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947B1 -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947B1
KR102072947B1 KR1020190095807A KR20190095807A KR102072947B1 KR 102072947 B1 KR102072947 B1 KR 102072947B1 KR 1020190095807 A KR1020190095807 A KR 1020190095807A KR 20190095807 A KR20190095807 A KR 20190095807A KR 102072947 B1 KR102072947 B1 KR 10207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composition
skin regener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영
최정국
이상근
장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엘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엘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엘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9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4Boswellia, e.g. frankinc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08Epidermal growth factor [EGF] urogast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58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 A61K38/1866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의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or skin regeneration}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의 벤토나이트, 겔라이트, 꽃송이버섯 추출물, 병풀 추출물, 전복추출물, 캐비어 추출물, 인도유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를 보호하거나 방어하는 1차적 기관이면서, 신체표면을 전체에 걸쳐 덮고 있는 가장 넓은 기관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도 표피 부분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는 각질층은 각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유해물질 침투나,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박테리아나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각질층은 2주(14일)를 주기로 탈피되어 새로 형성된다.
한편,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나 자외선과 같은 자극에 의해 피부손상이 종종 일어나는데, 이러한 피부손상 유도인자들에 의해 각질층과 지질층이 손상되고 경피 수분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피부건조, 주름생성, 가려움증, 세균감염에 따른 염증이 발생되기도 한다.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 IL-1a를 시작으로 IL-6, IL-8, TNF-a등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만들어 방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이토카인은 피부의 자극유발이나 국소적인 염증반응을 매개한다.
특히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한 각질층의 손상이 반복되거나, 정상적인 각질층의 복원이 지연되면 피부노화가 가속화되거나 피부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외부손상 의한 각질층의 신속한 복원은 피부건조, 피부노화, 가려움 등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는 사람의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 및 증식을 유도하는 피부재생을 촉진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창상 치유 과정은 조직이 손상을 입게 된 후, 일어나는 피부 재생의 복잡한 과정으로서, 조직의 손상 크기, 정도에 따라 그 치유 기간이 달라진다. 치유 과정은 4가지의 개별적인 과정 즉, 지혈(hemostasis), 염증(inflammation), 증식(proliferation), 리모델링(remodeling) 등의 4가지의 개별적인 과정이 순서적이고 엄격하게 조절되어 일어나는 과정이며 다양한 세포의 상호작용, 성장인자들 그리고 사이토카인들이 필요하게 된다.
피부 섬유아세포는 조직의 기능과 구조가 다시 복구되고 재생되는 창상치유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세포는 창상 부위 쪽으로 다른 세포들을 이동시키고 창상 부위의 가장자리에서 세포의 분열을 조절한다. 섬유아세포는 증식과 이동과정에서 모두 사이토카인들과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생산하여 섬유아세포-각질세포(keratinocyte)-내피(endothelium) 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세포외기질은 조직의 강도와 탄력성에 관여하는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피부 섬유아세포의 이동을 촉진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창상 치유는 세포 증식, 이동 그리고 세포외기질의 많은 생물학적 과정이 관여한다. 특히, 세포 증식과 이동은 창상부위에서 분비되는 성장인자에 의해 조절되고 이들은 세포 성장과 증식, 분화, 이동을 자극시키는 단백질 같은 거대분자(macromolecules)이거나 호르몬 같은 소분자(small molecules)일 수 있다.
