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837B1 -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837B1
KR102071837B1 KR1020140186509A KR20140186509A KR102071837B1 KR 102071837 B1 KR102071837 B1 KR 102071837B1 KR 1020140186509 A KR1020140186509 A KR 1020140186509A KR 20140186509 A KR20140186509 A KR 20140186509A KR 102071837 B1 KR102071837 B1 KR 10207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output voltage
switching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379A (ko
Inventor
조진태
김재한
김주용
백주원
류명효
김호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18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8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아 출력하는 전원 입출력부, 전원 입출력부로 입력되는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VOLTAGE OF SINGLE TYPE CONVERTER}
본 발명은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성 전원을 출력하는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 사이의 출력 불평형을 해소하고 고장 발생시에도 안정적인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류 IDC(Internet Data Center), DC 홈, DC 빌등 등의 직류 수용가의 등장으로 전력공급회사에 대한 직접적인 직류 전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직류 전원을 직접적으로 수용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회사 측면에서의 직류 배전의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직류 수용가의 직류전원 공급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전력 회사는 수용가의 직류 전원을 직접 공급하기 위한 직류 배전시스템을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종래의 직류 배전과 관련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버터는 수용가 내부로 단극(Monopole) 출력 전압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존의 3상 4선식의 교류시스템의 공급용량과 공급신뢰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단극(Monopole) 방식이 아닌 양극(Bipole)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때, 수용가에 직류 전원을 양극(Bipole) 방식으로 공급하는 기술로서, 현재까지 직류 배전과 관련하여 양 극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버터의 경우, 두 개의 컨버터를 포함하여 양극성 전압을 얻는 형태로 직류 배전 전원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46783 호(2007.05.03.공개, 발명의 명칭 : 평형 출력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가 있다.
종래에 두 개의 컨버터를 통해 양극성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배전 전원장치는, 각각의 컨버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분리된 입력전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내부적으로 두 개의 컨버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직류 배전의 직류 전원 공급시스템의 크기와 복잡성이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감되게 된다.
즉, 실제 현장 선로에 직류 전원 공급을 위한 컨버터를 설치할 경우, 두 개의 컨버터로 구성된 직류 전원 공급용 전력변환장치는 그 부피가 커서 현장 설치에 불리하고, 상용시에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장치의 부피를 이상적으로 줄이고 시스템을 단순화시켜 경제성이 우월하며 양방향 전력전송 및 출력전압 품질이 우수한 단일형 컨버터로 양 극 선로인 직류 배전 선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배전용 컨버터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출력의 중성점을 기준으로 양극성 전압을 얻는 단일형 컨버터의 경우, 양극 직류 선로에 연계된 수용가마다 부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 출력 전압이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한 극에 고장이 발생하여 부하가 0이고, 정상인 나머지 건전 극의 부하가 100%와 같은 극단적인 경우에서 안정적으로 건전 극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것은 단일형 컨버터 자체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입력단에 삼중권선을 갖는 변압기를 이용하여 절연된 두 개의 입력 전압으로 독립된 전압을 얻고 내부적으로 두 개의 컨버터로 구성하여 양극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하였다.
그러나, 두 개의 컨버터로 구성된 직류 전원 공급시스템도 직류 선로가 단락되면 차단기가 동작할 때까지 과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를 통해 컨버터의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회로를 추가해야만 한다.
