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239B1 -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239B1
KR102070239B1 KR1020190063090A KR20190063090A KR102070239B1 KR 102070239 B1 KR102070239 B1 KR 102070239B1 KR 1020190063090 A KR1020190063090 A KR 1020190063090A KR 20190063090 A KR20190063090 A KR 20190063090A KR 102070239 B1 KR102070239 B1 KR 10207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plate
contact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시스템챤넬(주) filed Critical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to KR102019006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239B1/ko
Priority to PCT/KR2020/002509 priority patent/WO20202420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에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를 고정배치 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 또한 절감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천장에 기설정된 간격마다 교차 연결되는 일측방향 쪽의 빔(10a,10b)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20a,20b)들로 이루어진 천장 빔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 비구조체가 천장에 고정배치되게 지지시켜주는 비구조체 지지부재(50)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체결공(110)들이 관통형성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과; 일단부가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가 연결된 곳의 빔(10a,20a)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한 곳의 빔(10b,20b)의 플랜지(11b,21b)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Ceiling beam structure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에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를 고정배치 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 또한 절감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 중 대형구조물 시공 시 천장에 배치되는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 등과 같이 건축구조물이 아닌 구조체인 비구조체가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구성 및 공간활용을 극대화시켜주는 철골구조물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철골구조물은 H형 빔 또는 I형 빔을 포함하는 천장 빔 구조체이다.
이러한, 천장 빔 구조체에 비구조체를 고정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천장 빔 구조체에 수천개의 고정구멍을 천공한 후 그 천공된 수많은 고정구멍 마다 고정봉들을 내삽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인데, 이때, 수천개의 고정구멍 형성 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많이 발생되기 때문에, 반도체 공정을 수행하는 대형구조물에서는 적합하지 않아 빔 클램프(특허문헌 1 참조)를 이용하여 비구조체를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에 비구조체를 고정배치하는데 이용되는 종래의 빔 클램프 또한 비구조체인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 등의 수가 많기 때문에 그 수 또한 비례하여 고정설치되야 함으로서, 수천개가 구비제공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시공비용 또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948662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에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를 고정배치 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 또한 절감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는, 건축물의 천장에 기설정된 간격마다 교차 연결되는 일측방향 쪽의 빔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들로 이루어진 천장 빔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 비구조체가 천장에 고정배치되게 지지시켜주는 비구조체 지지부재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체결공들이 관통형성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과; 일단부가 한 곳의 빔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가 연결된 곳의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는, 일측이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상기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 간을 고정연결시켜주는 일자형 결합부재간 연결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는, 일단부가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가 연결된 빔의 플랜지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는,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십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십자형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는,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티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티자형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는, 일측방향 쪽의 빔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들이 뒤틀리지 않도록 서로 연결시켜주는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를 관통되게 안내하는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는,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에는,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세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티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에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를 고정배치 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 또한 절감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의 어느 곳에서도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의 고정배치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나타낸 전체구성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 및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 부분을 연결시키는 일자형 결합부재간 연결대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 및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십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십자형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티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티자형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를 관통되게 안내하는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에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세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티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통해 비구조체가 고정배치된 것을 나타낸 실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나타낸 전체구성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 및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는 바닥지지체(30)에 지지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천장에 기설정된 간격마다 일측방향 쪽의 빔(10a,10b)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20a,20b)들이 교차 연결되는 천장 빔 구조체에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를 고정배치 시 작업공정의 간소화를 통한 작업시간이 단축되도록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 및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를 제공한다.
먼저, 일측방향 쪽의 빔(10a,10b)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20a,20b)들은 격자문양처럼 직교하여 교차배치되거나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또는 마름모꼴과 같이 사선으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등 건축 구조물의 형상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교차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빔(10a,10b,20a,20b)은 H형 빔 또는 I형 빔 등 다양한 빔 형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는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가 천장에 고정배치되게 지지시켜주는 비구조체 지지부재(50)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체결공(110)들이 관통형성된 부재이다.
