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240B1 - 소방 무선 중계기 - Google Patents

소방 무선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240B1
KR102263240B1 KR1020200186661A KR20200186661A KR102263240B1 KR 102263240 B1 KR102263240 B1 KR 102263240B1 KR 1020200186661 A KR1020200186661 A KR 1020200186661A KR 20200186661 A KR20200186661 A KR 20200186661A KR 102263240 B1 KR102263240 B1 KR 10226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firefighting
fire
fighting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삼훈
백종관
Original Assignee
거진이앤씨(주)
윤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진이앤씨(주), 윤삼훈 filed Critical 거진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20018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3Address allocation methods and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상황 발생시에 활성화되어 제1 및 제2 소방용 무전기 간에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소방통신모듈, 비상상황 중에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인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소방용 무전기 간에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소방통신모듈, 제1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과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제2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과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 검출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에 연결되게 하고, 비상상황 중에 상기 입출력 검출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네에 연결되게 하는 CPU를 포함하는 소방 무선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 무선 중계기{RADIO REPEAT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소방관이 무전기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소방 무선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건축물 내부에서 소방관들끼리 무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방 무선 중계기가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아파트의 경우에 소방 무선 중계기는 대부분 방재관리실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소방 무선 중계기는 기 설정되어 있는 소방 무전 주파수를 통해 소방관이 다른 소방관과 무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소방 무선 중계기는 재난이나 화재 발생시 소방 무전 음영지역을 해소하여 원활한 무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항상 무전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소방 무선 중계기는 노후화(열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잦다.
그런데 소방 무선 중계기에는 하나의 소방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소방 무선 중계기의 노후화에 의해 하나의 소방통신모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고장이 나면 소방 무선 중계기는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5258호(등록일: 2018.12.28.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소방통신모듈을 탑재하여 사용중인 소방통신모듈에 이상이나 고장시에 다른 소방통신모듈로 자동 절체되어 즉각적으로 소방 무전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소방 무선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소방 무선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비상상황 발생시에 활성화되어 제1 및 제2 소방용 무전기 간에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소방통신모듈, 비상상황 중에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인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소방용 무전기 간에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소방통신모듈, 제1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과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제2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과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 검출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에 연결되게 하고, 비상상황 중에 상기 입출력 검출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네에 연결되게 하는 CPU를 포함하는 소방 무선 중계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3 스위치,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4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에 연결된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CPU는 비상상황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이면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부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게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비상상황이 아닌 일반상황에서 동작하여 소방 주파수가 아닌 일반 무전 주파수를 이용하여 2대의 무전기간에 무전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관리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상시에 소방 무선 중계기에 탑재된 하나의 통신모듈이 고장이 나도 다른 예비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에만 이용되었던 소방 무선 중계기를 평상시에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 순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 예가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중계기(100)가 2개의 소방통신모듈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100)는 제1 소방통신모듈(110a), 제2 소방통신모듈(110b), 제1 스위치(120a), 제2 스위치(120b), 제1 안테나(130a), 제2 안테나(130b), CPU(140) 및 입출력 검출부(150)를 포함한다.
제1 소방통신모듈(110a)는 메인 통신모듈로서 비상상황 발생시 활성화되는 소방 전용 통신 모듈이며,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간에 소방용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소방용 통신 채널을 통해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지원한다.
제2 소방통신모듈(110b)는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고장이나 이상 발생 등으로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서브용 소방 전용 통신 모듈이며, 제1 소방통신모듈(110a)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스위치(120a)는 제1 안테나(130a)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소방통신모듈(110a)과 제2 소방통신모듈(110b)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1 스위치(120a)의 선택적 연결은 CPU(14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2 스위치(120b)는 제2 안테나(130b)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소방통신모듈(110a)과 제2 소방통신모듈(110b)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치(120b)의 선택적 연결은 CPU(14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1 안테나(130a)는 제1 소방용 무전기(10a)에서 전송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소방용 무전기(10a)로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2 안테나(130b)는 제2 소방용 무전기(10b)에서 전송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소방용 무전기(10b)로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위치(120a, 120b)의 선택적 연결에 의해, 제1 안테나(130a), 제1 스위치(120a), 제1 소방통신모듈(110a), 제2 스위치(120b) 및 제2 안테나(130b)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통신 경로가 형성되거나, 제1 안테나(130a), 제1 스위치(120a), 제2 소방통신모듈(110b), 제2 스위치(120b) 및 제2 안테나(130b)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통신 경로가 형성된다.