또한, 선로의 보호기기와 보호협조를 위해서는 선로의 고장 발생시 컨버터를 통해 전류 제한을 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부가적인 회로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직류 배전용 컨버터는 삼중권선을 갖는 변압기를 이용해 절연된 두 개의 입력전압으로 독립된 전압을 얻고 내부적으로 두 개의 컨버터 구조로서 양극에 독립된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동시에 단락 보호 회로와 전류 제한 회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시스템이 굉장히 복잡하고 부피가 클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단일형 컨버터를 통해 양극성 전원을 출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 사이의 출력 불평형을 해소하고 고장 발생시에도 안정적인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는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아 출력하는 전원 입출력부; 상기 전원 입출력부로 입력되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상기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 입출력부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는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 및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스위칭부, 및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부의 일단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에 대해서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스위칭부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 상기 제3스위칭부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출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인덕터 및 상기 제4스위칭부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양극의 출력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 차이나면, 상기 제3 또는 제4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 중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더 큰 극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 차이에 비례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온하는 펄스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에 각각 대응되는 부하가 정격 부하 이상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격 부하 이상이면 상기 제1 또는 제2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격 부하 이상인 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극성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을 감지하여, 출력 불평형 및 고장 발생을 빠르게 해소하고 안정적인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성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컨버터를 복수로 구성하지 않고 단일형 컨버터로 운영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단순화시키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가 단일형 컨버터에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는 전원 입출력부(100), 상태 감지부(300), 제어부(500), 스위칭부(700) 및 전원 전달부(900)를 포함한다.
전원 입출력부(100)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단일형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입출력부(100)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는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110, 130), 및 단일형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을 대응되는 부하로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150, 1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110, 130)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과 중성점(N)에 대해서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양극의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으며,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150, 170)는 후술하는 전원 전달부(900)를 통해 전달되는 출력전압을 부하(R1, R2)로 각각 출력한다.
상태 감지부(300)는 전원 입출력부(100)로 입력되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함으로써, 단일형 컨버터(20) 양극의 출력전압이 평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감지부(300)는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110, 130)로 입력되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출력전압에 불평형이 발생하는지 즉,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 차이나는지 감지한다.
이 때, 기준 전압은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 중 일 극에 고장이 발생하여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양극의 출력전압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일형 컨버터(20)의 성능이나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어부(500)는 스위칭부(700)를 제어하여 양극의 출력전압 불평형을 개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태 감지부(300)는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150, 170)에 각각 대응되는 부하가 정격 부하 이상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함으로써, 단일형 컨버터(20)의 단락을 보호하고 고장전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태 감지부(300)는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150, 170)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단락이 발생하는지 감지한다.
제어부(500)는 상태 감지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스위칭부(7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단일형 컨버터(20)의 일 극에 고장이 발생하여 양극의 출력전압에 불평형이 발생한 경우에 전압 불평형을 해소하거나, 출력측에 과부하가 걸린 경우에 단락보호 및 전류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 불평형이나, 과부하 상황에서 제어부(500)가 스위칭부(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위칭부(700)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스위칭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부(700)는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110, 130)의 일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스위칭부(720, 740), 및 제1 및 제2스위칭부(720, 740)의 일단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110, 130)에 대해서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스위칭부(760, 780)를 포함한다.
전원 전달부(900)는 스위칭부(700)의 스위칭에 따라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을 전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전달부(900)는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110, 130)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제3 및 제4스위칭부(760, 780)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920), 제3스위칭부(760)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제1출력 커패시터(150)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인덕터(150), 및 제4스위칭부(780)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제2출력 커패시터(170)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인덕터(17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 불평형이나, 과부하 상황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 중 일 극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양극의 출력전압에 불평형이 발생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태 감지부(300)는 제1입력 커패시터(110)와 제2입력 커패시터(130)로 입력되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 차이나는지 감지하고, 양극의 출력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 차이나면 제어부(500)는 스위칭부(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양극의 출력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 차이나면 제3스위칭부(760) 또는 제4스위칭부(780)를 스위칭하되,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 중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더 큰 극에 대응되는 스위칭부(700)를 스위칭한다.
이 때, 제어부(500)는 제1스위칭부(720)와 제2스위칭부(740)는 항상 턴온되도록 제어한다.
일례로 제1입력 커패시터(110)로 입력되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이 제2입력 커패시터(130)로 입력되는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에 제어부(500)는 제3스위칭부(760)를 스위칭한다.
