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18B1 -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 Google Patents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918B1
KR102071918B1 KR1020180062951A KR20180062951A KR102071918B1 KR 102071918 B1 KR102071918 B1 KR 102071918B1 KR 1020180062951 A KR1020180062951 A KR 1020180062951A KR 20180062951 A KR20180062951 A KR 20180062951A KR 102071918 B1 KR102071918 B1 KR 10207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rotrusion
circumferential surf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795A (ko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석 filed Critical 신영석
Priority to KR102018006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2Cap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0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means of a by-pass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 사이를 전기 융착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융착 이음관에 있어서, 관의 파손 시 관을 유동하는 유체의 차단을 위해 에어팩의 삽입 및 인출을 간단한 동작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관의 긴급 보수가 가능한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Electric Fusion Splicer that can Connect Pipe and Emergency Repair}
본 발명은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 사이를 전기 융착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융착 이음관에 있어서, 관의 파손 시 관을 유동하는 유체의 차단을 위해 에어팩의 삽입 및 인출을 간단한 동작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관의 긴급 보수가 가능한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유동하는 관들을 이음하기 위해서는 서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여 결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방식에는 용접이음, 납땜이음, 플랜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플랜지이음,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한 나사이음 및 신축관을 이용한 신축이음 등이 있다.
이때 외부로 누출 시 화재,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는 가스 등을 포함하는 유체를 이송시키는 관의 경우에는 완벽한 기밀을 위해 전기 융착방식을 이용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이용하여 관들을 서로 이음할 수 있다.
전기 융착 이음관은 몸체 내주면에 코일이 권선되어 있고, 몸체에 형성되되, 코일과 접속되는 단자핀으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코일을 통한 발열을 통해 열을 공급함으로써, 융착하여 관을 이음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융착 이음관을 이용하여 이음된 관이 손상 또는 파손될 시에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파손된 관을 절단한 후, 전기 융착 이음관을 통해 관들을 서로 연결해야 한다.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차단하고자 하는 관의 부위를 별도의 수단을 통해 직경을 줄여 관의 내주면이 만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범이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방법은 관을 강제로 눌러서 유체를 차단함으로써, 관의 손상 및 파손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직경의 변화가 발생되어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공기가 수용된 에어팩을 관에 삽입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관의 보수 및 이음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때, 관의 내부로 에어팩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관의 선택되는 일부를 천공하고, 그 위치에 새들수단을 융착하여 형성한 후, 에어팩을 관의 내부로 삽입해야 하며, 관의 보수 작업이 끝난 뒤에는 에어팩을 관으로부터 인출한 후, 천공분위에 형성된 새들수단의 단부를 별도의 캡을 이용하여 차단해야 한다.
즉, 상술된 방법은 관에 에어팩을 삽입하기 위한 천공작업 및 새들수단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자재의 신속한 수급이 어려우며, 새들수단의 융착을 통한 형성 등 별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신속한 유체의 차단 및 관의 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3024호(2011.12.2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 사이를 전기 융착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융착 이음관에 있어서, 관의 파손 시 관을 유동하는 유체의 차단을 위해 에어팩의 삽입 및 인출을 간단한 동작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관의 긴급 보수가 가능한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은 전기 융착하고자 하는 관(1)이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권선되는 코일(210)과, 상기 코일(210)과 접속되는 단자부(220)를 포함하는 융착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반경 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천공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10)와,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320)를 포함하여, 관(1)의 보수가 필요할 시에는 유체를 막기 위한 에어팩(2)을 삽입하도록 개방되고, 관(1)의 보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몸체(100)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되는 보수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20)는 상기 돌출부(310)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부개폐부(321)와, 상기 돌출부(3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개폐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10)는 상기 내부개폐부(321)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내주돌출개폐부(311)와, 상기 외부개폐부(322)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외주돌출개폐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개폐부(321)는 상기 내주돌출개폐부(311)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내주돌출개폐부(311)의 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돌출부(310)의 개폐를 수행하는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와, 상기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31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나사산의 형성 없이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 및, 상기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의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내부실링수단(3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320)는 상기 돌출부(310) 내부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부개폐부(321)와, 상기 돌출부(3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개폐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310)는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내주돌출게폐부(311)와,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외주돌출개폐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개폐부(321)는 