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947B1 -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947B1
KR102070947B1 KR1020170112616A KR20170112616A KR102070947B1 KR 102070947 B1 KR102070947 B1 KR 102070947B1 KR 1020170112616 A KR1020170112616 A KR 1020170112616A KR 20170112616 A KR20170112616 A KR 20170112616A KR 102070947 B1 KR102070947 B1 KR 10207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
building
switching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193A (ko
Inventor
신용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9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08Selecting arrangements using relay selectors in the switch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0Systems for transmission between fixed stations via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통신망에 이용될 수 있는 스위칭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통신 시스템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에 연결된 제 1 전송 라인과 전원이 공급될 때에 이동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제 2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가 연결될 수 있는 제 3 전송 라인과 제 1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스위칭 장치와, 무선기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지 않는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3 전송 라인으로 분배하고, 소방 안전망으로 이용되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신호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연결되는 제 4 전송 라인으로 분배하는 대역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SWITCH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통신망에 이용될 수 있는 스위칭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지하공간은 건물 외부와의 무선통신에 있어서 음영지역이 될 우려가 높으며,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의 발생 시에 음영지역에 따른 무선통신의 두절은 인명 및 재산 상의 피해를 키울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외부와 건물 내부, 특히 지하공간 사이의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설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소방관계 법령에는 일정 규모 이상을 가지는 건물에 대해서는 지하공간과 건물 외부의 무선통신을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무선통신 보조설비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기도 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건물 내부의 지하공간에 안테나 역할을 하는 누설케이블을 포설하고, 무선통신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를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하였다. 예를 들어, 화재 시에 소방지휘관은 외부 접속단자에 무전기를 연결하고 소방관들은 무전기를 휴대한 상태로 지하에 진입하면 소방지휘관과 소방관들이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통해 상호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지하공간이 있는 건물에는 이동통신망에 대해 지하공간이 음영지역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통신 보조설비와는 별도로 이동통신 중계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설비는 건물 내부의 지하공간에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설치하고,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이동통신 중계기를 설치하며, 이동통신용 안테나와 이동통신 중계기를 동축케이블로 연결하였다.
아울러, 통상적으로 하나의 건물에 무선통신 보조설비와 이동통신 중계설비를 각각 설치하며, 무선통신 보조설비와 이동통신 중계설비는 각각 별도로 운용된다.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으로 PS-LET(Public Safety LTE) 규격을 결정하였으며, 2016년 3월에는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 PS-LET 규격이 재난통신망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따라서, 건물의 내부에는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 및 소방 안전망을 위한 주파수 대역이 모두 서비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건물의 내부공간이 재난통신망에 대해 음영지역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0107호, 공개일자 2016년 10월 17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를 재난통신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에 연결된 제 1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접점단자와, 전원이 공급될 때에 이동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제 2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접점단자와, 상기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가 연결될 수 있는 제 3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접점단자와, 상기 제 1 접점단자와 상기 제 2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상기 제 1 접점단자와 상기 제 3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에 연결된 제 1 전송 라인과 전원이 공급될 때에 이동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제 2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상기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가 연결될 수 있는 제 3 전송 라인과 상기 제 1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스위칭 장치와, 상기 무선기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이동통신망 중 상기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지 않는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3 전송 라인으로 분배하고, 소방 안전망으로 이용되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신호는 상기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연결되는 제 4 전송 라인으로 분배하는 대역 분배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를 재난통신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내부공간이 재난통신망에 대해 음영지역이 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스위칭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평시 상황에서는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가 상용 이동통신망으로 주로 이용되고, 스위칭 장치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는 재난 상황에서는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가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가 통해 재난통신망 및 상용 이동통신망 겸용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이처럼, 평시에는 이동통신 중계설비가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에 연결되지 않도록 하면, 무선기기 접속단자에 연결된 상태일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통신품질의 손실이 평시 상황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 내부에 구축된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건물 내부의 통신망 구축에 이용되는 스위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건물 내부에 구축된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 내부에 구축된 통신망의 구성도이며, 도 2는 건물 내부의 통신망 구축에 이용되는 스위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물(10) 내부의 통신망은 스위칭 장치(110)와 대역 분배 장치(210)가 전송 선로(310)에 의해 연결되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한다.
