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261A - 마찰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261A
KR20190060261A KR1020170158291A KR20170158291A KR20190060261A KR 20190060261 A KR20190060261 A KR 20190060261A KR 1020170158291 A KR1020170158291 A KR 1020170158291A KR 20170158291 A KR20170158291 A KR 20170158291A KR 20190060261 A KR20190060261 A KR 2019006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specimen
slide
mounting portion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584B1 (ko
Inventor
윤국태
송재선
박춘달
허재영
윤일채
임형철
Original Assignee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는, 슬라이드의 하강 스트로크와 상승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승강장치의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에 연결되며 시편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시편고정부; 상기 시편에 대한 마찰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마찰팁; 상기 마찰팁을 구동시키며, 상기 시편에 대하여 하중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된 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어셈블리를 상기 승강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찰 시험장치{FRICTION TESTER}
본 발명은 마찰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찰 시험은 2개의 물체가 접촉하여 미끄러질 때, 그 양자간의 마찰 크기를 측정하는 시험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시험은 마찰 저항에서 마찰 계수를 구하는 것이지만, 시료의 표면 상황, 금속의 조직, 윤활제의 유무 및 종류, 무게, 속도, 기권(氣圈) 등도 고려하여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윤활제를 넣어 실시하는 실험을 습식 시험, 넣지 않은 것을 건식 시험이라 한다.
마찰을 수반하는 상황에서의 재료의 거동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마찰 시험장치도 그러한 재료의 마찰 상황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마찰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전용 장비는 대상물에 대하여 시편을 접촉시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요소를 갖추기도 한다. 시편 이동요소는 마찰 시험장치의 전체 시험 속도를 결정하는 일 요인이다. 그런데, 종래의 마찰 시험장치의 경우 시편을 접촉시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요소가 고정된 속도를 가지거나 매우 느려 측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 관련 선행기술
한국 공개특허 제10-2001-0062364호(2001.07.07.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87132호(2004.10.13. 공개)
본 발명은 고속으로 마찰 시험이 가능한 시험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시편의 마찰팁에 대한 다양한 마찰 속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마찰 시험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는, 슬라이드의 하강 스트로크와 상승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승강장치의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에 연결되며 시편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시편고정부; 상기 시편에 대한 마찰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마찰팁; 상기 마찰팁을 구동시키며, 상기 시편에 대하여 하중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된 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어셈블리를 상기 승강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승강장치는 워크(work)의 성형 또는 가공을 위한 프레스기계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승강장치는 베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에 제1방향홈을 갖는 펀치홀더가 장착되고, 상기 베드부에 상기 제1방향홈에 직교하는 제2방향홈을 갖는 볼스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펀치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볼스터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펀치홀더의 하면에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게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시편고정부 사이에 제1로드셀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시편고정부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을 갖는 홀더바디; 상기 홀더바디 내의 공간에 배치되며, 그 사이에 삽입된 상기 시편에 맞대어질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그립편; 및 상기 홀더바디와 상기 그립편을 체결할 수 있게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볼스터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게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부의 상부에 상기 구동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마찰팁을 설치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내에서 상기 한 쌍의 마찰팁 중 하나의 마찰팁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서보모터에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의 회전 구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이송시킬 수 있게 형성된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찰 시험장치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 사이에 배치된 제2로드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찰 시험장치는 상기 슬라이드의 스트로크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의 상승 또는 하강의 전체 스트로크를 분할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찰 시험장치는, 상기 서보모터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마찰팁과 상기 시편 사이의 마찰하중을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찰 시험장치는 상기 슬라이드의 상승 스트로크에서 상기 시편의 