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479B1 -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479B1
KR101866479B1 KR1020170005344A KR20170005344A KR101866479B1 KR 101866479 B1 KR101866479 B1 KR 101866479B1 KR 1020170005344 A KR1020170005344 A KR 1020170005344A KR 20170005344 A KR20170005344 A KR 20170005344A KR 101866479 B1 KR101866479 B1 KR 10186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ughput
base station
carrier aggregation
diversity gai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티리써치
Priority to KR102017000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IMO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수신안테나 수보다 더 많은 안테나를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전환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관점에서는 스루풋의 손실이 거의 없고, 기지국 관점에서는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BANDWIDTH MANAGEMENT USING SWITCHING BETWEEN CARRIER AGGREGATION AND DIVERSITY GAIN}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들 간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4세대 이동통신 규격으로서, 전세계적으로 커버리지가 가장 높은 3세대 이동통신 규격인 WCDMA의 후속 기술이기 때문에 기존 3G 통신망과 연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즉, 망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서비스 지역을 넓히기에도 용이하여 급속히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고, 최근에는 LTE-A, 광대역 LTE, 광대역 LTE-A, 3밴드 LTE-A 등으로 발전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은 2개 혹은 그 이상의 조각조각 흩어진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어서 마치 하나의 주파수처럼 사용하여 더 넓은 대역폭을 실현하게 하는 기술이다. 통신사가 갖고 있는 흩어져 있는 주파수를 합쳐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에 동시에 접속하여 최대 속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LTE-A(LTE Advanced)의 핵심 요소이다. 예를 들어, LTE 주파수 하나는 최대 75Mbps의 속도로 1초에 약 9.3MB를 내려받을 수 있는데, 이를 2개 붙이면 최대 150Mbps, 약 18.7MB 속도로 빨라진다. 실제 통신망에서는 각 채널이 최고 속도를 내지 못하기 때문에 산술적으로 2배까지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실제로 그 속도가 상당히 향상된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여 공간 다이버시티(diversity)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무선 통신 용량을 높이는 기술이다. 기지국과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를 2개 이상으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고 각각의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K개의 송신안테나에 동일시간에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이렇게 송신된 신호들은 무선채널상에서 공간적으로 다른 페이딩(fading; 수신되는 전파가 지나온 매질의 변화에 따라 그 수신전파의 강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현상)을 겪게 되어 휴대 단말기의 각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 간에는 비상관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마다 다른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기존보다 안테나 수(K개)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송수신 안테나 수가 각각 K개보다 같거나 많아야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 MIMO 안테나는 기지국 인프라가 점점 향상되면서 2x2 MIMO, 4x4 MIMO를 지원하게 되었고, 이제는 8x8 MIMO 및 그 이상의 지원도 속속 가능하게 되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및 MIMO와 관련하여 공지된 특허로는 US 8958494 B2 등이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이용하여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면 수신신호감도(SNR; Signal-to-Noise Ratio)가 증가할수록 스루풋(throughput)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무조건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은 많은 사용자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관리 해야 하는 기지국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즉,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넓은 대역폭의 사용을 하게 되면 그만큼 서비스의 질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대역폭을 늘리지 않더라도 추가적인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얻어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기지국(eNodeB)이 2x2 MIMO를 지원하고, 사용자의 무선 통신 장치가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2x2 MIMO로 통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사용자의 무선 통신 장치가 여분의 2개의 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있다면, 이 추가 안테나를 사용하여 2x4 MIMO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무선 통신 장치는 이 추가적인 안테나로 인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이 발생하고 스루풋이 향상된다. 하지만, 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은 수신신호감도가 일정 값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스루풋이 증가하지 않고 수렴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신신호감도 상황 또는 지역에서는 사용자는 더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스루풋의 향상을 원하게 된다.