스위칭 장치(110)는 건물(10)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에 연결된 제 1 전송 라인과 전원이 공급될 때에 이동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제 2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건물(10)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220)가 연결될 수 있는 제 3 전송 라인과 상기 제 1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진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110)는 전원이 공급되면 건물(10)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이동통신용 안테나(170)와 건물(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기(12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고,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건물(10)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220)와 이동통신용 안테나(170)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로 천이한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11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가 연결되는 상기 제 1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접점단자(111), 이동통신 중계기(120)가 연결되는 상기 제 2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접점단자(112), 건물(10)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220)가 대역 분배 장치(210)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제 3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접점단자(113), 그리고 스위칭 소자(114)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114)는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접점단자(111)와 제 2 접점단자(112)를 연결하여, 이동통신용 안테나(170)와 이동통신 중계기(12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스위칭 소자(114)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제 1 접점단자(111)와 제 3 접점단자(113)를 연결하여, 무선기기 접속단자(220)와 이동통신용 안테나(170)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로 천이한다.
스위칭 장치(110)의 제 2 접점단자(112)에 연결된 이동통신 중계기(120)는 건물(10)의 외부에 설치된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1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중계기(120)는 스위칭 장치(110)의 스위칭 소자(114)와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건물(10)의 내부에 구축된 이동통신 중계설비는 분배기(140), 전송 선로(150), 커플러(160) 및 이동통신용 안테나(170)를 포함한다. 분배기(140)는 스위칭 장치(110)의 제 1 접점단자(111)에 연결되고, 전송 선로(150)는 분배기(140)에 의해 여러 경로로 분기되며, 커플러(160)에 의해 전송 선로(150)의 길이가 연장된다. 전송 선로(150)의 종단과 커플러(160)에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기(140)는 1 : 2의 분배 관계를 갖도록 단자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1 : 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과 같이 다양한 분배 관계를 갖도록 단자들이 형성된 분배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용 안테나(170)는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신호 및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지 않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제 1형 단말 장치(30)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제 2형 단말 장치(4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스위칭 장치(110)의 제 3 접점단자(113)에 연결된 대역 분배 장치(210)는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지 않는 제 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3 전송 라인으로 분배하고, 소방 안전망으로 이용되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신호는 건물(10)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연결되는 제 4 전송 라인으로 분배한다. 아울러, 대역 분배 장치(210)는 상기 제 3 전송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4 전송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 3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결합하여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로 출력한다.
건물(10)의 내부에 구축된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분배기(230), 누설케이블(240) 및 종단저항(250)를 포함한다. 누설케이블(240)은 분배기(230)에 의해 여려 경로로 분기된다. 예를 들어, 분배기(230)는 1 : 2의 분배 관계를 갖도록 단자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1 : 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과 같이 다양한 분배 관계를 갖도록 단자들이 형성된 분배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누설케이블(240)은 소방 안전망으로 이용되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3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무전기(20)는 누설케이블(240)을 통해 소방 안전망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10)의 내부에 통신망이 구축된 상태에서, 평시 상황에서는 스위칭 장치(110)에 전원이 공급되며, 스위칭 장치(110)의 스위칭 소자(114)는 제 1 접점단자(111)와 제 2 접점단자(112)를 연결하여 이동통신용 안테나(170)와 이동통신 중계기(12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110)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건물(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형 단말 장치(3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이동통신 중계기(120) 및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130)를 통해 재난통신망용 기지국(50)에 접속한다. 그리고, 건물(10) 내부에 위치하는 제 2형 단말 장치(4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이동통신 중계기(120) 및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130)를 통해 상용 이동통신망 기지국(60)에 접속한다.