CPU(140)는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상황시에 발생되는 비상신호를 수신하고, 비상신호 수신시에 제1 소방통신모듈(110a) 또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b)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CPU(140)는 연결 입출력 검출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예; 전압값 또는 전류값)를 통해 제1 또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a, 110b)의 불량(고장 또는 이상)을 확인하고,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의 불량시에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을 비활성화시키고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스위치 제어는 제1 및 제2 스위치(120a, 120b)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입출력 검출부(150)는 제1 또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a, 110b)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의 전압값(또는 전류값)을 CPU(140)에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100)는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스탠바이 상태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소의 기능만 동작하는 슬립 모드 상태인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CPU(14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항시 감시하고 있다(S401). 만약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CPU(140)는 메인 통신모듈인 제1 소방통신모듈(110a)를 활성화시킨다(S402).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활성화되면, 입출력 검출부(150)는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디지털 전압값(또는 전류값)을 CPU(140)에 제공한다(S403).
CPU(140)는 입출력 검출부(150)로부터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의 입력 및 출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불량인지를 판단한다(S404).
CPU(140)는 S404 과정에서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정상이라고 판단하면 제1 및 제2 스위치(120a, 120b)에 대한 스위치 동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을 이용하여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 간에 무전 통신이 이루어지게 한다(S406).
반면에 CPU(140)는 S404 과정에서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제1 및 제2 스위치(120a, 120b)에 대한 스위치 동작을 수행하여 제1 스위치(120a)가 제1 안테나(130a)와 제2 소방통신모듈(110b)에 연결되게 하고, 제2 스위치(120b)가 제2 안테나(130b)와 제2 소방통신모듈(110b)에 연결되게 하는 스위치 절체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CPU(140)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을 활성화시키고(S405).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을 이용하여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 간에 무전 통신이 이루어지게 한다(S406).
CPU(140)는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 간에 무전 통신을 비상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하고, 비상상황이 종료되면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110a, 110b)을 비활성화시키고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한다(S407).
한편, CPU(140)는 S404 과정에서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의 불량을 관리자에게 알리거나 자체 알람 또는 자체의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
또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소방통신모듈이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소방통신모듈은 3개 이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 소방통신모듈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3개 이상의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는 비상시 동작하는 메인 소방통신모듈이고, 나머지는 동작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서브용 소방통신모듈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 더하여, 바이패스부(160) 및 바이패스부(160)가 설정되게 하는 제3 및 제4 스위치(121a, 121b)가 추가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바이패스부(160)는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110a, 110b) 모두가 불량인 경우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1 소방용 무전기(10a)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는 제1 안테나(130a)와 제3 스위치(121a)를 통해 바이패스부(160)에 전달된 후 제4 스위치(121b)와 제2 안테나(130b)를 통해 제2 소방용 무전기(10b)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2 소방용 무전기(10b)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는 제2 안테나(130b)와 제3 스위치(121b)를 통해 바이패스부(160)에 전달된 후 제3 스위치(121a)와 제1 안테나(130a)를 통해 제1 소방용 무전기(10a)에 전달된다.
바이패스부(60)는 제3 스위치(121a)와 제4 스위치(121b)를 연결하는 통신 라인으로 구성되거나, 제1 소방용 무전기(10a) 또는 제2 소방용 무전기(10b)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1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항시 감시한다(S501). 만약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CPU(140)는 메인 통신모듈인 제1 소방통신모듈(110a)를 활성화시킨다(S502).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활성화되면, 입출력 검출부(150)는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디지털 전압값(또는 전류값)을 CPU(140)에 제공한다(S503).
CPU(140)는 입출력 검출부(150)로부터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의 입력 및 출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불량인지를 판단한다(S504).
