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671B1 -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671B1
KR102070671B1 KR1020190169942A KR20190169942A KR102070671B1 KR 102070671 B1 KR102070671 B1 KR 102070671B1 KR 1020190169942 A KR1020190169942 A KR 1020190169942A KR 20190169942 A KR20190169942 A KR 20190169942A KR 102070671 B1 KR102070671 B1 KR 10207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an
section
lif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춘
Original Assignee
최규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춘 filed Critical 최규춘
Priority to KR102019016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3Devices for tilting and empty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척 및 살균과 건조를 위한 농산물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훼손을 방지하는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레일프레임과, 상기 제1레일프레임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1롤러와, 제1컨베이어의 구간 단위로 분류된 상기 제1롤러의 롤링을 위해 동력을 가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이송 구간과 승강 구간으로 구획되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레일프레임과 엇갈리도록 설치된 제2레일프레임; 상기 제2레일프레임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2롤러;로 구성된 제2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승강 구간에서 제1롤러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구간에서 정지한 수용함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힌지에 체결된 회전축대에 동력을 가하는 제3구동모터; 상기 이송 구간에서 승강 구간으로 이송된 수용함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승강 구간에서 이탈하는 수용함을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승강 구간으로 이송된 수용함이 정지하도록 제1롤러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로 구성된 리프트, 상기 제2컨베이어 양측에 나란하게 직립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이동자의 상승을 위해 탄력을 가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제2컨베이어의 측부를 덮도록 승강레일에 설치되는 펜스를 구비한 한 쌍의 지지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수용함으로부터 낙하한 농산물을 받아 수용하는 팬과, 상기 이동자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팬의 측면에서 리프트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형성되고 토션스프링의 탄력을 받아 팬이 수평하도록 지지되는 회전돌기와, 상기 팬의 정면에서 리프트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걸어 팬의 하강을 저지하는 브로킹을 구비한 보울;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 한 쌍의 상기 펜스 사이에서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의 압력을 받아 인입되는 랫치형 핀과, 상기 랫치형 핀의 인입을 강제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서포트;로 구성된 리시버,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이송 구간의 제1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제3구동모터를 구동시켜서 승강 구간에서 거치대가 수용함을 들어 상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거치대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제3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서 승강 구간의 제1롤러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스토퍼를 제1롤러 사이로 인입시켜서 수용함이 승강 구간의 제1롤러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2센서의 감시신호를 수신하면 제1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3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토션스프링의 탄력에 의한 팬의 회전을 스토핑하는 랫치형 핀이 인입되도록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TRANSFERRING FARM PRODUCES}
본 발명은 자동 세척 및 살균과 건조를 위해 농산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훼손을 방지하는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연에서 채취되는 각종 식용 식물이나, 재배되어 수확되는 채소 등의 농산물은 세척과 살균 및 건조해서 흙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포장 후에 가정이나 식당에 전달된다.
그런데, 농가에서는 농산물이 다량 수확되므로, 농산물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척하고 살균 및 건조하는데 많은 노동과 시간이 소요되었고, 세척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세척과 살균 및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농산물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48386호 "나물 세척장치", 등록번호 제10-0654570호 "엽채류 세척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0220호 "야채용 세척 및 건조기" 등이 안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의 이송이 컨베이어를 통해 이루어졌고, 상기 컨베이어는 세척 공정에 따라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시스템 구조를 이루었다.
