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544B1 - 층간소음 바닥재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544B1
KR102069544B1 KR1020190002547A KR20190002547A KR102069544B1 KR 102069544 B1 KR102069544 B1 KR 102069544B1 KR 1020190002547 A KR1020190002547 A KR 1020190002547A KR 20190002547 A KR20190002547 A KR 20190002547A KR 102069544 B1 KR102069544 B1 KR 10206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
cement
protrusion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조
하성우
Original Assignee
김홍조
(주)산일산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조, (주)산일산업이엔지 filed Critical 김홍조
Priority to KR102019000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바닥재를 통하여 복층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바닥재와 마감 몰탈 시멘트간의 견고한 결속을 이루는 것을 목적하는 것이다.즉 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놓이는 메인패널, 메인패널에 결합플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에어포캣을 형성하는 덮개패널로 구비하고, 상기 에어포캣은 메인패널의 지지블록과 보강블록 및 덮개패널의 지지돌출구와 보강돌출구로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메인패널의 보강블록에 교차적으로 바닥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마운트부을 갖는 층간소음 바닥재를 제공하여, 메인패널과 덮개패널 사이에 형성된 에어포캣에 의하여 소음을 흡수하며, 수평마운트부를 활용하여 바닥재에 수평을 맞추어 시공이 가능하며, 덮개패널의 상부에 지지돌출구와 보강돌출구의 돌출구조에 의하여 몰탈 시멘트의 시공시에 시멘트와 바닥재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시멘트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층간소음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소음 바닥재{Material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놓이는 메인패널과 이에 결합되는 덮개패널로 구성하고, 메인패널의 지지블록과 보강블록 및 덮개패널의 지지돌출구와 보강돌출구로 인하여 소음을 흡수하는 에어포캣을 형성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메인패널의 지지블록에 교차적으로 바닥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마운트부를 갖는 층간소음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층간소음은 다층건물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음공해이다. 윗층의 생활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아래층 거주자에게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해쳐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기본적인 다층 건물의 경우 콘크리트 슬라브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하고,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난관배관을 한 뒤 시멘트 몰탈로 소정두께의 바닥층을 시공하여 건물의 바닥을 제작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작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충격을 저감하지 못하고 아래층으로 전달하게 되어 층간소음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공법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충격음과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단열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고, 그 상단으로 난방용 배관과 마감 시멘트 몰탈로 된 바닥층을 시공하는 시공법이 도입되고 있으나, 단열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은 생활소음에서 발생하는 충격음이나 소음 감쇄효과가 낮은 단점으로 인해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더욱이 콘크리트 슬라브 위와 마감 시멘트 몰탈 사이에 소음을 흡수하기 위해 상이한 성질의 층 또는 바닥재를 구성하게 되면 마감 처리된 시멘트가 중간층과 결속이 완전하지 않아 일부 들뜸현상이 발생하거나 시멘트의 밀림이 발생하여 바닥이 부서지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5-0107275 호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다층건물의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소음을 흡수하고, 최종 마감 시공된 콘크리트 몰탈과 결속력이 높은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놓이는 메인패널, 메인패널에 결합플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에어포캣을 형성하는 덮개패널로 구비하고, 상기 에어포캣은 메인패널의 지지블록과 보강블록 및 덮개패널의 지지돌출구와 보강돌출구로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메인패널의 지지블록에 교차적으로 바닥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마운트부를 갖는 층간소음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패널과 덮개패널 사이에 형성된 에어포캣에 의하여 소음을 흡수하며, 수평마운트부를 활용하여 바닥재에 수평을 맞추어 시공이 가능하며, 덮개패널의 상부에 지지돌출구와 보강돌출구의 돌출구조에 의하여 몰탈 시멘트의 시공시에 시멘트와 바닥재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시멘트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메인패널의 구성에 예를 보인 부분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덮개패널의 구성에 예를 보인 부분도.
