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718B1 -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718B1
KR102071718B1 KR1020170162193A KR20170162193A KR102071718B1 KR 102071718 B1 KR102071718 B1 KR 102071718B1 KR 1020170162193 A KR1020170162193 A KR 1020170162193A KR 20170162193 A KR20170162193 A KR 20170162193A KR 102071718 B1 KR102071718 B1 KR 10207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rotating body
slurry
sol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246A (ko
Inventor
정광화
김중곤
이동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6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7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1Perforated, resilient plastic diffusers, e.g. membranes, sheets, foils, tubes, h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는, 고액분리 하는 다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여과막이 설치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및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고액분리할 액체에 일부가 잠겨 회전되며, 여과 작동 시에, 상기 펌프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여 흡입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은 상기 여과홀을 통하여 상기 액체를 여과시켜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흡입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 밖의 부분은, 여과된 상기 내부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며, 산기 작동 시에, 상기 펌프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배출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은 상기 여과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액체로 공급한다.

Description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Apparatus for solid-liquid separation and air diffusing and Slurri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 농장, 양돈 농장, 젖소사육 농장 등 각종 축산 농장의 축사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환경오염을 상당히 가중시키기 때문에, 축산 폐수는 여과장치를 거치거나 산기장치를 거쳐서 처리한다.
그런데, 종래의 축산 폐수를 처리하는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여과와 산기를 수행할 수 없거나, 여과와 산기를 같이 수행한다 하여도 그 기능에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회전 원판법은 원판을 물속에 절반 정도 잠기게 한 후,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산소를 공급하고 호기성 생물이 원판에 증식하게 하여 하수를 정화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회전 원판법은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량에 한계가 있어서, 고농도 및 대규모 처리시설에 적합하지 않는다. 또한, 여과를 통한 폐수 처리는 수행할 수 없는 구조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42066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는 액상 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고액분리와 공기공급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액분리 하는 다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여과막이 설치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및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고액분리할 액체에 일부가 잠겨 회전되며, 여과 작동 시에, 상기 펌프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여 흡입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은 상기 여과홀을 통하여 상기 액체를 여과시켜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흡입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 밖의 부분은, 여과된 상기 내부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며, 산기 작동 시에, 상기 펌프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배출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은 상기 여과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액체로 공급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액분리와 산기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수요처에서 필요에 따라 장치의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액상분뇨 처리시설의 규모에 용이하게 부합할 수 있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로서, 중소규모부터 대규모 시설의 수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 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 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 처리장치는 슬러리(6)를 고액분리하고 슬러리(6)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액분리 기능을 수행하거나 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슬러리 처리장치는, 복수의 반응조(5)를 가지고, 각 반응조(5)에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각 반응조(5)에서 개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반응조(5)에서 고액분리 작업을 하고 여과된 슬러리(6)를 인접하는 다음 반응조(5)를 넘겨서 연속적으로 여과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우선, 이하에서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는, 회전체(100), 회전축(200) 및 펌프(300)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여과 작동을 하거나 산기 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체(100)는 고액분리 및 산기 작업이 이루어질 액체, 예를 들어 슬러리(6)에 부분적으로 잠겨서 회전한다. 회전체(100)에는 고액분리 하는 다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여과막(102)이 설치되며, 내부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과막(102)을 통과하면 내부공간(11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110)에는 여과막(102)을 통과하여 여과된 액체가 담기며, 회전체(100)에 설치되는 배수구(120)를 통하여 내부공간(110)의 여과된 액체가 배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체(100)는 원판형, 즉 전체적으로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여과막(102)은 원판형 회전체(100)의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과막(102)은 미세한 관통홀이 형성된 멤브레인 막일 수 있다. 