한편,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의 발생 시에 정전이 발생하거나 스위칭 장치(110) 및 이동통신 중계기(120)에 공급되던 전원이 고의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스위칭 상태에 놓여 있던 스위칭 장치(110)의 스위칭 소자(114)는 제 1 접점단자(111)와 제 3 접점단자(113)를 연결하여 무선기기 접속단자(220)와 이동통신용 안테나(170)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로 천이한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110)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건물(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형 단말 장치(3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전송 선로(310), 대역 분배 장치(210)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재난통신망용 기지국(50)에 접속한다. 그리고, 건물(10) 내부에 위치하는 제 2형 단말 장치(4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전송 선로(310), 대역 분배 장치(210)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상용 이동통신망 기지국(60)에 접속한다.
또한,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전기(20)는 누설케이블(240), 분배기(230), 대역 분배 장치(210)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건물(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무전기(20)와 교신을 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무선기기 접속단자(220)에는 다중 신호 결합/증폭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신호 결합/증폭 장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지 않는 제 2 주파수 대역 및 소방 안전망으로 이용되는 제 3 주파수 대역을 결합하여 송출하고, 재난통신망용 기지국(50)으로부터 송출되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용 이동통신망 기지국(60)으로부터 송출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은 신호 증폭하여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대역 분배 장치(2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건물 내부에 구축된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도 3은 스위칭 장치(120)와 대역 분배 장치(210)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이동통신 인빌딩 시스템에 확장항 적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 장치(110)는 건물(10)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에 연결된 제 1 전송 라인과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될 때에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는 통신 장치를 상대로 하여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인빌딩 장치(180)에 접속될 수 있는 제 2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건물(10)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220)가 연결될 수 있는 제 3 전송 라인과 상기 제 1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진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110)는 전원이 공급되면 건물(10)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이동통신용 안테나(170)와 이동통신 인빌딩 장치(18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고,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건물(10)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220)와 이동통신용 안테나(170)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로 천이한다.
스위칭 장치(110)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건물(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형 단말 장치(3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이동통신 중계기(120) 및 이동통신 인빌딩 장치(180)를 통해 재난통신망용 기지국(50)에 접속한다. 그리고, 건물(10) 내부에 위치하는 제 2형 단말 장치(4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이동통신 중계기(120) 및 이동통신 인빌딩 장치(180)를 통해 상용 이동통신망 기지국(60)에 접속한다.
스위칭 장치(110)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건물(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형 단말 장치(3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분배기(320, 330), 전송 선로(310), 대역 분배 장치(210)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재난통신망용 기지국(50)에 접속한다. 그리고, 건물(10) 내부에 위치하는 제 2형 단말 장치(40)는 이동통신용 안테나(170), 커플러(160), 전송 선로(150), 분배기(140), 스위칭 장치(110), 분배기(320, 330), 전송 선로(310), 대역 분배 장치(210)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상용 이동통신망 기지국(60)에 접속한다.
또한,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전기(20)는 누설케이블(240), 분배기(230), 대역 분배 장치(210)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220)를 통해 건물(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무전기(20)와 교신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를 재난통신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내부공간이 재난통신망에 대해 음영지역이 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대역 분배 장치(2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역 분배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스위칭 장치(110)를 추가로 구비된 대역 분배 장치로 대체하는 실시예를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건물(10)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가 항상 대역 분배 장치(210)를 통해 무선기기 접속단자(220)에 연결된 상태에 놓인다. 이 경우에는 제 1형 단말 장치(30) 및 제 2형 단말 장치(40)가 이동통신 중계기(120) 및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13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무선기기 접속단자(220)에 연결된 상태에 따른 통화품질의 손실이 발생한다. 하지만, 스위칭 장치(110)가 채용하는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 장치(110)에 전원이 공급되는 평시 상황에서는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가 이동통신 중계기(120) 및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130)를 통해 상용 이동통신망으로 주로 이용되고, 스위칭 장치(11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는 재난 상황에서는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가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를 통해 재난통신망 및 상용 이동통신망 겸용으로 이용된다. 이처럼, 평시에는 이동통신 중계설비가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에 연결되지 않도록 하면, 무선기기 접속단자에 연결된 상태일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통신품질의 손실이 평시 상황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를 재난통신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내부공간이 재난통신망에 대해 음영지역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공간을 재난통신망 서비스 영역으로 구축하는 기술분야에 적용 및 이용할 수 있다.