여기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는 크기 규격에 따라 기본형과 소형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는 구조용 각형강관으로, 기본형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a)와 소형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b)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비구조체의 중량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체결부재는 볼트 체결과 같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에 관통형성된 체결공(11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부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는 일단부가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의 세부구성은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2111a)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211a) 및 하측체결공간(2111a)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2121a)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212a)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2111a) 및 상측체결공간(2121a)에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한 곳의 빔(10a,20a)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배치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일측 일자형 빔 체결체(210a)와; 상측 빔 체결체(211a)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221a), 상기 상측 빔 체결체(211a)와 상기 하측 빔 체결체(212a)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측 밀착판(221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222a)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측 밀착판(222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223a)을 갖는 일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220a)와; 일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220a)의 수평측 밀착판(221a)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231a),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적층 수평측 밀착판(231a)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232a)을 갖는 일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230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측 빔 체결체(211a) 및 하측 빔 체결체(212a)는 볼트를 이용한 체결인 체결부재(213a)를 통해 고정되고,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와도 착탈가능한 볼트체결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가 일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220a)와 일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230a)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착탈가능한 체결부재(234a,235a)로 고정된다.
또한, 상측 빔 체결체(211a)와 하측 빔 체결체(212a) 사이에 체결되는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의 두께는 비구조체의 중량이나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즉,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의 두께는 건설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상측 빔 체결체(211a)와 하측 빔 체결체(212a)가 다양한 두께를 갖는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측 빔 체결체(211a)의 하면에는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2112a)가 돌출되고,
하측 빔 체결체(212a)의 상면에는 그 돌출된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2112a)의 대응되는 위치에 두께 조절 공간(2122a)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측 빔 체결체(211a)의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2112a)가 하측 빔 체결체(212a)의 두께 조절 공간(2122a)에 진입되되,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의 두께에 맞게 조절되어 진입되어진다.
이때, 상측 빔 체결체(211a)의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2112a)와 하측 빔 체결체(212a)의 두께 조절 공간(2122a)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끼워진 상측 빔 체결체(211a)와 하측 빔 체결체(212a)가 헛돌지 않게 다각형상을 갖도록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에도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와 두께 조절 공간이 제공되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는 일단부가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가 연결된 곳의 빔(10a,20a)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한 곳의 빔(10b,20b)의 플랜지(11b,21b)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의 세부구성은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의 세부구성과 대응되는 구조로서,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2111b)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211b) 및 하측체결공간(2111b)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2121b)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212b)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2111b) 및 상측체결공간(2121b)에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한 곳의 빔(10a,20a)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배치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타측 일자형 빔 체결체(210b)와; 상측 빔 체결체(211b)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221b), 상측 빔 체결체(211b)와 하측 빔 체결체(212b)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측 밀착판(221b)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222b)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수직측 밀착판(222b)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223b)을 갖는 타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220b)와; 타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220b)의 수평측 밀착판(221b)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231b),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적층 수평측 밀착판(231b)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232b)을 갖는 타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230b);로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상측 빔 체결체(211b) 및 하측 빔 체결체(212b)도 체결부재(213b)를 통해 고정되고, 한 곳의 빔(10a,20a)의 플랜지(11a,21a)와도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측이 타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220b)와 타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230b)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착탈가능한 체결부재(234b,235b)로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는 일정한 길이의 규격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일측방향 쪽의 빔(10a,10b)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20a,20b)들 사이의 간격 길이가 건축구조물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와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 부분을 연결시켜주는 수단이 요구된다.
