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376B1 - 핀의 높이 변경 장치 - Google Patents

핀의 높이 변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376B1
KR102069376B1 KR1020180078310A KR20180078310A KR102069376B1 KR 102069376 B1 KR102069376 B1 KR 102069376B1 KR 1020180078310 A KR1020180078310 A KR 1020180078310A KR 20180078310 A KR20180078310 A KR 20180078310A KR 102069376 B1 KR102069376 B1 KR 10206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ins
force
outermos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085A (ko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3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21D5/0218Length adjustment of the pu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의 높이 변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다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핀과 상기 복수개의 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핀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을 기준으로 다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부의 힘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과 상기 대상 핀과 인접한 핀 사이의 마찰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핀의 높이 변경 장치{Device for changing height of pins}
본 발명은 핀의 높이 변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에 적용되는 각종 형태의 핀들의 높이를 변경하여, 한 금형으로 다양한 종류의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핀의 높이 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판재를 곡면 성형하기 위한 장치로 고정 금형을 이용하는 고정 금형식 프레스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금형을 이용하는 프레스 장치는, 제품의 디자인이 변경되는 경우에 금형을 새로운 디자인에 맞게 다시 만들어야 하므로, 금형 가공비의 증가로 인해 다품종 소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미국등록특허 제058464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핀을 유동 가능한 시트에 고정한 형태의 금형을 이용하여, 필요시 핀의 높낮이를 나사를 통하여 조절하여 원하는 형상을 제작한다.
그러나, 나사를 풀고 조이는 반복적인 노동이 필요하고, 핀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058464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핀의 높낮이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장치를 통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변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숙련된 기술자의 주관적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이고 일률적인 절차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가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가공 시 제품을 고정하는 지그에 있어서, 그 높낮이를 용이하게 변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되어 다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핀과 상기 복수개의 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핀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을 기준으로 다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부의 힘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과 상기 대상 핀과 인접한 핀 사이의 마찰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개의 핀 중 최외곽 핀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대응되는 상기 최외곽 핀에 압력을 가하는 복수개의 푸쉬부재와 상기 푸쉬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에 대한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의 다축 방향에 위치되는 최외곽 핀에는 상기 푸쉬부재가 이격되고 나머지 최외곽 핀에는 상기 푸쉬부재가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대상 핀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부는, 상기 최외곽 핀에 인접하도록 순환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구동벨트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최외곽 핀에 대한 상기 푸쉬부재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핀이 상기 다축 각각의 일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다축 각각의 타방향에서 상기 고정부를 향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서로 고정시키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에 대한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 중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에 힘을 작용하는 가압부의 힘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핀을 승강시켜 상기 핀의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핀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핀의 높이 변경 장치는, 핀의 높낮이를 필요에 따라 변경함으로서 다품종 소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는, 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변경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는, 숙련된 기술자의 주관적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이고 일률적인 절차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는, 조립 및 가공 시 제품을 고정하는 지그에 있어서, 그 높낮이를 용이하게 변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에 의해 높이가 변경된 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다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핀(10)과 상기 복수개의 핀(1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11)와 상기 핀(10)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조절부(12)를 포함한다. 상기 핀(10)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실시예는 상기 핀(10)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핀(10)은 수평면 상에서 가로축과 세로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1)는 상기 복수개의 핀(10)을 기준으로 가로축 및 세로축 방향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핀(10) 중 적어도 하나의 핀(10)을 밀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절부(12)는 상기 핀(10)을 승강시켜 상기 핀(10)의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핀(10)의 하방에 설치된다. 필요시, 상기 위치조절부(12)는 상기 핀(10)을 밀어 올리거나, 당겨 내려 상기 핀(10)을 승강시켜 상기 핀(10)의 높낮이를 변경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조절부(12)는 상기 핀(10)을 밀거나 당겨 상기 핀(1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12)는 상기 승강부재(도면 미도시)를 이송시키는 승강모터(도면 미도시)와 가이드레일(도면 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재(도면 미도시)가 상기 핀(10)을 승강시키도록 한다.
