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02B1 - Tro측정장치 - Google Patents

Tro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02B1
KR102071602B1 KR1020180009571A KR20180009571A KR102071602B1 KR 102071602 B1 KR102071602 B1 KR 102071602B1 KR 1020180009571 A KR1020180009571 A KR 1020180009571A KR 20180009571 A KR20180009571 A KR 20180009571A KR 102071602 B1 KR102071602 B1 KR 10207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
measuring device
sensor
tro measur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631A (ko
Inventor
박규원
김성태
이해돈
이종욱
임병옥
지현대
이익환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주)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18000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Specific anion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6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the degree of steril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RO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샘플수의 TRO를 측정하는 TRO측정센서; 및 TRO측정센서가 내측에 설치되고, 가스 기밀이 유지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선박의 안전구역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방폭형의 TRO측정장치를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TRO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RO}
본 발명은 TRO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비방폭형 TRO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운송하는 화물 선박은 유사한 화물의 상호 교환을 위하여 왕복 항해하는 선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도 운항을 한다. 그리고, 편도 운항을 만재 상태로 항해한 후 귀환 항해 시에는 선박의 균형, 안전성 및 조종 성능 향상 등을 위하여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선내로 유입하여 밸러스트 상태로 항해를 하게 된다.
이때, 선박평형수는 한 항구에서 채워져서 다른 곳으로 이송되어, 거기서 새로운 항구 내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먼 위치로부터 실려져 온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의 방출은 새로운 환경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항구에서도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다.
비-천연적인 해양 생물을 신규 생태계로 도입시키면, 신규 종에 대해 자연적인 방어체계를 지니고 있지 않을 수 있는 천연 식물군 및 동물군에게 파괴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또한, 콜레라와 같은 해로운 세균성 병원균이 원래의 항구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 내에서 증식되어, 이들이 방출되는 영역에서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에 의해 제기되는 위험은 선박평형수 내에 존재하는 상기한 종들을 치사(致死)시켜 조절할 수 있다.
선박평형수를 살균 처리하는데 주로 전기 분해 방식을 이용하는데, 전기 분해 방식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 시스템은 선박평형수의 TRO 측정하기 위한 TRO 센서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TRO"는 "Total Residual Oxidant"의 약어로서, 선박평형수에 존재하는 전체 잔류 산화제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전기 분해 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염소가 선박평형수 내의 수중 생물을 산화시키고 남은 염소의 잔류 염소 수치를 측정하여 구한다. TRO는 바닷물이나 염분이 섞여있는 물을 전기분해 또는 염소 소독할 경우 활성 염소 대신 브로민 등의 원자로 대체되어 여러 종류의 산화제가 공존하게 되는데, 이때 존재하는 모든 활성 산화제를 가리킨다.
도 1은 종래의 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방폭형 TRO측정장치(20)는, 펌프룸이나 온데크 룸(On-deck room)과 같은 위험구역(1)에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10)와 같이 설치된다.
여기서, 방폭형 TRO측정장치(20)는, 외부로부터 위험가스가 TRO측정장치(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압보다 높은 응축공기(21)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공급되는 응축공기(21)는 선박의 환경에 따라 습도가 높을 수 있고 공기 내에 미세먼지/미세입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들이 TRO측정장치(20)에 악영향을 미쳐 TRO측정의 정확도를 낮추고 TRO측정장치(20)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6313호(2015.1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방폭형 TRO측정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구역에 설치되는 비방폭형 TRO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RO측정장치는, 샘플수의 TRO를 측정하는 TRO측정센서; 및 TRO측정센서가 내측에 설치되고, 가스 기밀이 유지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선박의 안전구역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TRO측정장치는,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포함된다.
또한, 선박의 안전구역은, 엔진룸이거나, 거주구 또는 온데크 룸(On-deck room)일 수 있다.
또한, TRO측정장치는,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센서는, 선박에 포함된 가스센서를 사용하되, 가스센서의 흡입부가 TRO측정장치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TRO측정장치는, 케이스 내측 하부에 배관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누수센서는, 플로팅 타입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TRO측정장치는, 자동차단밸브를 더 포함하고, 가스센서 또는 누수센서가 가스 또는 누수를 검출한 경우, 자동차단밸브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TRO측정장치는, 가스센서 또는 누수센서가 가스 또는 누수를 검출한 경우,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TRO측정장치는, 노천갑판(Weather Deck)으로 연결되는 벤트라인을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TRO측정장치는, TRO 측정이 완료된 샘플수를 위험구역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TRO측정장치는, 가스 기밀이 유지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안전구역내에 설치됨으로써 비방폭형으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TRO측정장치는, 가스센서 및 누수센서를 포함하고 가스 또는 배관 누수가 발생시 자동으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가 적용된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RO측정장치(100)는, 샘플수의 TRO를 측정하는 TRO측정센서(110)와, TRO측정센서(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01)을 포함한다.
