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328B1 - 휴대용 선풍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328B1
KR102072328B1 KR1020190057314A KR20190057314A KR102072328B1 KR 102072328 B1 KR102072328 B1 KR 102072328B1 KR 1020190057314 A KR1020190057314 A KR 1020190057314A KR 20190057314 A KR20190057314 A KR 20190057314A KR 102072328 B1 KR102072328 B1 KR 10207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ngth
arrangement state
forming piec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근우
Original Assignee
남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근우 filed Critical 남근우
Priority to KR102019005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편평한 바닥면에 거치된 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방향으로 송풍하는 휴대용 선풍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수용된 송풍헤드, 상기 송풍헤드의 하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한 기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관을 규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립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선풍기{Portable fan}
본 발명은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편평한 바닥면에 거치된 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방향으로 송풍하는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 동반되어 선풍기나 에어컨 등의 냉방장치가 전세계적으로 널리 보급화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선풍기는 고정된 위치에 자리 잡은 에어컨에 비해 이동이 간편하고,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여름철 휴대용품으로써 각광받고 있다.
소형으로 제작된 휴대용의 손 선풍기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선풍기의 바람을 이용하여 열을 식힐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한 손에 파지 가능하게끔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가능한 손 선풍기는 작은 형태와 더불어 무선으로 휴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용자가 휴식 중에도 항상 손에 파지하고 있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휴대용 손 선풍기는 휴식을 취하기 위한 사용자에게 단비같은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손에 장시간 파지됨으로써, 사용자의 팔과 어깨에 무리를 주는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되, 사용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의복 또는 신체 부위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손 선풍기 거치대 및 상기 손 선풍기 거치대에 결합 가능한 손 선풍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288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466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선풍기를 이용하거나, 편평한 바닥면에 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송풍을 보낼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편평한 바닥면에 거치된 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방향으로 송풍하는 휴대용 선풍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수용된 송풍헤드, 상기 송풍헤드의 하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한 기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관을 규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립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한 장착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상기 바닥면과의 형성 각도를 변화시키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장착되면, 하측 끝단은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거치부와의 연결부위는 상기 거치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단을 포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포위부, 상기 포위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포위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송풍헤드와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채, 상기 거치부가 장착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삽입편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삽입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1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2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길이로 형성되는 제1-1 길이형성편, 상기 제1-1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2-1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2-1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3-1 길이형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길이로 형성되는 제1-2 길이형성편, 상기 제1-2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2-2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2-2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3-2 길이형성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1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2-2 길이형성편 각각은, 길이와 폭의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상기 제1-1 길이형성편, 상기 제2-1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3-1 길이형성편이 모두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상기 제1-2 길이형성편, 상기 제2-2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3-2 길이형성편이 모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상기 제2-1 길이형성편만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상기 제2-2 길이형성편만 삽입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경우, 일측면은 상기 제1-1 길이형성편과 접촉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3-1 길이형성편에 접촉된 채, 상기 제1-1 길이형성편과 상기 제3-1 길이형성편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경우, 일측면은 상기 제1-2 길이형성편과 접촉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3-2 길이형성편에 접촉된 채, 상기 제1-2 길이형성편과 상기 제3-2 길이형성편에 의해 구속되고, 상기 제2-1 길이형성편은,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길이를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이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폭을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이 접촉되며, 상기 제2-2 길이형성편은,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길이를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2 가이드홈이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폭을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2 가이드홈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립된 경우, 상기 송풍헤드 및 상기 프레임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바닥면의 제1 접촉점과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바닥면의 제2 접촉점을 이은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 끝단과 상기 바닥면의 제3 접촉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3 접촉 영역 사이를 이탈하는 한계 영역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3 접촉 영역 사이를 이탈하는 한계 영역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포위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무게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경우, 상기 송풍헤드 및 상기 프레임의 무게중심을 상기 제3 접촉 영역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은, 상기 제1 가이드홈을 규정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제1 내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제1 값이고,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제1 외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제2 값이며, 상기 제2 가이드홈을 규정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제2 내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상기 제1 값이고,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제2 외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상기 제2 값이며,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2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상기 제1 연장부는,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값보다 큰 표면거칠기 값을 갖는 제1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값보다 큰 표면거칠기 값을 갖는 제2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선풍기를 휴대하거나, 편평한 바닥면에 거치한 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선풍기가 바닥면에 거치된 경우, 선풍기의 미세한 진동과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선풍기의 우수한 그립감과 휴대성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를 분해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프레임과 거치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거치부에 의한 프레임의 형성각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를 분해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프레임과 거치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편평한 바닥면(B)에 거치된 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방향으로 송풍하는 휴대용 선풍기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선풍기(1)는, 송풍헤드(10), 프레임(20) 및 거치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헤드(1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송풍헤드(10)의 하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20)의 바닥면(B, 도 7 참조)에 대한 기립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배치상태(도 1 참조)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20)의 외관을 규정하고,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배치상태(도 4 참조)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20)이 상기 바닥면(B)을 기준으로 기립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휴대용 선풍기(1)를 손으로 그립한 상태로 휴대하는 경우이다. 이 때,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프레임(2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상기 프레임(20)과 함께 휴대용 선풍기(1)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휴대용 선풍기(1)를 바닥면(B)에 안착시킨 채, 사용하는 경우로 이 때, 사용자는 상기 거치부(30)와 상기 프레임(20)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여, 바닥면(B)에 대한 상기 프레임(20)의 형성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0)과 연결된 송풍헤드(10)의 송풍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장착되면, 하측 끝단은 상기 바닥면(B)에 안착되고, 상기 거치부(30)와의 연결부위는 상기 거치부(3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바닥면(B)으로부터 기립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30)의 상기 프레임(20)에 대한 장착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바닥면(B)과의 형성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포위부(31)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면,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바닥면(B)과의 형성 각도가 커지고, 반대로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포위부(31)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동되면,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바닥면(B)과의 형성 각도가 작아진다.