상피세포 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상피 세포의 이동을 유도하고, 진피 창상 치료 과정에서 각질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자극시키는 창상 치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이 성장인자는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 형성과 창상치유를 촉진시키며 섬유아세포 이동성을 자극시킨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99300호에서는 CLASP2(CLIP-association protein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CLASP2의 섬유아세포 증식 및 이동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의약품 및 화장품에 적용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50648호에서는 녹차 유래의 저분자 중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녹차 유래 다당체 획물은 피부보습 및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여 외부자극에 의해 손상된 표피층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83754호 및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3035호에서는 피부 질환 치료용 및 상처 치유 향상용 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83746호에서는 아미노산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에 기반한 크림 제형의 상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피부 재생 또는 창상 치료용 의약품이 지금까지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현재까지 사용되는 약물들은 스테로이드제나 항생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존재하고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치료제 보다 생체에 더 안전하고, 무엇보다도 기존에 피부 재생 또는 창상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물질보다 우수한 피부 재생을 지닌 신규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99300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50648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3035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83746호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종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벤토나이트, 겔라이트, 꽃송이버섯 추출물, 병풀 추출물, 인도유향 추출물, EGF, VEGF 및/또는 PDGF를 포함하는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국소적으로 도포하기 위한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벤토나이트 및 병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세린 또는 크림 제조용 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벤토나이트 1 내지 10 중량% 및 병풀추출물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겔라이트, 꽃송이버섯 추출물, 전복추출물, 캐비어 추출물 및 인도유향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EGF 및 VEG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겔라이트 1 내지 10중량%, 꽃송이버섯 추출물 5 내지 30중량%, 전복추출물 0.05 내지 0.2 중량%, 캐비어 추출물 0.05 내지 0.2 중량% 및 인도유향추출물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하고, EGF 및 VEG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제조용 성분은 용매, 보습제, 보존제, 부형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현탁화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연화제, 유화제, 착색제 및 착향제 중에서 적어도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탁액, 겔, 로션, 크림, 또는 연고 성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벤토나이트 1 내지 10 중량%, 겔라이트 1 내지 10중량%, 병풀추출물 0.1 내지 5 중량%, 꽃송이버섯 추출물 5 내지 30중량%, 전복추출물 0.05 내지 0.2 중량%, 캐비어 추출물 0.05 내지 0.2 중량% 및 인도유향추출물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하고, EGF 및 VEG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겔라이트, 꽃송이버섯 추출물, 인도유향추출물, EGF, VEGF 및 PDG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EGF, VEGF 및 PDG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겔라이트 1 내지 10중량%, 꽃송이버섯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및 인도유향추출물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하고, EGF, VEGF 및 PDG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제조용 성분은 용매, 보습제, 보존제, 부형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현탁화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연화제, 유화제, 착색제 및 착향제 중에서 적어도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탁액, 겔, 로션, 크림, 또는 연고 성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벤토나이트 1 내지 10 중량%, 겔라이트 1 내지 10중량%, 병풀추출물 0.1 내지 5 중량%, 꽃송이버섯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및 인도유향추출물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하고, EGF, VEGF 및 PDG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의약 또는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 천연물 유래의 복합 성분으로 구성된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스테로이드제나 화학적 항생제를 사용한 의약품에 비해, 효과는 극대화하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료에 필요한 제반 효능이 조성성분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시너지가 구현되어 신속한 환부 개선 및 재생을 도와 빠른 회복 속도를 보인다.
도1은 독성 감염에 의한 중화독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2는 22년간 온 몸에 건선 및 가려움증이 있는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3은 선천성 건선 및 아토피 합병증을 가진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4는 햇빛 알러지를 가진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5는 화상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6은 선천성 국소 아토피를 가진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7은 눈주위 국소성 아토피를 가진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8은 장거리 보행으로 발에 물집이 발생한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9는 손바닥 건선을 가진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10은 20년간 동상 후유증을 가진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11은 발바닥의 티눈으로 인해 장거리 보행시 통증이 동반되는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창상치료 테스트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14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폐렴균 및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를 보여준다.
이하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기재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유추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1차 조성물의 제조: 항진균 활성기초 조성물 제조
유용광물질인 벤토나이트 분말 50g (5 중량%)과 병풀 추출물 10g (1 중량%)을 940g (94 중량%)의 바셀린과 혼합하여 충분히 섞어 균일상의 겔(gel) 형태로 만든다. 또한 유용미네랄로서 겔라이트를 5 중량% 로 첨가하여 벤토나이트의 효능을 증강시키는 formulation도 가능하다.
벤토나이트는 해전에서 염수와 작용하여 형성된 몬트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를 주성분으로 점토질 광물이다. 나노수준의 미세한 극 미립자 벤토나이트는 60여 가지의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양이온 교환성, 흡착성, 팽윤성 등의 특성을 가진 신비의 광물입니다. 벤토나이트는 이미 수백 년 전 부터 아메리카 인디언에 의해 피부의 외상이나 위와 장의 통증 개선, 치질, 빈혈, 여드름 등 체내와 체외의 치료제로 수세기 동안 사용해 왔기에 효능과 안전성이 인정되고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2차 조성물의 제조: 질감 향상을 위한 기초 성분 개선
상기 1차 조성물의 바세린 기본 성분 대신에 크림 성상을 제조하기 위한 성분들을 사용하여 상기 1차 조성물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화장품 기초 재질의 성분들을 이용함으로써 1차 조성물에 비해 질감을 향상시켰다.
