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90B1 -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 Google Patents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90B1
KR102069690B1 KR1020180027274A KR20180027274A KR102069690B1 KR 102069690 B1 KR102069690 B1 KR 102069690B1 KR 1020180027274 A KR1020180027274 A KR 1020180027274A KR 20180027274 A KR20180027274 A KR 20180027274A KR 102069690 B1 KR102069690 B1 KR 10206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grafting
stem
tre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171A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8002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5Cutting; Inser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과제: 종래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고 분재나 정원수의 필요한 부분에 가지를 형성할 가능성이 크고 절차가 간단한 접목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방법: 2~10년간 자란 분 호접용 접수를 V자 형태로 꺾어 튜브나 캡 등을 이용하여 줄기를 원형 형상으로 만들고, 대목에 드릴로 천공하되, 천공면이 최대한 접수의 꺾인 면과 같은 형상을 하도록 하여 형성층이 맞도록 하는 분 호접방법을 이용한 접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Grafting methods}
본 발명은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히는 2~10년간 자란 분 호접용 접수를 V자 또는 U자 형태로 꺾어 튜브나 캡 등을 이용하여 줄기를 원형 형상으로 만들고, 대목에 드릴로 천공하되, 천공면이 최대한 접수의 꺾인 면과 같은 형상을 하도록 하여 대목과 접수의 형성층이 맞도록 하는 분 호접방법을 이용한 접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재나 정원수에 가지가 필요하지만 가지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가지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접목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피가 트거나 나이가 많은 대목이어서 접목이 불편하거나 수피를 떼어내야 하여 접목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칼이나 끌을 이용하여 목질부와 접수와 대목을 절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가지를 유인하여 가지접을 할 수도 있지만, 가지의 위치나 가지 눈의 크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같은 계통의 나무 묘목을 포트나 분에 재배하여 분 호접도 가능하나 접수의 방향이나 대목의 생김새, 굵기 등의 이유로 원하는 자리에 가지를 달 수 없고 트러블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1117527호에는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복원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이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방법은 접목 공정이 너무 많고, 분 호접으로는 트러블을 일으키고, U자형 드릴 접목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10-2011-52393호 접수조제기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에서는 뿌리가 없는 접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목에 구멍을 뚫는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고, 종래의 접목법보다 빠르고 편리한데, 접목 성공확률이 낮고 접목 후에도 생장이 더딘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17527호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방법"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52393 "접수조제기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고 분재나 정원수의 필요한 부분에 가지를 형성할 가능성이 크고 절차가 간단한 접목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2~10년간 자란 분 호접용 접수를 V자 또는 U자 형태로 꺾어 튜브나 캡 등을 이용하여 접수의 줄기를 접목에 적합하한 형상으로 만들고, 대목에 드릴로 천공하되, 대목의 천공면이 최대한 접수의 꺾인 면과 같은 형상을 하도록 하고, 접수와 대목의 맞닿는 부분에서 형성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여 접수와 대목이 잘 붙도록 하는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발명은
가) 대목과, 대목과 동종의 수목으로서 화분에 심기거나, 또는 대목 옆에 심어진 수목을 접수로 준비하는 단계;
나) 접수의 줄기를 U자 또는 V자로 접고 고정하는 단계;
다) 드릴로 대목의 형성층이 드러나도록 대목에 접구를 형성하는 단계;
라) 상기 U자 또는 V자로 고정된 접수의 줄기 바깥쪽에 형성층이 드러나도록 수피를 제거하는 단계;
마) 상기 접구의 형성층에 상기 수피가 제거된 접수의 형성층이 맞닿도록 삽입하는 단계;
바) 상기 접구에 삽입된 접수의 줄기를 고정하는 단계; 및
사) 상기 접구에 삽입 및 고정된 접수의 줄기에서 접떼기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 단계에서 U자 또는 V자로 접힌 접수의 줄기를 철사 또는 캡으로 고정하는 접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 단계에서 삽입된 접수의 줄기를 피스, 나사 또는 못으로 고정하는 접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 단계에 8주 내지 6개월이 소요되는 접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수의 고정기간은 접수의 굵기, 수종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빠르면 8주 이내에 활착 가능하며, 늦어도 6개월 이내에 활착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사) 단계의 접떼기시 접수의 뿌리쪽 또는 가지쪽을 떼어내는 접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수의 가지를 살리고 싶을 때는 접수의 뿌리를 떼어내며, 접수의 뿌리를 살리고 싶을 때는 접수의 가지를 떼어낸다.
본 발명의 접목방법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대목에 원뿔형 구멍을 뚫어주므로 가지의 위치나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구멍 크기가 같은 분 호접용 접수가 원뿔형 구멍 내로 들어가 밀착되며, 대목의 형성층과 접수의 형성층이 맞닿기 때문에 대목과 접수 간에 물의 흐름이 원활해져서 맞닿는 부분에서 트러블이 일어날 확률이 낮다.
