서(475)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순서화,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멀티플렉싱, 및 다양한 우선순위 메트릭들에 기초한 UE(450)로의 라디오 리소스 할당들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475)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UE(450)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0041] 송신(TX) 프로세서(416)는 L1 계층(즉, 물리 계층)에 대한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은, UE(450)에서의 순방향 에러 정정(FEC)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및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바이너리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에 기초한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로의 매핑을 포함한다. 그 후, 코딩되고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된다. 그 후, 각각의 스트림은, OFDM 서브캐리어로 매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준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와 멀티플렉싱되며, 그 후,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채널 추정기(47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코딩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기준 신호 및/또는 UE(450)에 의해 송신된 채널 조건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그 후,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별개의 송신기(418TX)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4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기(418TX)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한다.
[0042] UE(450)에서, 각각의 수신기(454RX)는 자신의 각각의 안테나(452)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454RX)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수신(RX) 프로세서(456)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456)는 L1 계층의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456)는 UE(450)에 대해 예정된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도록 정보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UE(450)에 대해 예정되면, 그들은 RX 프로세서(456)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 후, RX 프로세서(456)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사용하여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WAN 엔티티(4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 및 복조된다. 이들 연판정들은, 채널 추정기(458)에 의해 컴퓨팅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 후, 연판정들은, 물리 채널 상에서 WAN 엔티티(410)에 의해 본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그 후,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459)에 제공된다.
[0043] 제어기/프로세서(459)는 L2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60)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459)는, 전송 채널과 로직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부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그 후, 상부 계층 패킷들은, L2 계층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표현하는 데이터 싱크(462)에 제공된다. 다양한 제어 신호들은 또한, L3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싱크(462)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459)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44] UL에서, 데이터 소스(467)는 상부 계층 패킷들을 제어기/프로세서(459)에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소스(467)는, L2 계층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낸다. WAN 엔티티(410)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459)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순서화, 및 WAN 엔티티(410)에 의한 라디오 리소스 할당들에 기초한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에 대해 L2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459)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WAN 엔티티(410)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0045] 기준 신호 또는 WAN 엔티티(410)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추정기(458)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TX 프로세서(468)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468)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개의 송신기들(454TX)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452)에 제공된다. 각각의 송신기(454TX)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한다.
[0046] UL 송신은, UE(450)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WAN 엔티티(410)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수신기(418RX)는 자신의 각각의 안테나(4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418RX)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RX 프로세서(470)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470)는 L1 계층을 구현할 수도 있다.
[0047] 제어기/프로세서(475)는 L2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475)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76)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476)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475)는 전송 채널과 로직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450)로부터의 상부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475)로부터의 상부 계층 패킷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475)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48] 도 5는 이종 네트워크 내의 범위 확장된 셀룰러 영역을 도시한 다이어그램(500)이다. RRH(510b)와 같은 저전력 클래스 eNB는, RRH(510b)와 매크로 eNB(510a) 사이의 향상된 인터-셀 간섭 조정을 통해 그리고 UE(520)에 의해 수행된 간섭 소거를 통해 셀룰러 영역(502)으로부터 확장되는 범위 확장된 셀룰러 영역(503)을 가질 수도 있다. 향상된 인터-셀 간섭 조정에서, RRH(510b)는 UE(520)의 간섭 조건에 관한 정보를 매크로 eNB(510a)로부터 수신한다. 정보는 RRH(510b)로 하여금, 범위 확장된 셀룰러 영역(503)에서 UE(520)를 서빙하게 하며, UE(520)가 범위 확장된 셀룰러 영역(503)에 진입할 경우 매크로 eNB(510a)로부터의 UE(520)의 핸드오프를 수용하게 한다.
[0049] 도 6은 다수의 통신 경로들을 갖는 장치(600)의 다이어그램이다. 일 양상에서, 장치(600)는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eNB 등) 또는 UE일 수도 있다.