그런데, 종래 컨베이어 시스템은 서로 독립된 컨베이어 라인 간에 농산물 이동이 떨굼 형태를 이루므로, 농산물이 낙하하면서 컨베이어 라인과 충돌하거나 농산물 간의 충돌로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훼손은 농산물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고, 농산물의 표피가 벗겨질 경우에는 농산물이 부패되어 식용으로 활용할 수도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농산물을 세척과 살균 및 건조하기 위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탈을 방지하고 농산물 간의 충돌 및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레일프레임과, 상기 제1레일프레임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1롤러와, 제1컨베이어의 구간 단위로 분류된 상기 제1롤러의 롤링을 위해 동력을 가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이송 구간과 승강 구간으로 구획되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레일프레임과 엇갈리도록 설치된 제2레일프레임; 상기 제2레일프레임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2롤러;로 구성된 제2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승강 구간에서 제1롤러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구간에서 정지한 수용함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힌지에 체결된 회전축대에 동력을 가하는 제3구동모터; 상기 이송 구간에서 승강 구간으로 이송된 수용함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승강 구간에서 이탈하는 수용함을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승강 구간으로 이송된 수용함이 정지하도록 제1롤러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로 구성된 리프트,
상기 제2컨베이어 양측에 나란하게 직립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이동자의 상승을 위해 탄력을 가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제2컨베이어의 측부를 덮도록 승강레일에 설치되는 펜스를 구비한 한 쌍의 지지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수용함으로부터 낙하한 농산물을 받아 수용하는 팬과, 상기 이동자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팬의 측면에서 리프트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형성되고 토션스프링의 탄력을 받아 팬이 수평하도록 지지되는 회전돌기와, 상기 팬의 정면에서 리프트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걸어 팬의 하강을 저지하는 브로킹을 구비한 보울;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 한 쌍의 상기 펜스 사이에서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의 압력을 받아 인입되는 랫치형 핀과, 상기 랫치형 핀의 인입을 강제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서포트;로 구성된 리시버, 및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이송 구간의 제1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제3구동모터를 구동시켜서 승강 구간에서 거치대가 수용함을 들어 상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거치대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제3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서 승강 구간의 제1롤러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스토퍼를 제1롤러 사이로 인입시켜서 수용함이 승강 구간의 제1롤러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2센서의 감시신호를 수신하면 제1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3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토션스프링의 탄력에 의한 팬의 회전을 스토핑하는 랫치형 핀이 인입되도록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농산물을 세척과 살균 및 건조하기 위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탈을 방지하고 농산물 간의 충돌 및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트롤러와 연결된 전자기기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성된 제1컨베이어의 이송 구간과 승강 구간을 따라 수용함이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승강 구간에 수용함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성된 리시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성된 리시버의 팬과 서포트 간의 연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트롤러와 연결된 전자기기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농산물이 수용된 수용함(B)을 지정 방향과 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100)와, 제1컨베이어(100)로부터 이송된 농산물을 세척기(20)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400)와, 제1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된 수용함(B)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200)와, 리프트(200)의 수용함(B)으로부터 낙하하는 농산물을 받아 제2컨베이어(400)로 전달하는 리시버(300)와, 제1컨베이어(100)와 제2컨베이어(400)와 리프트(200)와 리시버(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에서 제2컨베이어(400)는 제1컨베이어(100)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컨베이어(100)는, 제1레일프레임(110)과, 제1레일프레임(110)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1롤러(120)와, 제1컨베이어(100)의 구간 단위로 분류된 제1롤러(120)의 롤링을 위해서 동력을 가하는 제1구동모터(130) 및 제2구동모터(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컨베이어(100)는 수용함(B)을 이송시키는 이송 구간(Z1; 도 3 참조)과, 제2컨베이어(400)로 전달하기 위해서 수용함(B)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 구간(Z2; 도 3 참조)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이송 구간(Z1)의 제1롤러(121; 도 3 참조)는 제1구동모터(130)에 의해 롤링하고,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 도 3 참조)는 제2구동모터(130)에 의해 롤링한다. 제1컨베이어(100)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제1컨베이어(100)가 이루는 구성요소와 구조와 동작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컨베이어(400)는, 제1레일프레임(110)과 엇갈리도록 설치된 제2레일프레임과, 상기 제2레일프레임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2롤러로 구성된다. 본 실시에서 제2컨베이어(400)가 롤러 타입이 적용된 것으로 도시했으나, 벨트 타입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성된 제1컨베이어의 이송 구간과 승강 구간을 따라 수용함이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승강 구간에 수용함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a)도면 및 (b)도면과 같이 수용함(B)이 제1컨베이어(100)의 이송 구간(Z1)을 따라 승강 구간(Z2)으로 진입하면, 수용함(B)은 리프트(200)에 의해 상승한다. 여기서 리프트(200)의 상승 동작은 제1센서(240)의 감지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컨트롤러(50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이후, 도 3의 (c)도면과 같이 리프트(200)의 하강 동작으로 수용함(B)이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 상에 다시 안착되면, 롤링하는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를 타고 이동해서 승강 구간(Z2)으로부터 진출한다. 참고로, 수용함(B)이 승강 구간(Z2)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수용함(B)을 걸어 그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260)의 스토핑이 해제됨으로써 가능하다.