TRO측정센서(110)는, 선박이 항해하는 경로에 따라 담수, 해수 등 다양한 수질 조건에서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수질변화에 덜 민감한 DPD 시약을 이용한 TRO 센서를 주로 사용한다.
케이스(101)는, 가스 기밀이 유지(Gas tight cabinet)되도록 구성되어 케이스(101) 외부의 가스 유입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TRO측정장치(100)는, 위험구역 내에 설치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에서 처리된 선박평형수의 TRO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데, 비방폭형으로 안전구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 1의 종래의 방폭형 TRO측정장치와 달리 외부로부터 위험가스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응축공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평형수 유입라인(211) 및 배출라인(213)이 구비되어 선박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된다.
여기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는 선박평형수 내의 수중생물을 전기분해 또는 오존처리 등의 방식을 통해 사멸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선박평형수 배출라인(213)에는 선박평형수 살균처리후 선박평형수에 존재하는 전체 잔류 산화제를 측정하도록 샘플수 유입라인(111)이 연결되어 비방폭형 TRO측정장치(100)으로 샘플수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비방폭형 TRO측정장치(100)에서 TRO측정이 완료된 샘플수는 다시 위험구역으로 배출되도록 샘플수 배출라인(113)이 선박평형수 배출라인(213)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TRO측정장치(100)는, 안전구역 내에 설치되어 위험구역 내에 설치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에서 처리된 선박평형수의 TRO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안전구역 및 위험구역은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펌프룸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이 설치되는 선박의 경우에는, 엔진룸(310)이 안전구역이 되고, 펌프룸(320)이 위험구역이 된다.
또한,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온데크 룸(On-deck room)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가 탑재되는 선박의 경우에는, 거주구 또는 격벽으로 위험구역 온데크 룸(340)과 구분되는 안전구역 온데크 룸(330)이 안전구역이 되고,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가 설치되는 온데크 룸(340)이 위험구역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는, 폭발의 위험이 산재하는 탱커선 등과 같은 선박에서 적용되어도 안전한 방폭형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로서 위험구역 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TRO측정장치(100)는,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120)와 배관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130)을 포함한다.
가스센서(120)는, HC(탄화수소)나 독성가스(Toxic gas) 등의 위험가스를 검출하는 것으로, 별도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TRO측정장치(100) 내에 설치하거나 기존에 선박에 적용된 시스템에 포함된 가스센서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후자의 경우에는, 가스센서의 흡입부만 TRO측정장치(100)의 내측에 설치되고, 배관을 통해 기설치된 가스센서와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누수센서(130)는, 배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검출하도록 케이스(101)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누수센서(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플로팅 타입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방식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습도를 측정하는 방식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TRO측정장치(100)는, 자연적으로 흡기/배기가 가능하도록 노천갑판(Weather Deck)으로 연결되는 벤트라인(170)을 포함하여 온도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TRO측정장치(100) 내부의 공기가 배출 또는 유입되어 TRO측정장치(100)가 내부압이 상승/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방폭형 TRO측정장치의 구성도로서,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TRO측정장치(1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101)가 가스 기밀이 유지(Gas tight cabinet)되도록 구성되고, 선박내의 배관에서 유출되는 유해가스나 유체를 검출하도록 가스센서(120)와 누수센서(130)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누수센서(130)는, 케이스(101)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누수된 유체를 보다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스센서(120)는, 케이스(101)의 내측 측면에 설치되어 유출된 유해가스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TRO측정장치(100)는, 가스센서(120) 또는 누수센서(130)가 유해가스 또는 누수를 검출한 경우, TRO측정장치(100)의 케이스(101) 내측으로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되는 자동차단밸브(140)를 더 포함함으로써 TRO측정장치(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TRO측정장치(100)는, 가스센서(120) 또는 누수센서(130)가 가스 또는 누수를 검출한 경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를 정지시키도록 가스센서(120) 또는 누수센서(130)의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TRO측정장치(100)는,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메인터넌스 밸브(150)와, TRO측정센서(110)에 유입되는 샘플수를 필터링하는 필터(160)가 포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TRO측정장치
101: 케이스
110: TRO측정센서
120: 가스센서
130: 누수센서
140: 자동차단밸브