그리고 제3스위칭부(760)가 턴온됨에 따라 제1인덕터(920)로 제1입력 커패시터(110)에 충전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3스위칭부(760)가 턴오프됨에 따라 해당 전류는 제2스위칭부(740)와 제4스위칭부(780)를 통해 제2입력 커패시터(130)에 충전된다.
이 때, 제2입력 커패시터(130)는 제1입력 커패시터(110)로 입력되는 출력전압과 평형을 이룰 때까지 충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국 제1입력 커패시터(110)와 제2입력 커패시터(130)의 전압 평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 차이에 비례하도록 스위칭부(700)를 턴온하는 펄스폭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00)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양극의 출력전압 차이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스위칭부(700)를 스위칭할 때 턴온하는 펄스폭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함으로써, 제1입력 커패시터(110)와 제2입력 커패시터(130)의 전압 평형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입력 커패시터(130)로 입력되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이 제1입력 커패시터(110)로 입력되는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에 제어부(500)는 제4스위칭부(780)를 스위칭함으로써, 제1입력 커패시터(110)와 제2입력 커패시터(130)의 전압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과부하 상황에서 단락보호 및 전류제한이 필요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태 감지부(300)는 제1출력 커패시터(150)와 제2출력 커패시터(170)에 각각 대응되는 부하가 정격 부하 이상인지 감지하고, 부하 중 적어도 하나가 정격 부하 이상이면 제어부(500)는 스위칭부(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어느 하나의 부하가 정격 부하 이상이면 제1스위칭부(720) 또는 제2스위칭부(740)를 스위칭하되, 정격 부하 이상인 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부(700)를 스위칭한다.
일례로 제1출력 커패시터(150)에 대응되는 부하(R1)가 정격 부하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500)는 제1스위칭부(720)를 스위칭한다.
따라서 제2인덕터(940)를 통해 제1출력 커패시터(150)로 흐르는 전류는 제1스위칭부(720)의 스위칭으로 일정한 값으로 제어된다.
즉, 미리 설정된 지령치 전류에 도달하도록 제1스위칭부(720)가 턴온되었다가 지령치 전류에 도달하면 제1스위칭부(720)가 턴오프되는 펄스폭 제어를 통해 제1출력 커패시터(150)에서의 과부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출력 커패시터(170)에 대응되는 부하(R2)가 정격 부하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500)는 제2스위칭부(740)를 스위칭함으로써, 제2출력 커패시터(170)에서의 과부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가 단일형 컨버터에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형 컨버터(20)는 변압기(10)를 통해 교류측과 연결되고, 변압기(1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양극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 제어 장치로 출력한다.
단일형 컨버터(20)를 통해 변압기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양극 방식으로 출력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구현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공지 또는 기타 공지되지 않은 다양한 기술로 구현되는 단일형 컨버터(2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 제어 장치는 제1입력 커패시터(110)와 제2입력 커패시터(130)로 입력되는 단일형 컨버터(20)의 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양극의 불평형을 감지하고, 양극의 출력전압 불평형이 감지되면 제3 또는 제4스위칭부(760, 780)를 스위칭함으로써 불평형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 제어 장치는 출력전압의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를 감지하고, 과부하가 감지되면 제1 또는 제2스위칭부(720, 740)를 스위칭함으로써 전류를 제한하거나 차단하여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성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을 감지하여, 출력 불평형 및 고장 발생을 빠르게 해소하고 안정적인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양극성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컨버터를 복수로 구성하지 않고 단일형 컨버터로 운영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단순화시키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원 입출력부
110: 제1입력 커패시터
130: 제2입력 커패시터
150: 제1출력 커패시터
170: 제2출력 커패시터
300: 상태 감지부
500: 제어부
700: 스위칭부
720: 제1스위칭부
740: 제2스위칭부
760: 제3스위칭부
780: 제4스위칭부
900: 전원 전달부
920: 제1인덕터
940: 제2인덕터
960: 제3인덕터

Claims (9)

  1.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아 출력하는 전원 입출력부;
    상기 전원 입출력부로 입력되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상기 양극의 출력전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입출력부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각각 입력받는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 및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스위칭부, 및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부의 일단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에 대해서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제1 및 제2입력 커패시터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스위칭부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 상기 