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27B1 -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27B1
KR101117527B1 KR1020110067493A KR20110067493A KR101117527B1 KR 101117527 B1 KR101117527 B1 KR 101117527B1 KR 1020110067493 A KR1020110067493 A KR 1020110067493A KR 20110067493 A KR20110067493 A KR 20110067493A KR 101117527 B1 KR101117527 B1 KR 101117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reception
drill
contact
sh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회
Original Assignee
김성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회 filed Critical 김성회
Priority to KR102011006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 호접을 수행한 후,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의 접목법을 수행하여, 수목의 손상된 수관부를 소생시키고 수목의 영구수형을 복원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목법을 이용한 수형복원 방법은, 수관부가 손상되어 죽은 것처럼 보이는 수목을 소생시키고 그 수형을 복원하는데 효과적이므로, 희귀 수목, 천연기념물, 보호수, 노거수 등의 복원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The method for revival of stem and restoration of permanent tree forms using grafting method}
본 발명은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목의 수관부가 손상된 경우에, 접목법을 이용하여 수관부를 소생시키고, 영구적인 수형을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희귀 수목, 천연 기념물, 보호수, 정원수, 분재 등을 포함하는 수목이 자연재해, 병해, 또는 환경변화로 인하여 손상되는 사례가 많다.
종래에는, 이처럼 손상이 있는 수목에 대한 복원방법으로서, 수목의 환부에서 부패부를 제거하고, 살균, 살충 및 방부처리한 후, 그 공간에 충전물을 충전하고, 수목의 수피에 해당하는 인조수피로 마감처리하는 외과수술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한국등록실용신안 제210816호, 2001.01.15.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외과수술 방법만으로 복원된 부분은, 수목의 영구적인 수형복원 및 건강한 수세회복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손상된 수목에 대하여 외과적인 수술을 행하거나 또는 외과적인 수술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 수목 고유의 수형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2가지 이상의 접목 방법을 이용하여 수목을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접목은 대표적인 무성 번식법의 하나로써, 대목(새로운 줄기를 이식받게 되는 식물)과 접수(대목에 이식되는 줄기) 절단면에 있는 형성층을 서로 밀착해 주어, 식물의 양 조직이 서로 융합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상처부위의 유착과정을 거쳐 통도조직이 연결되고 양 조직간의 수분이 교류되면서 하나의 개체로서 자라게 된다.
접목은, 주로 어린 식물을 대목으로 이용하여, 씨앗을 통해 잘 번식이 되지 않거나 품종이 희귀하여 묘목을 구하기 힘든 식물의 번식 또는 증식에 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또는, 대목이 갖는 기능성을 이용하여 식물의 병해를 막거나, 토양전염성 병해의 방지, 저온 신장성이나 내병성 및 내서성 강화, 생육 촉진, 기능성 및 상품성 향상을 위해서 접목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 중에서 호접법은 뿌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의 동속, 동과의 식물을 접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접법은, 대목과 접수의 표피를 각각 벗기고, 대목과 접수의 양쪽 줄기의 형성층을 마주 붙인 후 이를 동여매 준 후, 접목이 잘 되어 대목과 접수가 서로 잘 붙으면, 접수의 접부위 아래쪽(뿌리쪽) 줄기를 잘라서 독립시키는 방법이다.
다른 접목법으로서, 절접법은 지접법이라고도 하며, 뿌리를 제거하지 않는 상태의 식물 줄기를 이용하는 호접법과 달리, 동속, 동과의 식물의 줄기를 일부만을 잘라서 이를 접수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접목법들은, 주로 어린 식물을 대목으로 이용하는 방법들로서, 성목(成木), 특히, 수관부가 손상된 성목을 대목으로 이용하여 접목을 시도하는 경우 실제 접목 성공률이 낮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나무의 수분이 뿌리에서 흡수되어 줄기 하단에 해당하는 수간부, 줄기 상단의 작은 줄기, 가지와 잎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해당하는 수관부를 거쳐 잎까지 이동할 수 있는 원동력이, 잎에서 일어나는 증산작용에 기인한 것인데, 수관부가 손상된 나무의 줄기는 잎도 같이 소실되어 뿌리에서 수분을 끌어올릴 수 있는 원동력인 증산작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 자란 수목들, 특히 희귀 수목, 보호수, 천연 기념물 등과 같은 수목들이 그 수관부에 손상을 입은 경우에 수목을 복원하는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종래의 접목법을 개량하여, 수관부가 손상된 대목에 대한 접목 성공률을 현저히 높임으로써, 1차적으로 수목의 수관부를 소생시킨 후에, 2차적으로 접목 불합치성이 나타나지 않는 수목의 수형 복원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예컨대, 2004년의 폭설 등으로 인해 수관부(북쪽가지)가 손상된 상태인, 그 수령이 600년 이상 되는 속리산 정이품송과 같은 천연기념물 등의 성목을 본래의 수형으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희귀 수목, 천연 기념물, 보호수 등의 수목이 손상된 경우, 손상된 수목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 호접,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등의 접목법을 이용하여, 수관부가 손상된 수목을 소생시키고 영구적인 수형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분 호접을 수행하여 수관부를 소생시키고,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의 접목법을 이용하여 수목의 영구적인 수형을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상기 “분 호접”은, “접수로서 화분에 담기거나 대목의 옆에 심어져 있는 수목을 사용하는 접목법”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드릴 호접”이란, 종래의 호접 방법을 응용한 접목법으로서 “대목에 드릴로 접구를 만들어 접수를 삽입하는 접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차광과 밀폐 절접”이란, 종래의 절접을 개량한 접목법으로서, “접수가 대목에 활착될 때까지 시들지 않고 생리 활성작용을 계속할 수 있도록 증산작용 및 빛을 차단하여 포화습도를 유지하면서 온도를 15~25℃ 내외로 유지해 주는 방법”을 일컫는다.