100 : 스위칭 장치 111 : 제 1 접점단자
112 : 제 2 접점단자 113 : 제 3 접점단바
114 : 스위칭 소자 120 : 이동통신 중계기
210 : 대역 분배 장치 220 : 무선기기 접속단자

Claims (6)

  1.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에 연결된 제 1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접점단자와,
    전원이 공급될 때에 이동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가 연결된 제 2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접점단자와,
    상기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가 연결될 수 있는 제 3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접점단자와,
    상기 제 1 접점단자와 상기 제 2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상기 제 1 접점단자와 상기 제 3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로 천이하며,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와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원을 공유하는
    스위칭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일 때에, 상기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는 통신 장치를 상대로 하여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인빌딩 장치 또는 상기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제 1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스위칭 장치.
  4.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설비에 연결된 제 1 전송 라인과 전원이 공급될 때에 이동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가 연결된 제 2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상기 건물의 지상부에 설치된 무선기기 접속단자가 연결될 수 있는 제 3 전송 라인과 상기 제 1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스위칭 장치와,
    상기 무선기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이동통신망 중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이동통신망 중 상기 재난통신망으로 이용되지 않는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3 전송 라인으로 분배하고, 소방 안전망으로 이용되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신호는 상기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연결되는 제 4 전송 라인으로 분배하는 대역 분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제 1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접점단자와,
    상기 제 2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접점단자와,
    상기 제 3 전송 라인에 연결되는 제 3 접점단자와,
    상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접점단자와 상기 제 2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 1 접점단자와 상기 제 3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상기 제 2 스위칭 상태로 천이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와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원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상태일 때에, 상기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는 통신 장치를 상대로 하여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인빌딩 장치 또는 상기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제 1 전송 라인을 연결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70112616A 2017-09-04 2017-09-04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7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16A KR102070947B1 (ko) 2017-09-04 2017-09-04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16A KR102070947B1 (ko) 2017-09-04 2017-09-04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193A KR20190026193A (ko) 2019-03-13
KR102070947B1 true KR102070947B1 (ko) 2020-01-29

Family

ID=6576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616A KR102070947B1 (ko) 2017-09-04 2017-09-04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240B1 (ko) * 2020-12-29 2021-06-11 거진이앤씨(주) 소방 무선 중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239B1 (ko) * 2015-11-06 2017-04-17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재난망을 위한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13A (ko) * 2009-04-01 2010-10-11 제희석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KR102337690B1 (ko) 2015-04-07 2021-12-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239B1 (ko) * 2015-11-06 2017-04-17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재난망을 위한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193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7896B2 (ja) 中継システム
US7263293B2 (en) Indoor wireless voice and data distribution system
KR101031619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PT99789A (pt) Sistema de comunicacoes com base radio e unidades de antena de banda larga
US20160285552A1 (en) Remote device of optical relay system
KR102070947B1 (ko)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727239B1 (ko) 재난망을 위한 통신 시스템
CN103220686A (zh) 公用移动通信网络共建系统
US10044431B2 (en) System for coupling wireless repeater donor and server units over cable
JP4650942B2 (ja) 漏洩同軸ケーブル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337690B1 (ko) 이동통신 중계기
KR20000045268A (ko) 무선 중계기의 상태 감시장치
CN112152742A (zh) 广播系统、广播设备和广播数据传输方法
JP202012974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
KR101766254B1 (ko)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20140132920A (ko) 엘리베이터용 통신중계시스템
KR20120081466A (ko) 광대역 결합기를 이용한 인빌딩 서비스 방법과 그를 위한 인빌딩 시스템 및 광대역 결합기
US11451975B2 (en) Signal distribution system with integrated base transceiver station
KR20180024059A (ko) Trs/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디지털 광 중계시스템
KR100629141B1 (ko) 광 신호 연결 무선 주파수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1435U (ko) 전력 스플리터
KR100442132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터널용 광분산 시스템
KR20160087171A (ko) 무선설비 공용화를 위한 무선 통합 시스템
CN113315564A (zh) 一种双向可移动地空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