사용자는,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30)를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송풍헤드(10)가 특정 방향으로 송풍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1)의 거치부(30)는, 포위부(31), 제1 연장부(33) 및 제2 연장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위부(31)는, 상기 프레임(20)의 하측단을 포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33)는, 상기 포위부(31)의 일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33)는, 상기 제2 연장부(35)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가이드홈(33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331)은, 상기 제1 연장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35)는, 상기 포위부(31)의 타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33)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35)는, 상기 제1 연장부(33)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가이드홈(35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홈(351)은, 상기 제2 연장부(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송풍헤드(10)와 연결되는 본체부(21) 및 상기 본체부(21)의 양측에 형성된 채, 상기 거치부(30)가 장착되는 가이드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는, 제1 가이드삽입편(231) 및 제2 가이드삽입편(2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231)은, 상기 본체부(2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홈(3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232)은, 상기 본체부(2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홈(35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231)이 상기 제1 가이드홈(33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232)이 상기 제2 가이드홈(351)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231)이 상기 제1 가이드홈(331)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232)이 상기 제2 가이드홈(351)을 따라 슬리이딩되어,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231)은, 상기 프레임(20)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길이로 형성되는 제1-1 길이형성편(231a), 상기 제1-1 길이형성편(231a)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2-1 길이형성편(231b) 및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3-1 길이형성편(23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232)은, 상기 프레임(20)의 타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길이로 형성되는 제1-2 길이형성편(232a), 상기 제1-2 길이형성편(232a)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2-2 길이형성편(232b) 및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3-2 길이형성편(23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홈(331)에 상기 제1-1 길이형성편(231a),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 및 상기 제3-1 길이형성편(231c)이 모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길이형성편(231a),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 및 상기 제3-1 길이형성편(231c)은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홈(331) 또한 직선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1 길이형성편(231a),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 및 상기 제3-1 길이형성편(231c)이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나, 모두 상기 제1 가이드홈(331)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홈(351)에 상기 제1-2 길이형성편(232a),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 및 상기 제3-2 길이형성편(232c)이 모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 길이형성편(232a),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 및 상기 제3-2 길이형성편(232c)은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홈(351) 또한 직선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2 길이형성편(232a),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 및 상기 제3-2 길이형성편(232c)이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나, 모두 상기 제2 가이드홈(351)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2-1, 3-1 길이형성편의 상기 제1 가이드홈(331)으로의 삽입과 상기 제1-2, 2-2, 3-2 길이형성편의 상기 제2 가이드홈(351)으로의 삽입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홈(331)에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만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351)에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 및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 각각은, 길이와 폭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홈(331) 및 상기 제2 가이드홈(351)의 너비의 크기는,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 및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의 길이와 폭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은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23)에 삽입되거나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2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은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부(23)에 삽입되거나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부(2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33)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경우, 일측면은 상기 제1-1 길이형성편(231a)과 접촉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3-1 길이형성편(231c)에 접촉된 채, 상기 제1-1 길이형성편(231a)과 상기 제3-1 길이형성편(231c)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33)의 위치 이동 제한(구속)은,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의 구속을 의미하며,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33)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경우, 상기 송풍헤드(10) 및 프레임(20)의 자중 일부가 상기 제1 연장부(33)를 통해 바닥면(B)에 전달되며, 상기 자중의 방향은 상기 제1 연장부(33)의 상기 프레임(20)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상이하므로,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연장부(33)가 상기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상기 제2-1 길이형성편(231b)은,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길이를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1 가이드홈(331)이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폭을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1 가이드홈(331)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35)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경우, 일측면은 상기 제1-2 길이형성편(232a)과 접촉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3-2 