CPU(140)는 제1 소방통신모듈(110a)이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제1 및 제2 스위치(120a, 120b)를 절환하여 제1 및 제2 안테나(130a, 130b)와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이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을 활성화한다(S505).
입출력 검출부(150)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에 대한 디지털 전압값(또는 전류값)을 파악한 후 CPU(140)에 제공하고(S506), CPU(140)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의 입력 및 출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이 불량인지를 판단한다(S507).
만약, 제2 소방통신모듈(110b)이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CPU(140)는 제3 및 제4 스위치(121a, 121b)를 절환하여 제1 및 제2 안테나(130a, 130b)와 바이패스부(160)가 연결되도록 한다(S508).
S504 또는 S507 과정에서, CPU(140)는 제1 소방통신모듈(110a) 또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b)가 불량이 아니라고 즉, 정상이라고 판단하면, 활성화된 해당 통신모듈을 통해 제1 및 제2 소방용 무전기(10a, 10b) 간에 무전 통신이 이루어지게 한다(S509).
CPU(140)는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 간에 무전 통신을 비상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하고, 비상상황이 종료되면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110a, 110b)을 비활성화시키고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한다(S510).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소방통신모듈이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소방통신모듈은 3개 이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 소방통신모듈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3개 이상의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는 비상시 동작하는 메인 소방통신모듈이고, 나머지는 동작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서브용 소방통신모듈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100)는 관리통신모듈(111), 소방통신모듈(110), 제1 스위치(120a), 제2 스위치(120b), 제1 안테나(130a), 제2 안테나(130b), CPU(140) 및 입출력 검출부(150)를 포함한다.
관리통신모듈(111)는 비상시를 제외한 일반 상황에서 상시 동작하며, 설치된 건물 내 회사의 직원들간, 예컨대 제1 관리용 무전기(20a)와 제2 관리용 무전기(20b) 간에 무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관리통신모듈(111)에서 지원하는 무전 통신 채널의 주파수는 소방용 채널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한다.
소방통신모듈(110)는 메인 통신모듈로서 비상시 활성화되는 소방 전용 통신 모듈이며,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간에 소방용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소방용 통신 채널을 통해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지원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소방통신모듈(110)과 함께 소방통신모듈(110)이 불량시에 동작할 서브용 소방통신모듈 및 서브용 소방통신모듈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20a)는 제1 안테나(130a)에 연결되어 있고, 관리통신모듈(111)과 소방통신모듈(11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1 스위치(120a)의 선택적 연결은 CPU(14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2 스위치(120b)는 제2 안테나(130b)에 연결되어 있고, 관리통신모듈(111)과 소방통신모듈(11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치(120b)의 선택적 연결은 CPU(14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1 안테나(130a) 및 제2 안테나(130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각 안테나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CPU(140)는 일반상황시에 관리통신모듈(111)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상황시에 발생되는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소방통신모듈(110)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CPU(140)는 입출력 검출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예; 전압값 또는 전류값)를 통해 관리통신모듈(111) 또는 소방통신모듈(110)의 불량(고장 또는 이상)을 확인하며, 관리통신모듈(111) 또는 소방통신모듈(110)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
입출력 검출부(150)는 제1 또는 제2 소방통신모듈(110a, 110b)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의 전압값(또는 전류값)을 CPU(140)에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방 무선 중계기(100)의 CPU(140)는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일반모드를 설정한다(S601).
CPU(140)는 일반모드를 설정하면, 제1 스위치(120a)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130a)와 관리통신모듈(111)이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스위치(120b)를 제어하여 제2 안테나(130b)와 관리통신모듈(111)이 연결되도록 하며, 관리통신모듈(111)을 활성화시키고 소방통신모듈(110)을 비활성화시킨다(S602).
그리고, CPU(140)는 외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603), 비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일반모드의 설정을 유지하고,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비상모드를 설정한다.
비상모드를 설정하면, CPU(140)는 입출력 검출부(150)를 통해 관리통신모듈(111)과 소방통신모듈(110)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통신모듈(111)과 소방통신모듈(11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한다(S604).