이에, 도 5를 참조하여, 일측이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와 연결되고, 타측이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와 연결되어,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와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200b) 간을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연결시켜주는 일자형 결합부재간 연결대(240)가 제공되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의 어느 곳에서도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의 고정배치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연결부재들을 제공하여 준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 및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의 어느 곳에서도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의 고정배치가 가능하도록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300a)와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300b)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300a)는 일단부가 다른 한 곳의 빔(10b)의 플랜지(11b) 일측에 착탈부재(313a)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단부에 착탈부재(324a,335a)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300a)의 세부구성은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3111a)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311a) 및 하측체결공간(3111a)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3121a)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312a)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3111a) 및 상측체결공간(3121a)에 다른 한 곳의 빔(10b)의 플랜지(11b)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10b)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배치방향과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일측 꺾임형 빔 체결체(310a)와; 상측 빔 체결체(311a)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321a), 상측 빔 체결체(311a)와 하측 빔 체결체(312a)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측 밀착판(321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322a)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수직측 밀착판(322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323a)을 갖는 일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320a)와; 일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320a)의 수평측 밀착판(321a)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331a),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적층 수평측 밀착판(331a)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332a)을 갖는 일측 꺾임형 상부관 지지구(330a);로 이루어진다.
한편,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300a)에서도 상측 빔 체결체(311a) 및 하측 빔 체결체(312a)에 각각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와 두께 조절 공간이 제공되어 건설조건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갖는 다른 한 곳의 빔(10b)의 플랜지(11b)의 두께에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는, 후술되는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3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300b)는 일단부가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200a)가 연결된 빔(10b)의 플랜지(11b) 타측에 착탈부재(313b)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단부에 착탈부재(324b,335b)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300b)의 세부구성은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300a)의 세부구성과 대응되는 구조로서,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3111b)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311b) 및 하측체결공간(3111b)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3121b)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312b)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3111b) 및 상측체결공간(3121b)에 다른 한 곳의 빔(10b)의 플랜지(11b)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10b)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배치방향과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타측 꺾임형 빔 체결체(310b)와; 상측 빔 체결체(311b)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321b), 상측 빔 체결체(311b)와 하측 빔 체결체(312b)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측 밀착판(321b)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322b)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수직측 밀착판(322b)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323b)을 갖는 타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320b)와; 타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320b)의 수평측 밀착판(321b)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331b),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적층 수평측 밀착판(331b)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332b)을 갖는 타측 꺾임형 상부관 지지구(330b);로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십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십자형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의 어느 곳에서도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의 고정배치가 가능하도록 추가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을 십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십자형 연결부재(4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십자형 연결부재(400)의 세부구성은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판(411),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41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412),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41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413),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제1 수직측 수평판(41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414) 및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제2 수직측 밀착판(413)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밀착판(415)을 갖는 십자형 관 지지구(410)와; 상부 밀착판(411)에 밀착되어,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체결부재(421a)를 통해 고정시키는 중앙 체결판(421), 중앙 체결판(42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 하부 밀착판(414)에 하면이 밀착된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체결부재(422a)를 통해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422) 및 중앙 체결판(42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2 하부 밀착판(415)에 하면이 밀착된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체결부재(423a)를 통해 고정시키는 제2측 체결판(423)을 갖는 십자형 관 체결구(420);로 이루어진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티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티자형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의 어느 곳에서도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의 고정배치가 가능하도록 추가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을 티자(T)형으로 연결시켜주는 티자형 연결부재(5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티자형 연결부재(500)의 세부구성은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판(511),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51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512),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51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513) 및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제1 수직측 수평판(51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514)을 갖는 티자형 관 지지구(510)와; 상부 밀착판(511)에 밀착되어,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체결부재(521a)를 통해 고정시키는 중앙 체결판(521) 및 중앙 체결판(52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 하부 밀착판(514)에 하면이 밀착된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체결부재(522a)를 통해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522)을 갖는 티자형 관 체결구(520);로 이루어진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를 관통되게 안내하는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구조물의 천장에 격자배치되는 일측방향 쪽의 빔(10a,10b)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20a,20b)들이 뒤틀리지 않도록 서로 연결시켜주는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60)가 설치제공되어진다.
