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295B1 -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295B1
KR102071295B1 KR1020190095192A KR20190095192A KR102071295B1 KR 102071295 B1 KR102071295 B1 KR 102071295B1 KR 1020190095192 A KR1020190095192 A KR 1020190095192A KR 20190095192 A KR20190095192 A KR 20190095192A KR 102071295 B1 KR102071295 B1 KR 102071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ter
chamber
fiber fabric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295B1/ko
Priority to CN202010443253.1A priority patent/CN11232330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2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with means to improve the circulation of the tre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20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 D06B23/22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 내에서 좌,우로 스윙 동작되는 이송대를 이용하여 섬유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수조의 수세수를 퍼올려서 섬유 원단측에 공급하여 섬유 원단의 수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는 내부에 수세수가 충전되는 수조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상기 수조의 내부로 수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가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고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외측에서 이송대 내부로 투입된 섬유 원단이 이송대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섬유 원단이 투입되는 선단측의 높이가 후단측의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되어 상기 선단측에서 상기 후단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좌측과 우측 부위가 번갈아 상기 수조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 이송대를 통과하는 섬유 원단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대를 좌,우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키는 스윙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WASHING APPARATUS OF TEXTILE FABRIC}
본 발명은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챔버 내에서 좌,우로 스윙 동작되는 이송대를 이용하여 섬유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수조의 수세수를 퍼올려서 섬유 원단측에 공급하여 섬유 원단의 수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화할 때에 원사자체에 풀(Size), 오일(Oil), 왁스(Wix) 등을 비롯한 각종약품으로 원사의 표면을 처리함으로서, 제직후에 반드시 발생하는 보플 등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단을 제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직처리된 원단은 상기한 풀, 오일, 왁스 등을 비롯한 각종 약품을 빼내야 하는 작업을 원단을 수세시키는 수세공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풀, 오일, 약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원단의 프린팅(Printing) 공정(원단의 나염 또는 염색 공정)시 처리된 각종 염색용 약품도 수세에 의한 수세공정을 거치면서 원단에서 제거시키게 된다.
기존 수세장치는 챔버내에서 세정수의 공급과 배출이 자유롭게 형성된 다수의 수조내에 각각 가이드롤러를 각각 수장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부에는 각각 보조로울러를 설치하여서 상기한 챔버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섬유 원단을 가이드롤러과 보조로울러의 사이를 따라 교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섬유 원단은 가이드롤러에서 수조 내에 잠길 때에 섬유 원단이 수세되도록 하는 방법에 의한 것이었다.
이러한 방법은 섬유 원단이 가이드롤러와 보조로울러 사이에서 이동할 때 많은 장력이 발생하여 특히 신축성을 요하는 원단에는 적당하지 아니하였고, 또한 수조 내의 가이드롤러에서 감긴 상태로 이동만 하는 것이므로 수세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재차 반복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극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때문에 수세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보조롤러의 상단에 가압로울러를 설치하여서 가이드롤러에 의해 수조 내에서 침수되면서 세정수와 접한 섬유 원단이 상기한 보조롤러와 가압로울러의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한 보조롤러의 가압에 의해 세정수를 섬유 원단에서 제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가압로울러가 섬유 원단을 직접 가압하는 수단에 의한 것이므로 섬유 원단에서 세정수의 제거는 용이하여 수세의 효과는 있으나, 섬유 원단의 인장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역시 가이드롤러와 보조로울러 사이에서 이동할 때 많은 장력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동 발명인이 선발명한 한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6-0004905호 "섬유 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장치"(공고일자 : 1996.04.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에 다수의 수조를 형성시켜 배출공이 형성된 회전원통을 설치하여 일정한 높이만큼의 세정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여 섬유 원단을 세정수에 의해 수세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수조 내에 지지로울러를 설치하여 양측면이 개구된 상기 회전원통을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원통의 상부에는 가동로울러가 상기 회전원통의 외주면에 압압되도록 하여 상기 가동로울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회전원통의 회전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원통의 내면에 설치된 이송판이 상기 회전원통 내에 정체하면서 위치한 섬유 원단을 이송시켜서 최상부에 위치하면 섬유 원단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상기 세정수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수세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의 경우에는 섬유 원단이 지지로울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원통 내부를 통과하는 중에 충격에 의해 수세되는 것이지만, 수조내에서 회전되는 회전원통을 복수개 배치시켜야 수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챔버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기존 섬유 원단의 수세장치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34697호 "섬유 원단의 정련 및 수세장치"(공개일자 : 1999.09.