따라서, 스루풋의 향상을 위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이용한 더 넓은 대역폭의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와,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해 대역폭 해야 하는 기지국 간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US 8958494 B2.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MIMO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수신안테나 수보다 더 많은 안테나를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 관점에서는 스루풋의 손실이 거의 없고, 기지국 관점에서는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대역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수신신호감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 보다 클 경우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수신신호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는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이 NxN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throughput)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5%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대역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 보다 작은 값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접속을 해제한 후 재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접속 후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대역폭 관리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 재접속 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 안함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8%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대역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 보다 큰 값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접속을 해제한 후 재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접속 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2%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각 방법에 따른, 대역폭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설정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각 방법에 따른 대역폭 관리 방법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MIMO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수신안테나 수보다 더 많은 안테나를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전환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점에서는 스루풋의 손실이 거의 없고, 기지국 관점에서는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를 들어 순서도 또는 플로우 차트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방법이 일련의 단계로서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단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것과 다른 순서로 또는 다른 단계들과 동시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예시된 모든 단계들이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을 구현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장치로서 휴대용 단말, 스마트폰,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라우터(router), 휴대용 라우터, 텔레메틱스 장치, 고객 댁내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혹은 거치형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LTE는 LTE-A, 광대역 LTE, 광대역 LTE-A 혹은 3밴드 LTE-A 일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는 프로세서(11)와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메모리(19) 및 RF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무선 통신 장치(10)에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USB 포트 및 배터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는 안테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부(또는 포트)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 접속부에 외장 안테나를 접속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무선 통신 장치(1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은 프로세서(11)에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1)는 DSP, CPU,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1)는 LTE 모뎀, LTE 칩 또는 LTE SoC(System-on-Chip)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는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셀룰러 안테나일 수 있으며, 1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LTE MIMO 기술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과 NxN MIMO 네트워크(N은 자연수)를 형성하기 위해 2개, 4개, 또는 8개가 많이 사용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8개의 안테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4x4 MIMO를 지원하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예시로 든 것으로써, 8개의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 중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의 안테나(13 내지 16)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4x4 MIMO로 통신하고,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8개의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4x8 MIMO로 통신함으로써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19)는 프로세서(11)와 연결되고, 프로세싱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모리는 SRAM, DRAM 또는 플래시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11)와 메모리(19)는 동일 칩 또는 SoC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RF부(18)는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를 통해 통신망과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ADC(미도시) 나 DAC(미도시)는 RF부(18)와 프로세서(11) 사이에서 RF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신호화(digitize)하거나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의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역폭이 같은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2-CA(2 band Carrier Aggregation)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4x4 MIMO를 지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0)는 8개의 안테나(13 내지 16, 23 내지 26) 중에서, 4개의 안테나(13, 14, 15, 16)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4x4 MIMO 네트워크로 통신하고, 나머지 4개의 안테나(23, 24, 25, 26)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기지국과 4x8 MIMO로 통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역폭이 같은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것을 예시로 들었지만, 대역폭이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을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을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4x4 MIMO 네트워크와 4개의 추가 안테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 모드를 정의하기로 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 무선 통신 장치(10)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더 넓은 대역폭으로 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드이다.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 무선 통신 장치(10)가 추가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드이다. 즉, 기지국이 지원하는 MIMO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수신안테나 수보다 더 많은 안테나를 사용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4x4 MIMO를 지원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에는 4개 보다 많은 8개의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기지국과 4x8 MIMO로 통신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수신신호감도(SNR; Signal-to-Noise Ratio)이고, 세로축은 스루풋(throughput)으로써, 수신신호감도의 증가에 따른 스루풋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한 경우의 스루풋(2),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스루풋(3)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수신 안테나의 수를 증가시킨 경우의 스루풋(4)이 도시되어 있다. 즉, 그래프 (2)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이며, 그래프 (4)는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다.
수신신호감도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서 상시로 송신하는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신 신호 감도는 셀 커버리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지역적인 편차를 가진다. 또한, 같은 지역이라도 접속자수가 많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변동될 수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스루풋(3)은 수신신호감도가 커질수록 거의 정비례하여 증가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2)도 수신신호감도가 커질수록 거의 정비례하여 증가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은 2개 혹은 그 이상의 조각조각 흩어진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어서 마치 하나의 주파수처럼 사용하여 더 넓은 대역폭을 실현하는 기술이므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스루풋이 크다. 본 실시예에서는 2-CA를 사용하였으므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2)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스루풋(3)의 거의 2배 정도 큰 값을 가진다.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대역폭을 늘리지 않더라도 추가적인 안테나를 사용하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어 스루풋이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망 기지국이 4x4 MIMO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사용자의 무선 통신 장치(10)가 4개의 안테나(13, 14, 15, 16)를 구비하여 4x4 MIMO로 통신하고 있을 때, 무선 통신 장치(10)가 여분의 4개의 안테나(23, 24, 25, 26)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4x8 MIMO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통신 장치(10)는 이 추가적인 안테나(23, 24, 25, 26)로 인하여 수신신호감도가 좋아지는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이 발생하여 스루풋이 증가하게 된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스루풋(4)와 스루풋(3)의 차이가 바로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5)이다.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4)이 그렇지 않은 경우의 스루풋(3)보다, 수신신호감도가 낮은 구간에서는, 거의 2배 가까운 스루풋을 보이고 있다.