도 3의 (d)도면과 같이 수용함(B)이 승강 구간(Z2)으로부터 진출하면, 이송 구간(Z1)으로부터 새로운 수용함(B')이 이송되고, 이러한 반복 과정을 통해 제1컨베이어(100)를 통한 수용함(B, B')의 이송과, 수용함(B, B')에 수용된 농산물의 제2컨베이어(400) 전달이 연속해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리프트(200)는, 승강 구간(Z2)에 위치한 수용함(B)을 상승 및 하강시켜서, 수용함(B)의 농산물을 제2컨베이어(4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1컨베이어(100)의 승강 구간(Z2)에서 제1롤러(122)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고, 승강 구간(Z2)에서 정지한 수용함(B)을 안착하는 거치대(220); 거치대(220)의 힌지(221)에 체결된 회전축대(211)에 동력을 가하는 제3구동모터(210); 이송 구간(Z1)에서 승강 구간(Z2)으로 이송된 수용함(B)을 감지하는 제1센서(240); 승강 구간(Z2)에서 이탈하는 수용함(B)을 감지하는 제2센서(250); 승강 구간(Z2)으로 이송된 수용함(B)이 정지하도록 제1롤러(122)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는 스토퍼(260);로 구성된다.
거치대(220)는 수용함(B)의 안정된 거치를 위해서 'U' 형상을 이루며, 수용함(B)의 저면과 맞닿는 하부는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 사이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컨베이어(100)를 타고 이송되는 수용함(B)이 거치대(220)에 의한 간섭없이 원활히 이송된다.
제3구동모터(210)는 거치대(220)의 힌지(221)에 체결된 회전축대(211)에 동력을 가한다. 따라서 거치대(220)는 회전축대(2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 구간(Z2)으로부터 승하강하고, 수용함(B)의 회전으로 인해서 상면이 하방을 향하게 된다. 결국, 수용함(B)에 수용된 농산물은 하방을 향한 수용함(B)의 상면으로부터 자유 낙하한다.
제1센서(240)는 이송 구간(Z1)에서 승강 구간(Z2)으로 진입하는 수용함(B)을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제1센서(240)는 이송 구간(Z1)과 승강 구간(Z2)의 경계에 배치되며, 승강 구간(Z2)으로 진입하는 수용함(B)의 전단을 우선 감지한다. 이후, 수용함(B)의 이송이 지속되면서 전체가 승강 구간(Z2)에 모두 이송되면, 제1센서(240)는 수용함(B)의 후단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제2센서(250)는 승강 구간(Z2)으로부터 진출하는 수용함(B)을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제2센서(250)는 승강 구간(Z2)과 이후 이송 구간의 경계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수용함(B)의 전단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스토퍼(260)는 승강 구간(Z2)으로 진입한 수용함(B)이 진출하지 않도록 수용함(B)의 전달을 걸어 스토핑한다. 따라서 승강 구간(Z2)에 진입한 수용함(B)은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가 롤링을 지속해도 이동하지 못하고 제 위치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성된 리시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리시버(300)는, 지지대(310, 310')와, 지지대(310, 310')에 지지 및 회전하는 보울(330)과, 보울(33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340)와, 보울(330)의 회전을 저지하는 서포트(350)로 구성된다.