길이형성편(232c)에 접촉된 채, 상기 제1-2 길이형성편(232a)과 상기 제3-1 길이형성편(231c)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연장부(35)의 위치 이동 제한(구속)은,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의 구속을 의미하며, 상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2 길이형성편(232b)은,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길이를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2 가이드홈(351)이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폭을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2 가이드홈(351)이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홈(331)을 규정하는 상기 제1 연장부(33)의 제1 내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제1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상기 제1 연장부(33)의 제1 외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제2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2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면은,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231)이 삽입된 채,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231)이 슬라이딩되어야 하므로, 표면거칠기 값이 낮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1 외측면은,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영역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그립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 값이 클수록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외측면은,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바닥면(B)과 접촉되는 영역으로, 바닥면(B)과의 마찰력을 높여 송풍헤드(10)로부터 송풍되는 경우,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프레임(20)과의 형성 각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33)는,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값보다 큰 표면거칠기 값을 갖는 제1 미끄럼방지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미끄럼방지부(332)는, 상기 제1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바닥면(B)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홈(351)을 규정하는 상기 제2 연장부(35)의 제2 내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상기 제1 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상기 제2 연장부(35)의 제2 외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제2 값일 수 있다.
상기 제2 내측면은,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232)이 삽입된 채,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232)이 슬라이딩되어야 하므로, 표면거칠기 값이 낮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2 외측면은,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영역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그립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 값이 클수록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외측면은,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경우, 바닥면(B)과 접촉되는 영역으로, 바닥면(B)과의 마찰력을 높여 송풍헤드(10)로부터 송풍되는 경우,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프레임(20)과의 형성 각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35)는,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값보다 큰 표면거칠기 값을 갖는 제2 미끄럼방지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거치부에 의한 프레임의 형성각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20)이 상기 바닥면(B)을 기준으로 기립된 경우, 상기 송풍헤드(10) 및 상기 프레임(20)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1 연장부(33)와 상기 바닥면(B)의 제1 접촉점과 상기 제2 연장부(35)와 상기 바닥면(B)의 제2 접촉점을 이은 가상의 연장선(L1, 도 4 참조)과 상기 프레임(20)의 하측 끝단과 상기 바닥면(B)의 제3 접촉 영역(L2, 도 4 참조)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33)는,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3 접촉 영역 사이를 이탈하는 한계 영역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표시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부(333)는, 상기 제1 연장부(33)의 상기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는 한계점을 알려줌으로써, 바닥면(B)에 상기 프레임(20)이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0)이 상기 제1 표시부(333)와 상기 제1 연장부(33)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송풍헤드(10) 및 상기 프레임(20)의 무게중심에 의해 상기 프레임(20)이 도복되나, 상기 제1 표시부(333)와 상기 포위부(31) 사이에 상기 프레임(20)이 위치하면, 상기 프레임(20)은 기립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35)는,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3 접촉 영역 사이를 이탈하는 한계 영역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표시부(3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353)는, 상기 제2 연장부(35)의 상기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는 한계점을 알려줌으로써, 바닥면(B)에 상기 프레임(20)이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위부(31)는, 상기 제1 연장부(33) 및 상기 제2 연장부(35)의 무게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 경우, 상기 송풍헤드(10) 및 상기 프레임(20)의 무게중심을 상기 제3 접촉 영역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프레임(20)이 기립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휴대용 선풍기
10: 송풍헤드
20: 프레임
30: 거치부

Claims (10)

  1.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편평한 바닥면에 거치된 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방향으로 송풍하는 휴대용 선풍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수용된 송풍헤드;
    상기 송풍헤드의 하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한 기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관을 규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립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한 장착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상기 바닥면과의 형성 각도를 변화시키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장착되면, 하측 끝단은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거치부와의 연결부위는 상기 거치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단을 포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포위부, 상기 포위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포위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송풍헤드와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채, 상기 거치부가 장착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삽입편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삽입편을 구비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1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2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이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삽입편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길이로 형성되는 제1-1 길이형성편, 상기 제1-1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2-1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2-1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3-1 길이형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삽입편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길이로 형성되는 제1-2 길이형성편, 상기 제1-2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2-2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2-2 길이형성편과 이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3-2 길이형성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1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2-2 길이형성편 각각은,
