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254B1 -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254B1
KR101766254B1 KR1020150098210A KR20150098210A KR101766254B1 KR 101766254 B1 KR101766254 B1 KR 101766254B1 KR 1020150098210 A KR1020150098210 A KR 1020150098210A KR 20150098210 A KR20150098210 A KR 20150098210A KR 101766254 B1 KR101766254 B1 KR 10176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mall cell
band
mimo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873A (ko
Inventor
조형식
장대엽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더블유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더블유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에이더블유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5009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2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8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between a central unit and a single remote unit by means of an optical fib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006Devices for generating or processing an RF signal by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25Distortion or dispersion compensation
    • H04B2210/252Distortion or dispersion compensation after the transmission line, i.e. post-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스몰셀들과, 상기 모듈을 제어하는 스몰셀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스몰셀들 각각으로부터 RF신호를 전달받아 광신호로 변환시키는 메인허브유닛(MHU)을 포함하며, 상기 스몰셀 컨트롤러는 복수의 사업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업자들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스몰셀과 매칭시키도록 형성되는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각 사업자마다 별도의 기지국을 구축할 필요없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설비구축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MULTI-SMALL CELL MULTI-B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인빌딩(In-building) 멀티 스몰셀들(Multi-Small Cell)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Multi-Band DAS)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싱글 오퍼레이터 액티브 다스 시스템(Single-Operator Active DAS)을 사용하였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 시스템의 개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시스템에서 각 사업자는 별개의 기지국의 RRH(Remote Radio Head)를 통해 각각의 DAS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업자 1은 광케이블(fiber optic cable)을 통해 연결된 RRH로 시그널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 받는다. 사업자 1에 연동한 RRH는 RF 시그널을 MHU(Main Hub Unit) 송/수신하며 MHU는 RF 시그널을 광신호로 변환한 후 RAU(Radio Access Unit)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사업자 2나 사업자 3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개의 기지국의 RRH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스템 설비 구축을 위한 비용이 중복 투자되게 되어 투자효율성 저해요인이 된다.
또한, 각각의 RRH는 제한된 용량을 가지고 있어서 가입자 체감품질 향상을 위한 용량 증설용 RRH를 추가해야만 한다. 그러나 RRH를 증설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 통신업계에서는 스몰셀을 다중으로 설치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각 사업자마다 별도의 스몰셀을 연결해야 하는 등 설비 구축 비용의 중복 투자 및 자원의 낭비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341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빌딩(In-building) 멀티 스몰셀들(Multi-Small Cell)을 이용하여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Multi-Band DAS)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스몰셀들과, 상기 모듈을 제어하는 스몰셀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스몰셀들 각각으로부터 RF신호를 전달받아 광신호로 변환시키는 메인허브유닛(MHU)을 포함하며, 상기 스몰셀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업자들 각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몰셀과 매칭시키도록 형성되는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업자들과 상기 스몰셀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와, 상기 PDN GW와 연결되어 유저 플레인 데이터(User Plane Data)를 전송하는 Serving GW(Gateway)와, 상기 Serving GW와 스몰셀 컨트롤러 사이 컨트롤 플레인 시그날링(Control Plane Signaling)을 전송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MHU에 연결되는 건물에서 복수의 EPS(Electric Pipe Shaft)실을 포함하며, 각각의 EPS실은 상기 MHU로부터 분배받은 광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RAU(Radio Access Unit)와 PIM(Passive Inter-Modulation) 억제장치 및 상기 변환된 RF 신호 중 메인신호와 MIMO 신호를 구분하여 전송하는 MU(Main Uni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MU는 상기 메인신호와 MIMO 신호를 통합하여 