각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지지대(310, 310')는, 제2컨베이어(400) 양측면에 나란히 직립하는 승강레일(315, 315')과, 승강레일(315, 31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자(311)와, 이동자(311)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313)과, 이동자(311)의 상승을 위해 탄력을 가하는 완충스프링(312)과, 제2컨베이어(400)의 측부를 덮도록 승강레일(315, 315')에 설치되는 펜스(314, 314')를 구비한다.
본 실시의 지지대(310, 310')는 한 쌍이 제2컨베이어(400)의 양측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므로, 한 쌍의 지지대(310, 310') 각각에 구성된 승강레일(315, 315')은 제2컨베이어(400)의 양측면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의 승강레일(315, 315')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라인이 형성된 관 형상이고, 중공에는 이동자(311)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동자(311)는 상기 개구라인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직립한 지지대(310, 3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한편, 이동자(311)에 토션스프링(313)이 설치된다. 토션스프링(313)은 보울(330)이 항상 수평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데,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보울(330)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계속해서 지지대(310, 310')에는 완충스프링(312)이 내설된다. 완충스프링(312)은 이동자(311)의 자중을 지지하므로, 이동자(311)의 상승을 위해 탄력을 가하게 된다. 결국, 이동자(311)가 지지대(310, 310')에서 하강할수록 완충스프링(312)의 탄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펜스(314, 314')는 제2컨베이어(400)의 측부를 덮도록 승강레일(315, 315')에 설치된다. 펜스(314, 314')는 제2컨베이어(400)의 양측부를 각각 덮으므로, 농산물이 이탈됨 없이 리프트(200)에 의해 상승한 수용함(B)으로부터 보울(300)과 제2컨베이어(400)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의 보울(330)은, 거치대(220)에 거치된 수용함(B)으로부터 낙하한 농산물을 받아 수용하는 팬(334)과, 상기 개구라인을 통해 이동자(3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팬(334)의 측면에서 리프트(200)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형성되고 토션스프링(313)의 탄력을 받아 팬(334)이 수평하도록 지지되는 회전돌기(332)와, 팬(334)의 정면에서 리프트(200)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331)와, 걸림돌기(331)를 걸어 팬(334)의 하강을 저지하는 브로킹(333; 도 6 참조)을 구비한다.
팬(334)은 수용홈(B)으로부터 전달되는 농산물을 받도록 용기 형상을 이룬다. 이때, 팬(334)은 일단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이므로, 팬(334)이 제2컨베이어(400)를 향해 기울어지면, 팬(334)에 수용된 농산물은 개구된 일단부를 통해 제2컨베이어(400)로 흘러내린다. 또한 본 실시의 팬(334)의 바닥면은 상기 일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결국, 수용함(B)으로부터 전달되는 농산물은 팬(334)에서 상기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에 우선적으로 모인다.
회전돌기(332)는 팬(334)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토션스프링(313)을 매개로 이동자(3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회전돌기(332)는 리프트(200)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형성된다. 하지만, 토션스프링(313)이 회전돌기(332)가 기울어짐 없이 수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탄력을 가하므로, 농산물을 일정량 이상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팬(334)이 지지대(310, 310')에서 수평 자세가 유지된다.
걸림돌기(331)는 팬(334)의 정면에서 리프트(20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331)는 팬(334)의 기울어진 각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이며, 브로킹(333)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해당 기능을 발휘한다.
브로킹(333)은 지지대(310, 310')를 따라 하강하는 팬(334)의 정면부를 걸어서 팬(334)이 토션스프링(313)에 저항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리프트(200)와 리시버(300) 사이에 배치된다. 걸림돌기(331)와 브로킹(333)에 대한 기능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제3센서(340)는 회전돌기(332)의 회전각도를 감지해서 기준각 이상이 되면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팬(334)은 기준각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제2컨베이어(400)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각 이상으로 회전돌기(332), 즉 팬(334)이 기울어지면 팬(334)이 수평 자세로 복원되도록 서포트(350)를 동작시킨다.
서포트(350)는, 한 쌍의 펜스(314, 314') 사이에서 회전돌기(33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334)의 압력을 받아 인입되는 랫치형 핀(352; 도 8 참조)과, 상기 랫치형 핀(352)의 인입을 강제하는 솔레노이드(351)를 구비한다.