Claims (12)

  1. 샘플수의 TRO를 측정하는 TRO측정센서;
    TRO측정센서가 내측에 설치되고, 가스 기밀이 유지되는 케이스;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센서;
    케이스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배관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 및
    가스센서 또는 누수센서가 가스 또는 누수를 검출한 경우,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단밸브를 포함하고,
    선박의 안전구역내에 설치되는, TRO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TRO측정장치는,
    방폭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포함되는, TRO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선박의 안전구역은,
    엔진룸인, TRO측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선박의 안전구역은,
    거주구 또는 온데크 룸(On-deck room)인, TRO측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센서는,
    선박에 포함된 가스센서를 사용하되, 가스센서의 흡입부가 TRO측정장치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TRO측정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누수센서는,
    플로팅 타입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적용하는, TRO측정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TRO측정장치는,
    가스센서 또는 누수센서가 가스 또는 누수를 검출한 경우,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TRO측정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TRO측정장치는,
    노천갑판(Weather Deck)으로 연결되는 벤트라인을 더 포함되는, TRO측정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TRO측정장치는,
    TRO 측정이 완료된 샘플수를 위험구역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이 더 포함되는, TRO측정장치.
KR1020180009571A 2018-01-25 2018-01-25 Tro측정장치 KR10207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71A KR102071602B1 (ko) 2018-01-25 2018-01-25 Tro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71A KR102071602B1 (ko) 2018-01-25 2018-01-25 Tro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31A KR20190090631A (ko) 2019-08-02
KR102071602B1 true KR102071602B1 (ko) 2020-01-30

Family

ID=6761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71A KR102071602B1 (ko) 2018-01-25 2018-01-25 Tro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11B1 (ko) 2008-05-07 2011-09-16 (주) 테크로스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640U (ko) * 1996-07-29 1998-04-30 이영서 식기세척기의 누수감지장치
KR20110027941A (ko) * 2009-09-11 2011-03-17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선박용 가스 샘플링 장치
KR20150116313A (ko) 2014-04-07 2015-10-15 (주) 테크로스 밸러스트 수의 tro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64484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20170057541A (ko) * 2015-11-17 2017-05-25 (주)티피에스엔지니어링 선박평형수의 총 잔류산화물 농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20170098349A (ko) * 2016-02-19 2017-08-30 (주) 테크로스 전기화학식 tro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11B1 (ko) 2008-05-07 2011-09-16 (주) 테크로스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31A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915B1 (ko) 선박 평형수의 수질 측정 시스템
US10845265B2 (en) Gas indicator
KR102071602B1 (ko) Tro측정장치
KR101191242B1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밸러스트 운용 방법
KR200443500Y1 (ko) 컨테이너 선박의 발라스트수 교환장치
KR102120777B1 (ko) 선박용 스크러버 세정수 공급 및 배출시스템
KR101997435B1 (ko) 탱크간 평형수 이동제어 시스템
KR101531398B1 (ko) 피난처 보호 장치를 지닌 선박
KR101959584B1 (ko)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해조 유닛의 수소 가스 배출 구조
KR101240305B1 (ko) 밸러스트탱크의 수처리방법 및 장치
KR101212327B1 (ko)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KR20110027941A (ko) 선박용 가스 샘플링 장치
JP2017015642A (ja) ガス検知システム
CA2684058C (en) "in-situ"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205971780U (zh) 化学品回收船用空气净化处理系统
KR101462221B1 (ko) 전기분해식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8084415A1 (ko) 잔류염소 측정 장치용 시약 공급 장치
KR100970962B1 (ko) 선박용 빌지 오염 방지장치
KR20200053122A (ko) 방폭형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2526244B1 (ko) 선박의 암모니아 누출 대피구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00004774U (ko) 선박의 빌지 처리장치
US6176248B1 (en) Submerged hydraulic value actuator with leak protection
KR20210115798A (ko) 가스 감지 시스템
DK201300607A1 (en) A large ocean going cargo ship or freighter with a crude oil fue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