상기 내주돌출개폐부(311)와 대응하여 개폐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와, 상기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31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개폐부(322)는 상기 돌출부(310)의 외주면 감사도록 형성되되, 상기 외주돌출개폐부(312)와 대응하여 개폐 가능한 나사산이 측면 내주면에 형성되는 캡 형상의 외부개폐부몸체(3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는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내부실링수단(32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개폐부몸체(322-1)는 상기 돌출부(310)의 단부와 맞닿는 지점에 실링을 위한 외부실링수단(32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수부(300)는 상기 돌출부(310)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우회부몸체(331)를 포함하는 우회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은 관 사이를 전기 융착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융착 이음관에 있어서, 관의 파손 시 관을 유동하는 유체의 차단을 위해 에어팩을 삽입할 시, 작업자의 간단한 동작을 통해 에어팩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동작을 통해 이음관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관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은 관의 보수를 위해 유체를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및 제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긴급한 상황에서도 수월하게 관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분해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의 사용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의 사용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의 사용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분해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의 설치 실시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1000)은 크게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이 삽입되는 몸체(100), 전기 융착에 의해 관(1)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융착부(200) 및 관(1)의 손상 및 파손에 따른 보수 작업을 위한 보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때 길이 방향은 전기 융착하고자 하는 관(1)이 양측에서 또는 일측에서 삽입되는 방향이다.
몸체(100)는 길이 방향 양측 또는 일측에서 관(1)이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된다.
이때, 몸체(100) 내주면에는 삽입되는 관(1)의 길이를 제어하도록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관(1)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정확한 전기 융착을 통한 관(1)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나, 한정하지는 않는다.
융착부(200)는 전기 융착을 통해 몸체(100)에 관(1)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크게 코일(210)과 단자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일(210)은 몸체(100) 내주면에 권선되어 이루어지며, 특히 코일(210)은 몸체(100)와 관(1) 사이에서 발열하도록 구비되어 융착을 위한 열을 제공 가능하게 한다.
즉, 코일(210)은 몸체(100)의 내주면과 관(1)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열을 제공함으로써, 융착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아울러, 코일(210)은 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로서 몸체(1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홈에 코일(210)이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00)의 형성을 위한 사출 시 내주면에 코일(210)이 권선되도록 할 수 있는 등 코일(210)을 몸체(100)의 내주면에 구비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단자부(220)는 단자핀이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를 코일(210)로 공급하여 발열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융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단자부(220)는 코일(210)의 단부에 대응하여 구비되거나, 선택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단자부(200)는 단자핀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코일(210)과의 접속을 위해 몸체(100)에 삽입되므로, 몸체(100)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 물 등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처리되어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수부(300)는 몸체(100)의 선택되는 반경 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천공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10)와,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몸체(100)는 천공홀(110)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개폐부(320)를 통해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수부(300)를 포함함으로써, 관(1)의 손상 또는 파손 시, 이의 보수를 위해 몸체(100)를 유동하는 유체를 막기 위한 에어팩(2)을 천공홀(110)을 통해 수월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1)의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에어팩(2)의 삽입이 필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개폐부(320)를 통해 돌출부(310)를 폐쇄시킴으로써, 몸체(1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1000)은 보수부(300)를 통해 관(1)의 보수를 위해 에어팩(2) 등을 수월하게 삽입 및 인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관(1)의 보수를 위한 보수시간이 감소되어 효율적인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1)의 보수를 위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하게 관(1)의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보수부(300)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1000)의 개폐부(320)는 내부개폐부(321)와 외부개폐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개폐부(321)는 돌출부(2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돌출부(2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천공홀(110)을 통해 몸체(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부개폐부(322)는 돌출부(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천공홀(110)을 통해 몸체(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보수부(300)의 개폐부(320)는 돌출부(2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돌출부(2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부개폐부(321)와, 내부개폐부(321)를 삽입된 돌출부(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개폐부(322)를 포함함으로서, 내부개폐부(321)와 외부개폐부(322)의 2중 개폐를 통해 몸체(1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고압의 가스 등의 누출을 방지하여 폭발 등의 위험 요소를 배제할 수 있다.