[0050] 장치(600)는 신호 분석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602, 604)을 통한 수신 및 프로세스 데이터(RX 데이터(614))는, 다양한 자체 간섭 소거 방식들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장치는 데이터(TX 데이터(612))를 통신하기를 또한 시도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자체-소거는 디지털 소거(606), 아날로그 소거(608), 안테나 격리/소거(610) 등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51] 도 7 및 8은, 제시된 요지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을 도시한다. 설명의 간략화의 목적들을 위해,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들 또는 시퀀스 단계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일부 동작들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 다른 순서들로 및/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청구된 요지가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방법이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또한, 도시된 모든 동작들이 청구된 요지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는데 요구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아래에 그리고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되는 방법들이 그러한 방법들을 컴퓨터들로 전송 및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조 물품 상에 저장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들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0052] 도 7은 무선 통신의 다른 방법의 흐름도(700)이다.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eNB 등)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53] 블록(702)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트래픽의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식별자는 트래픽 타입을 정의하기 위해 트래픽에 대해 포함될 수도 있다. 트래픽 타입들은, 트래픽 없음 타입,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등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0054] 블록(702)에서, 트래픽 타입이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이라고 네트워크 엔티티가 결정하면, 블록(704)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트래픽의 타입의 랭크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랭크는 MIMO 송신 방식들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랭크 7 MIMO 방식은 하나의 계층을 사용하고, 랭크 2 MIMO 송신 방식은 2개의 계층들을 사용하는 등의 식이다. 블록(704)에서, 트래픽이 랭크 2 또는 그 이상의 랭크인 것으로 결정되면, 블록(706)에서, MIMO 통신 모드는 트래픽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0055] 대조적으로, 블록(704)에서, 랭크가 7인 것으로 결정되면 그리고/또는 블록(702)에서, 트래픽 타입이 레이턴시 민감인 것으로(또는 트래픽 없음 타입) 결정되면, 블록(708)에서, 수신 채널 및 송신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 값들이 분석되며, 네트워크 엔티티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일 양상에서, 결정은, 송신 전력 및 달성될 수도 있는 소거의 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0056] 블록(708)에서,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네트워크 엔티티가 결정하면, 블록(710)에서, 통신들의 풀 듀플렉스 모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0057] 대조적으로, 블록(708)에서,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네트워크 엔티티가 결정하면, 블록(712)에서, 통신의 MIMO 모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MIMO 모드는 멀티플렉싱 모드, 다이버시티 모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MIMO 멀티플렉싱 모드는, 상이한 안테나들이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그러한 양상에서, MIMO 멀티플렉싱은 디바이스가 비교적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하게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MIMO 다이버시티 모드는, 상이한 안테나들이 동일한 데이터의 상이한 인스턴스(instance)를 동시에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그러한 양상에서, MIMO 다이버시티 통신은, 디바이스가 비교적 낮은 에러 레이트(예를 들어, 더 큰 리던던시)를 이용하여 그리고/또는 비교적 더 먼 범위를 넘어서 (예를 들어, 범위 확장) 데이터를 제공하게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MIMO 통신 모드들은 하프-듀플렉스 방식(예를 들어, 수신들보다는 송신)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0058] 도 8은 무선 통신의 다른 방법의 흐름도(800)이다.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eNB 등)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59] 블록(802)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트래픽 없음 타입 등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은 스트림을 위해 구성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양상에서,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콘텐츠는 다운로딩을 위해 구성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와 연관된 트래픽 타입 식별자의 사용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0060] 블록(804)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을 위한 통신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통신 모드는,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통신 모드들(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멀티플렉싱 등)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으로 표시되는 양상에서, 결정은,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지를 결정하는 것, 및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MIMO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되지 않는 다른 양상에서, 결정은, 트래픽 타입이 랭크 1 송신(예를 들어,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지 않음)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거나, 또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MIMO 통신 멀티플렉싱 모드 또는 MIMO 통신 다이버시티 모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콘텐츠가 레이턴시 민감 타입인 것으로 표시되는 양상에서, 결정은, 트래픽 타입이 랭크 1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거나, 또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MIMO 통신 멀티플렉싱 모드 또는 MIMO 통신 다이버시티 모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콘텐츠 없음 타입이 표시되는 양상에서, 결정은, 트래픽 타입이 랭크 1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거나, 또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통신 모드들(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멀티플렉싱 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0061] 단계(806)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할 수도 있다.
[0062] 도 9는 예시적인 장치(902) 내의 상이한 모듈들/수단들/컴포넌트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개념적인 데이터 흐름도(900)이다. 장치는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eNB 등)일 수도 있다.