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련기 및 수세기내에 상하로 여러개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 사이의 중간쯤에 회동봉을 가진 회동체를 수중에 담기도록 설치하여 로울러를 타고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원단을 흔들어 주도록 하여 정련 및 수세의 효과를 높여주고, 따라서 한 대의 정련기 및 수세기의 설치로 여러대를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지만, 회동체의 회동봉에 접촉되는 부위에만 수세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그 효과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6-0004905호 "섬유 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장치"(공고일자 : 1996.04.17)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34697호 "섬유 원단의 정련 및 수세장치"(공개일자 : 1999.09.0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챔버 내에서 좌,우로 스윙 동작되는 이송대를 이용하여 섬유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수조의 수세수를 퍼올려서 섬유 원단측에 공급하여 섬유 원단의 수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세수가 충전되는 수조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상기 수조의 내부로 수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가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고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외측에서 이송대 내부로 투입된 섬유 원단이 이송대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섬유 원단이 투입되는 선단측의 높이가 후단측의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되어 상기 선단측에서 상기 후단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좌측과 우측 부위가 번갈아 상기 수조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 이송대를 통과하는 섬유 원단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대를 좌,우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키는 스윙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대는 섬유 원단의 낙하를 가이드하도록 이송대의 선단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섬유 원단이 안착되며 안착된 섬유 원단이 상기 이송대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을 향해 하향 경사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측판 및 이송대의 회전동작시 상기 수조내의 수세수를 퍼담을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스켓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스켓부는 상기 측판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측판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경사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이송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대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링크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크랭크판에 힌지 연결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가 크랭크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크랭크판과,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크랭크 연동판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연결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연동판,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연결바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연결바는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바는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챔버는 상부 일측에 섬유 원단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투입가이드부가 더 마련되고, 상부 타측에 섬유 원단을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가이드부가 더 마련된다.
상기 이송대는 하부에 마련된 연결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60~120˚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챔버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열매체가 이송되는 제1가열관과, 상기 수조 내에 충전된 수세수를 가열하도록 열매체가 이송되는 제2가열관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은 양단부가 상기 챔버의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송대는 상기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송대의 스윙 회전시 상기 섬유 원단을 상기 바닥면의 상측으로 튕겨주기 위한 삼각형 돌부와,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섬유 원단을 내측 중심방향으로 튕겨주기 위한 측면 돌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챔버 내에 마련된 수조의 상측에서 이송대가 좌,우 양측방향으로 일정 회전각도 범위내에서 스윙동작되어 수조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서 이송대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섬유 원단측에 공급함으로써, 