본 발명은, 일 양태에 의하면,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수형 복원 방법으로서,
수목의 수관부가 손상된 대목과, 상기 대목과 동종의 수목이면서 화분에 담기거나 상기 대목의 옆에 심어져 있는 수목을 분 호접의 접수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대목의 접자리에서, 상기 분 호접의 접수의 굵기에 맞추어 대목의 변재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대목의 변재부(목부)를 제거한 깊이와 길이만큼, 상기 분 호접의 접수의 형성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형성층이 제거된 접수를, 변재부를 제거한 대목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후, 10~20개월 후에 접떼기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 호접을 통해 대목의 수관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 부위에,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수형을 복원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릴 호접은,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서 자라고 있는 줄기를 'U'자 모양으로 접되, 상기 접혀진 줄기가 서로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드릴 호접의 접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인 접구를 드릴로 만드는 단계;
상기 접구에,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접구에 삽입된 드릴 호접의 접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시로부터 12~24개월 후, 접떼기를 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서 자라고 있는 줄기는, 분 호접의 접수가 자란 줄기를 뜻한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줄기를 'U'자 모양으로 접는 시기는 최소 접목 2~4주 전이 좋으나, 길게는 1년도 가능하다. 1년 전에 준비하면 꺾인 부분의 상처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은,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로서, 대목과 동종인 수목의 줄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줄기의 종단을 사선으로 절개하고, 상기 줄기 종단이 사선으로 절개된 절개면의 하부에 위치한 형성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밀폐된 비닐봉지를 준비하여, 상기 비닐봉지의 하단부에 구멍을 뚫고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가 삽입된 구멍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비닐봉지에 물을 넣고, 비닐봉지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단계;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끼울 자리를 만드는 단계;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의 접수 끼울 자리에, 비닐봉지로 밀봉된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삽입하는 단계;
대목의 접수 끼울 자리에 삽입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고정하는 단계;
고정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 주위에, 차광 박스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 박스 설치 후, 4~12개월 후, 상기 차광박스를 제거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 부위에서,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 양 접목법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 호접의 접떼기는 30~70일에 걸쳐 수행하며, 뿌리쪽 줄기를 2~3주 간격으로 표피를 도려내면서 제거한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떼기는 50~80일에 걸쳐 수행하며, 수관부쪽 줄기를 3~4주 간격으로 표피를 도려내면서 제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릴 호접의 접구를 만드는 단계는, 접구 주변의 외피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릴 호접 또는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의 줄기 지름은 5mm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수의 줄기 지름이 5~1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1~2년 동안 자란 가지로서, 마디(절)가 짧고, 충실한 잎눈이 적어도 3~4개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차광박스는 일정한 구조를 갖출 수 있는 칠면체 또는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위에 차광막을 2~3중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광박스는 위쪽 또는 햇빛이 비치는 면에 1~3개의 환풍구가 있고, 바닥 및 옆면의 한쪽은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수형 복원 방법은, 먼저, 손상된 수목의 수관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으로서, 수목의 수관부가 손상된 대목과, 상기 대목과 동종의 수목이면서 화분에 담기거나 상기 대목의 옆에 심어져 있는 수목을 분 호접의 접수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대목의 접자리에서, 상기 분 호접의 접수의 굵기에 맞추어 대목의 변재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대목의 변재부를 제거한 길이와 깊이만큼, 상기 분 호접의 접수의 형성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형성층이 제거된 접수를, 변재부를 제거한 대목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후, 10~20개월 후에 접떼기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 호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 부위에,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수형을 복원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목, 즉,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수형 복원의 대상이 되는 수종으로는, 소나무, 노간주나무, 느티나무, 주목, 향나무, 동백나무, 회화나무, 은행나무, 소사나무, 단풍나무, 팽나무, 망개나무, 배롱나무 등을 들 수 있으나, 수종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분 호접의 접수로서 화분에 담기거나 대목의 옆에 심겨진 동종의 식물을 이용하는데, 상기 접수는 뿌리가 살아있기 때문에, 접목 기간 내에 상기 접수에 대한 물 관리가 필요하다.