이에,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의 어느 곳에서도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의 고정배치가 가능하도록 그 고정배치되는 비구조체가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60)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60)를 관통되게 안내하는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6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600)의 세부구성은 일측 상면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측 하면과 밀착되고, 타측 상면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측 하면과 밀착되되, 그 밀착되는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간에는 이격되게 밀착되는 연결부재간 연결판(611),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재간 연결판(611)의 양측에 각각 제1 이탈방지용 경사판(612) 및 제2 이탈방지용 경사판(613)을 갖는 연결부재간 연결구(610)와; 이격 배치된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621), 이격 배치된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각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수평측 밀착판(62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되, 수평측 밀착판(621)과는 닿지 않는 제1 수직측 밀착판(622) 및 이격 배치된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각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수평측 밀착판(62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되, 수평측 밀착판(621)과는 닿지 않는 제2 수직측 밀착판(623)으로 이루어져, 와이어 관통공간(601)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용 체결구(6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부재간 연결판(611) 상에는 공간조절용 구멍들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관통형성되어 있어,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제공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에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700)는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이음연결시켜주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700)의 세부구성은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711a)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711) 및 하측체결공간(711)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712a)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712)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711a) 및 상측체결공간(712a)에 다른 한 곳의 빔(10a)의 플랜지(11a)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10a)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배치방향과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꺾임형 빔 체결체(710)와; 상부 밀착판(721),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72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722),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72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723),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제1 수직측 수평판(72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724)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제2 수직측 밀착판(723)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밀착판(725)을 갖는 일자 이음형 관 지지구(720)와; 상부 밀착판(721)에 밀착고정되는 중앙 체결판(731), 중앙 체결판(73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 하부 밀착판(724)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732) 및 중앙 체결판(73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2 하부 밀착판(725)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제2측 체결판(733)을 갖는 일자 이음형 관 체결구(7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700)에서도 상측 빔 체결체(711) 및 하측 빔 체결체(712)에 각각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와 두께 조절 공간이 제공되어 건설조건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갖는 다른 한 곳의 빔(10a)의 플랜지(11a)의 두께에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제공한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 중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세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티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 부분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티자(T)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800)는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세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이음연결시켜주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티자(T)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800)의 세부구성은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811a)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811) 및 하측체결공간(811)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812a)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812)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811a) 및 상측체결공간(812a)에 다른 한 곳의 빔(10a)의 플랜지(11a)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10a)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배치방향과는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고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배치방향과는 직교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교차형 빔 체결체(810)와; 상부 밀착판(821),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82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822),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부 밀착판(82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823),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제1 수직측 수평판(82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824)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제2 수직측 밀착판(823)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밀착판(825)을 갖는 교차 이음형 관 지지구(820)와; 상부 밀착판(821)에 밀착고정되는 중앙 체결판(831), 중앙 체결판(83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 하부 밀착판(824)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832) 및 중앙 체결판(83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2 하부 밀착판(825)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제2측 체결판(833)을 갖는 교차 이음형 관 체결구(830)와; 교차형 빔 체결체(8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측면이 밀착되는 측면 밀착판(841),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상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면 밀착판(842)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들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100)의 하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하면 밀착판(843)을 갖는 추가 연결구(840);로 이루어진다.
한편, 티자(T)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800)에서도 상측 빔 체결체(811) 및 하측 빔 체결체(812)에 각각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와 두께 조절 공간이 제공되어 건설조건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갖는 다른 한 곳의 빔(10a)의 플랜지(11a)의 두께에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를 통해 비구조체가 고정배치된 것을 도 24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는 트레이(T)나 덕트(D) 등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고정하여 설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는 대형구조물의 천장 빔 구조체의 어느 곳에서도 배관, 전기, 덕트 또는 공장 조립라인을 포함하는 비구조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배치할 수 있다.