랫치형 핀(352)의 상면은 펜스(314, 314')를 타고 하강 회전하는 팬(334)의 압력을 받으면 접힐 수 있는 경사면을 이루고, 하면은 토션스프링(313)에 의해 펜스(314, 314')를 타고 상승 회전하는 팬(334)을 걸어 스토핑할 수 있는 수평면을 이룬다. 즉, 랫치형 핀(352)은 팬(334)의 하강 회전만을 자유롭게 하고 상승 회전은 걸어 저지하는 것이다.
솔레노이드(351)는 랫치형 핀(352)의 인입을 강제한다. 따라서 팬(334)을 스토핑하는 랫치형 핀(352)은 강제 인입을 통해 팬(334)의 스토핑을 해제하고, 팬(334)은 토션스프링(313)의 탄력에 의해 수평 자세로 복원한다.
컨트롤러(500)는 전술한 제1구동모터(130)와 제2구동모터(140)와 제3구동모터(210)와 제1센서(240)와 제2센서(250)와 제3센서(340)와 스토퍼(260)와 서포트(3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500)의 동작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성된 리시버의 팬과 서포트 간의 연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500)는 제1구동모터(130)와 제2구동모터(140)를 구동시켜서 농산물을 수용한 수용함(B)이 도 3의 (a)도면과 같이 제1컨베이어(100)의 이송 구간(Z1)에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 중에 수용함(B)이 도 3의 (b)도면과 같이 승강 구간(Z2)으로 진입하면서 수용함(B)의 전단과 후단이 제1센서(240)에 의해 감지되면, 제1센서(240)는 컨트롤러(500)에 감지신호를 발신한다.
컨트롤러(500)는 제1센서(2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이송 구간(Z1)의 제1구동모터(130)를 정지시킨 후에 제3구동모터(210)를 구동시켜서, 승강 구간(Z2)에서 도 6의 (b)도면과 같이 거치대(220)가 수용함(B)을 들어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에서 제1구동모터(130)의 정지는 이송 구간(Z1)에 위치한 후속 수용함(B')이 승강 구간(Z2)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컨트롤러(500)는 제3구동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거치대(220)가 도 6의 (c)도면 및 도 7의 (a)도면과 같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제3구동모터(210)를 역회전시켜서 도 3의 (c)도면과 같이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 상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거치대(220)의 일정 각도는 수용함(B)에 수용된 농산물이 리시버(300)의 팬(334)에 모두 전달되는 충분한 각도이므로, 제3구동모터(210)가 역회전할 때 거치대(220)에는 모든 농산물이 팬(334)에 전달된 상태이다.
한편, 승강 구간(Z2)에 위치한 수용함(B)은 스토퍼(260)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컨트롤러(500)는 제3구동모터(210)를 역회전시켜서 수용함(B)이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에 안착되도록 하고, 스토퍼(260)를 구동시켜서 제1롤러(122) 사이로 인입하게 한다. 따라서 수용함(B)이 롤링 중인 승강 구간(Z2)의 제1롤러(122)에 의해 이송되어서 승강 구간(Z2)으로부터 진출한다. 이 과정에서 제2센서(250)는 승강 구간(Z2)으로부터 벗어나는 수용함(B)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신하고, 컨트롤러(500)는 정지 중인 제1구동모터(130)를 다시 구동시켜서 이송 구간(Z1)의 제1롤러(121)가 롤링하도록 제어한다.
계속해서, 리프트(200)의 구동에 의해 수용함(B)의 농산물이 리시버(300)에 구성된 보울(330)의 팬(334)에 전달되면, 도 7의 (a)도면과 같이 팬(334)의 하중이 완충스프링(312)의 탄력 이상으로 증가하여 하강한다. 하지만, 농산물의 전달 초기에는 토션스프링(313)의 탄력 이상으로 농산물의 하중이 증가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농산물이 팬(334)의 타단부에만 우선 수용되므로, 팬(334)은 회전 없이 수평 자세를 유지한다.