상기 분 호접은, 대목의 변재부(목부)를 접수의 굵기에 따라, 대목의 변재부를 제거한 부위만큼 형성층을 제거한 접수를 상기 변재부에 접촉시키므로, 접목 부위가 넓고 접수의 수관부가 다른 접목법에 비해 현저하게 크기 때문에, 드릴 호접이나 차광과 밀폐 절접 등의 다른 접목 방법보다 대목의 수관부 활성화에 더 효과적이다. 상기 변재부는 물과 여러가지 영양물질들이 순환되는 살아있는 부위로서, 형성층이 비교적 최근에 생산한 목부 조직이다.
상기 분 호접의 접수를 대목에 고정시키는 단계에서는, 고무바, 천바, 타카(tacker),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떼기는, 30~70일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뿌리쪽 줄기를 3~4주 간격으로 표피부터 단계적으로 도려내면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위해, 줄기의 너비 3cm 이상을 환상박피할 수 있으며, 1단계에서 50%, 2단계에서 50%씩을 목부만 남기고 외피를 포함한 형성층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박피를 하게 되면, 접수에서 공급받던 무기 영양분의 수급체제를 대목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분 호접을 수행한 후,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이는, 분 호접만을 사용하는 경우 수관부를 짧은 시간 안에 활성화(소생)시킬 수 있으나, 접목 불합치성(접수와 대목의 조직 불일치성)이 나타나 외부 충격(기상이변에 따른 폭설, 강풍 등)이 있을 때, 접목된 접수가 떨어질 수도 있고, 정상 수형을 이루더라도 접수 자체의 무게 등에 의해 접목된 접수가 떨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기에, 접목 불합치성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수목의 접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을 사용함으로써 영구적인 수형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보호수목의 상태에 따라서, 분 호접을 수행한 후 드릴 호접을 수행할 수도 있고, 분 호접을 수행한 후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분 호접을 수행한 후,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을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드릴 호접 수행 후 차광과 밀폐 절접을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차광과 밀폐 절접이 나무의 세부가지를 복원하는 데 가장 적절한 접목법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드릴 호접은,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서 자라고 있는 줄기(분 호접의 접수가 자란 줄기)를 'U'자 모양으로 접되, 상기 접혀진 줄기가 서로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드릴 호접의 접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인 접구를 만드는 단계; 상기 접구에,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접구에 삽입된 드릴 호접의 접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시로부터 12~24개월 후, 접떼기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릴 호접은,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상태의 수목을 대목으로 이용하며, 상기 드릴 호접의 대목의 굵기는 지름이 5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로는,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서 자라고 있는 줄기(분 호접의 접수가 자란 줄기[자가접수])의 일부를 이용한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는, 그 줄기 지름이 5mm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1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처럼, 드릴 호접의 접수로서 대목 자신의 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접목 기간 동안에 물관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드릴로 접구를 만들고, 상기 접구 내에서 접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목 부위가 넓지 않고, 접목 성공 후 가지가 자라면서 대목의 두꺼운 외피를 밀어내며 비배가 이루어져, 접목 불합치성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줄기를 'U'자 모양으로 접는 시기는 최소 접목 2~4주 전이 좋으나, 길게는 1년도 가능하다. 1년 전에 준비하면 꺾인 부분의 상처가 없다.
상기 접구를 만드는 단계에서는, 접구 주변의 외피는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드릴 호접의 접수를, 대목에 삽입 및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접수의 형성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접수를 삽입하며, 접수가 빠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접수 줄기를 철사나 천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접구 주변의 방수 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해, 접구 주변을 접착제 또는 유합제(癒合劑)로 밀봉할 수 있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목 시기는 그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2월~9월까지 가능하며, 특히, 소나무인 경우에는 2월 초순~9월 초순 시기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월 중순에서 4월 말이 가장 좋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떼기는, 50~80일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3~4주 간격으로 수관부쪽 줄기를 표피부터 목부가 드러나도록,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일 예로, 1단계에서는 너비(아래위 폭) 3cm를 환상박피를 50% 수행하며, 2단계에서는 나머지 부분의 줄기를 환상박피하며, 3단계에서는 최종적으로 목부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드릴 호접의 접떼기는 접수의 접입부(접이 이루어진 곳의 하부쪽, 접수의 수관부쪽)보다 접출부(접이 이루어진 곳의 상부쪽)가 1.5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굵을 때 수행하는 것이 좋다.