10a,10b : 일측방향 빔 11a,11b : 웨브
12a,12b : 플랜지 20a,20b : 타측방향 빔
30 : 바닥지지체 50 : 비구조체 지지부재
60 :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 100 :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110 : 체결공 200a :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
210a : 일측 일자형 빔 체결체 210b : 타측 일자형 빔 체결체
211a,211b,311a,311b,711,811 : 상측 빔 체결체
2112a : 두께 조절 안내용 돌기
2111a,2111b,3111a,3111b,711a : 하측 체결공간
212a,212b,312a,312b,712,812 : 하측 빔 체결체
2121a,2121b,3121a,3121b,712a : 상측 체결공간
2122a : 두께 조절 공간
213a,234a,235a,213b,234b,235b,313a,324a,335a,313b,324b,335b,421a,422a,423a,521a,522a,624,625 : 체결부재
220a : 일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 220b : 타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
221a,221b,321a,321b,621 : 수평측 밀착판
222a,222b,322a,322b : 수직측 밀착판
223a,223b,323a,323b : 수평측 지지판
230a : 일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 230b : 타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
231a,231b,331a,331b : 적층 수평측 밀착판
232a,232b,332a,332b : 상부관 지지판
240 : 일자형 결합부재간 연결대 300a :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
310a : 일측 꺾임형 빔 체결체 310b : 타측 꺾임형 빔 체결체
320a : 일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
320b : 타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
330a : 일측 꺾임형 상부관 지지구
330b : 타측 꺾임형 상부관 지지구
400 : 십자형 연결부재 410 : 십자형 관 지지구
411,511,721,821 : 상부 밀착판
412,512,722,822 : 제1 수직축 밀착판
413,513,723,823 : 제2 수직축 밀착판
414,514,724,824 : 제1 하부 밀착판
415,725,825 : 제2 하부 밀착판 420 : 십자형 관 체결구
421,521,731,831 : 중앙 체결판 422,522,732,832 : 제1측 체결판
423,733,833 : 제2측 체결판 500 : 티자형 연결부재
510 : 티자형 관 지지구 520 : 티자형 관 체결구
600 :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 610 : 연결부재간 연결구
611 : 연결부재간 연결판 620 : 공간형성용 체결구
622 : 제1 수직측 밀착판 623 : 제2 수직측 밀착판
700 :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 710 : 꺾임형 빔 체결체
720 : 일자 이음형 관 지지구 800 : 티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
810 : 교차형 빔 체결체 820 : 교차 이음형 관 지지구
830 : 교차 이음형 관 체결구 840 : 추가 연결구
841 : 측면 밀착판 842 : 상면 밀착판
843 : 하면 밀착판

Claims (15)

  1. 건축물의 천장에 기설정된 간격마다 교차 연결되는 일측방향 쪽의 빔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들로 이루어진 천장 빔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
    비구조체가 천장에 고정배치되게 지지시켜주는 비구조체 지지부재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체결공들이 관통형성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과;
    일단부가 한 곳의 빔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가 연결된 곳의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는,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 및 상기 하측체결공간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 및 상측체결공간에 한 곳의 빔의 플랜지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한 곳의 빔의 배치방향이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배치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일측 일자형 빔 체결체와; 상기 상측 빔 체결체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 상기 상측 빔 체결체와 상기 하측 빔 체결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 및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을 갖는 일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와; 상기 일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의 수평측 밀착판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적층 수평측 밀착판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을 갖는 일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는,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 및 상기 하측체결공간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 및 상측체결공간에 한 곳의 빔의 플랜지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한 곳의 빔의 배치방향이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배치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타측 일자형 빔 체결체와; 상기 상측 빔 체결체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 상기 상측 빔 체결체와 상기 하측 빔 체결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 및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을 갖는 타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와; 상기 타측 일자형 하부관 지지구의 수평측 밀착판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적층 수평측 밀착판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을 갖는 타측 일자형 상부관 지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와 상기 타측 일자형 결합부재 간을 고정연결시켜주는 일자형 결합부재간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일자형 결합부재가 연결된 빔의 플랜지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꺾임형 결합부재는,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 및 상기 하측체결공간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 및 상측체결공간에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의 배치방향이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배치방향과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일측 꺾임형 빔 체결체와; 상기 상측 빔 체결체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 상기 상측 빔 체결체와 상기 하측 빔 