섬유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중에 좌,우 양측 방향에서 수조 내의 수세수를 섬유 원단측에 제공하여 섬유 원단을 수세할 수 있게 되어 섬유 원단의 이송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연속적인 수세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우측으로 스윙운동되는 이송대를 이용하여 수조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 섬유 원단측에 제공하여 헹굼기능을 부여하여 수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의 바닥면에 삼각형 돌부가 형성되고 측판의 내측에 측면 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섬유 원단의 미끄럼 이송중에 부딪히는 섬유 원단을 비벼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수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측판에 내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판과 경사면이 섬유 원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바스켓부 내의 수세수를 섬유 원단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용 수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이송대와 회전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대가 좌측으로 스윙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대가 우측으로 스윙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이송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이송대의 회전시 수조 내의 수세수를 퍼올리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회전수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수조 내에 수세용 화학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믹싱탱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챔버가 복수개로 배열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섬유 원단의 수세공정에서 수조 내에서의 스윙운동으로 세탁기 원리가 적용되어 원단의 수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에 수세수가 충전되는 수조(110)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상기 수조(110)의 내부로 수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20)가 마련된 챔버(100)와; 상기 수세수가 충전된 챔버(100) 내외에 마련되는 베이스프레임(200)과; 상기 챔버(100) 내에 배치되고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챔버(100)의 외측에서 이송대(300) 내부로 투입된 섬유 원단(C)이 이송대(300)의 선단(300a)측에서 후단(300b)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섬유 원단(C)이 투입되는 선단(300a)측의 높이(H1)가 후단(300b)측의 높이(H2)보다 더 높게 배치되어 상기 선단(300a)측에서 상기 후단(300b)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이송대(300)와; 상기 이송대(300)의 좌측과 우측 부위가 번갈아 상기 수조(110)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 이송대(300)를 통과하는 섬유 원단(C)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대(300)를 좌,우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키는 스윙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챔버(100)는 섬유 원단(C)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투입가이드부(150)가 상부 일측에 더 마련된다.
상기 챔버(100)는 상부 일측에서 내부로 투입된 섬유 원단(C)이 이송대(300)를 통해 타측으로 진행된 후에, 상기 섬유 원단(C)을 챔버(100) 상부 타측에서 외측으로의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가이드부(160)가 더 마련된다.
상기 투입가이드부(150)는 투입가이드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이드부(160)는 섬유 원단(C)의 이송 방향 전환을 위해 도르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챔버(100)는 수조(110) 내에 수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20)가 구비되고, 수조(110)의 상측에는 수세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130)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조(110)에는 수세수가 일정수위 높이로 충전되도록 수세수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수위레벨센서(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조(110)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 하측에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동작하기 전의 이송대(3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송대(300)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에 이송대(300)의 선단(300a)이 위치하고, 내부 타측에 후단(300b)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대(300)는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수단(500)에 의해 연결축(510)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스윙운동되도록 축결합된다.
상기 이송대(300)는 상기 투입가이드부(150)를 통해 섬유 원단(C)이 공급되는 이성대(300) 선단(300a)의 높이(H1)가 후단(300b)의 높이(H2)보다 더 높게 배치되며, 상기 선단(300a)측에서 상기 후단(300b)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H1>H2)
이에 따라, 상기 이송대(300)의 선단(300a)측 바닥면(320)에 안착된 섬유 원단(C)은 상기 이송대(300)의 스윙회전시 후단(300b)측으로 미끄럼 이송된다.
본 발명은 챔버(100)의 내부공기 및 수조의 수세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챔버(100)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열매체가 이송되는 제1가열관(410)과, 상기 수조(110) 내에 충전된 수세수를 가열하도록 열매체가 이송되는 제2가열관(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열관(410)은 외부로부터 열매체가 이송됨에 따라 챔버(100)의 내부에서 공기층과 열교환을 통해 챔버(1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제2가열관(420)은 외부로부터 열매체가 이송됨에 따라 수조(110)의 수세수를 가열시킨다.