여과막(102)은 탈부착되는 형태로 원판형 회전체(100)에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원판형 회전체(1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체(100)의 측면에 탈부착 되는 패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판형 회전체(100)의 측면에 띠 형상의 패드(150)가 둘러싸는 구조로 부착될 수 있다. 패드(150)는 회전체(100) 측면에서 쉽게 제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체(100)의 측면에 슬러리(6)가 과도하게 부착되면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판형의 회전체(100)는 고액분리 될 액체에 대하여 세워져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원판형 회전체(100)가 회전할 때 일부분은 잠기고 나머지 부분은 공기 중에 있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100)의 액체에 잠기는 부분들은, 회전될 때에 반복적으로 액체에 잠기고 공기에 노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체(100)의 내부공간(110)은 중심부 공간(112)과 중심부 공간(112)을 둘러싸는 외각의 주변부 공간(11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주변부 공간(114)은 회전체(100)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나누어지는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 공간(112)과 주변부 공간(114)은 원형의 제1 내벽(116)에 의하여 나누어지고, 주변부 공간(114)은 제1 내벽(116)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제2 내벽(118)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중심부 공간(112)과 주변부 공간(114)은 공기출입구(13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공기출입구(130)는 제1 내벽(116)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상이거나, 제1 내벽(116)에 삽입 설치되는 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부 공간(112)과 복수의 주변부 공간(114)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공기출입구(130)가 제1 내벽(116)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중심부 공간(112)은 공기출입구(130)와 펌프(300)와의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밀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중심부 공간(112)에는 여과막(102)은 설치되지 않고, 주변부 공간(114)에만 여과막(10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300)에서 공기를 배출하면 중심부 공간(112)에 흡입압력이 발생하고, 펌프(300)에서 공기를 주입하면 배출압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00)가 회전할 때 액체 밖으로 나온 부분에서 열리는 배수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수구(120)는 회전축(200) 주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으로 밀어서 열리고 닫히는 창문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의 힘을 받아 보통에는 닫혀 있지만, 특정한 구간을 지날 때에 돌기에 걸려 배수구(120)의 문이 열리고 해당 구간을 벗어나면 배수구(120)의 문이 돌기에서 해제되어 다시 닫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구(120)가 액체 밖으로 나오는 부분에 배수구(120)의 문을 여는 돌기를 배치하면, 배수구(120)가 액체 밖으로 나올 때 열리게 하여 내부공간(110)의 여과된 액체를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수구(120)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배수구(120)를 개폐하는 구조로 알려진 다양한 개폐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배수구(120)가 액체 밖으로 나오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배수구(120)를 열거나 닫는 액추에이터를 가동하여 배수구(120)를 일정 구간 동안만 열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로 나누어진 주변부 공간(114)에는 배수구(12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100)의 일부분이 액체의 수면 아래에 있을 때, 액체에 잠긴 부분에 위치하는 해당 주변부 공간(114)에서 배수구(120)는 닫힐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100)의 잠겼던 부분이 액체의 수면 위로 올라올 때, 해당하는 주변부 공간(114)의 배수구(120)는 열리게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100)가 회전할 때 복수의 배수구(120)가 순차적으로 열리면서 여과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제1 내벽(116)에는 경사면(116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100)의 잠겼던 일부분이 액체의 수면 위로 올라올 때 여과된 액체가 배수구(120)를 향하도록, 제1 내벽(116)에 경사면(116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구(120)가 회전축(200) 위쪽에 위치할 때에, 경사면(116a)의 상부는 배수구(120)보다 높게 위치하고 하부는 배수구(120)를 향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00) 내부에는, 공기출입구(130)를 열고 닫는 공기입구 개폐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공기입구 개폐부재(140)는 제1 내벽(116)의 경사면(116a)과 일정한 구간에서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공기입구 개폐부재(140)에는 경사면(116a)에 대응되는 밀착면(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기출입구(130)는 제1 내벽(116)의 경사면(116a)에 형성되며, 밀착면(142)은 회전축(200)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입구 개폐부재(140)는 회전체(100)와 같이 회전하지 않게 회전축(200)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밀착면(142)이 일정한 위치, 예를 들어 회전축(200) 위에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100)의 잠겼던 부분이 액체의 수면 위로 올라올 때, 밀착면(142)이 경사면(116a)에 밀착하여 수면 위의 부분에 있는 공기출입구(130)를 차단할 수 있다. 공기입구 개폐부재(140)는 수면 아래에 있는 주변부 공간(114)이 중심부 공간(112)과 연결되게 하고, 수면 위에 있는 주변부 공간(114)은 중심부 공간(112)과 차단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면 위에 있는 주변부 공간(114)으로 중심부 공간(112)의 공기가 빠져나가 흡입 및 배출 압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중심 공간에 형성된 흡입 또는 배출 압력이 수면 아래에 있는 주변부 공간(114)에만 전달되며, 수면 아래의 주변부 공간(114)은 여과막(102)을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거나 액체를 흡입하여 여과를 할 수 있다.