드릴 호접의 접떼기 시기로는, 그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4월~6월 동안 실시하여 장마철 이전에 마무리하여, 장마기간 내 높은 습도로 인하여 접수목의 세력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장마철 시작이 예상되는 8~10주 전에 접떼기를 시작한다.
본 발명의 차광과 밀폐 절접은,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로서, 대목과 동종인 수목의 줄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줄기의 종단을 사선으로 절개하고, 상기 줄기 종단이 사선으로 절개된 절개면의 하부에 위치한 형성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밀폐된 비닐봉지를 준비하여, 상기 비닐봉지의 하단부에 구멍을 뚫고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그 형성층의 손상 없이 삽입하는 단계;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가 삽입된 구멍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비닐봉지에 물을 넣고, 비닐봉지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단계;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끼울 자리를 만드는 단계;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의 접수 끼울 자리에, 비닐봉지로 밀봉된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삽입하는 단계; 대목의 접수 끼울 자리에 삽입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고정하는 단계; 고정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 주위에, 차광 박스를 설치하는 단계; 및 차광 박스 설치 후, 4~12개월 후, 상기 차광박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목이 소나무일 경우에는 상기 차광박스를 6~8개월이 되었을 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대목으로는,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을 이용한다.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로는, 새로운 나무의 가지를 자른 가지나, 분 호접이나 드릴 호접을 통해 자라고 있는 대목 자신의 줄기를 가지치기하여 자른 가지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나무의 가지는, 동종의 소나무에서 잘라낸 가지이거나, 소나무과의 다른 종의 소나무에서 잘라낸 가지일 수 있다.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을 위한 접수의 줄기 지름은 5~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수를 밀봉하기 위한 봉지는 너비 8~12cm, 길이 18~22cm, 두께 0.05mm 이상인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접수가 삽입된 봉지에 넣는 물은 7㎖ 내외가 적절하다.
상기 접수는, 줄기의 종단을 사선으로 절개하고, 상기 줄기 종단이 사선으로 절개된 절개면의 하부에 위치한 형성층을 제거한 상태로 손질하여 대목의 접구에 삽입되도록 한다. 접수의 줄기 지름이 9~10mm로 굵은 경우에는, 접수를 사선절개하는 대신, 도끼날 형태로 깎을 수 있다.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은, 접목 시기로서, 수목의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월~4월이 바람직하며, 소나무의 경우 2월 5일~3월 말이 가장 바람직하다. 접목 시작 시기를 놓치면 접목 성공률이 떨어지므로, 접목 시기를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차광 접목법은 노지 또는 상자(포트)에서 자라고 있는 상태의 유묘(어린묘목)를 이용하여 접목을 하여 활대를 꽂고 차광막을 덮어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설치가 불편하고, 통풍 등을 위해 차광막을 별도로 관리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접 대상목도 어린나무에 제한되었다. 또한, 접목 형태도 묘상이나 상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였으며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접목의 위치가 제한적이었으나, 본 발명의 차광과 밀폐 절접에 의하면, 지름 3cm 이상 굵기라면 대목의 어느 위치에라도 접목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성목의 복원에 효과적이다.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목 기간은 5개월 내외일 수 있지만, 접목 대상인 수목의 수종에 따라, 접목 기간을 1년 정도 지속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광박스는 칠면체 또는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밑면의 가로는 15~25cm, 세로는 20~30cm, 높이는 25~35cm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철사를 이용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차광박스는 상기 프레임 위에, 차광막을 2~3중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차광박스는 밑면과, 지면을 향하는 한쪽의 옆면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차광막은 비닐하우스 등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차광막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차광막에 의해 90% 이상의 차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광 박스의 위쪽 또는 햇빛이 비치는 면에 1~3개의 환풍구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차광박스를 제거하는 단계는(접떼기단계), 접목 이 후, 접수의 잎이 1cm 이상 자라는 때인 6~8개월 