단일선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RAU가 설치된 모든 EPS 실에 다중대역 신호합성시 발생하는 신호왜곡을 억제할 수 있는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는 적어도 세 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방향성 결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결합도(Coupling rate)와 방향도(Directivity)에 의한 신호 감쇄 차이를 이용하여 PIM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MU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SU(Service Unit)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SU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는 SU와 광대역 MIMO 안테나가 중첩된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사업자들이 하나의 스몰셀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하나의 멀티밴드 다스(Multi-Band DAS)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각 사업자마다 별도의 RRH 및 안테나를 구축할 필요없이 하나의 시스템 및 시설물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설비구축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의하면, 사업자들은 스몰셀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 되는 복수의 스몰셀들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동일비용 RRH에 비해 무선용량을 대폭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의하면, 스몰셀 컨트롤러에 의하여 인빌딩 동적 부하분산 기술을 구현하므로 건물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고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의하면, SU(Service Unit)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를 포함하여 설비 비용을 줄이고 건물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의하면, PIM 억제 장치 및 인빌딩 단일선로 MIMO 확장장치를 포함하여 복수의 사업자가 하나의 스몰셀 컨트롤러로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전파의 왜곡이 없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Single-Operator Active DAS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lti-Operator Active DAS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개념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몰셀의 동적 부하 분산 알고리즘을 나타낸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U(Service Unit)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빌딩 단일선로 MIMO 확장장치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PIM 억제 장치의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lti-Operator Active DAS (200)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Multi-Band DAS, 100)은 Multi-Operator Active DAS (2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Multi-Operator Active DAS (200)는 복수의 스몰셀들 및 스몰셀들을 제어하는 스몰셀 컨트롤러가 연동된 모듈을 포함한다.
스몰셀 결합 모듈은 인터넷 망, 복수의 사업자들 및 MHU(Main Hub Unit)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몰셀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사업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사업자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몰셀과 매칭시킨다. 스몰셀 컨트롤러는 트래픽 상황을 파악하여 한 사업자를 복수의 스몰셀들과 매칭시킬 수 있고, 통신(트래픽) 상황에 따라 한 사업자와 연결되는 스몰셀을 다른 스몰셀로 변경할 수 있다.
MHU는 스몰셀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RF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각각의 RAU(Radio Access Unit)로 전송한다. MHU는 복수의 스몰셀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들을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MHU가 복수의 스몰셀들과 연결되어 각 스몰셀들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을 분리하여 각 RAU로 전송한다.
각 RAU는 MHU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다시 RF 신호로 변환하여 각 SU 결합 안테나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100)은 연결모듈과, Multi-Operator Active DAS (200)와, 복수의 EPS(Electric Pipe Shaft) 실과, 각 EPS 실과 연결되는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모듈은 복수의 사업자들과 스몰셀 연동 모듈을 연결한다.
연결모듈은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와, PDN GW와 연결되어 유저 플레인 데이터(User Plane Data)를 전송하는 Serving GW(Gateway)와, Serving GW와 스몰셀 컨트롤러 사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DN GW는 LTE EPC(Evolved Packet Core) 시스템의 하나로 User Plane data와 Control Plane signaling을 외부 인터넷 망과 연동시키며, Serving GW는 LTE EPC 시스템의 하나로 User Plane data를 전송한다. 또한, MME는 LTE EPC 시스템의 하나로 Control Plane signaling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연결모듈은 PDN GW, Serving GW, MME 등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업자와 스몰셀 결합 모듈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매개할 수 있다.
복수의 EPS 실 각각은 RAU(Radio Access Unit) 및 MU(Main Unit)을 포함한다.
RAU는 MHU로부터 분배받은 광신호를 다시 RF 신호로 변환한다.