도 7 내지 9는 수평마운트부를 갖는 지지블록의 모습에 예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캣의 형성하는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바닥재를 통하여 복층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바닥재와 마감 몰탈 시멘트간의 견고한 결속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 시공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놓이는 메인패널(100)과 상기 메인패널(100) 상부에 놓여 겹합플렌지(10)에 의하여 결합되는 덮개패널(200), 상기 메인패널(100)과 덮개패널(200)사이에 소음을 흡수하는 에어포캣(20)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패널(100)은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된 지지테두리(111)를 갖는 몸통이 하부로 함몰돌출된 컵형태의 지지블록(110)을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지지블록(110)의 사이와 메인패널(100)의 상부면 빈영역에 일정패턴으로 상기 지지블록(110)보다 작게 상부 돌출된 보강블록(120)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는 설치시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블록(110) 중 교차선택적으로 지지블록(110)의 저면 중앙에 뚫린 마운트공(112)과 상기 마운트공(112)에 관통 결속된 수평마운트부(300)을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은 상기 마운트공(112)을 관통하는 기둥형의 마운트기둥(310), 상기 마운트기둥(310) 상단에 수평마운트부(300)의 이탈을 막게 마운트공(112)보다 직경이 더 큰 마운트머리(320), 하단에 콘크리트 슬라브에 닿는 마운트바닥구(33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패널(200)은 상기 지지블록(110)의 위치에 지지테두리(111)를 요입하고 지지테두리(111)의 상단이 맞닿게 상부로 함몰 돌출된 지지돌출구(210), 상기 보강블록(120)의 위치에 보강블록(120)을 요입하고 보강블록(120)의 상단이 맞닿게 상부로 함몰 돌출된 보강돌출구(22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돌출구(210)와 보강돌출구(220)는 요입되는 지지테두리(111)와 보강블록(120)보다 둘레가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패널(200)과 메인패널(100)의 결합시 내부에 방음을 위한 에어포캣(10)이 형성되도록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돌출구(210) 중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이 있는 보강블록(120)을 덮는 지지돌출구(210)는 상부면을 뚫은 마운트유입공(211)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이 없는 보강블록(120)을 덮는 지지돌출구(210)는 상부면의 중앙에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홀더(30)를 삽입하는 배관홀더끼움공(2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바닥재.
또한, 상기 메인패널(100)하부에 단열을 의해 상기 보강블록(120)에 맞게 파인 블록공(410)을 갖는 단열패드(40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110)의 내부 안측면에 바닥재의 상부로 부어 굳혀진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 접착된 시멘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벽면을 따라 돌출된 시멘트물림돌기(113)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의 마운트머리(320)와 상기 지지블록(11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마운트공(112)을 통해 시멘트가 바닥재의 아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높이는 얇은 링판막형의 벨브시트(34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의 마운트머리(320)는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된 시멘트와 수평마운트부(300)의 결속력을 높이도록 시멘트가 유입되도록 파여 벌어진 고정벌림틈(350)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층간바닥 시공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슬라브위에 결합플렌지(10)에 의하여 메인패널(100)과 덮개패널(200)이 결합된 본 발명의 바닥재를 바닥전체에 배열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바닥재의 하부에 상기된 단열패드(400)를 추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원하는 보일러 배관의 라인에 따라 상기 덮개패널(200)의 배관홀더끼움공(212)에 배관홀더(30)를 선택적으로 끼우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홀더끼움공(212)에 보일러 배관을 끼워 바닥에 보일러 배관을 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바닥재 위에 마감을 위한 몰탈 시멘트를 붓고 연마한 뒤 건조시켜 기초적인 바닥 시공의 마무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놓이는 메인패널(100)과 상기 메인패널(100) 상부에 놓여 겹합플렌지에 의하여 결합되는 덮개패널(200), 상기 메인패널(100)과 덮개패널(200)사이에 에어포캣(20)을 형성하여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에어포캣(10)에 의하여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아래층으로 층간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메인패널(100)은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된 지지테두리(111)를 갖는 몸통이 하부로 함몰돌출된 컵형태의 지지블록(110)을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지지블록(110)의 사이와 메인패널(100)의 상부면 빈영역에 일정패턴으로 상기 지지블록(110)보다 작게 상부 돌출된 보강블록(120)을 구비하고, 본 발명의 바닥재는 설치시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블록(120) 중 교차선택적으로 보강블록(120)의 저면 중앙에 뚫린 마운트공(112)과 상기 마운트공(112)에 관통 결속된 수평마운트부(30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바닥재의 