상기 열매체는 스팀을 채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대(300)는 이송대(300)의 선단(300a)측에 마련되고 섬유 원단(C)의 낙하를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판(310)과, 상기 섬유 원단(C)이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상기 섬유 원단(C)이 상기 이송대(300)의 선단(300a)측에서 후단(300b)측을 향해 하향경사 이송되도록 이송을 가이드하는 바닥면(320), 및 상기 바닥면(320)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332)을 갖는 측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면(332)을 갖는 측판(330)은 섬유 원단(C)의 이송시 이송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함과 아울러, 수조(110)로부터 퍼올려져 바스켓부(345) 내에 담겨진 수세수를 섬유 원단(C)측으로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송대(300)의 바닥면(320)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송대(300)의 스윙 회전시 상기 섬유 원단(C)을 상기 바닥면(320)의 상측으로 튕겨주기 위한 삼각형 돌부(32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삼각형 돌부(325)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섬유 원단(C)의 이송시 상부와 상기 섬유 원단(C)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서 과다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함과 아울러, 섬유 원단(C)이 이송대(300)의 바닥면(320)에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섬유 원단(C)을 상측으로 튕겨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송대(300)는 이송대(300)의 회전동작시 상기 좌,우 양측에 상기 수조(110)내의 수세수를 퍼담을 수 있도록 이송대(300)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스켓부(34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바스켓부(345)는 상기 이송대(300)의 좌,우 측판(330)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바닥면(320)으로부터 측판(330)을 향해 상향 경사진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경사돌부(34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대(300)는 하부에 마련된 연결축(510)을 기준으로 좌,우로 60˚~120°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이송대(300)가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각각 30˚~60˚의 회전 각도일 경우 이송대(300)의 회전각도(θ)가 60˚~120˚의 회전범위를 가지게 되지만, 상기 이송대(300)의 회전시 좌,우측 단부가 수조(110)의 수면 수위보다 더 하측으로 회전해야 수조(110)내의 수세수를 섬유 원단(C)측에 끼얹을 수 있으므로, 이송대(300)의 회전각도(θ)가 60˚미만일 경우에는 섬유 원단(C)측에 충분한 양의 수세수를 공급할 수 없게 되어 수세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이송대(300)의 회전각도가 1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송대(300)의 좌,우측 단부가 수조(110)의 수면보다 너무 하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이송대(300)의 회전동작시 과도한 수세수가 담겨지게 되어 회전수단(500)측에 너무 과중한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이송대(300)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대(300)의 선단(300a)과 후단(300b)을 연결하는 연결축(510)과, 상기 연결축(5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520)와,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링크(52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크랭크판(540)에 힌지 연결되는 제1연결바(53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 탑재되며 상기 제1연결바(530)와 힌지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크랭크 회전되고 구동모터(54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크랭크판(540)과,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판(54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크랭크 연동판(560)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회전축(550)과, 상기 회전축(55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연결바(57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연동판(560),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연결바(57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축(51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5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550)에는 상기 구동모터(545)의 회전력 전달을 위해 상기 구동모터(545)의 구동기어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거나,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구동모터(545)의 회전력이 구동모터(545)의 구동기어와 기어이 치합되거나 체인등의 동력전달부재가 크랭크판(540)을 회전시켜 제1연결바(530)를 통해 제1연결링크(520)측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제1연결링크(520)의 회전력은 상기 이송대(300)의 선단(300a) 부위를 좌,우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판(540)의 회전력은 상기 회전축(550)을 통해 크랭크 연동판(560)에 전달된다.
상기 크랭크 연동판(560)의 회전력은 제2연결바(570) 및 제2연결링크(580)를 통해 상기 이송대(300)의 후단(300b)부위를 좌,우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연결바(530)는 "-"자 형태를 갖는 반면에, 상기 제2연결바(570)는 상기 이송대(300)의 스윙 회전시 상기 이송대(300)의 후단(300b)과 연결되고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챔버(100)가 섬유 원단(C)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섬유공정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섬유 원단(C)은 챔버(100)의 외측에서 투입가이드부(150)를 통해 챔버(100) 내로 공급되어 이송대(300)의 가이드판(310)으로 낙하된다.