수신신호감도의 변화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 스루풋(4)의 변화를 살펴보면, 수신감도가 커질수록, 특정 값에 이르기 전까지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 스루풋(2)과 거의 같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CA를 사용하여 굳이 넓은 대역폭을 점유하지 않더라도 높은 스루풋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은, 수신신호감도가 증가하다가 특정 값에 가까워지면 스루풋의 증가 속도가 둔화되고, 수신신호감도가 특정 값을 지나서 더 큰 값이 됨에 따라 스루풋(4)은 더 이상 증가를 하지 않고 일정한 스루풋 값에 수렴하는 특성을 가진다. 즉,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5)이 줄어들다가 더 이상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수신신호감도에서 상기 특정 값을 임계값(7)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4)은, 임계값(7)보다 낮은 구간에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한 경우의 스루풋(2)과 거의 같은 스루풋을 나타내므로 이 특성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가 가능하다.
<1>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보다 높은 구간에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기지국과 통신한다.
<2>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보다 낮은 구간에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기지국과 통신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수신신호감도가 낮을 때에는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를 사용하여 굳이 2-CA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루풋은 마치 2-CA를 사용한 것과 거의 같은 스루풋을 낼 수 있다. 그리고, 수신신호감도가 높을 때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를 사용하여 높은 스루풋을 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관점에서는 스루풋의 손실이 거의 없고, 기지국 관점에서는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임계값(7)을 기준으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를 전환하게 하면, 네트워크 사용 중에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 근처에서 미세하게 자주 변동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보다 약간 작은 값에 있다가 임계값(7)보다 조금 큰 값으로 변하게 되면, 모드 전환이 발생해야 하고, 다시 이 값이 임계값(7)보다 약간 작은 값으로 변하게 되면, 또 다시 모드 전환이 발생해야 한다. 이 모드 전환은 기지국 접속을 해제하고 재접속을 해야지만 변경이 가능한데,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수많은 모드 전환이 발생하면 기지국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사용자의 통신도 자주 끊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문제를 방지하는 안전구간을 설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임계값(6, 8)은 이러한 안전구간을 위해 미리 설정해 놓는 값이다.
무선 통신 장치(10)가,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보다 높은 지역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하다가,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과 같거나 임계값(7)보다 아주 약간 작은 값으로 변동한다 하더라도, 바로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6) 이하 값이 되었을 때 비로소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장치(10)가,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 이하의 지역에서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하다가,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7)보다 아주 약간 큰 값으로 변동한다 하더라도, 바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8) 이상 값이 되었을 때 비로소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기지국 접속 해제 및 재접속 빈도를 줄이면서, 스루풋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대역폭 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임계값(7) 및 전환임계값(6, 8)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임계값(7)은 수신신호감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4)이 비례해서 증가하다가 그 증가속도가 둔화되는 구간에 속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환임계값(6)은 임계값(7) 이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전환임계값(8)은 임계값(7) 이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S3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기준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0)가 수신하면, 프로세서(11)는 수신신호감도를 검출할 수 있다(S31).
S32 단계에서는 검출한 수신신호감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7)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7)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은 수신신호감도 구간에서 임의의 값으로 미리 정해 놓을 수 있다.
임계값(7)을 정할 때는 수신신호감도 대비 스루풋의 변화 특성을 고려하고, 무선 통신 장치(10)의 스루풋이 심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 한도에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신신호감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5%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지점의 수신신호감도로 정할 수 있다.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감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7)보다 크면, 기지국에 접속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사용함을 보고(report)할 수 있다(S33)
기지국 접속과 보고가 완료된 후, 무선 통신 장치(10)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4). 즉,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이다.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감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7)보다 크지 않으면, 기지국에 접속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사용 안함을 보고할 수 있다(S36).