설치시 수평마운트부(300)을 활용하여 수평을 맞추어 바닥재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널(200)은 상기 지지블록(110)의 위치에 지지테두리(111)를 요입하고 지지테두리(111)의 상단이 맞닿게 상부로 함몰 돌출된 지지돌출구(210), 상기 보강블록(120)의 위치에 보강블록(120)을 요입하고 보강블록(120)의 상단이 맞닿게 상부로 함몰 돌출된 보강돌출구(22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지지돌출구(210)와 보강돌출구(220)는 요입되는 지지테두리(111)와 보강블록(120)보다 둘레가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패널(200)과 메인패널(100)의 결합시 내부에 방음을 위한 에어포캣(10)이 형성되도록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밀폐력이 높은 에어포캣(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덮개패널(200)의 상부로 돌출된 보강돌출구(220)와 지지돌출구(210)의 요철구조로 인하여 바닥재 위에 부어진 시멘트와 바닥재의 결속력이 높아져서 굳은 시멘트의 슬립형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시멘트 바닥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구(210) 중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이 있는 보강블록(120)을 덮는 지지돌출구(210)는 상부면을 뚫은 마운트유입공(211)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마운트유입공(211)을 통하여 유입된 수평마운트부(300)이 있는 지지블록(110) 내부로 시멘트가 유입되고 굳어지게 되어 바닥재와 시멘트의 결속력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바닥재의 수평을 맞춘 수평마운트부(300)과 시멘트가 결속되어 굳어지게 되어 수평마운트부(300)을 고정시켜 바닥재의 수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이 없는 보강블록(120)을 덮는 지지돌출구(210)는 상부면의 중앙에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홀더(30)를 삽입하는 배관홀더끼움공(212)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바닥의 보일러 배관을 설치함에 배관을 설치하고자 하는 라인에 따라 배관홀더(30)를 끼워 보일러 배관을 시공할 수 있어 배관의 시공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메인패널(100)하부에 단열을 의해 상기 보강블록(120)에 맞게 파인 블록공(410)을 갖는 단열패드(4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단열패드(400)로 인한 단열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10)의 내부 안측면에 바닥재의 상부로 부어 굳혀진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 접착된 시멘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벽면을 따라 돌출된 시멘트물림돌기(113)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된 시멘트가 이탈하지 않고 바닥재와 견고히 결속되어서 시멘트의 슬립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의 마운트머리(320)와 상기 지지블록(110)의 마운트공(112) 사이에 마운트공(112)을 통해 시멘트가 바닥재의 아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높이는 얇은 링판막형의 벨브시트(34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된 시멘트가 바닥재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의 마운트머리(320)는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된 시멘트와 수평마운트부(300)의 결속력을 높이도록 파여 벌어진 고정벌림틈(350)을 구비하게 되면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된 시멘트가 고정벌림틈(350)으로 들어가 굳어지게 되어 수평마운트부(300)의 회전을 방지하고 수평마운트부(300)과 시멘트와의 결속이 강하게 되어 바닥재의 수평의 유지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100: 메인패널 110: 지지블록
111: 지지테두리 112: 마운트공
113: 시멘트물림돌기 120: 보강블록
200: 덮개패널 210: 지지돌출구
211: 마운트유입공 212: 배관홀더끼움공
220: 보강돌출구
300: 수평마운트부 310: 마운트기둥
320: 마운트머리 330: 마운트바닥구
340: 벨브시트 350: 고정벌림틈
400: 단열패드 410: 블록공
10: 결합플렌지 20: 에어포캣
30: 배관홀더

Claims (3)

  1. 층간소음 바닥재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놓이는 메인패널(100)과 상기 메인패널(100) 상부에 놓여 겹합플렌지(10)에 의하여 결합되는 덮개패널(200), 상기 메인패널(100)과 덮개패널(200)사이에 소음을 흡수하는 에어포캣(20)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메인패널(100)은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된 지지테두리(111)를 갖는 몸통이 하부로 함몰돌출된 컵형태의 지지블록(110)을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지지블록(110)의 사이와 메인패널(100)의 상부면 빈영역에 일정패턴으로 상기 지지블록(110)보다 작게 상부 돌출된 보강블록(120)을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바닥재는 설치시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블록(110) 중 교차선택적으로 지지블록(110)의 저면 중앙에 뚫린 마운트공(112)과 상기 마운트공(112)에 관통 결속된 수평마운트부(300)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은 상기 마운트공(112)을 관통하는 기둥형의 마운트기둥(310), 상기 마운트기둥(310) 상단에 수평마운트부(300)의 이탈을 막게 마운트공(112)보다 직경이 더 큰 마운트머리(320), 하단에 콘크리트 슬라브에 닿는 마운트바닥구(330)로 구성하며;