상기 복수개의 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을 기준으로 다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부(11)의 힘이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이후,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과 상기 대상 핀(10)과 인접한 핀(10) 사이의 마찰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부(12)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부(11)는, 상기 복수개의 핀(10) 중 최외곽 핀(10)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대응되는 상기 최외곽 핀(10)에 압력을 가하는 복수개의 푸쉬부재(111)과 상기 푸쉬부재(111)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이송부(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10)에 대한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112)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10)의 다축 방향에 위치되는 최외곽 핀(10)에는 상기 푸쉬부재(111)가 이격되고, 나머지 최외곽 핀(10)에는 상기 푸쉬부재(111)가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대상 핀(10)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112)는, 상기 최외곽 핀(10)에 인접하도록 순환하는 구동벨트(113)과 상기 구동벨트(11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4)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부재(111)는 상기 구동벨트(113)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벨트(11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최외곽 핀(10)에 대한 상기 푸쉬부재(111)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도록 한다. 상기 푸쉬부재(111)의 일측에는 상기 푸쉬부재(111)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유압장치(도면 미도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는 상기 핀(10)이 상기 다축 각각의 일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고정부(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11)가 상기 다축 각각의 타방향에서 상기 고정부(13)를 향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핀(1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서로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10)에 대한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11) 중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에 힘을 작용하는 가압부(11)의 힘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위치조절부(12)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1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3)는 상기 가압부(11)에 의해 최외각에 위치하는 핀(10)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윤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10)과 핀(10) 사이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해주는 얇은 윤활부(도면 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1)는 최외곽 핀(10)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대응되는 상기 최외곽 핀(10)에 압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부재(111)보다 얇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해제부재(115)는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에 대응되어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에 힘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해제부재(115)는 상기 푸쉬부재(111)와 같이 상기 구동벨트(113)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벨트(11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최외곽 핀(10)에 대한 상기 해제부재(115)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는 상기 핀(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50)와 상기 감지부(50)로부터 받은 상기 핀(10)의 위치정보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11)와 위치조절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50)로부터 받은 상기 핀(10)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출력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0)는 터치 센서와 같이 상기 핀(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50)가 감지한 상기 핀(10)의 위치는 상기 제어부(60)를 통해 상기 출력부(70)에 2D 또는 3D로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60)는 가공대상 금속판의 부재치수(길이, 폭, 두께), 재료의 물성치(탄성계수, 항복응력, 포와송 비), 재료의 응력-변형률 관계 곡선 데이터, 가공 목표 면의 CAD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러한 정보가 가공대상 금속판의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에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감지부(50)가 감지한 상기 핀(10)의 위치가 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출력부(70)에 경고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고신호는 시각 또는 청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핀의 높이 변경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복수개의 핀(10)을 다축 방향으로 정렬한다. 일례로, 도 1과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가로축 및 세로축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핀(10)을 정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부(11)가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을 제외한 나머지 핀(10)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이송부(112)가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의 가로축 방향과 세로축 방향의 최외곽 핀(10)에 상기 해제부재(115)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조절부(12)가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을 승강시켜 높낮이를 변경시킨다. 이는, 상기 해제부재(115)에 의해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10)의 마찰력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핀(10)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60)에 가공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S1)한다. 상기 가공에 필요한 정보는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핀(10)의 위치가 적절한지 판단한다.(S3) 이는 상기 가공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핀(10)의 위치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출력부(70)에 가공준비 완료를 표시하도록 한다.(S4)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핀(10)의 위치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핀(10)의 이동정보를 전달한다.(S5) 즉, 상기 가압부(11)와 상기 위치조절부(12)가 상기 핀(10)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S6)
상기 가압부(11)와 상기 위치조절부(12)의 작동이 끝난 후,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핀(10)의 위치가 설정한 허용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7) 이는, 이동된 상기 핀(10)의 위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핀(10)의 위치가 설정한 허용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출력부(70)에 가공준비 완료를 표시하도록 한다.(S4)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핀(10)의 위치가 설정한 허용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핀(10)의 이동정보를 다시 전달한다.(S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변경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핀(20)이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핀(20)이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핀(20)이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원하는 형상의 가공면을 구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핀(20)의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사각형의 단면에 비해 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이다. 또한,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핀(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핀(2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핀(20)은 원하는 형상의 가공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단면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핀을 정렬하여 원하는 형상의 가공면을 구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핀(2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핀
11 : 가압부
111 : 푸쉬부재
112 : 이송부
113 : 구동벨트
114 : 구동모터
115 : 해제부재
12 : 위치조절부
13 : 고정부
20 : 핀
21 : 가압부
22 : 위치조절부
23 : 고정부
50 : 감지부
60 : 제어부
70 : 출력부