체결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 및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을 갖는 일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와; 상기 일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의 수평측 밀착판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적층 수평측 밀착판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을 갖는 일측 꺾임형 상부관 지지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 꺾임형 결합부재는,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 및 상기 하측체결공간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 및 상측체결공간에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의 배치방향이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배치방향과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타측 꺾임형 빔 체결체와;
    상기 상측 빔 체결체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 상기 상측 빔 체결체와 상기 하측 빔 체결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측 밀착판 및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 쪽 하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측 지지판을 갖는 타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와;
    상기 타측 꺾임형 하부관 지지구의 수평측 밀착판에 밀착되는 적층 수평측 밀착판,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단부 쪽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적층 수평측 밀착판에서 연장되는 상부관 지지판을 갖는 타측 꺾임형 상부관 지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십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십자형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수직측 수평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 및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수직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밀착판을 갖는 십자형 관 지지구와;
    상기 상부 밀착판에 밀착되어,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중앙 체결판, 상기 중앙 체결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부 밀착판에 하면이 밀착된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 및 상기 중앙 체결판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하부 밀착판에 하면이 밀착된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측 체결판을 갖는 십자형 관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을 티자형으로 연결시켜주는 티자형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티자형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밀착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 및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수직측 수평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을 갖는 티자형 관 지지구와;
    상기 상부 밀착판에 밀착되어,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중앙 체결판 및 상기 중앙 체결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부 밀착판에 하면이 밀착된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을 갖는 티자형 관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일측방향 쪽의 빔들과 타측방향 쪽의 빔들이 뒤틀리지 않도록 서로 연결시켜주는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뒤틀림 방지용 와이어를 관통되게 안내하는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관통형 연결부재는,
    일측 상면이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측 하면과 밀착되고, 타측 상면이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측 하면과 밀착되되, 그 밀착되는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간에는 이격되게 밀착되는 연결부재간 연결판을 갖는 연결부재간 연결구와;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간 연결판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이탈방지용 경사판 및 제2 이탈방지용 경사판, 이격 배치된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측 밀착판, 이격 배치된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각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측 밀착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수평측 밀착판과는 닿지 않는 제1 수직측 밀착판 및 이격 배치된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와 또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각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측 밀착판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수평측 밀착판과는 닿지 않는 제2 수직측 밀착판으로 이루어져, 와이어 관통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용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는,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 및 상기 하측체결공간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 및 상측체결공간에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배치방향과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꺾임형 빔 체결체와;
    상부 밀착판,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수직측 수평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수직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밀착판을 갖는 일자 이음형 관 지지구와;
    상기 상부 밀착판에 밀착고정되는 중앙 체결판, 상기 중앙 체결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부 밀착판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 및 상기 중앙 체결판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하부 밀착판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측 체결판을 갖는 일자 이음형 관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세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이음연결시켜주는 티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티자 이음형 강관 연결부재는,