회전축(200)은 회전체(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 때, 회전축(200)에는 펌프(300)에 의해 주입 및 배출되는 공기가 지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원판형 회전체(100)에 중심축 방향으로 회전축(200)이 연결된다. 회전축(20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중공이 공기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회전축(200)의 공기통로는 중심부 공간(112)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펌프(300)는 회전체(100)의 내부공간(110)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부분이다. 펌프(300)는 회전축(200)의 공기통로에 연결되어 회전체(100)의 중심부 공간(112)과 소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펌프(300)는 회전축(2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회전체(100)의 내부공간(110)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배치 및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는 여과 작동과 산기 작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여과 작동을 할 때에서는, 펌프(300)는 내부공간(110)의 공기를 배출하여 흡입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부 공간(112)에서 공기를 배출하여 흡입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중심부 공간(112)은 액체에 잠긴 부분의 주변부 공간(114)과 공기출입구(1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액체 잠긴 부분에 있는 주변부 공간(114)에 흡입 압력이 발생하고 여과막(102)의 여과홀을 통하여 액체가 여과되어 주변부 공간(114)으로 흡입된다. 한편, 회전체(100)에서 액체 밖의 부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120)가 열려서 여과된 주변부 공간(114)의 액체를 밖으로 배출된다.
산기 작동을 할 때에는, 펌프(300)는 내부공간(110)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배출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부 공간(112)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배출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중심부 공간(112)은 액체에 잠긴 부분의 주변부 공간(114)과 공기출입구(1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액체 잠긴 부분에 있는 주변부 공간(114)에 배출 압력이 발생하고 여과막(102)의 여과홀을 통하여 주변부 공간(114)의 공기가 액체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의 슬러리 처리장치는, 복수의 반응조(5)를 가지고 각 반응조(5)에는 상술한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가 설치되므로, 슬러리(6)가 복수의 반응조(5)를 거치게 하고 여과 작업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각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의 배수구(120)에서 배출된 여과된 슬러리(6)는 물받이 관 또는 파이프 등을 통하여 다음 반응조(5)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처리 과정에 후반에 설치될수록,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에는 작은 여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러리(6)의 굵은 입자를 초기 과정에서 여과하여 제거하고 다음 과정으로 갈수록 더욱 작은 입자를 여과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슬러리 처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슬러리 처리장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1000) 부착된 슬러리(6)를 제거하기 위하여 슬러리 제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제거부(400)는 회전체(100)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이동이 가능할 수 있고, 회전체(100)에 근접하여 회전체(100)에 부착된 슬러리(6)를 긁어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슬러리 제거부(400)는 반원통 형으로 형성되고, 모서리가 원판형 회전체(100)의 여과막(102)에 부착된 슬러리(6)를 긁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반원통의 슬러리 제거부(400)는 여과막(102)에 대하여 10~30도 정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00)에서 제거되는 슬러리(6)는 반원형의 내부로 떨어지고, 슬러리 제거부(400)의 내부에는 슬러리(6)를 이송하는 스크류(4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 반응조 6: 슬러리
100: 회전체 102: 여과막
110: 내부공간 112: 중심부 공간
114: 주변부 공간 116: 제1 내벽
116a: 경사면 118: 제2 내벽
120: 배수구 130: 공기출입구
140: 공기입구 개폐부재 142: 밀착면
150: 패드 200: 회전축
300: 펌프 400: 슬러리 제거부
450: 스크류 1000: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Claims (13)

  1. 고액분리 하는 다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여과막이 설치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및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내부공간을 중심부 공간과 주변부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1 내벽; 상기 주변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2 내벽; 및 상기 중심부 공간과 상기 복수의 주변부 공간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1 내벽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고액분리할 액체에 일부가 잠겨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펌프와 상기 중심부 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공기출입구는 열려서, 잠긴 부분에 있는 상기 주변부 공간을 상기 중심부 공간과 연결하고,
    상기 액체에 잠긴 상기 주변부 공간이 상기 액체의 수면 위로 올라올 때, 상기 공기 출입구는 닫히고,
    여과 작동 시에, 상기 펌프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여 흡입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은 상기 여과홀을 통하여 상기 액체를 여과시켜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흡입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 밖의 부분은, 여과된 상기 내부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며,