    길이와 폭의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상기 제1-1 길이형성편, 상기 제2-1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3-1 길이형성편이 모두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상기 제1-2 길이형성편, 상기 제2-2 길이형성편 및 상기 제3-2 길이형성편이 모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상기 제2-1 길이형성편만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상기 제2-2 길이형성편만 삽입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경우, 일측면은 상기 제1-1 길이형성편과 접촉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3-1 길이형성편에 접촉된 채, 상기 제1-1 길이형성편과 상기 제3-1 길이형성편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경우, 일측면은 상기 제1-2 길이형성편과 접촉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3-2 길이형성편에 접촉된 채, 상기 제1-2 길이형성편과 상기 제3-2 길이형성편에 의해 구속되고,
    상기 제2-1 길이형성편은,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길이를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이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폭을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이 접촉되며,
    상기 제2-2 길이형성편은,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길이를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2 가이드홈이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폭을 규정하는 면과 상기 제2 가이드홈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립된 경우, 상기 송풍헤드 및 상기 프레임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바닥면의 제1 접촉점과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바닥면의 제2 접촉점을 이은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 끝단과 상기 바닥면의 제3 접촉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3 접촉 영역 사이를 이탈하는 한계 영역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3 접촉 영역 사이를 이탈하는 한계 영역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무게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경우, 상기 송풍헤드 및 상기 프레임의 무게중심을 상기 제3 접촉 영역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을 규정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제1 내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제1 값이고,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제1 외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제2 값이며,
    상기 제2 가이드홈을 규정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제2 내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상기 제1 값이고,
    상기 제1 배치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그립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제2 외측면의 표면거칠기 값은 상기 제2 값이며,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2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값보다 큰 표면거칠기 값을 갖는 제1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 값보다 큰 표면거칠기 값을 갖는 제2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KR1020190057314A 2019-05-16 2019-05-16 휴대용 선풍기 KR10207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14A KR102072328B1 (ko) 2019-05-16 2019-05-16 휴대용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14A KR102072328B1 (ko) 2019-05-16 2019-05-16 휴대용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328B1 true KR102072328B1 (ko) 2020-01-31

Family

ID=6936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14A KR102072328B1 (ko) 2019-05-16 2019-05-16 휴대용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09B1 (ko) 2013-03-28 2014-10-07 주식회사 노벨이노베이션스 목걸이형 선풍기
KR101742880B1 (ko) 2015-08-24 2017-06-02 (주)알토디자인 휴대용 선풍기
KR101967234B1 (ko) * 2018-04-09 2019-04-09 주식회사 휴먼디지텍 휴대용 충전기
KR200489177Y1 (ko) * 2018-01-24 2019-05-13 주식회사 스타쇼핑 풍향 조절 및 탁상 거치가 용이한 휴대용 선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09B1 (ko) 2013-03-28 2014-10-07 주식회사 노벨이노베이션스 목걸이형 선풍기
KR101742880B1 (ko) 2015-08-24 2017-06-02 (주)알토디자인 휴대용 선풍기
KR200489177Y1 (ko) * 2018-01-24 2019-05-13 주식회사 스타쇼핑 풍향 조절 및 탁상 거치가 용이한 휴대용 선풍기
KR101967234B1 (ko) * 2018-04-09 2019-04-09 주식회사 휴먼디지텍 휴대용 충전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쇼핑몰(amazon) 공개본(2018.07.19., 공개)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1250A1 (en) Video Device Accessory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TW201438621A (zh) 保護套
KR200451879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072328B1 (ko) 휴대용 선풍기
TWI548328B (zh) 支撐結構
KR101183408B1 (ko) 휴대가능한 단말기 거치대
CN216486218U (zh) 可移动一体机电脑
CN104038594A (zh) 带散热功能的手机座
JP2013070305A (ja) 携帯型情報端末用保持台および卓上電話機
KR20170060668A (ko)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JP6016592B2 (ja) 携帯情報端末機用ケース
CN210218163U (zh) 一种带有多功能底座的风扇
KR200486888Y1 (ko)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KR200475759Y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TWI539885B (zh) 保護殼
US20190328132A1 (en) Supporting bracket for mobile terminal
CN206364864U (zh) 多功能自拍支架杆
KR101155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N213342315U (zh) 一种用于手机的支架
KR102200573B1 (ko) 휴대폰 액세서리
CN107800836B (zh) 一种便捷多功能手机架
KR101482601B1 (ko) 다용도 거치대
CN210225496U (zh) 带磁吸支架手机壳
CN213342316U (zh) 一种用于手机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