상기 구동모터(545)의 회전 구동시 구동모터(545)의 회전력이 크랭크판(540)을 회전시키고, 크랭크판(540)의 회전력은 제1연결링크(520)와 제1연결바(530)를 통해 연결축(510)의 선단(300a)측에 전달되어 이송대(300)의 선단(300a) 부위측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크랭크판(540)의 회전시 회전축(550)을 매개로 크랭크 연동판(560)을 연동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크랭크 연동판(560)의 회전 구동력은 제2연결링크(580)와 제2연결바(570)를 통해 연결축(510)의 후단(300b)측과 이송대(300)의 후단(300b) 부위측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이송대(300)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축(510)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바닥면(320)이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지만, 상기 회전수단(500)의 구동에 따른 연결축(510)의 회전 구동시에는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함과 아울러 도 7에서와 같이, 이송대(300)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송대(300)는 이송대(300) 선단(300a)측의 바닥면(320) 높이(H1)가 후단(300b)측의 바닥면(320) 높이(H2)보다 더 높게 배치되어 바닥면(320)이 선단(300a)측 부위로부터 후단(300b)측 부위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이송대(300)의 스윙 회전시 섬유 원단(C)이 이송대(300)의 후단(300b)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대(300)의 좌,우측에는 경사돌부(340)를 구비한 바스켓부(34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송대(300)의 좌,우측 스윙동작시 바스켓부(345) 내에 수세수를 담아서 섬유 원단(C)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송대(300)의 스윙 회전시 수조(110)의 수면 아래로 내려간 부위의 바스켓부(345)에 수세수를 퍼올리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채워졌던 바스켓부(345)내의 수세수가 섬유 원단(C)측에 끼얹어지도록 공급되어 헹굼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윙운동되는 이송대(300)는 좌,우측 단부가 번갈아 회전되므로, 좌,우측 단부가 수조(110)의 수면 수위보다 더 하측으로 회전되는 중에 수조(110)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서 이송대(300)의 바닥면(320) 상측에서 이송되는 섬유 원단측에 공급하여 세탁기의 헹굼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가이드부(150)를 통해 상기 챔버(100) 내부로 공급된 섬유 원단은 이송대(300)의 선단(일측)에서 후단(타측)을 향해 미끄럼 이송된 후에 챔버(100) 상측의 배출가이드부(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챔버(100) 내에 마련된 수조(110)의 상측에서 이송대(300)가 좌,우 양측방향으로 일정 회전각도 범위내에서 스윙동작되어 수조(110)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서 이송대(30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섬유 원단(C)측에 공급함으로써, 섬유 원단(C)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중에 좌,우 양측 방향에서 수조(110) 내의 수세수를 섬유 원단(C)측에 제공하여 섬유 원단(C)을 수세할 수 있게 되어 섬유 원단(C)의 이송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연속적인 수세 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좌,우측으로 스윙운동되는 이송대(300)를 이용하여 수조(110)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 섬유 원단(C)측에 제공함으로써, 수세동작시 헹굼기능을 부여하여 수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300)의 바닥면(320)에 삼각형 돌부(325)가 형성되고 측판(330)의 내측에 측면 돌부(3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섬유 원단의 미끄럼 이송중에 부딪히는 섬유 원단을 마찰로 비벼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수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측판(330)에 내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3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판(332)과 경사면(332)이 섬유 원단(C)의 이탈을 방지하고, 바스켓부(345) 내의 수세수를 섬유 원단(C)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 회전수단(500)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베이스프레임(200)이 생략되고, 회전수단이 챔버(100)의 상측에 장착된 것이다.