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폐된 봉지를 제거하고, 2~4주 동안 차광막을 일부 제거하면서 접목된 줄기와 잎을 햇볕과 바람에 적응시킨 후에, 상기 차광박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 호접을 수행한 후,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의 접목법을 수행하여, 수목의 수관부를 소생시키고 수형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접목법을 이용하여 심각한 수관부 손상을 입은 수목의 수형 복원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재해, 병해, 또는 환경변화로 인하여, 희귀 수목, 천연 기념물, 보호수, 노거수 등의 수목의 수관부가 손상된 경우, 그 수관부를 소생시키고, 수형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분 호접에 이용되는 접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분 호접에 이용되는 대목의 변재부를 도려낸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분 호접에서 접수를 대목에 고정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분 호접에서 접떼기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분 호접의 접떼기를 완료하고 비배관리한 후의 수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는 분 호접의 접떼기를 완료하고 비배관리한 후의 수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드릴 호접에 이용되는 접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드릴 호접에서 접수가 삽입되는 접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은 드릴 호접에서 접수를 접구에 고정시킨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는 드릴 호접에서 접떼기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차광과 밀폐 절접에 이용되는 접수의 끝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은 차광과 밀폐 절접에 이용되는 접수를 비닐봉지에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는 차광과 밀폐 절접에서 대목에 접수를 끼울 자리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은 차광과 밀폐 절접에서 비닐 봉지로 밀봉된 접수를 대목에 고정시킨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는 차광과 밀폐 절접에서 이용되는 차광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6는 차광과 밀폐 절접에서 이용되는 차광박스의 외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7은 접목불합치된 분 호접의 접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8은 분 호접,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이 모두 실시된 수목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분 호접 수행>
본 발명의 분 호접을 위해서, 2004년 3월 폭설로, 쌍간 중 앞간 높이 2m에서 지름이 15cm 정도의 줄기 3개가 모두 절단되어 쌍간 중 한간을 완전히 잃은 쌍간형의 적송(赤松)을 대목으로 이용하고, 화분에서 자란 4년생의 어린 소나무인 안면도 홍송 2개를 접수(도 1)로 이용했다. 분 호접은 폭설 피해 만 2년 후인 2006년 4월 23일에 시작하였다.
분 호접의 접목 위치를 정한 후, 상기 접수목의 화분을 받침대를 이용하여 접목 위치 옆에 설치하고, 대목에 접수가 맞닿는 부분(접자리에 접수가 완전히 삽입되어서 대목의 표피에서 접수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함)을 고려하여, 대목의 변재부를 도려냈다(도 2 참조).
분 호접을 위한 접수도, 대목과 맞닿는 부분의 형성층을 완전히 제거한 후, 고무바, 천바, 타카, 테잎 등을 이용하여 접수를 대목에 고정시켰다(도 3 참조).
이 후, 1년 동안, 물주기, 비배관리(거름과 물주기로써 식물을 활력있게 가꾸는 것을 말함, 총 5회 수행)를 철저히 하였으며, 겨울철 동해 방지에 주력하였고, 1년 이 후에는, 50일 동안 단계별로 접떼기(접수의 뿌리 부분을 완전히 분리하는 과정)를 실시하였다. 접떼기를 위해서는 뿌리쪽의 줄기를 3주 간격으로 표피 부분부터 도려내었다(도 4 참조). 접떼기 후, 1년 동안 다시 비배관리에 집중하였다.
또한, 분 호접 성공 후 우후죽순으로 자란 접수는 본래의 수형에 따라 가지치기를 해 주었고, 드릴 호접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가지는 계속 성장하도록 유도하였다.
본 발명의 분 호접을 통하여, 대목인 쌍간 적송에 2개의 접수가 성공적으로 접목되었으며, 접수목이 잘 성장하여 대목의 수관부가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도 5 및 도 6 참조).
<실시예 2. 분 호접 수행 후 드릴 호접 수행>
실시예 1의 분 호접을 통해 그 수관부가 활성화된 쌍간 적송을 대목으로 이용하여 드릴 호접을 수행하였다.
드릴 호접을 위해, 분 호접을 통해 접목되어 자라고 있는 줄기 중, 지름이 7mm가 되는 접수로 사용할 5개의 줄기를 접목 3주 이전에 구부려 테이프로 고정시켰다(도 7 참조).
이 후, 접수를 고정시킬 대목의 접자리에, 5mm 이내의 드릴을 이용하여, 구부린 접수의 굵기 및 1.5~2.0cm 깊이만큼 접구(구멍)를 만든 후, 상기 접구(도 8 참조)에 접수를 삽입하였다. 이 때 접수의 형성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하였으며, 접수의 줄기가 꺾일 수 있으므로 유인 철사를 이용하여 줄기를 잡아 고정해 주었다. 또한, 접목 기간 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접구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유합제인 카타파스(cut partner, 일본 제품)를 대목의 접구 주변으로만 밀착하여 붙였다(도 9 참조). 단, 통풍이나 송진배출을 위해서 접구의 아래쪽 일부는 유합제를 붙이지 않았다.
이 후, 18개월 후에 접떼기를 수행하였다. 접떼기를 위해서는 수관부쪽 줄기를 4주 간격으로 표피 부분부터 도려내었다.