수용함(B)으로부터 농산물이 팬(334)에 지속해 전달되면, 농산물은 팬(334)에 채워지면서 팬(334)의 일단에까지 하중을 가하고, 팬(334)은 하강하면서 팬(334)의 걸림돌기(331)가 도 7의 (b)도면과 같이 브로킹(333)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팬(334)은 제2컨베이어(400)를 향해 기울어지고, 팬(334)에 수용된 농산물은 제2컨베이어(400)에 그대로 흘러내리듯이 전달된다. 즉, 단순 낙하에 의한 충돌이 아닌 슬라이딩 형태로 제2컨베이어(400)에 흘러내리는 것이다. 한편, 도 7의 (b)도면과 (c)도면 및 도 8의 (a)도면과 같이 팬(334)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자세가 되면, 팬(334)의 일단은 서포트(350)의 랫치형 핀(352)을 통과해 스토핑되고, 농산물이 제2컨베이어(400)에 전달되면, 팬(334)의 하중이 줄어들면서 완충스프링(312)에 의해 상승한다. 따라서 도 7의 (c)도면과 같이 일단부가 서포트(350)에 의해 저지된 팬(334)은 회전 각도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팬(334)의 안쪽에 수용된 모든 농산물까지 제2컨베이어(400)로 흘러내린다.
컨트롤러(500)는 제3센서(3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서포트(350)의 솔레노이드(351)를 제어해서 랫치형 핀(352)을 인입시키고 팬(334)의 브로킹을 해제한다. 따라서 팬(334)은 토션스프링(313)의 탄력을 받아 수평 자세로 복원되고, 완충스프링(312)에 의해 승강레일(315)의 상단으로 상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500)는 제1컨베이어(100)와 리프트(200) 및 리시버(300)의 연동을 제어해서 제1컨베이어(100)를 따라 이송된 수용함(B)의 농산물을 제2컨베이어(400)에 훼손 없이 안정하게 전달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컨베이어 시스템 100; 제1컨베이어 110; 제1레일프레임
120, 121, 122; 제1롤러 130; 제1구동모터 140; 제2구동모터
200; 리프트 210; 제3구동모터 211; 회전축대
220; 거치대 221; 힌지 240; 제1센서
250; 제2센서 260; 스토퍼 300; 리시버
310; 보울 311; 이동자 312; 완충스프링
313; 토션스프링 314; 펜스 315; 승강레일
330; 보울 331; 걸림돌기 332; 회전돌기
333; 브로킹 334; 팬 340; 제3센서
350; 서포트 351; 솔레노이드 352; 랫치형 핀
400; 제2컨베이어

Claims (2)

  1. 제1레일프레임과, 상기 제1레일프레임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1롤러와, 제1컨베이어의 구간 단위로 분류된 상기 제1롤러의 롤링을 위해서 동력을 가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구간은 이송 구간과 승강 구간으로 구성되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와 엇갈리도록 설치된 제2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승강 구간에서 제1롤러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구간에 정지한 수용함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힌지에 체결된 회전축대에 동력을 가하는 제3구동모터; 상기 이송 구간에서 승강 구간으로 진입한 수용함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승강 구간에서 이탈하는 수용함을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승강 구간으로 이송된 수용함을 걸어 정지하도록 제1롤러 사이로 인입출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로 구성된 리프트,
    상기 제2컨베이어 양측에 나란하게 직립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이동자의 상승을 위해 탄력을 가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제2컨베이어의 측부를 덮도록 승강레일에 설치되는 펜스를 구비한 한 쌍의 지지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된 수용함으로부터 낙하한 농산물을 받아 수용하는 팬과, 상기 이동자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팬의 측면에서 리프트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형성되고 토션스프링의 탄력을 받아 팬이 수평하도록 지지되는 회전돌기와, 상기 팬의 정면에서 리프트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걸어 하강을 저지하는 브로킹을 구비한 보울;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 한 쌍의 상기 펜스 사이에서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의 압력을 받아 인입출하도록 펜스에 설치되는 랫치형 핀과, 상기 랫치형 핀의 인입을 강제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서포트;로 구성된 리시버, 및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이송 구간의 제1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제3구동모터를 구동시켜서 거치대가 수용함을 들어 상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거치대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제3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서 승강 구간의 제1롤러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스토퍼를 제1롤러 사이로 인입시켜서 수용함이 승강 구간의 제1롤러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2센서의 감시신호를 수신하면 제1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3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토션스프링의 