기지국 접속과 보고가 완료된 후, 무선 통신 장치(10)는 추가의 안테나(23, 24, 25, 26)를 사용하여(S37)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8). 즉, 추가 안테나를 사용하여 4x8 MIMO로 기지국과 통신을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S40)로써, 무선 통신 장치(10)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기지국과 통신 중일 때, 즉,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통신 중일 때,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1 단계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6) 이하의 값으로 변동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신호 감도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서 상시로 송신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전환임계값(6)을 정할 때는 수신신호감도 대비 스루풋의 변화 특성을 고려하고, 무선 통신 장치(10)의 스루풋이 심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 한도에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신신호감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8%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지점의 수신신호감도로 정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S30과 S40을 결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환임계값(6)은 임계값(7) 이하인 값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전환임계값(6)이 임계값(7)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불필요한 모드 전환이 많이 발생하고, 임계값(7)에서 지나치게 차이나면 대역폭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환임계값(6)은 임계값(7)보다 5~10dB 정도 작은 값으로 정할 수 있다.
S41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6) 이하의 값이면, 기지국 접속을 해제하고, 해제 즉시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43). 여기에서 모드 전환의 조건으로 임계값(7)을 사용하지 않고, 전환임계값(6)를 사용하는 이유는 임계값(7) 근처에서 지나치게 모드 전환이 많이 발생하여 기지국에 무리를 주거나 사용자의 통신이 자주 끊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기지국에 접속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사용 안함을 보고할 수 있다(S45).
기지국 접속과 보고가 완료된 후, 무선 통신 장치(10)는 추가의 안테나(23, 24, 25, 26)를 사용하여(S47)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49). 이러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에서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S50)로써, 무선 통신 장치(10)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기지국과 통신 중일 때, 즉, MIMO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수신안테나 수보다 더 많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 중일 때,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1 단계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8) 이상의 값으로 변동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신호 감도는 무선 통신 장치(10)가 기지국에서 상시로 송신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전환임계값(8)을 정할 때는 수신신호감도 대비 스루풋의 변화 특성을 고려하고, 무선 통신 장치(10)의 스루풋이 심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 한도에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신신호감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2%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지점의 수신신호감도로 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S30과 S50을 결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환임계값(8)은 임계값(7) 이상인 값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전환임계값(8)이 임계값(7)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불필요한 모드 전환이 많이 발생하고, 임계값(7)에서 지나치게 차이나면 대역폭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환임계값(8)은 임계값(7)보다 5~10dB 정도 큰 값으로 정할 수 있다.
S51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8) 이상의 값이면, 기지국 접속을 해제하고, 해제 즉시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53). 여기에서 모드 전환의 조건으로 임계값(7)을 사용하지 않고, 전환임계값(8)를 사용하는 이유는 임계값(7) 근처에서 지나치게 모드 전환이 많이 발생하여 기지국에 무리를 주거나 사용자의 통신이 자주 끊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기지국에 접속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사용함을 보고할 수 있다(S55).
기지국 접속과 보고가 완료된 후, 무선 통신 장치(10)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57). 이러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S30, S40 및 S50을 함께 연동 또는 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이 지원하는 MIMO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수신안테나보다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으로 스루풋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전환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관점에서는 스루풋의 손실이 거의 없고, 기지국 관점에서는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언급된 기록 매체는 ROM, 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프로세서에 기록될 수도 있다. 언급된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모뎀칩 내부 프로세서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LTE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존의 무선통신 규격(GSM, CDMA, WCDMA 등) 및 향후 5G 등 미래의 무선통신 규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수신신호감도 변화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
3: 수신신호감도 변화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스루풋
4: 수신신호감도 변화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
5: 수신신호감도 변화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6, 8: 전환임계값
7: 임계값
10: 무선 통신 장치
11: 프로세서
13, 14, 15, 16, 23, 24, 25, 26: 안테나
18: RF부
19: 메모리

Claims (17)

  1.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대역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수신신호감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 보다 클 경우에는 스루풋을 높이기 위해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수신신호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는 사용 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감도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throughput)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아지는 값으로 미리 설정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에 재접속하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함 또는 사용하지 않음을 보고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NxN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throughput)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5%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5.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대역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 보다 작은 값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접속을 해제한 후 재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접속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지 않음을 보고하고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 대역폭을 줄이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임계값은, 상기 전환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감도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아지는 값으로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재접속 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 안함을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8%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10.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대역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수신신호감도가 전환임계값 보다 큰 값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접속을 해제한 후 재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접속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함을 보고하고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하여 스루풋을 높이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임계값은, 상기 전환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감도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아지는 값으로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임계값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의 9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관리 방법.