상기 챔버(100)의 상측에 마련된 회전수단은 이송대(300)의 상측에 연결축(510)이 축결합되고, 상기 연결축(5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520)가 제1연결바(530)의 일단부에 링크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바(530)의 타단부가 챔버(100)의 상부 외측으로 배치되어 챔버(100)의 상측에 마련된 크랭크판(540)에 힌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수단(500)의 나머지 구성인 크랭크 연동판(560), 회전축(550), 제2연결바(570), 및 제2연결링크(580)는 도 8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배치위치가 챔버(100)의 상측 위치에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회전수단이 베이스프레임(200)이 아닌 챔버(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회전수단(500)의 배치 위치가 본 발명의 중요한 요지에 해당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수조(110) 내에 수세용 화학약품이 투입되고 믹싱되는 믹싱탱크(18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믹싱탱크(180)는 챔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송펌프에 의해 믹싱탱크 내의 수세용 화학약품을 수조(110) 내로 공급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 이송대(300)가 내부에 구비된 챔버(100)가 복수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수세장치가 단품 또는 복수개가 같이 배열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챔버(100)는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되거나, 각각의 섬유 공정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챔버 110 : 수조
120 : 급수구 130 : 오버플로우관
150 : 투입가이드부 160 : 배출가이드부
170 : 수위레벨센서 180 : 믹싱탱크
200 : 베이스프레임 300 : 이송대
300a : 선단 300b : 후단
310 : 가이드판 320 : 바닥면
325 : 삼각형 돌부 330 : 측판
332 : 경사면 335 : 측면 돌부
340 : 경사돌부 345 : 바스켓부
410 : 제1가열관 420 : 제2가열관
500 : 회전수단 510 : 연결축
520 : 제1연결링크 530 : 제1연결바
540 : 크랭크판 545 : 구동모터
550 : 회전축 560 : 크랭크 연동판
570 : 제2연결바 580 : 제2연결링크
C : 섬유 원단

Claims (8)

  1. 내부에 수세수가 충전되는 수조(110)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상기 수조(110)의 내부로 수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20)가 마련된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 내에 배치되고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챔버(100)의 외측에서 이송대(300) 내부로 투입된 섬유 원단(C)이 이송대(300)의 선단(300a)측에서 후단(300b)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섬유 원단(C)이 투입되는 선단(300a)측의 높이(H1)가 후단(300b)측의 높이(H2)보다 더 높게 배치되어 상기 선단(300a)측에서 상기 후단(300b)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이송대(300)와;
    상기 이송대(300)의 좌측과 우측 부위가 번갈아 상기 수조(110) 내의 수세수를 퍼올려 이송대(300)를 통과하는 섬유 원단(C)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대(300)를 좌,우 방향으로 스윙 회전시키는 스윙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수단(500);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대(300)는 섬유 원단(C)의 낙하를 가이드하도록 이송대(300)의 선단(300a)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판(310)과, 상기 섬유 원단(C)이 안착되며 안착된 섬유 원단(C)이 상기 이송대(300)의 선단(300a)측에서 후단(300b)측을 향해 하향 경사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바닥면(320)과, 상기 바닥면(320)의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332)을 갖는 측판(330) 및 이송대(300)의 회전동작시 상기 수조(110)내의 수세수를 퍼담을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스켓부(345)로 구성되고,
    상기 바스켓부(345)는 상기 측판(330)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바닥면(320)으로부터 측판(330)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경사돌부(3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이송대(300)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대(300)의 선단(300a)과 후단(300b)을 연결하는 연결축(510)과,
    상기 연결축(5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520)와,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링크(52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크랭크판(540)에 힌지 연결되는 제1연결바(530)와,
    상기 제1연결바(530)가 크랭크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고 구동모터(54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크랭크판(540)과,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판(54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크랭크 연동판(560)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회전축(550)과,
    상기 회전축(55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연결바(57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연동판(560),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연결바(57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축(51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5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530)는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바(570)는 "ㄴ"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상부 일측에 섬유 원단(C)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투입가이드부(150)가 더 마련되고, 상부 타측에 섬유 원단(C)을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가이드부(160)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300)는 하부에 마련된 연결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60~120˚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챔버(100)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열매체가 이송되는 제1가열관(410)과,