<실시예 3. 분 호접 수행 후 차광과 밀폐 절접의 수행>
실시예 1의 분 호접을 통해 그 수관부가 활성화된 쌍간 적송을 대목으로 이용하여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하였다.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채취하기 위해, 1~2년생의 절(1년 동안 자란 마디)이 짧고 잎눈이 충실한 줄기가 달린 소나무를 준비하였다. 상기 소나무 줄기 중 7mm 지름의 줄기 4개를 8cm 길이로 잘라 접수를 준비하였다. 대목에 삽입될 접수의 끝 부분을 사선으로 절개하고, 상기 사선으로 절개된 절개면의 하부에 위치한 형성층을 제거하였다(도 10 참조). 상기 끝부분이 손질된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너비 10cm, 두께 0.05mm 이상, 길이 20cm의 비닐봉지에 삽입하고, 삽입 부분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유합제(카타파스)를 이용하여 밀봉시켰다. 이 후, 5㎖의 물을 비닐봉지 안에 분사하고, 봉지 속의 공기가 최대한 많이 들어가도록 한 후, 상기 비닐 봉지를 밀봉하였다(도 11 참조).
이 후, 대목에 너비 1cm 미만의 끌을 45°각으로 대고, 1cm 깊이의 접구를 만들어(도 12 참조) 접수를 삽입하였다. 접구를 만들 때나, 접수를 삽입할 때는, 대목의 형성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하였다. 또한, 상기 접수는 형성층이 제거된 부분이 대목의 형성층에 맞닿도록 접구에 삽입하였으며, 대목의 접구 주위에는 유합제(카타파스)를 부착하였다. 이 후, 고무바, 천바, 타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접수를 고정하였다(도 13 참조).
접목 직후에는 상기 접수 주위에 차광 박스를 설치하여 햇빛을 차단하면서도 통풍이 자연스럽게 되도록하여, 밀봉된 접수가 고온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차광 박스는 철사를 프레임으로 이용하여 칠면체 형태로 만들었으며, 상기 차광박스의 프레임의 밑면은, 가로 20cm, 세로 25cm가 되게 하였으며, 높이는 30cm가 되게 제작하였다. 상기 차광박스는, 나무와 닿는 밑면과, 지면을 향하는 한쪽의 옆면을 제외한 채, 비닐하우스 등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차광막을 2중으로 설치하였고, 상기 차광 박스의 위쪽 또는 햇빛이 비치는 면에는 2개의 환풍구를 만들었다(도 15 및 16 참조).
상기 밀봉 봉지 및 차광박스의 제거는 접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다가, 접목 5개월 후 접수의 잎이 1cm 이상 자란 후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밀봉 봉지 위쪽의 모서리를 2cm 정도 제거하였으며, 밀봉 봉지 내의 물이 모두 증발한 후에 접수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비닐을 제거하였다. 밀봉 봉지를 제거한 이후에도, 차광 박스는 그대로 두거나 또는 아침?저녁으로 차광 박스를 일부 제거하여 3주 정도 바깥 온도에 적응시키면서 접목된 줄기를 햇빛에 적응시켰다.
<비교예 1. 드릴 호접만 수행>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쌍간 적송과 같은 시기에 피해를 입은 수목으로서, 쌍간 중 뒷간 높이 1.8m에서 지름이 15~17cm 정도가 되는 줄기 2개가 절단된 쌍간 적송을 대목으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상기 대목의 손상된 줄기 중 하나에 드릴 호접만을 수행하였다. 상기 대목의 앞간은 손상되지 않았으므로, 드릴 호접의 접수로는 대목의 앞간의 줄기 4개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2. 차광과 밀폐 절접만 수행>
비교예 1에서 드릴 호접을 수행한 대목의 손상 줄기 이외의 다른 손상 줄기에,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하였다. 이때, 접수로는, 동종의 다른 수목의 적송 가지를 4개 잘라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차광과 밀폐 절접의 밀폐 상태 변화>
상기 실시예 1의 수관부과 활성화된 대목에,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로서 상기 대목의 수목과 동종의 소나무의 줄기 2개를 이용하여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하되, 밀봉 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차광박스만 설치하였다.
<비교예 4. 차광과 밀폐 절접의 차광 상태 변화>
상기 실시예 1의 수관부과 활성화된 대목에,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로서 상기 대목의 수목과 동종의 소나무의 줄기 2개를 이용하여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하되, 밀봉 봉지만 사용하고 차광박스는 설치하지 않았다.
<실험예 1. 접목 안정성 비교>
처음 접목을 시작한지 5년이 되는 때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접목 안정성을 비교하여 표 1에 개시하였다.