그리고 CPU(140)는 제1 스위치(120a)를 절환시켜 제1 안테나(130a)와 소방통신모듈(110)이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스위치(120b)를 절환시켜 제2 안테나(130b)와 소방통신모듈(110)이 연결되도록 하며, 관리통신모듈(111)을 비활성화시키고 소방통신모듈(110)을 활성화시킨다(S605).
소방통신모듈(110)의 활성화에 따라, CPU(140)는 소방통신모듈(110)을 이용하여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 간에 무전 통신이 이루어지게 한다(S606).
CPU(140)는 제1 소방용 무전기(10a)와 제2 소방용 무전기(10b) 간에 무전 통신을 비상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하고, 비상상황이 종료되면 제1 및 제2 스위치(120a, 120b)를 절환한 후 소방통신모듈(110)을 비활성화시키고, 관리통신모듈(111)을 활성화시킨다(S607).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소방통신모듈만을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같이 소방통신모듈이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 바이패스부(160) 및 바이패스부(1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소방 무선 중계기 110a : 제1 소방통신모듈
110b : 제2 소방통신모듈 110: 소방통신모듈
120a : 제1 스위치 120b : 제2 스위치
130a : 제1 안테나 130b : 제2 안테나
140 : CPU 150 : 입출력 검출부
121a : 제3 스위치 121b : 제4 스위치
160 : 바이패스부 111 : 관리통신모듈

Claims (3)

  1. 비상상황 발생시에 활성화되어 제1 및 제2 소방용 무전기 간에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소방통신모듈,
    비상상황 중에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인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소방용 무전기 간에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소방통신모듈,
    제1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과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제2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과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 검출부,
    외부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에 연결되게 하고, 비상상황 중에 상기 입출력 검출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소방통신모듈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네에 연결되게 하는 CPU,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3 스위치,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4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에 연결된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CPU는 비상상황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소방통신모듈이 불량이면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부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게 하는 소방 무선 중계기.
  2. 삭제
  3. 제1항에서,
    비상상황이 아닌 일반상황에서 동작하여 소방 주파수가 아닌 일반 무전 주파수를 이용하여 2대의 무전기간에 무전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관리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소방 무선 중계기.
KR1020200186661A 2020-12-29 2020-12-29 소방 무선 중계기 KR10226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661A KR102263240B1 (ko) 2020-12-29 2020-12-29 소방 무선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661A KR102263240B1 (ko) 2020-12-29 2020-12-29 소방 무선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240B1 true KR102263240B1 (ko) 2021-06-11

Family

ID=7637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661A KR102263240B1 (ko) 2020-12-29 2020-12-29 소방 무선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2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754A (ko) * 2007-05-22 2008-11-26 양영석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1935258B1 (ko) 2018-08-13 2019-01-04 삼성넥스텍(주) 소방용 무전통신 보조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전통신 중계시스템
KR20190026193A (ko) * 2017-09-04 2019-03-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754A (ko) * 2007-05-22 2008-11-26 양영석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20190026193A (ko) * 2017-09-04 2019-03-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1935258B1 (ko) 2018-08-13 2019-01-04 삼성넥스텍(주) 소방용 무전통신 보조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전통신 중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3801A1 (en) Mesh network enabled building safety system and method
KR101772819B1 (ko)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EP2466800A2 (en) Electronic patch apparatus, network system, and operating method in a network system
KR102263240B1 (ko) 소방 무선 중계기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03542B1 (ko)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JP2023100952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60081575A (ko) 제어기의 이중화 시스템
JP2015087918A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20100109713A (ko)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KR101809042B1 (ko) 재난안전용 광대역 공공안전통신망 ps-lte와 tetra 동시 서비스를 위한 통합시스템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US20180139331A1 (en) Auxiliary radio communications system with integrated dispatch console
RU2688908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комплекс звукового оповещения
JP697318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194905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1357481A (ja) トンネル防災設備
JP2020150431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652607B1 (ko) 장애를 대비한 이중화기능을 구비한 경보방송장치, 및 그의 장애관리방법
JP7316954B2 (ja) 無線増幅装置の監視装置
US11838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ntenna system
JP7285475B2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23002602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20210217297A1 (en) Fast Install Self-Supervising Fire Communicator
KR20090099698A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