    상기 수조(110) 내에 충전된 수세수를 가열하도록 열매체가 이송되는 제2가열관(42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510)은 양단부가 상기 챔버(100)의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300)는 상기 바닥면(320)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송대(300)의 스윙 회전시 상기 섬유 원단(C)을 상기 바닥면(320)의 상측으로 튕겨주기 위한 삼각형 돌부(325)와,
    상기 측판(33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섬유 원단(C)을 내측 중심방향으로 튕겨주기 위한 측면 돌부(3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KR1020190095192A 2019-08-05 2019-08-05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KR102071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92A KR102071295B1 (ko) 2019-08-05 2019-08-05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CN202010443253.1A CN112323307A (zh) 2019-08-05 2020-05-22 纤维布料用水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92A KR102071295B1 (ko) 2019-08-05 2019-08-05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295B1 true KR102071295B1 (ko) 2020-01-30

Family

ID=6932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92A KR102071295B1 (ko) 2019-08-05 2019-08-05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1295B1 (ko)
CN (1) CN112323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536A (zh) * 2022-02-17 2022-05-10 徐州新畅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面料清洗具有甩动机构的输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801A (ko) * 1993-12-18 1995-07-22 김원묵 섬유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34697A (ko) 1997-10-30 1999-05-15 전원중 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
KR102006197B1 (ko) * 2019-02-21 2019-08-0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 원단용 텀블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6309A (zh) * 2006-03-17 2009-01-28 三菱电机株式会社 洗涤机
CN205134003U (zh) * 2015-09-29 2016-04-06 嘉善威尔尼绒业有限公司 烧毛机
US20190112750A1 (en) * 2017-10-16 2019-04-18 Useong R&D Co., Ltd. Water supply control device for washing machine
CN109576930B (zh) * 2018-12-04 2021-04-20 常州唯乐印染有限公司 一种用于布料印染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801A (ko) * 1993-12-18 1995-07-22 김원묵 섬유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방법 및 그 장치
KR960004905B1 (ko) 1993-12-18 1996-04-17 일성기계공업주식회사 섬유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장치
KR19990034697A (ko) 1997-10-30 1999-05-15 전원중 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
KR102006197B1 (ko) * 2019-02-21 2019-08-0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 원단용 텀블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536A (zh) * 2022-02-17 2022-05-10 徐州新畅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面料清洗具有甩动机构的输送装置
CN114457536B (zh) * 2022-02-17 2023-09-08 徐州新畅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面料清洗具有甩动机构的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23307A (zh)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661Y1 (ko) 구조가 개선된 컨베이어 구동 직물 염색기
KR102071295B1 (ko) 섬유 원단용 수세장치
WO2018103222A1 (zh) 一种布料处理设备
CN108315929A (zh) 一种针织物缩码除油平整水洗机
KR20160111746A (ko) 탄피 세척장치
EP3987104A1 (en) Washing machine dynamic parts in the drum
EP12606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t treatment of rope fabric
US1185766A (en) Washing-machine.
CN114263004A (zh) 一种少水染整设备及其生产工艺
JP6007372B2 (ja) チューブポンプの液体移送方法及び液体を移送する装置
JP2012062582A (ja) 抄紙装置、製紙装置、抄紙方法及びチューブポンプの移送方法
CN215893170U (zh) 一种高效烘燥机
CN207100381U (zh) 一种大豆浸泡系统中的沥水输料装置
WO2020256652A1 (en) Washing machine mechanical balance system
JP3240353U (ja) 洗濯機
US3949579A (en) Apparatus for fabric processing
JP2630901B2 (ja) 織布の自動浸漬処理装置
CN218232805U (zh) 纺织水洗机的移动台机构
CN2813671Y (zh) 圆筒形针织布漂白处理专用蒸箱
KR960004905B1 (ko) 섬유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장치
CN216838545U (zh) 一种浆纱机的上浆烘干一体化装置
CN212505403U (zh) 自动挂炼排布系统
EP4079954A1 (en) Saturated extreme low liquor ratio conveyor-driving atmospheric fabric dyeing machine
US498889A (en) Wool-washing machine
CN116084029A (zh) 一种蚕丝精炼机及其精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