조건 접목 상태
실시예 1 - 분 호접을 통해 성공적으로 접목된 2개의 접수는 그 줄기가 잘 자랐음
- 분 호접의 접목 부위에서, 접목불합치성을 보임
실시예 2 - 드릴 호접을 통해 접목된 5개의 접수의 줄기는 모두 잘 자랐음
- 드릴 호접의 접목 부위에서, 접목불합치성이 나타나지 않음
실시예 3 - 차광과 밀폐 절접을 통해 접목된 4개의 접수 중 1개만 떨어지고, 나머지 접수의 줄기는 잘 자랐음
-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목 부위에서, 접목불합치성이 나타나지 않음
비교예 1 - 수관부가 손상된 대목에 대하여 분 호접을 수행하지 않고, 4개의 접수에 대한 드릴 호접만을 수행한 결과, 모두 실패하였음
비교예 2 - 수관부가 손상된 대목에 대하여 분 호접을 수행하지 않고, 4개의 접수에 대한 차광과 밀폐 절접만을 수행한 결과, 모두 실패하였음
비교예 3 - 밀봉 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2개의 접수에 대한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한 결과, 모두 실패하였음
비교예 4 - 차광 박스를 사용하지 않고, 2개의 접수에 대한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한 결과, 모두 실패하였음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 호접을 수행한 실시예 1의 소나무는 2개의 접수가 접목된 부위에서 접목불합치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지만, 손상된 수관부가 활성화되어, 접수목의 줄기가 잘 자랐다. 또한,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드릴 호접 또는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한 결과, 드릴 호접의 경우 접수 5개가 모두 접목에 성공하였고 접목된 접수의 줄기가 잘 자랐으며, 차광과 밀폐 절접의 경우 접수 4개 중 3개가 접목에 성공하였고 접목된 접수의 줄기가 잘 자랐다.
한편, 분 호접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드릴 호접 또는 차광과 밀폐 절접을 수행한 비교예 1 및 2의 소나무에서는 접목이 모두 실패하였다. 이는, 분 호접으로 수관부가 활성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접목을 수행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교예 3 및 4의 소나무에서 차광과 밀폐 절접은 모두 실패하였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와 같이, 밀봉 봉지와 차광 박스를 함께 이용하여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분 호접을 수행하여 손상된 수관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나, 분 호접을 통해 접목된 대목 부위에서 접목불합치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함으로써 수목의 접목 상태를 안정화시키면서도 전체적인 수목의 영구 수형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수형 복원 방법으로서,
    수목의 수관부가 손상된 대목과, 상기 대목과 동종의 수목이면서 화분에 담기거나 상기 대목의 옆에 심어져 있는 수목을 분 호접의 접수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대목의 접자리에서, 상기 분 호접의 접수의 굵기에 맞추어 대목의 변재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대목의 변재부를 제거한 길이와 깊이만큼, 상기 분 호접의 접수의 형성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형성층이 제거된 접수를, 변재부를 제거한 대목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후, 10~20개월 후에 접떼기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 호접을 통해 대목의 수관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 부위에,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수형을 복원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호접은,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서 자라고 있는 줄기를 'U'자 모양으로 접되, 상기 접혀진 줄기가 서로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드릴 호접의 접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 부위에,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가 들어갈 수 있는 접구를 만드는 단계;
    상기 접구에, 상기 드릴 호접의 접수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접구에 삽입된 드릴 호접의 접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시로부터 12~24개월 후, 접떼기를 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수형 복원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은,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로서, 대목과 동종인 수목의 줄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줄기의 종단을 사선으로 절개하고, 상기 줄기 종단이 사선으로 절개된 절개면의 하부에 위치한 형성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밀폐된 비닐봉지를 준비하여, 상기 비닐봉지의 하단부에 구멍을 뚫고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그 형성층의 손상 없이 삽입하되, 대목에 삽입될 접수의 하단이 비닐봉지 밖으로 노출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가 삽입된 구멍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비닐봉지에 물을 넣고, 비닐봉지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단계;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에,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끼울 자리를 만드는 단계;
    상기 분 호접을 통해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의 접수 끼울 자리에, 비닐봉지로 밀봉된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삽입하는 단계;
    대목의 접수 끼울 자리에 삽입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를 고정하는 단계;
    고정된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 주위에, 차광 박스를 설치하는 단계; 및,
    차광 박스 설치 후, 4~12개월 후, 상기 차광박스를 제거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관부가 활성화된 대목 부위에서, 드릴 호접 및 차광과 밀폐 절접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 호접의 접떼기는 30~70일에 걸쳐 수행하며, 뿌리쪽 줄기를 2~3주 간격으로 표피부터 도려내면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호접의 접떼기는 50~80일에 걸쳐 수행하며, 수관부쪽 줄기를 3~4주 간격으로 표피부터 도려내면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호접 또는 상기 차광과 밀폐 절접의 접수의 줄기는 그 지름이 5~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8.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호접의 접구를 만드는 단계에 있어서, 접구 둘레의 외피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박스는 일정한 구조를 갖출 수 있는 칠면체 또는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위에 차광막을 2~3중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복원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박스는 위쪽 또는 햇빛이 비치는 면에 1~3개의 환풍구가 있고, 바닥 및 옆면의 한쪽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복원 방법.