    상기 덮개패널(200)은 상기 지지블록(110)의 위치에 지지테두리(111)를 요입하고 지지테두리(111)의 상단이 맞닿게 상부로 함몰 돌출된 지지돌출구(210), 상기 보강블록(120)의 위치에 보강블록(120)을 요입하고 보강블록(120)의 상단이 맞닿게 상부로 함몰 돌출된 보강돌출구(220)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돌출구(210)와 보강돌출구(220)는 요입되는 지지테두리(111)와 보강블록(120)보다 둘레가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패널(200)과 메인패널(100)의 결합시 내부에 방음을 위한 에어포캣(10)이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지지돌출구(210) 중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이 있는 보강블록(120)을 덮는 지지돌출구(210)는 상부면을 뚫은 마운트유입공(211)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이 없는 보강블록(120)을 덮는 지지돌출구(210)는 상부면의 중앙에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홀더(30)를 삽입하는 배관홀더끼움공(212)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지지블록(110)의 내부 안측면에 바닥재의 상부로 부어 굳혀진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 접착된 시멘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벽면을 따라 돌출된 시멘트물림돌기(113)을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의 마운트머리(320)와 상기 지지블록(11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마운트공(112)을 통해 시멘트가 바닥재의 아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높이는 얇은 링판막형의 벨브시트(340)를 구비하며 구성하고;
    상기 수평마운트부(300)의 마운트머리(320)는 지지블록(110) 내부로 유입된 시멘트와 수평마운트부(300)의 결속력을 높이도록 시멘트가 유입되도록 파여 벌어진 고정벌림틈(350)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바닥재.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2547A 2019-01-09 2019-01-09 층간소음 바닥재 KR10206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47A KR102069544B1 (ko) 2019-01-09 2019-01-09 층간소음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47A KR102069544B1 (ko) 2019-01-09 2019-01-09 층간소음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544B1 true KR102069544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547A KR102069544B1 (ko) 2019-01-09 2019-01-09 층간소음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5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606Y1 (ko) * 2005-07-08 2005-10-26 최성규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KR20050107275A (ko)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으로 대전 코팅된 전자기록 토너 입자
KR100539333B1 (ko) * 2005-01-14 2006-01-10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101462969B1 (ko) * 2014-03-05 2014-11-19 주식회사 연우이엔씨 층간 충격소음 저감을 위한 중공 이중 뜬 바닥 구조
KR101598284B1 (ko) * 2014-07-02 2016-03-07 주식회사 한국융합에코기술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275A (ko)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으로 대전 코팅된 전자기록 토너 입자
KR100539333B1 (ko) * 2005-01-14 2006-01-10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200399606Y1 (ko) * 2005-07-08 2005-10-26 최성규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KR101462969B1 (ko) * 2014-03-05 2014-11-19 주식회사 연우이엔씨 층간 충격소음 저감을 위한 중공 이중 뜬 바닥 구조
KR101598284B1 (ko) * 2014-07-02 2016-03-07 주식회사 한국융합에코기술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537Y1 (ko) 층간소음방지재의 소음방지구조
KR102210028B1 (ko) 난방 배관 패드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7999A (ko)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KR20200113757A (ko) 층간소음 차단구조의 시공방법 및 그 층간소음 차단구조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7000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2069544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100701858B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60101767A (ko)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7728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
KR20039113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0893573B1 (ko) 건축물의 습식형 층간 바닥구조
KR20110137921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285260Y1 (ko) 아파트 바닥의 소음방지 구조
KR200378497Y1 (ko)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KR20060125044A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KR100759118B1 (ko) 층간 차음용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다층 건물의 바닥구조체
KR200396355Y1 (ko) 층간 소음진동 저감부재
KR102216466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20180029389A (ko)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복합 차음구조를 구비한 바닥시스템
KR101011949B1 (ko) 보일러배관이 일체화된 건축물의 소음 저감 층간 바닥 구조
KR200357992Y1 (ko) 건축물의 이중 슬래브 구조
KR100650555B1 (ko) 구조일체형 바닥온돌 장치
KR20070110630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