크림 성상을 제조하기 위한 성분은 코코넛 오일, 아몬드 오일, 아보카도 오일, 시어버터, 에코바세린, Hydroxyethyl cellulose 등과 같은 점증제 혹은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점증을 위해서는 0.5~50%, 경화를 위해서는 20~95% 까지 사용할 수 있다.
기타 크림 성상 제조용 성분은 용매, 보습제, 보존제, 부형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현탁화제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연화제, 유화제, 착색제 및 착향제 중에서 적어도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세린을 대체하여 첨가되는 성분은 정제수(distilled water),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베타인(betaine),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t),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글리세린(glycerin),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hydrogenated poly(C6-14 olefin),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세테아릴알코올(cetaaryl alcohol), 디메치콘(dimethicone),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슈크로오스(sucrose),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아데노신(adenosine),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소르베이트60(polysorbate 6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트리데세스-6(tredeceth-6),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카보머(carbomer),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1,2-헥산디올(1,2-hexanediol), 잔탄검(xanthan gum),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에센셜오일(essential oil)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3차 조성물의 제조: 보습 및 면역활성 촉진을 위한 꽃송이버섯 추출물 첨가
상기 2차 조성물에서 꽃송이 버섯에 다량으로 함유된 1,3;1,6-베타글루칸의 면역활성 촉진능 및 버섯 추출물의 보습효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건조 꽃송이버섯의 분획 추출물 수용액을 20% (v/v) 를 첨가하였다. 이를 통해 보습 및 면역활성이 현저히 촉진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꽃송이버섯 추출물 속에 포함된 베타-글루칸의 효과로서, 베타-글루칸이란 포도당(glucose)이 β-1,3 화학결합을 중심으로 중합된 다당류를 총칭하며, 버섯, 효모 등 미생물의 세포벽이나 세포외 다당류에서 분리함으로써 생산되는 미생물유래의 베타-글루칸과 보리, 귀리와 같은 곡물의 식이섬유에서 추출 생산되는 식물성 베타-글루칸이 있다. 버섯에서 알려진 항암활성은 주로 베타-글루칸의 면역기능 향상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안전청(FDA)의 GRAS (General Recognized as Safe)로 승인을 얻어 식품 첨가물로 널리 사용중이다. 또한, 미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등으로 널리 이용 중이다. 특히, 꽃송이버섯 베타글루칸은 대식세포의 toll-like receptor에 결합하여 활성화를 촉진하는 1,6-베타글루칸 함량이 매우 높으므로 항암 면역활성을 촉진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4차 조성물의 제조: 세포 증식활성 촉진 및 영양공급을 위한 추가 첨가물 보완
3차 조성물에 조직 재생효능을 가진 유용성분들을 추가하여 4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4차 조성물은 벤토나이트 5 중량%, 병풀추출물 1 중량%, 꽃송이버섯 추출물 10 중량%, 전복추출물 0.1 중량%, 캐비어 추출물 0.1 중량% 및 인도유향추출물 0.5 중량%를 포함하고, EGF 및 VEGF를 각각 0.05 중량%로 포함된 조성물이다.
상기 성분들의 조성은 각각의 효능이 이미 검증된 꽃송이버섯 추출물(보습 및 면역력 강화), 병풀 추출물(세포재생 및 항염), 전복추출물(조직 재생효능), 캐비어 추출물(영양공급), 인도유향 추출물(항염증), EGF(상피세포증식 및 분화 촉진), VEGF(혈관형성 촉진, 세포증식 및 분화 촉진), PDGF (혈관형성 및 세포증식 촉진), TGF-β (면역활성 촉진)등을 용도에 따라 더욱 부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용미네랄성분으로서 겔라이트 5 중량%를 더욱 부가할 수 있다.
겔라이트란 게르마늄(Ge) 광물질(lite)의 합성어로 게르마늄을 포함한 천연 광물소재이다. 친환경 사업의 원자재가 되는 대표 소재로 광물학적 분류로는 포졸란에 분류된다. 겔라이트는 게르마늄 함유량이 약 2.0ppm 이며 다량의 원적외선 미네랄을 함유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포졸란과는 다른 성분 함유량 및 효능(게르마늄 함유량, 탈취효과, 살균, 곰팡이제거, 항균.살균, 원적외선 등)을 가지고 있으며 건축, 농업, 축산업, 세라믹가공, 환경개선제, 의료 등 모든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 광물질이다.