상술된 내부개폐부(321)와 외부개폐부(322)를 포함하는 개폐부(320)를 통한 돌출부(310)의 개폐 동작을 위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돌출부(310)는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내주돌출개폐부(311)와,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외주돌출개폐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돌출부(3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부개폐부(321)는 내주돌출개폐부(311)와 대응하여 개폐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와,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31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는 내주돌출개폐부(311)의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의 회전을 통해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는 내주돌출개폐부(311)의 나사산과 맞물려 돌출부(310)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는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와 달리 나사산이 없으므로,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돌출부(310)의 직경과 대응하는 동일한 직경을 가짐으로써, 몸체(1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는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내부실링수단(32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실링수단(321-3)을 통해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와 돌출부(310)의 내주면과의 이격을 방지하여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개폐부(322)는 돌출부(3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외주돌출개폐부(312)와 대응하여 개폐 가능한 나사산의 측면 내주면에 형성되는 외부개폐부몸체(3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개폐부몸체(322-1)는 돌출부(3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개폐부(321)와 더불어 돌출부(310)의 개폐를 수행함으로써, 에어팩(2)의 삽입을 위해 개방되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 폐쇄되어 몸체(100)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개폐부몸체(322-1)는 돌출부(310)의 단부왐 맞닿는 지점에 실링을 위한 외부실링수단(32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내부개폐부(321)와 외부개폐부(322)는 회전에 의한 나사산 작용를 통해 돌출부(310)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음으로써, 간단한 동작을 통해 천공홀(110)을 통한 몸체(100)와 외부와의 개폐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관의 보수를 위한 시간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이음관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1)의 효율적인 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310)를 폐쇄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내부개폐부(321)와 외부개폐부(322)를 통한 2중 폐쇄를 통해 몸체(100)를 유동하는 유체의 외부 누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의 사용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의 사용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1000)의 보수부(300)는 돌출부(310)와 결합되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연결수단(3)을 통해 서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우회부몸체(331)를 포함하는 우회부(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우회부(330)는 돌출부(31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되, 선택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T자 형상의 우회부몸체(331)를 포함하여, 연결수단(3)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를 통해 몸체(1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를 우회시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회부몸체(331)는 돌출부(310)와 결합되어 연결수단(3)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몸체(1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를 우회시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내측을 에어팩(2)을 이용하여 차단하고 유체를 우회시킬 수 있다.
이는 몸체(100)를 유동하는 유체를 차단하지 않고 우회시킴으로써, 유체의 공급은 그대로 이루어지면서 관(1)의 보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관(1)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우회부몸체(331)는 연결수단(3)과 맞대기 융착 방법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우회부몸체(331)와 연결수단(3)과의 결합은 맞대기 융착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아울러, 우회부(330)는 우회부몸체(331)와 더불어 우회부몸체(331)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우회부몸체(331)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우회개폐부(33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회개폐부(332)는 우회부몸체(331)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우회부몸체(331)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우회개폐부(332)는 유체를 우회시키지 않아도 되는 일반적인 상황 시, 우회부몸체(331)를 폐쇄하며, 유체를 우회시켜야 할 경우에는 개방하여 연결수단을 통해 우회부몸체(331)를 서로 연결하여 유체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우회개폐부(332)는 상술된 내부개폐부(321)와 외부개폐부(322)를 포함하는 개폐부(320)의 형상 및 개폐 동작 원리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및 개폐 동작 원리의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1000 : 관 이음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100 : 몸체
110 : 관통홀
200 : 융착부
210 : 코일
220 : 단자부
300 : 보수부
310 : 돌출부
311 : 내주돌출개폐부 312 : 외주돌출개폐부