    산기 작동 시에, 상기 펌프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배출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은 상기 여과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액체로 공급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상기 액체 밖으로 나온 부분에서 열리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변부 공간에는 상기 배수구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배수구는 닫히며,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이 상기 액체의 수면 위로 올라올 때, 상기 배수구는 열리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이 상기 액체의 수면 위로 올라올 때,
    상기 제1 내벽은 상기 배수구를 향하여 여과된 액체를 흘러 보내는 경사면을 구비한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입구는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며,
    상기 액체에 잠긴 부분이 상기 액체의 수면 위로 올라올 때, 상기 경사면에 밀착하여 상기 공기출입구를 차단하는 공기입구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측면에 탈부착 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은 미세한 관통홀이 형성된 멤브레인 막을 포함하는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10. 슬러리를 고액분리하고, 상기 슬러리에 공기를 공급하는 슬러리 처리장치로서,
    각각 독립된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반응조; 및
    상기 복수의 반응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반응조의 상기 슬러리를 여과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리는 상기 복수의 반응조를 차례로 거쳐 처리되며,
    각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에서 여과된 상기 슬러리는 인접하는 다음 반응조로 이송되는 슬러리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처리 과정에 후반에 설치될수록, 상기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에는 작은 여과홀이 형성되는 슬러리 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의 상기 회전체로 근접하는 이동이 가능하며, 회전체에 부착된 슬러리를 제거하는 슬러리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슬러리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제거부는 반원통 형으로 형성되고, 모서리로 상기 슬러리를 제거하여 내부에 떨어뜨리고,
    상기 슬러리 제거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러리를 이송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슬러리 처리장치.
KR1020170162193A 2017-11-29 2017-11-29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 KR10207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93A KR102071718B1 (ko) 2017-11-29 2017-11-29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93A KR102071718B1 (ko) 2017-11-29 2017-11-29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46A KR20190063246A (ko) 2019-06-07
KR102071718B1 true KR102071718B1 (ko) 2020-03-02

Family

ID=6685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93A KR102071718B1 (ko) 2017-11-29 2017-11-29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9595B (zh) * 2020-10-19 2023-12-15 中建四局土木工程有限公司 钻井废弃泥浆无害化处理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800A (ja) 2000-10-24 2002-05-08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回転円板型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407B1 (ko) 2007-10-25 2009-09-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생물 부착량 제어 및 공정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800A (ja) 2000-10-24 2002-05-08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回転円板型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46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RU24378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яем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жидкостей
KR101728525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WO2007137212A3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 from stormwater
KR101580458B1 (ko) 공기순환장치
TW590806B (en) Filter device
JP5815417B2 (ja) 固液分離装置及び汚泥処理システム及び固液分離方法
JP7033011B2 (ja) スクリュー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KR102071718B1 (ko) 고액분리 겸용 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리 처리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JP2020049447A (ja) 固形薬剤供給装置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170003069U (ko) 스컴 제거를 위한 혐기성 소화조
JPH11319866A (ja) 浄水装置
KR20130072505A (ko) 막여과장치
JP3097378B2 (ja) 回転平膜分離装置
KR101584203B1 (ko) 정수 장치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20150129422A (ko) 저장수 정화장치
KR101157884B1 (ko)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CN211215581U (zh) 一种新型废水处理过滤设备
KR102519897B1 (ko) 음식물 처리기
CN219991196U (zh) 一种污水处理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