KR1020110067493A 2011-07-07 2011-07-07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KR101117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93A KR101117527B1 (ko) 2011-07-07 2011-07-07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93A KR101117527B1 (ko) 2011-07-07 2011-07-07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527B1 true KR101117527B1 (ko) 2012-03-21

Family

ID=4614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93A KR101117527B1 (ko) 2011-07-07 2011-07-07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8662A (zh) * 2013-02-06 2013-05-15 铜仁市满堂红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千屈菜科紫薇属树干靠接造型法
CN104126419A (zh) * 2014-07-18 2014-11-05 山东农业大学 银杏古树优良无性系种子园建立方法
CN104938226A (zh) * 2015-06-25 2015-09-30 江苏苏林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观赏型凉亭式树冠造型方法
KR20190106171A (ko) 2018-03-08 2019-09-18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122A (ja) * 1994-04-25 1995-11-28 Yuujirou Imashiro 植物の品種改良方法
JP2000139202A (ja) 1998-11-13 2000-05-23 Tsukasa Kataya 短期間で苗木を取り木する方法
KR20110052393A (ko) * 2009-11-12 2011-05-1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접수조제기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
KR20110051910A (ko) * 2009-11-11 2011-05-18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먼나무 일대목 다클론 고접 증식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122A (ja) * 1994-04-25 1995-11-28 Yuujirou Imashiro 植物の品種改良方法
JP2000139202A (ja) 1998-11-13 2000-05-23 Tsukasa Kataya 短期間で苗木を取り木する方法
KR20110051910A (ko) * 2009-11-11 2011-05-18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먼나무 일대목 다클론 고접 증식법
KR20110052393A (ko) * 2009-11-12 2011-05-1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접수조제기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8662A (zh) * 2013-02-06 2013-05-15 铜仁市满堂红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千屈菜科紫薇属树干靠接造型法
CN104126419A (zh) * 2014-07-18 2014-11-05 山东农业大学 银杏古树优良无性系种子园建立方法
CN104938226A (zh) * 2015-06-25 2015-09-30 江苏苏林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观赏型凉亭式树冠造型方法
KR20190106171A (ko) 2018-03-08 2019-09-18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KR102069690B1 (ko) * 2018-03-08 2020-01-23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드릴과 분 호접을 이용한 접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9700B (zh) 一种芳樟扦插繁殖方法
JP2014030418A (ja) 樹木の迅速植栽育成方法
CN104705073A (zh) 一种观赏茶花的嫁接栽培方法
CN104206182A (zh) 一种实生核桃插皮舌接嫁接法
CN101300938A (zh) 一种葡萄嫩枝嫁接硬枝的方法
KR101117527B1 (ko)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수관부 소생 및 영구적인 수형 복원 방법
CN105340546A (zh) 一种大棚黄瓜嫁接苗培育方法
KR101190516B1 (ko) 접목법을 이용한 수목의 손상 수피와 가지의 생리적 복원 방법
CN105165303A (zh) 一种快速培育广东含笑景观树的方法
CN107371823A (zh) 提高山茶花成活率的嫁接方法
CN1327757C (zh) 一种根茎植物嫁接方法
CN105830751A (zh) 一种侧柏粗枝嫁接制作仿古桩盆景的方法
CN107821080A (zh) 一种促进曼地亚红豆杉盆景自身开花结果的方法
CN103650847A (zh) 一种屋顶绿化用苗木繁殖方法
CN109673369B (zh) 一种枣树瘪芽、弱芽嫁接方法
CN108738827B (zh) 利用徒长枝条搭桥修复果树病、残骨干枝的方法
CN1480021A (zh) 一种苦丁茶嫁接繁育方法
CN102405772A (zh) 树木留萌免撑嫁接法
CN108781821B (zh) 利用枝干上萌发的枝条修复果树病、残枝干的方法
CN106561381A (zh) 一种培育观赏性造型树的方法
Naalamle Amissah et al. Cutting back stock plants promotes adventitious rooting of stems of Quercus bicolor and Quercus macrocarpa
CN112205189A (zh) 一种阔叶箬竹种苗无性繁殖方法
CN109744001A (zh) 一种阔叶林木果树嫁接方法
KR20010088558A (ko) 은행나무의 수종 변경 방법 및 종래의 가지 접목법의은행나무 성장 패턴의 개선 방법
Chanana et al. Propagation and nurser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