320 : 개폐부
321 : 내부개폐부
321-1 : 제1내부개폐부몸체 321-2 : 제2내부개폐부몸체
321-3 : 내부실링수단
322 : 외부개폐부
322-1 : 외부개폐부몸체 322-2 : 외부실링수단
330 : 우회부
331 : 우회부몸체 332 : 우회개폐부

Claims (8)

  1. 전기융착하고자 하는 관(1)이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권선되는 코일(210)과, 상기 코일(210)과 접속되는 단자부(220)를 포함하는 융착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반경 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천공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10)와,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320)를 포함하여, 관(1)의 보수가 필요할 시에는 유체를 막기 위한 에어팩(2)을 삽입하도록 개방되고, 관(1)의 보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몸체(100)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되는 보수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20)는
    상기 돌출부(310)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부개폐부(321)와, 상기 돌출부(3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개폐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10)는
    상기 내부개폐부(321)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내주돌출개폐부(311)와,
    상기 외부개폐부(322)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외주돌출개폐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개폐부(321)는
    상기 내주돌출개폐부(311)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내주돌출개폐부(311)의 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돌출부(310)의 개폐를 수행하는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와,
    상기 제1내부개폐부몸체(321-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31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나사산의 형성 없이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 및,
    상기 제2내부개폐부몸체(321-2)의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내부실링수단(321-3)을 포함하는,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개폐부(322)는
    상기 돌출부(310)의 외주면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외주돌출개폐부(312)와 대응하여 개폐 가능한 나사산이 측면 내주면에 형성되는 캡 형상의 외부개폐부몸체(322-1)를 포함하는,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개폐부몸체(322-1)는
    상기 돌출부(310)의 단부와 맞닿는 지점에 실링을 위한 외부실링수단(322-2)이 구비되는,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300)는
    상기 돌출부(310)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우회부몸체(331)를 포함하는 우회부(330)를 더 포함하는,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KR1020180062951A 2018-05-31 2018-05-31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KR10207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51A KR102071918B1 (ko) 2018-05-31 2018-05-31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51A KR102071918B1 (ko) 2018-05-31 2018-05-31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95A KR20190136795A (ko) 2019-12-10
KR102071918B1 true KR102071918B1 (ko) 2020-02-03

Family

ID=6900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951A KR102071918B1 (ko) 2018-05-31 2018-05-31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76B1 (ko) * 2008-12-03 2009-03-19 폴리텍 주식회사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445A (ko) * 2008-11-26 2010-06-04 폴리텍 주식회사 가스누설을 방지하는 탭핑 티
KR101103024B1 (ko) 2011-01-20 2012-01-05 (주)폴리텍 전기 융착식 이음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76B1 (ko) * 2008-12-03 2009-03-19 폴리텍 주식회사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95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2952A (en) Method for lining lateral and main pipes
US5896885A (en) Tapping saddle pipe fitting
US6237640B1 (en) Variable length pipe repair fitting
JPS5916157B2 (ja) 密封方法
US11253950B2 (en) Sealing hollow structures
KR101805117B1 (ko) 플랜지관을 이용한 고압 천연가스 수송용 관로 시공 방법
US8262838B2 (en) Fusible completion plug
JP4398162B2 (ja) バルブ挿入工法
KR102071918B1 (ko) 관 연결 및 긴급 보수가 가능한 전기 융착 이음관
JP3682031B2 (ja) 配管分岐弁装置及びその分岐方法
JP6542447B1 (ja) 樹脂パイプと樹脂部材と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構造
EP2210033B1 (en) Purge tee assembly
JP2014532849A (ja) 圧力容器を満たしてシー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5321233A (en) Electrofusion fitting and sealing method for distribution line
KR20220007955A (ko) 파이프의 기밀 검사 장치
KR101155574B1 (ko) 배관용 폐쇄장치
KR20090129701A (ko) 분기티의 기밀 확인 어댑터
JP2002174391A (ja) 流体不断で樹脂管路に介設した弁
US11725755B2 (en) Connections of lined pipe
KR102289636B1 (ko) 내부에 유로 포함 구조체의 밀폐 검사 방법 및 밀폐 검사장치
KR102226077B1 (ko) 복합융착식 pe밸브 및 이를 위한 융착기
KR100517223B1 (ko) 배관 플러깅용 소켓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분기장치
JPH09324888A (ja) 補修用電気融着プラグ
JPH05180391A (ja) 管の補修部材および補修方法
CN110043198A (zh) 一种油气管道开孔短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