탄력에 의한 팬의 회전을 스토핑하는 랫치형 핀이 인입되도록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레일프레임과 엇갈리도록 설치된 제2레일프레임과, 상기 제2레일프레임을 따라 롤링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2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190169942A 2019-12-18 2019-12-18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7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942A KR102070671B1 (ko) 2019-12-18 2019-12-18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942A KR102070671B1 (ko) 2019-12-18 2019-12-18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671B1 true KR102070671B1 (ko) 2020-01-29

Family

ID=6932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942A KR102070671B1 (ko) 2019-12-18 2019-12-18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4020A (zh) * 2020-11-05 2021-02-19 苏州南师大科技园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产线的工件转运装置
KR20210125158A (ko)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유니콘 공압 시스템의 배압 역류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224Y1 (ko) * 2002-03-04 2002-05-18 가다기연 주식회사 과일 및 농산물 바구니 덤핑장치
KR20110047316A (ko) * 2009-10-30 2011-05-09 (주)라이스코리아 순차적인 일련공정을 갖는 자동야채류공급장치
KR20110005981U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대가식품 내용물 분리장치
KR20180107445A (ko) * 2017-03-21 2018-10-02 홍병환 야채 수납 박스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224Y1 (ko) * 2002-03-04 2002-05-18 가다기연 주식회사 과일 및 농산물 바구니 덤핑장치
KR20110047316A (ko) * 2009-10-30 2011-05-09 (주)라이스코리아 순차적인 일련공정을 갖는 자동야채류공급장치
KR20110005981U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대가식품 내용물 분리장치
KR20180107445A (ko) * 2017-03-21 2018-10-02 홍병환 야채 수납 박스 운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158A (ko)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유니콘 공압 시스템의 배압 역류 방지장치
CN112374020A (zh) * 2020-11-05 2021-02-19 苏州南师大科技园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产线的工件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671B1 (ko)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CN102020091B (zh) 阻挡装置、存储辊道台、摩擦提取器以及堆垛机
US3247952A (en) Track switch for suspension conveyor system
KR200446419Y1 (ko) 전복선별장치
EP2366281B1 (fr) Machine de retournement automatique d'objets conditionnés sur claies
EP3482777A1 (en) Device and process for cleaning flat objects
KR101443659B1 (ko) 계란 포장기
CS271466B2 (en) Equipment for egg transportation
US20200375113A1 (en) Crop Cart Cleaning and Unloading System
DE60200304T2 (de) Fördersystem für Plastikbehälter
WO2018122678A1 (en) Apparatus for grading and sorting respective products, in particular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EP1554918B1 (fr) Machine de recolte de produits genre poireaux notamment
EP1960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articles
KR20210004436A (ko) 난좌 수거장치
JP7231920B2 (ja) 籠用洗浄装置
KR101638360B1 (ko) 멀티 자동판매기용 리프트
FR2476601A1 (fr) Appareil et procede pour remplir une caisse d'articles de forme arrondie et de dimensions variees, tete de transport a depression et ensemble a transporteurs d'alimentation d'etalement et d'accumulation
JP4802416B2 (ja) 果実等の選別装置
FR2934470A1 (fr) Dispositif d'effeuillaison et de classement des feuilles de pieds de tabac
US6644905B1 (en) Bin filler for fruit crops
FR3013035A1 (fr) Procede de remplissage de caisse en objets fragiles
KR101658886B1 (ko) 옷걸이 이송장치
KR102372013B1 (ko) 세척기 배출구용 커튼
JP3076435B2 (ja) 育苗箱集積装置
JP3418587B2 (ja) 育苗箱集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