또한, 본 발명의 접목방법은 공정이 단순하며, 어린 접수를 이용하지 않고 2~10년 자란 분 호접용 접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2~10년 된 가지를 한 번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뿌리가 있는 대목과 뿌리가 있는 접수가 함께 생육이 가능하므로 접목 완료시기를 단축함과 동시에 생육 또한 왕성하며, 봄부터 가을까지 접목할 수 있다.
도 1은 접수를 꺾어 철사로 U자로 만든 상태 사진이다.
도 2는 접수를 꺾어 캡을 씌워 U자로 만든 상태 사진이다.
도 3은 드릴을 이용하지 않고, 일반 분 호접 방법으로 접목한 것이다. 대목과 접수 간에 트러블이 일어나 접수가 대목에 접목한 부분이 잘록해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드릴로 접구를 형성하고 접수를 분 호접하여 접목한 것으로, 접목 후 3년이 경과한 상태이고 접목 부분에 트러블이 없다. 왼쪽 상부의 까만 부분이 대목이며, 오른쪽의 하얀 부분이 접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드릴로 접구를 형성하고 분 호접 방법으로 접수를 대목에 접목하고 가지를 접떼기한 뿌리접 식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드릴로 접구를 형성하고 분 호접한 결과이다. 접목 부분에 약간의 트러블이 관찰된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분 호접을 위해 먼저 접수로 사용할 30~50㎝ 정도 자란 소나무 2년생 건실한 묘목을 구입하였다. 지면에서 20~25㎝ 되는 부분에서 철사로 좌우 방향으로 틀며 줄기를 V자 또는 U자 형태로 만들어 꺾었다 (도 1 참조). 한 번에 꺾이지 않으면 타이를 이용하거나 고무줄이나 끈으로 묶은 다음, 10~15일 후 다시 시도하면 가능하다. 또한, 5~10일간 물을 주지 않는 방법 등으로 접수의 수분을 최대한 제거한 후 V자 또는 U자 형태로 꺾어서 원형 캡을 나무 굵기에 맞추어 꺾인 부분에 씌웠다 (도 2 참조). 씌운 길이는 2㎝ 이상이면 가능하다. 접수의 줄기가 V자나 U자 형태로 꺾이지 않았다면 캡의 입구 부분을 1㎝ 정도 살짝 칼집을 내어 삽입하여도 가능하다. 이때 삽입하는 캡의 길이는 3㎝ 이상이 되어야 한다. 나무가 크는 형태에 따라 캡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접구를 형성할 때 사용하는 드릴날의 크기나 접수를 꺾을 때 사용하는 캡의 크기가 일정해야 대목과 접수의 형성층을 맞추기가 용이하다. V자 또는 U자 형태로 만든 접수의 바깥쪽 즉, 접구에 끼워져 대목과 맞닿게 될 쪽은 수피를 제거하여 형성층이 드러나도록 한다. 드릴로 형성하는 대목의 접구에도 형성층이 드러나도록 한다. 접목시 맞닿게 되는 접수의 꺾인 바깥쪽과 대목의 접구는 최대한 동일한 모양이 되도록 형성하여 접목 이후 트러블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드릴 천공 깊이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통상 2㎝ 내외로 굵기는 분 호접용 접수에 맞추어 뚫는다.
대목에 접수를 접목할 부분을 드릴로 천공한 후 접수를 고정하기 위하여 포트나 분의 용토는 가볍고 수분을 오래 머금을 수 있는 피트모스, 코코피트, 이끼 등을 이용한다.
천공 후 분 호접용 접수를 끼우고 대목 두께의 1/5 정도의 피스를 이용하여 접수를 대목에 고정한다. 피스를 이용하여 접수를 대목에 고정할 때는 이후 접수의 절개를 쉽게 하기 위하여 피스의 80% 정도만 깊이 박고, 20% 정도는 쉽게 뺄 수 있게 한다. 피스나 나사, 못 등을 V자 또는 U자로 접힌 부분에 박으면 접수의 접힌 부분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팽창하여 접수의 형성층과 대목의 형성층이 밀착되므로 접수와 대목 형성층 안쪽의 물관을 통하여 대목과 접수 사이에 물과 양분, 무기이온의 이동이 활발해져서 접목이 더욱 원활해지고 접목 부위에 트러블이 일어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접수를 대목의 가지 등에 묶어서 고정한 후 고정부위는 카타파스나 신교나르와 같은 수목 상처보호제로 막아 수분 증발 및 오염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드릴과 분 호접 방법을 이용하여 가지접 외에 뿌리접을 할 수도 있다. 취목이나 높이떼기가 불가능한 소나무류에 분 호접 방법으로 접목한 후 뿌리 부분은 그대로 두고 가지 부분을 제거하여 대목의 뿌리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뿌리만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2, 3>
각 군별로 소나무 각 10주에 대하여 시험 접목하였다. 3월말에 시작하여 9월말까지 성장 정도와 접목부위의 상처가 아문 정도를 관찰하였다.