겔라이트의 특성 및 기능은 항균작용과 곰팡이 제거, 탈취작용, 유해물질 제거 및 중금속의 중화작용, 원적외선 게르마늄(Ge) 효과, 신진대사 촉진 및 경락순환구동 효과, 산소공급, 습도조절 및 토양의 알칼리화 및 · 생체활성에너지(氣) 방출 등이 알려져 있다.
전복추출물은 국내 시판되고 있는 전복의 육과 내장 그리고 구운 외피(껍질)로부터 에탄올 및 자화(磁化水;자기에 의해 활성화된) 열수 처리로 추출한 전복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전복의 껍질은 석결명(石決明 , 눈을 밝게 해준다는 의미) 이라하여 백내장 및 결막염, 산후 건강식, 황달, 방광염등의 회복을 돕는 효능이 있는것으로 소개되어 있다. 열수 추출한 전복 추출물에는 효소활성화, 신경자극 전도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이 증강되는 것으로 알려진 이온화 칼슘(Ca2+), 마그네슘 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며 비타민, 인, 아르기닌, 요오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제조된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의 독립적인 효능보다 상호작용에 의해 월등한 효능 상승을 보여 최적화된 효과를 보인다.
<실시예 5>
도1은 2년간 독성 감염에 의한 중화독을 가진 25세 여성으로서 피부과 병원 처방 스테로이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하였으나 치료불가능 판정을 받은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2주 만에 중화독의 치료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6주 만에 완치되었다.
<실시예 6>
도2는 22년간 온 몸에 건선 및 가려움증이 있는 33세 남성으로서 피부과 병원 처방 스테로이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하였으나, 일시적인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여 완치불가능 판정을 받은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1주 만에 가려움증이 해소되고 3주차에 염증의 99%가 소멸되었다.
<실시예 7>
도3은 선천성 건선 및 아토피 합병증을 가진 22세 남성으로서 피부과 병원에서 3년전 치료불가 판정을 받은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4주 만에 가려움증이 해소되고 60% 정도 치료되었다.
<실시예 8>
도4는 햇빛 알러지를 가진 59세 남성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2일 만에 진정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9>
도5는 67세의 여성 화상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1 주 후에 완치된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10>
도6은 선천성 국소 아토피를 가진 38세 남성으로서 피부과 병원 처방 스테로이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하였으나, 일시적인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여 완치불가능 판정을 받은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2주 차에 80%까지 호전되었다.
<실시예 11>
도7은 눈주위 국소성 아토피를 가진 31세 남성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19일 차에 완치되었다.
<실시예 12>
도8은 장거리 보행으로 발에 물집이 발생한 57세의 남성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3일 사용 후 완치되었다.
<실시예 13>
도9는 37년간 손바닥 건선을 가진 55세의 남성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10일 사용 후 완치되었다.
<실시예 14>
도10은 20년간 동상 후유증을 가진 51세의 남성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20일만에 탈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 15>
도11은 27년간 발바닥의 티눈으로 인해 장거리 보행시 통증이 동반되는 55세의 남성 환자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는 본 발명의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1일 3회 이상 환부에 바른 결과, 12일만에 티눈의 두께가 현저히 얇아져서 정상 보행이 가능해 졌다.
도12 및 도13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창상치료 테스트의 결과를 보여준다.
27마리의 쥐를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여 양성대조물질로서 바세린만 처리한 경우(1그룹),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크림을 처리한 경우(2그룹) 및 처리 없이 방치한 경우(3그룹)에 대한 결과를 조사하였다. 각 실험군에게 가로 세로 1.5cm의 창상을 생성시킨 후, 4주에 걸쳐 창상부위를 측정하고, 4주 후 상처 부위 조직의 생검(biopsy)을 실시하였다. 1그룹 및 2그룹에게는 1일 3회 0.3g/회를 처치하였다. 그 결과, 바세린보다 최소 30% 가량의 빠른 회복속도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도14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폐렴균 및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를 보여준다.
항균성 테스트는 한국원적외선협회의 항균력 시험결과에 의한다.