Claims (5)

  1. 복수개로 구비되어 다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핀;
    상기 복수개의 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핀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개의 핀 중 최외곽 핀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대응되는 상기 최외곽 핀에 압력을 가하는 복수개의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의 다축 방향에 위치되는 최외곽 핀에는 상기 푸쉬부재가 이격되고 나머지 최외곽 핀에는 상기 푸쉬부재가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대상 핀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의 높이 변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최외곽 핀에 인접하도록 순환하는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구동벨트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최외곽 핀에 대한 상기 푸쉬부재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의 높이 변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 상기 다축 각각의 일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다축 각각의 타방향에서 상기 고정부를 향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서로 고정시키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핀에 대한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 중 상기 위치 변경이 필요한 대상 핀에 힘을 작용하는 가압부의 힘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대상 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의 높이 변경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핀을 승강시켜 상기 핀의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핀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의 높이 변경 장치.
KR1020180078310A 2018-07-05 2018-07-05 핀의 높이 변경 장치 KR10206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10A KR102069376B1 (ko) 2018-07-05 2018-07-05 핀의 높이 변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10A KR102069376B1 (ko) 2018-07-05 2018-07-05 핀의 높이 변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85A KR20200005085A (ko) 2020-01-15
KR102069376B1 true KR102069376B1 (ko) 2020-01-22

Family

ID=6915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310A KR102069376B1 (ko) 2018-07-05 2018-07-05 핀의 높이 변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1432B2 (ja) * 2020-06-21 2023-12-05 ショアライン デザイン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エルエルシー 磁気粘性流体バルブの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09B1 (ko) * 2006-10-24 2008-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금속판재의 곡면 프레스 장치 및 방법과 이에 이용되는박스형 핀 다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6464A (en) 1997-03-28 1998-12-08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composite parts using reconfigurable modular too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09B1 (ko) * 2006-10-24 2008-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금속판재의 곡면 프레스 장치 및 방법과 이에 이용되는박스형 핀 다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85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783B1 (en) Quick change cassette system for multi-roll leveler
US4426873A (en) Deflection compensating means for press brakes and the like
EP3009208B1 (en) Device for maintaining twist in panel-shaped workpieces, method for maintaining twist, and method for creating twist
JP6659614B2 (ja) プレスの2つのビーム間の変形加工中の偏差を補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069376B1 (ko) 핀의 높이 변경 장치
EP30427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inclination of cushion pad
JPH02224821A (ja) 板材曲げ加工機械
JP2886360B2 (ja) 裁断プレスのビームの平行度制御方法及び裁断プレス
KR0154100B1 (ko) 절곡기의 공구위치 제어장치
JP2022521767A (ja) ワイヤ又はストリップ材料の矯正方法及び装置
EP3191236B1 (de) Biegepresse und verfahren zum biegen eines werkstücks mit der biegepresse
KR102495176B1 (ko) 점진 성형 장치
JP2012115852A (ja) 曲げ加工方法
AT510198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eitlichen lageregelung eines metall-prozessbandes
JP2002239631A (ja) 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902910B2 (ja) プレスブレーキの金型芯出し装置及び方法
CN109553287A (zh) 划片设备及划片方法
KR102144287B1 (ko) 샤링 장치
KR20190060261A (ko) 마찰 시험장치
KR101325930B1 (ko) 양방향 교정 프레스 장치
KR102440768B1 (ko) 후강판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23074600A1 (ja) コイル材矯正装置、コイル材矯正方法及びコイル材矯正プログラム
KR20180067010A (ko) 금속판에 다양한 곡면을 성형하는 방법
JP2869121B2 (ja) 板材曲げ加工機械及び板材曲げ加工方法
JPH10192990A (ja) プレス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