[0063] 장치(902)는, 콘텐츠 제공자(예를 들어, (136))로부터 콘텐츠(912)를 수신할 수도 있는 수신 모듈(904)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수신된 콘텐츠(912)는 트래픽 타입 표시자(91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902)는, 콘텐츠의 트래픽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콘텐츠(912)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916)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통신 모드 결정 모듈(906)을 더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수신 모듈(904)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912)는, 자체-소거 모듈(910) 또는 통신 모드 결정 모듈(906)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 수신 모듈(904)은, 통신 모드 결정 모듈(906)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수신 채널 이득값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통신 모드 결정 모듈(906)은, 통신 모드(916) 결정의 일부로서 수신 채널 이득 정보를 추가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통신 모드들은,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통신 모드들(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멀티플렉싱 등)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902)는, 결정된 통신 모드(916)를 사용하여, 수신된 콘텐츠(912)에 기초하여 콘텐츠(918)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송신 모듈(90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0064] 장치는, 도 7 및 8의 전술된 흐름도들의 알고리즘의 단계들 각각을 수행하는 부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 7 및 8의 전술된 흐름도들 내의 각각의 단계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장치는 이들 모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나타낸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특수하게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거나, 나타낸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거나,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될 수도 있거나, 이들의 몇몇 결합일 수도 있다.
[0065] 도 10은, 프로세싱 시스템(1014)을 이용하는 장치(902')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1000)이다. 프로세싱 시스템(1014)은 버스(1024)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1024)는, 프로세싱 시스템(1014)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1024)는, 프로세서(1004)에 의해 표현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 모듈들(904, 906, 908),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006)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시킨다. 버스(1024)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추가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시킬 수도 있다.
[0066] 프로세싱 시스템(1014)은 트랜시버(1010)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101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1020)에 커플링된다. 트랜시버(1010)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프로세싱 시스템(1014)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1006)에 커플링된 프로세서(10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4)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004)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10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상술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경우 프로세서(10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모듈들(904, 906, 및 90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프로세서(1004)에서 구동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006)에 상주/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1004)에 커플링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몇몇 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1014)은 WAN 엔티티(410)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으며, 메모리(476) 및/또는 TX 프로세서(416), RX 프로세서(470), 및 제어기/프로세서(4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67]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902/902')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트래픽 타입 정보는,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트래픽 없음 타입이 이용가능하다는 것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장치(902/902')의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콘텐츠와 연관된 트래픽 타입 식별자로부터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양상에서, 장치(902/902')의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지를 결정하고,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MIMO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양상에서, 장치(902/902')의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트래픽 타입이 랭크 1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통신 모드들(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멀티플렉싱 등)을 가능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콘텐츠가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양상에서, 장치(902/902')의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통신 모드들(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멀티플렉싱 등)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래픽 없음 타입 정보가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양상에서, 장치(902/902')의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IMO 통신 모드들(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멀티플렉싱 등)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902')의 프로세싱 시스템(1014) 및/또는 장치(902)의 전술된 모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일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1014)은 TX 프로세서(416), RX 프로세서(470), 및 제어기/프로세서(475)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일 구성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TX 프로세서(416), RX 프로세서(470), 및 제어기/프로세서(475)일 수도 있다.
[0068] 기재된 프로세스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이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예시임을 이해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한다. 추가적으로, 몇몇 단계들이 결합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0069]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 문언들에 부합하는 최대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며, 여기서, 단수형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특정하게 그렇게 언급되지 않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를 의미하기보다는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특정하게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몇몇"은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졌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될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어떠한 내용도, 청구항들에 그러한 개시 내용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공중이 사용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수단 플러스 기능으로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40)

  1.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이 없다는 것을 표시함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가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enable) 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가 랭크 1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self interference)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 정보가 없다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무선 중계부,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또는 eNB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트래픽 타입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는, 통신 방법.