MU는 RAU에 의해 변환된 RF 신호를 메인신호와 MIMO 신호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MU는 사업자 통합 단일선로 MIMO 시스템의 하나로, 2G,3G,LTE의 메인신호는 바이패스(Bypass) 시키고 LTE의 MIMO 신호는 RF 에서 IF로 변환하여 SU로 전달하고, SU는 IF 에서 RF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EPS 실의 모든 RAU에는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600)는 다중대역 신호합성 시 발생하는 신호왜곡을 억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EPS 실과 안테나 사이에는 인빌딩 단일선로 MIMO 확장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인빌딩 단일선로 MIMO 확장 장치는 기존 사업자별 2중으로 LTE MIMO 선로를 구축하던 것을 단일 선로로 통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투자비용을 절감시킨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몰셀의 동적 부하 분산 알고리즘(30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 4a에서는 주간에 각 스몰셀에 걸리는 트래픽을 반영하여 스몰셀들을 분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b에서는 야간에 각 스몰셀에 걸리는 트래픽을 반영하여 스몰셀들을 재분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스몰셀 컨트롤러는 트래픽 상황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스몰셀의 분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스몰셀 컨트롤러는 특정 시각에서 스몰셀 트래픽 상황을 파악하여 동적 부하를 분산시킨다. 스몰셀 컨트롤러는 Active UE, PRB Usage, 일정시간 RRC Connection 회수량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스몰셀의 트래픽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인빌딩 동적 부하 분산 기술은 건물 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고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내 트래픽 발생량(동시 접속 단말기 수의 변화 등)에 따라 무선 자원을 동적 할당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U(Service Unit)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40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SU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400)는 광대역 MIMO 안테나(410)와 SU(420)가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MIMO 안테나(410)는 700MHz 내지 2600MHz 범위의 신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종래에는 통신사마다 별개의 SU와 광대역 MIMO 안테나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통신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많은 수의 SU와 안테나가 설치되어야 하였다. 이를 위해 많은 설비 투자비용이 들고 건물의 미관이 나빠지며 서비스 품질 안정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하지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본 발명의 SU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400)에 따르면 하나의 모듈만으로 하나 이상의 사업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빌딩 단일선로 MIMO 확장장치(500)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를 LTE(Main), WCDMA, CDMA 1X 등과 같은 다른 주파수 대역 또는 다른 통신 방식의 신호와 함께 단일 케이블을 사용하여 일정 거리 확장할 수 있는 MIMO 신호 확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업자별로 이중 선로를 확보하여야 했다. 즉, 각 사업자는 메인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선로 및 MIMO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선로를 따로 확보해야 했다. 예를 들어, 3개의 사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3개의 이중선로(총 6개 선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건물의 미관을 해치고 서비스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U(Main Unit)와 SU(Service Unit)가 단일선로로 연결되므로, 한 개의 선로를 통해 다중 사업자들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몰셀에 하나의 MIMO 신호 확장 장치가 연동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스몰셀에 복수의 MIMO 신호 확장 장치가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PIM 억제 장치(600)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Directional Coupler의 Directivity를 이용하여 Multi-Band PIM을 억제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Directional Coupler의 Directivity를 이용하여 Tx 신호의 PIM의 크기를 줄여 Rx 신호와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 여러 개의 선로를 통해 주고 받던 신호를 단일 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PIM 억제 장치(600)는 적어도 세 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방향성 결합기를 포함하며, 방향성 결합기는 RAU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PIM을 억제하여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RAU 수신부로 전달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업자들이 하나의 스몰셀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하나의 멀티밴드 다스(Multi-Band DAS)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각 사업자마다 별도의 RRH를 구축할 필요없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설비구축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업자들은 스몰셀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 되는 복수의 스몰셀들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동일비용 RRH에 비해 무선용량을 대폭 확장할 수 있으며, 스몰셀 컨트롤러에 의한 인빌딩 동적 부하분산 기술에 의해 건물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고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U(Service Unit)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를 포함하여 설비 비용을 줄이고 건물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100)은 PIM 억제 장치(600) 및 인빌딩 단일선로 MIMO 확장장치(500)를 포함하여 복수의 사업자가 하나의 스몰셀 컨트롤러로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전파의 왜곡이 없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200 : Multi-Operator Active DAS
300 : 멀티 스몰셀의 동적 부하 분산 알고리즘
400 : SU(Service Unit)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