  14.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감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신신호감도가 임계값 보다 클 경우에는 스루풋을 높이기 위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검출된 수신신호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는 사용 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감도에서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모드의 스루풋이 상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모드의 스루풋보다 작아지는 값으로 미리 설정되고;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로 구비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에 재접속하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함 또는 사용하지 않음을 보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접속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NxN MIM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N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청구항 제 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역폭 관리 방법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7.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005344A 2017-01-12 2017-01-12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866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344A KR101866479B1 (ko) 2017-01-12 2017-01-12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344A KR101866479B1 (ko) 2017-01-12 2017-01-12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479B1 true KR101866479B1 (ko) 2018-06-11

Family

ID=6260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344A KR101866479B1 (ko) 2017-01-12 2017-01-12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363A1 (ko) * 2018-08-16 2020-0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속도 추정에 기반하여 안테나의 접지부를 변경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2004266A (zh) * 2019-05-27 2020-11-27 苹果公司 跨多个载波的动态处理资源分配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1284A1 (en) * 2011-08-23 2013-02-28 Rf Micro Devices, Inc. Carrier aggregation radio system
US8958494B2 (en) 2009-03-16 2015-02-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for uplink MIMO with carrier aggregation and clustered-DFT
KR20150083109A (ko) * 2012-11-07 2015-07-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20150091522A (ko) * 2012-12-21 2015-08-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유된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US9258091B2 (en) * 2009-10-30 2016-02-09 Sony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in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494B2 (en) 2009-03-16 2015-02-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for uplink MIMO with carrier aggregation and clustered-DFT
US9258091B2 (en) * 2009-10-30 2016-02-09 Sony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in communication network
US20130051284A1 (en) * 2011-08-23 2013-02-28 Rf Micro Devices, Inc. Carrier aggregation radio system
KR20150083109A (ko) * 2012-11-07 2015-07-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콘텐츠 타입에 기초한 통신 모드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20150091522A (ko) * 2012-12-21 2015-08-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공유된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363A1 (ko) * 2018-08-16 2020-0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속도 추정에 기반하여 안테나의 접지부를 변경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901649B2 (en) 2018-08-16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hanging ground unit of antenna on basis of data throughput speed esti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12004266A (zh) * 2019-05-27 2020-11-27 苹果公司 跨多个载波的动态处理资源分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3958B2 (ja) 滞留セルの選択方法及び装置
KR1022636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한 다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1793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20628B2 (en) Virtualized wireless network with pilot beacons
US10763949B1 (en) Fifth generation new radio repeater state machine
CN101911520B (zh) 用于从接收切换到发射的设备和方法
US90841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ment operations for small cells in self-organizing networks
US8942772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rbitration of antenna switch configuration among different clients
US11064413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th switching off of second cell by switching operation mode
KR10128548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중 기지국
KR10207260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셀 및 무선 액세스 기술을 선택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10244545B2 (en) Access point
KR20110121297A (ko)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자동 심카드 선택을 위한 장치및 방법
US11647556B2 (en) Negotiation on bearer type configurations
US9565627B2 (en) Distributed radio management
WO2013178132A1 (zh) 天线波束对准方法及装置
US20180241450A1 (en) Access point controlled steering of wireless stations
CN11143606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回程链路的装置和方法
KR20160135228A (ko) 다중 무선 접속들을 위한 단일 안테나 공유
US11528667B2 (en) SON accounting for max geographical distance
WO2014161335A1 (zh) 内部通信的切换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WO2022160306A1 (zh) 一种无线通信装置及其天线切换方法
WO2013107213A1 (zh) 无线室内优化方法和设备
JP6926165B2 (ja) 滞留セルの選択方法及び装置
KR101866479B1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다이버시티 이득의 전환을 이용한 대역폭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