  9.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이 없다는 것을 표시함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가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고;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랭크 1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 정보가 없다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무선 중계부,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또는 eNB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트래픽 타입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7.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이 없다는 것을 표시함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송신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가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고;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랭크 1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 정보가 없다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무선 중계부,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또는 eNB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트래픽 타입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5.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송신될 콘텐츠에 대한 트래픽 타입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인 것,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인 것, 또는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이 없다는 것을 표시함 -;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송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송신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가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코드는, 추가로,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가 랭크 2 또는 그보다 높은 랭크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고;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랭크 1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결정 시에:
    수신 채널 이득이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기
    위한 것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이라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코드는, 추가로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기
    위한 것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트래픽 타입 정보가 없다는 것을 상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코드는, 추가로,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 시에, 상기 풀 듀플렉스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채널 이득이 상기 자체 간섭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상기 MIMO 멀티플렉싱 통신 모드 또는 상기 MIMO 다이버시티 통신 모드를 인에이블 하기
    위한 것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무선 중계부, WiFi 라우터, 피코셀, 펜토셀, 또는 eNB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 타입은,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기 위해 구성되는 트래픽 타입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타입 정보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트래픽 타입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57014791A 2012-11-07 2013-11-07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2073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71,321 US9014069B2 (en) 2012-11-07 2012-11-07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based on content type
US13/671,321 2012-11-07
PCT/US2013/068877 WO2014074677A1 (en) 2012-11-07 2013-11-07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based on content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09A KR20150083109A (ko) 2015-07-16
KR102073416B1 true KR102073416B1 (ko) 2020-02-04

Family

ID=4962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791A KR102073416B1 (ko) 2012-11-07 2013-11-07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4069B2 (ko)
EP (1) EP2918121B1 (ko)
JP (1) JP6391581B2 (ko)
KR (1) KR102073416B1 (ko)
CN (1) CN105284169B (ko)
WO (1) WO2014074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7728B2 (en) 2011-02-03 2018-02-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ingle channel full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US10284356B2 (en) 2011-02-03 2019-05-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43719B2 (en) 2011-11-09 2019-03-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MIMO radios
US9325432B2 (en) 2012-02-08 2016-04-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full-duplex signal shaping
US10560244B2 (en) * 2013-07-24 2020-02-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cellsite interference in full-duplex communications
WO2015021461A1 (en) 2013-08-09 2015-02-1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on-linear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1163050B2 (en) 2013-08-09 2021-11-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 estimation using progressive self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698860B2 (en) 2013-08-09 2017-07-0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interference canceller tuning
WO2015021463A2 (en) * 2013-08-09 2015-02-1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 independent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054795B2 (en) 2013-08-14 2015-06-09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mitigation
US10673519B2 (en) 2013-08-29 2020-06-02 Kuma Networks, Inc. Optically enhanc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WO2015031830A1 (en) 2013-08-29 2015-03-05 Kumu Networks, Inc. Full-duplex relays
US9520983B2 (en) 2013-09-11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delay-match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30422B2 (en) 2013-12-12 2019-03-1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ied frequency-isolatio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74405B2 (en) 2013-12-12 2017-09-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isol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2118615B1 (ko) * 2014-02-12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855029B1 (ko) 2014-02-27 2018-05-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전이중 프리코딩 구조들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712312B2 (en) 2014-03-26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ar b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1209536B2 (en) 2014-05-02 2021-12-2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otion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WO2015179874A1 (en) 2014-05-23 2015-11-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rate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521023B2 (en) 2014-10-17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analog phase shifting
US9712313B2 (en) 2014-11-03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multi-peak-filter-bas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333570B2 (en) 2015-01-23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elf-interference signal in environment using FDR mode
KR102381442B1 (ko) * 2015-01-23 2022-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제거를 위한 전송모드 블라인드 검출 기법
US9673854B2 (en) 2015-01-29 2017-06-06 Kumu Networks, Inc. Method for pilot signal based self-inteference cancellation tuning