500 : 인빌딩 단일선로 MIMO 확장장치
600 :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

Claims (7)

  1. 복수의 스몰셀들;
    상기 복수의 스몰셀들을 제어하는 스몰셀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스몰셀들 각각으로부터 RF신호를 전달받아 광신호로 변환시키는 메인허브유닛(MHU)을 포함하며,
    상기 스몰셀 컨트롤러는 복수의 사업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업자들 각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몰셀과 매칭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MHU에 연결되는 복수의 EPS(Electric Pipe Shaft)실을 포함하며, 각각의 EPS실은 상기 MHU로부터 분배받은 광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RAU(Radio Access Unit) 및 상기 변환된 RF 신호 중 메인신호와 MIMO 신호를 구분하여 전송하는 MU(Main Unit)을 포함하고,
    상기 MU는 상기 메인신호와 MIMO 신호를 통합하여 단일선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메인신호 중 2G, 3G 및 LTE 메인 신호의 경우 바이패스 시키고, LTE MIMO 신호의 경우 RF에서 IF로 변환하여 상기 MU부터 SU(Service Unit)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SU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는 상기 MU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업자들과 상기 스몰셀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와, 상기 PDN GW와 연결되어 유저 플레인 데이터(User Plane Data)를 전송하는 Serving GW(Gateway)와, 상기 Serving GW와 스몰셀 컨트롤러 사이 컨트롤 플레인 시그널링(Control Plane Signaling)을 전송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EPS 실에 있는 모든 RAU에는 다중대역 신호합성시 발생하는 신호왜곡을 억제할 수 있는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는 수신 신호와 전송 신호의 구별을 위해 상기 전송 신호의 PIM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멀티밴드 PIM 억제 장치는 적어도 세 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방향성 결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결합도(Coupling rate)와 방향도(Directivity)에 의한 신호 감쇄 차이를 이용하여 PIM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U 통합 광대역 MIMO 안테나 장치는 SU와 광대역 MIMO 안테나가 중첩된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0150098210A 2015-07-10 2015-07-10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176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10A KR101766254B1 (ko) 2015-07-10 2015-07-10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10A KR101766254B1 (ko) 2015-07-10 2015-07-10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73A KR20170006873A (ko) 2017-01-18
KR101766254B1 true KR101766254B1 (ko) 2017-08-23

Family

ID=5799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10A KR101766254B1 (ko) 2015-07-10 2015-07-10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2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050B1 (en) * 2001-07-20 2002-12-12 High Gain Antenna Co Ltd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06842B1 (ko) * 2014-07-25 2015-03-27 조형식 Mimo 신호 확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11B1 (ko) 2007-12-05 2009-10-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펨토셀 기지국의 시스템 타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이에 적용되는 펨토셀 기지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050B1 (en) * 2001-07-20 2002-12-12 High Gain Antenna Co Ltd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06842B1 (ko) * 2014-07-25 2015-03-27 조형식 Mimo 신호 확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73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293B2 (en) Indoor wireless voice and data distribution system
EP2611229B1 (en) Baseb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9877356B2 (en) Digital data transmiss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0498039B2 (en) Base station
US11206599B2 (en) Main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992757B2 (en) Donor unit, remote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having same
KR102116539B1 (ko) 원격 무선 장비
US10333584B2 (en) Transporting radio signals using a low frequency band over copper cables
US11483057B2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and base station interface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60953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US10574357B2 (en) Headend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12212B2 (en) Multiple service distributed-antenna system
US9209939B2 (en) Microwave communications device and microwave communications system
KR101766254B1 (ko) 멀티스몰셀 멀티밴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US9608847B2 (en)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processing ethernet signal
CN103166710B (zh) 下行信号传输方法、接入设备及中继设备
KR102070947B1 (ko)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1730614B1 (ko) 광대역 결합기를 이용한 인빌딩 서비스 방법과 그를 위한 인빌딩 시스템 및 광대역 결합기
KR101931325B1 (ko) Ori 기반의 광중계기 트래픽 분산 시스템
US20220141682A1 (en) Communication nod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node,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979259B1 (ko) 수동 혼변조 왜곡 회피를 위한 인빌딩 분산망 시스템
CN111970059A (zh) 一种数字光纤直放站传输系统
CN101814956A (zh) 一种实现承载信息用户全业务的驻地接入网的方法
WO2015034313A1 (ko) 원격 무선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