    하측의 일부면에 하측체결공간을 갖는 상측 빔 체결체 및 상기 하측체결공간에 대응되는 상측의 일부면에 상측체결공간을 갖는 하측 빔 체결체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하측체결공간 및 상측체결공간에 다른 한 곳의 빔의 플랜지가 진입되어 연결되되, 그 진입되어 연결된 다른 한 곳의 빔의 배치방향이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배치방향과는 평행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고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배치방향과는 직교되게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교차형 빔 체결체와;
    상부 밀착판,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수직측 밀착판,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밀착판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직측 밀착판,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수직측 수평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하부 밀착판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수직측 밀착판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밀착판을 갖는 교차 이음형 관 지지구와;
    상기 상부 밀착판에 밀착고정되는 중앙 체결판, 상기 중앙 체결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부 밀착판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측 체결판 및 상기 중앙 체결판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하부 밀착판에 하면이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그 밀착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측 체결판을 갖는 교차 이음형 관 체결구와;
    상기 교차형 빔 체결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재용 연결부재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측면이 밀착되는 측면 밀착판,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상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면 밀착판 및 지지부재용 연결부재들 중 이음 연결되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용 연결부재의 하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하면 밀착판을 갖는 추가 연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KR1020190063090A 2019-05-29 2019-05-29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KR102070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90A KR102070239B1 (ko) 2019-05-29 2019-05-29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PCT/KR2020/002509 WO2020242014A1 (ko) 2019-05-29 2020-02-21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90A KR102070239B1 (ko) 2019-05-29 2019-05-29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239B1 true KR102070239B1 (ko) 2020-01-29

Family

ID=6932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090A KR102070239B1 (ko) 2019-05-29 2019-05-29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0239B1 (ko)
WO (1) WO20202420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14A1 (ko) * 2019-05-29 2020-12-03 성화시스템챤넬(주)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8937B2 (ja) * 1990-05-01 1999-08-03 ナカ工業株式会社 天井構造
KR20010068119A (ko) * 2001-04-25 2001-07-13 이병구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
KR100948662B1 (ko) 2008-06-25 2010-03-18 이점용 빔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4238B2 (en) * 2002-11-12 2005-02-15 Alfred Boots Structural connection system for frameworks
KR100725258B1 (ko) * 2004-06-17 2007-06-08 김권희 천장용 패널의 설치 장치
KR102070239B1 (ko) * 2019-05-29 2020-01-29 성화시스템챤넬(주)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8937B2 (ja) * 1990-05-01 1999-08-03 ナカ工業株式会社 天井構造
KR20010068119A (ko) * 2001-04-25 2001-07-13 이병구 클린룸의 천장틀 결합구조
KR100948662B1 (ko) 2008-06-25 2010-03-18 이점용 빔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14A1 (ko) * 2019-05-29 2020-12-03 성화시스템챤넬(주)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2014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2766A1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KR102070239B1 (ko) 건축물에 비구조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천장 빔 구조체
CA2762775C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CN116905833B (zh) 一种单元式变通风口立面式鱼鳞幕墙的施工方法
KR101658954B1 (ko) 격자보형 이중마루 하부구조물
CN104805931A (zh) 一种房屋建筑集成组装墙体及组装方法
CN209353532U (zh) 轻钢龙骨隔墙的固定支座
KR102150222B1 (ko) 트러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JP6782144B2 (ja) 野縁固定部材、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構築方法
CN220600656U (zh) 一种可调装配式槽钢支吊架
CN220666460U (zh) 一种装配式沟渠
JPH11310974A (ja) C型鋼製建材の振動防止構造及び防止方法
CN210238789U (zh) 一种便于安装和拆卸的钢结构房屋
KR102471233B1 (ko) 면진 이중마루
CN220666916U (zh) 装配式整体隔墙板与全预制卫生间连接铝模板加固构造
CN116657798B (zh) 铝单板幕墙、装配式铝单板幕墙系统及安装方法
US4542612A (en) System for forming structural concrete
CN217128969U (zh) 一种建筑模板夹具
CN215858429U (zh) 一种金属花格对接用h型卡件
JP7348771B2 (ja) ユニット建物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242908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닥재용 멀티 지지대
JP7208028B2 (ja) 耐震天井構造の施工方法
CN108286304B (zh) 单层跌级吊顶及安装方法
KR200223787Y1 (ko) H빔결합용 건축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