제3스위칭부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출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인덕터 및 상기 제4스위칭부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 커패시터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양극의 출력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 차이나면, 상기 제3 또는 제4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 중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더 큰 극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형 컨버터의 양극의 출력전압 차이에 비례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온하는 펄스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출력 커패시터에 각각 대응되는 부하가 정격 부하 이상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격 부하 이상이면 상기 제1 또는 제2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격 부하 이상인 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KR1020140186509A 2014-12-22 2014-12-22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KR10207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509A KR102071837B1 (ko) 2014-12-22 2014-12-22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509A KR102071837B1 (ko) 2014-12-22 2014-12-22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79A KR20160076379A (ko) 2016-06-30
KR102071837B1 true KR102071837B1 (ko) 2020-02-03

Family

ID=5635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509A KR102071837B1 (ko) 2014-12-22 2014-12-22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946B1 (ko) 2016-10-26 2018-06-05 한국전력공사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TR201801643A2 (tr) 2018-02-06 2018-03-21 Elektrotel Elektronik Ve Telekomunikasyon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Akilli çant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555A (ja) 2007-06-25 2009-01-08 Fujitsu Ten Ltd 降圧電源回路
JP2012210023A (ja) 2011-03-29 2012-10-25 Renesas Electronics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12213246A (ja) * 2011-03-30 2012-11-01 Dendo Sharyo Gijutsu Kaihatsu Kk 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JP2013219859A (ja) * 2012-04-05 2013-10-24 Daikin Ind Ltd 電力変換装置
KR101370739B1 (ko) 2012-12-26 2014-03-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컨버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및 컨버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555A (ja) 2007-06-25 2009-01-08 Fujitsu Ten Ltd 降圧電源回路
JP2012210023A (ja) 2011-03-29 2012-10-25 Renesas Electronics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12213246A (ja) * 2011-03-30 2012-11-01 Dendo Sharyo Gijutsu Kaihatsu Kk 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JP2013219859A (ja) * 2012-04-05 2013-10-24 Daikin Ind Ltd 電力変換装置
KR101370739B1 (ko) 2012-12-26 2014-03-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컨버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및 컨버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79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71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voltage for single-type converter, and method therefor
KR101052471B1 (ko) 전력계통에서 중성선 대체장치 및 그 방법
KR101320373B1 (ko)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101684840B1 (ko) 컨버터 유닛 시스템 및 컨버터 유닛
JP5769694B2 (ja) 過負荷検知装置
EP3467987B1 (en) Converter scheme
CN113161995A (zh) 用于故障电流检测的装置和方法
KR102071837B1 (ko)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KR20130044247A (ko) 전력계통의 결상 시 결상복구장치 및 그 복구방법
JP2023553570A (ja) エネルギー供給装置及び建設機械
KR101430577B1 (ko) 3상 서보 드라이버용 순간정전보상장치
JP5631173B2 (ja) 充電装置
EP27971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RU input protection
KR20060086060A (ko) 밧데리 충전기
KR102349343B1 (ko) 3상 결상 및 n상 보호기능을 갖는 배전반
CN112821373B (zh) 用于漏电流的补偿装置
CN102959670A (zh) 冲击电流抑制装置
US20140204493A1 (en) Relay Control Circuit
US20200295669A1 (en) Rectifier arrangement
US9077239B2 (en) Voltage adaptor for AC-DC power supply modules
KR20160033808A (ko) 직류 배전선로용 직류전원공급 전력변환장치
AU2015285887B2 (en) Residual current protection device and residual current protection system
KR101302806B1 (ko) 친환경 절전형 전력품질 복구장치를 내장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제어반, 분전반)
JP6128605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装置
US20160105125A1 (en) Power suppl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