접목 방법 접목 활착시기 접목 3개월 후
성장 정도
접목 6개월 후
성장 정도
접목부위 상처
아문 정도
드릴 접목 5주 1㎝ 3㎝ 새살이 채워짐
90%
절접 8주 3㎝ 4㎝ 덜 아뭄
70%
분 호접
(대목을 칼로 판 후 접수를 꺾지 않고 분 호접)
9주 10㎝ 15㎝ 덜 아뭄
60%
본 발명
(드릴, 접수를 꺾고 분 호접)
10주 13㎝ 19㎝ 새살이 채워짐
95%

Claims (5)

  1. 가) 대목과, 대목과 동종의 수목으로서 화분에 심기거나, 또는 대목 옆에 심어진 수목을 접수로 준비하는 단계;
    나) 접수의 수분을 제거한 후 줄기를 U자 또는 V자로 접고 접힌 부분에 캡을 씌워 고정하는 단계;
    다) 드릴로 대목에 접구를 형성하되 접구의 형상이 상기 U자 또는 V자로 고정된 접수의 줄기 바깥쪽 형상과 동일한 모양이 되도록, 그리고 대목의 형성층이 드러나도록 접구를 형성하는 단계;
    라) 상기 U자 또는 V자로 고정된 접수의 줄기 바깥쪽에 형성층이 드러나도록 수피를 제거하는 단계;
    마) 상기 대목 접구의 형성층에 상기 수피가 제거된 접수의 형성층이 맞닿아 밀착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바) 상기 접구에 삽입, 밀착된 접수의 줄기를 고정하는 단계; 및
    사) 상기 고정 시로부터 8주 내지 6개월 후 접구에 삽입 및 고정된 접수의 줄기에서 접떼기를 하는 단계;로 구성된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 단계에서 삽입된 접수의 줄기는 피스, 나사 또는 못으로 고정하는 접목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 단계의 접떼기는 접수의 뿌리쪽 또는 가지쪽을 떼어내는 접목 방법.
KR1020180027274A 2018-03-08 2018-03-08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KR10206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74A KR102069690B1 (ko) 2018-03-08 2018-03-08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74A KR102069690B1 (ko) 2018-03-08 2018-03-08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71A KR20190106171A (ko) 2019-09-18
KR102069690B1 true KR102069690B1 (ko) 2020-01-23

Family

ID=6807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74A KR102069690B1 (ko) 2018-03-08 2018-03-08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5198B (zh) * 2020-02-11 2022-04-12 山西农业大学 一种营养钵苗嫁接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27B1 (ko) * 2011-07-07 2012-03-21 김성회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KR101190516B1 (ko) 2012-02-17 2012-10-16 김성회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손상 수피와 가지의 생리적 복원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97A (ja) * 1996-07-03 1998-01-20 Daisuke Goie 樹木の接ぎ木方法
KR20110052393A (ko) 2009-11-12 2011-05-1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접수조제기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
KR101804869B1 (ko) * 2016-04-12 2018-01-10 울산광역시 접목작업용 공구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27B1 (ko) * 2011-07-07 2012-03-21 김성회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KR101190516B1 (ko) 2012-02-17 2012-10-16 김성회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손상 수피와 가지의 생리적 복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71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3753B (zh) 核桃高位嫁接方法
KR102069690B1 (ko)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CN103404348A (zh) 一种流苏老桩的复壮的方法
CN114009232A (zh) 一种茶树嫁接的方法及其应用
CN104115718B (zh) 一种对干形弯曲树木进行外科直化整形的树干校直器及其使用方法
JPH059049B2 (ko)
Gilman et al. Pruning landscape trees and shrubs
CN111512809B (zh) 一种橄榄树高效矮化低位嫁接方法
Hentig et al. Influence of rooting hormones on the propagation of several" new" ornamentals
Bailey The pruning-manual
Elkins et al. Training young trees
Václav Vegetative propagation of birch
JPH0823765A (ja) 山吹の栽培方法
Hofshi Clone your own avocado at home
SU1676476A1 (ru) Способ укоренени черенков розы
Ochse Preliminary Report on a cutting experiment with avocado and mango
RU2052241C1 (ru) Способ вегетативного возобновления лесных насаждений
Mishra Plant reproduction
Stahl Propagation of deciduous fruits
SU1405728A1 (ru) Способ перепрививки плодовых деревьев
Smakel Pruning by pinching and disbudding
JP2003061468A (ja) 芯立する幹がなく樹冠形が半球状に生長する特異形質とどまつと、当該特異形質とどまつのつぎ木増殖法
CN112166853A (zh) 一种高成活率的山茶树嫁接方法
Fukunaga Grafting and topworking the macadamia
FRUIT et al. TECNICAL SE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