시험방법은 KS K 0693:2011를 따르고, 사용균주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ATCC 6538(Stap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에 ATCC 4352((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를 이용하였으며, 접종균에 0.05% 비이온성계면활성제 및 표준포 KS K 0905 염색견뢰도 시험용 첨부 백포(Cotton)를 이용하였다.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결과 포도상구균 및 폐렴균에 대한 항균시험에서 99.9%의 정균 감소율을 보였다.
Figure 112019080675112-pat00001

Claims (10)

  1. 벤토나이트 5 중량%, 병풀추출물 1 중량%, 꽃송이버섯 추출물 10 중량%, 전복추출물 0.1 중량%, 캐비어 추출물 0.1 중량% 및 인도유향추출물 0.5 중량%를 포함하고, EGF(ndothelial growth factor) 및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를 각각 0.05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세린 또는 크림 제조용 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크림 제조용 성분은 용매, 보습제, 보존제, 부형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현탁화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연화제, 유화제, 착색제 및 착향제 중에서 적어도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8. 청구항 1, 2 및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현탁액, 겔, 로션, 크림, 또는 연고 성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9. 삭제
  10. 벤토나이트 5 중량%, 병풀추출물 1 중량%, 꽃송이버섯 추출물 10 중량%, 전복추출물 0.1 중량%, 캐비어 추출물 0.1 중량% 및 인도유향추출물 0.5 중량%를 포함하고, EGF(ndothelial growth factor) 및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를 각각 0.05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95807A 2019-08-06 2019-08-06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KR10207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07A KR102072947B1 (ko) 2019-08-06 2019-08-06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07A KR102072947B1 (ko) 2019-08-06 2019-08-06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947B1 true KR102072947B1 (ko) 2020-02-04

Family

ID=6957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07A KR102072947B1 (ko) 2019-08-06 2019-08-06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9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6383A1 (en) * 2002-12-20 2004-07-08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Herbal composition for cuts, burns and wounds
KR20150113035A (ko) 2013-01-30 2015-10-07 보리스 고린쉬테인 표면 상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583746B1 (ko) 2005-10-26 2016-01-19 프로페셔날 디에테틱스 에스.피.에이. 아미노산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에 기반한 크림 제형의상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9300B1 (ko) 2016-04-07 2017-11-22 (주)차바이오텍 Clasp2를 이용한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850648B1 (ko) 2016-05-03 2018-04-19 다당앤(주)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6383A1 (en) * 2002-12-20 2004-07-08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Herbal composition for cuts, burns and wounds
KR101583746B1 (ko) 2005-10-26 2016-01-19 프로페셔날 디에테틱스 에스.피.에이. 아미노산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에 기반한 크림 제형의상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113035A (ko) 2013-01-30 2015-10-07 보리스 고린쉬테인 표면 상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799300B1 (ko) 2016-04-07 2017-11-22 (주)차바이오텍 Clasp2를 이용한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850648B1 (ko) 2016-05-03 2018-04-19 다당앤(주)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Plant Biotechnol. 45. pp.117~124. (2018)* *
인터넷 블로그 (https://gjgjrmcka.blog.me/22066093174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0381A1 (en) Petrolatum-based delivery systems and for active ingredients
US8673375B2 (en) Herbal extract products and methods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WO2010124280A2 (en) Human serum albumin-based topical ointment for treatment of acne, psoriasis, egfr-induced toxicity, premature skin aging and other skin conditions
KR20110015462A (ko) 나노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U2011325867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EA032439B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леч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ных ран
CA2891602C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orthosilicate and its use for tissue regeneration
ES2724529T3 (es) Composición antiséptica
KR102193453B1 (ko) 국소 항균 피부과용 조성물
WO2013050959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KR20100039532A (ko) 아토피 치료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용 매트릭스 패치
WO2014190179A2 (en) Urea silicon gel for scars and hydration treat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40348873A1 (en) Urea-Silicone Gel for Hyperkeratosis Treatment
KR102072948B1 (ko) 염증치료용 약학적 발효 조성물
KR102072947B1 (ko) 상처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
KR102015112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aur et al. Formulation strategie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of shikonin and related derivatives
KR102072946B1 (ko) 조갑진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7220A (ko) 창상, 당뇨병성 족부/손 궤양 또는 버거씨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140357731A1 (en) Healing cream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407483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животных 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515644B1 (ko) Clasp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CN114869998A (zh) 一种修复皮肤屏障的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