US9634823B1 (en) 2015-10-13 2017-04-25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integr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800275B2 (en) 2015-12-16 2017-10-2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ut-of band-interference mitigation
US9819325B2 (en) 2015-12-16 2017-11-14 Kumu Networks, Inc. Time delay filters
US10666305B2 (en) 2015-12-16 2020-05-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nearized-mixer out-of-band interference mitigation
US9742593B2 (en) 2015-12-16 2017-08-2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tun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WO2017189592A1 (en) 2016-04-25 2017-11-0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US10454444B2 (en) 2016-04-25 2019-10-2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US10044426B1 (en) * 2016-05-27 2018-08-07 Sprint Spectrum L.P. Transmission mode selection between beamforming and MU-MIMO
US10338205B2 (en) 2016-08-12 2019-07-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 communication among commodity WiFi radios
WO2018081319A1 (en) 2016-10-25 2018-05-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ing ambient ism band signals
KR101866479B1 (ko) * 2017-01-12 2018-06-11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0463047B (zh) 2017-03-27 2021-08-27 库姆网络公司 用于可调谐带外干扰抑制的系统和方法
EP3602776B1 (en) 2017-03-27 2021-04-21 Kumu Networks, Inc. Enhanced linearity mixer
WO2018183384A1 (en) 2017-03-27 2018-10-0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tund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TWI638533B (zh) * 2017-07-10 2018-10-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裝置
CN109274399B (zh) * 2017-07-17 2020-03-06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US10200076B1 (en) 2017-08-01 2019-02-05 Kumu Networks, Inc.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s for CMTS
US11258575B2 (en) * 2017-11-09 2022-02-22 Qualcomm Incorporated Duplexing modes based on beam configura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339808B1 (ko) 2018-02-27 2021-12-16 쿠무 네트웍스, 아이엔씨. 구성가능한 하이브리드 자기-간섭 소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9644334B (zh) * 2018-10-30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自干扰处理方法及装置
CN109168146B (zh) * 2018-11-23 2020-04-07 西安电子科技大学 支持混合授权-非授权频段的mtc传输方法
US10868661B2 (en) 2019-03-14 2020-12-15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transform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6170A1 (en) * 2001-01-19 2002-09-26 Raze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system using selectively adaptable beam forming in TDD frames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10243079A1 (en) * 2010-03-18 2011-10-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s and Signaling for Uplink MIMO Support or Single TB Dual-Layer Transmission in LTE Uplin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1457A1 (en) * 2007-10-31 2009-04-30 Raze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coupling a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s
US7594151B2 (en) * 2004-06-18 2009-09-22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an orthogonal system
ATE525810T1 (de) * 2005-04-07 2011-10-15 Nokia Corp Endgerät mit variabler duplex-fähigkeit
GB0720559D0 (en) * 2007-10-19 2007-11-28 Fujitsu Ltd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57704B1 (ko) 2008-06-19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와 이를 구비한 중계국
JP2012506177A (ja) * 2008-10-24 2012-03-08 メディア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imoofdm/ofdmaシステム中のコンテンションベースのアクセスチャネル設計方法
JP5325672B2 (ja) * 2009-06-23 2013-10-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情報フィードバック方法
CN101969663B (zh) * 2009-07-28 2014-04-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控制信息的传输方法、装置和系统
US8750205B2 (en) * 2009-08-07 2014-06-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e rank CQI feedback for cellular networks
RU2531580C2 (ru) 2010-05-25 2014-10-2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649358B2 (en) * 2010-09-08 2014-02-1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UL MU MIMO signaling and error handling
US8457029B2 (en) 2010-10-25 2013-06-04 Broadcom Corporation Transitioning from MIMO to SISO to save power
CN103190090B (zh) 2010-11-03 2016-05-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全双工mimo中继器中的自干扰抑制
JP5432882B2 (ja) * 2010-11-25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分散アンテナ切替方法、基地局装置及びアンテナスイッチ装置
CN103209415B (zh) * 2012-01-16 2017-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全双工干扰处理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6170A1 (en) * 2001-01-19 2002-09-26 Raze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system using selectively adaptable beam forming in TDD frames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10243079A1 (en) * 2010-03-18 2011-10-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s and Signaling for Uplink MIMO Support or Single TB Dual-Layer Transmission in LTE Up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6437A1 (en) 2014-05-08
JP2016504793A (ja) 2016-02-12
US9014069B2 (en) 2015-04-21
KR20150083109A (ko) 2015-07-16
WO2014074677A1 (en) 2014-05-15
EP2918121B1 (en) 2019-08-21
CN105284169A (zh) 2016-01-27
CN105284169B (zh) 2018-12-25
EP2918121A1 (en) 2015-09-16
JP6391581B2 (ja)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416B1 (ko)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6242875B2 (ja) D2d通信に関与するデバイスに対する送信電力制御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057556B1 (ko) D2d를 이용한 lte에서의 중계기들에 대한 새로운 아키텍처
JP6732876B2 (ja) 非直交多元接続のための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dci)エンハンスメント
JP6961634B2 (ja) Harq動作のために複数のサブフレーム構成を適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742895B1 (ko) 풀-듀플렉스 통신에서 간섭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049668B2 (en) D2D relays as an underlay in LTE uplink
KR102366089B1 (ko) 비허가 주파수 대역들에 있어서 공유된 멀티-오퍼레이터 lte 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JP6591401B2 (ja) 多地点協調(CoMP)およびネットワーク支援型干渉抑制/キャンセレーション
JP6227641B2 (ja) 部分的に除去された干渉のためのチャネル状態情報報告
JP6469714B2 (ja) 全二重通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5969136B2 (ja) 拡張物理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ための基準信号
US91793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luding guaranteed bit rate traffic bearers from LTE UL flow control
JP6208078B2 (ja) 異種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受信を促進するセルにわたって情報交換するためのメカニズム
KR20200019784A (ko) LTE에서 eIMTA를 위한 DAI 비트들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124970A (ko) 매크로/rrh 시스템에서 채널 및 간섭 추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7526246A (ja) 空対地無線通信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管理
JP2015523034A (ja) 複雑さを低減した実装のための干渉チャネルの順序付けおよび処理
US8885567B2 (en) Reducing complexity for implement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applied to physical channels of a wireless network
US9787437B2 (en) Uplink ACK/NACK bundling enhancement for LTE TDD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