이동변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형성된 변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에 의하면, 하강 및 승강 스트로크가 있는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승강 또는 인출장치의 구성이 필요없이 실제 구동속도에 준하는 고속의 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승강장치에 의하여 다단의 전단 또는 프레스 성형을 하는 경우 재료의 마찰계수의 변화를 알기 위해, 하강모드에 대응하는 상승모드를 만들고 측정하는 것이므로, 다양한 실험 조건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로드셀과 변위센서를 통하여 정확한 마찰계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승강장치에 서보프레스기를 이용할 경우 성형 모션에 따른 정확한 마찰특성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를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시편고정부(220) 및 구동어셈블리(300)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시편고정부(220) 및 구동어셈블리(300)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마찰 시험장치에서 시편(S)을 시편고정부(2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드(110)를 하강시킨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슬라이드(110)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에 의하여 시편(S)의 마찰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도표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장치(100)가 슬라이드(110)의 하강시 제1형태의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한 상태를 보인 도표
도 9는 도 8에 대응하여 슬라이드(110)가 상승시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시험조건을 설정한 상태를 보인 도표
도 10은 도 9와 같은 시험조건을 통하여 시편(S)의 마찰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도표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장치(100)가 슬라이드(110)의 하강시 제2형태의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한 상태를 보인 도표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여 슬라이드(110)가 상승시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시험조건을 설정한 상태를 보인 도표
도 13은 도 12와 같은 시험조건을 통하여 시편(S)의 마찰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도표
도 14는 도 8, 도 10 및 도 13의 그래프를 중첩하여 표현한 도표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는 슬라이드(110)의 하강 스트로크와 상승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승강장치(100)를 이용한다. 이러한 승강장치(100)는 워크(work)의 성형 또는 가공을 위한 프레스기계(press machine)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기계에는 판재성형용, 단조용 등 다양하며 서보프레스기계도 활용될 수 있다. 서보프레스기를 이용할 경우 성형모션에 따른 구체적이고 정확한 마찰특성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드(110)에는 상부 펀치 또는 금형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펀치홀더(11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110)의 하측에는 베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베드부(120)에는 하부 금형 또는 다이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볼스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100)는 성형 또는 가공을 위하여 슬라이드(110)의 다양한 스트로크를 갖게 되는데, 그때마다 재료가 받게 되는 마찰력 및 그에 의한 표면 등의 변화를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재료의 물성을 알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는 슬라이드(110)의 스트로크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부는 슬라이드의 상승 또는 하강의 스트로크를 단일 또는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시편고정부(220) 및 구동어셈블리(300)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시편고정부(220) 및 구동어셈블리(300)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는 제1장착부(210), 시편고정부(220), 구동어셈블리(300), 제2장착부(310), 한 쌍의 마찰팁(37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장착부(210)는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110)의 하강 스트로크와 상승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승강장치(100)의 슬라이드(110)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다. 제1장착부(210)는 슬라이드(110)의 펀치홀더(112)에 고정될 수 있다. 펀치홀더(112)에는 상부 펀치 또는 금형을 고정하기 위한 제1방향홈(115)을 가질 수 있는데, 제1장착부(210)는 제1방향홈(115) 또는 별도의 체결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이중 후자의 방법으로 고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시편고정부(220)는 제1장착부(210)에 연결되며 시편(S)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시편고정부(220)는 홀더바디(221)와, 그립편(222) 및 고정부(223)를 포함한다. 홀더바디(221)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립편(222)은 홀더바디(221) 내의 공간 내에서 그 사이에 삽입된 시편(S)에 맞대어질 수 있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23)는 시편(S)을 그립편(222) 사이에 끼워놓고 가압한 상태에서 그립편(222)을 홀더바디(221)에 체결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제1장착부(210)와 시편고정부(220) 사이에는 제1로드셀(230)이 결합된다. 제1로드셀(230)은 슬라이드(110)의 상승 스트로크 과정에서 시편(S)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측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베드부(120)에 설치된 볼스터(122)에는 마찰팁(370)이 장착된 구동어셈블리(300)가 고정된다. 마찰팁(370)은 시편(S)에 대한 마찰면을 제공한다.
제2장착부(310)는 구동어셈블리(300)의 고정을 위하여, 볼스터(122)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부(310)의 상부에는 구동어셈블리(300)를 지지하는 브라켓(312)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어셈블리(300)는 마찰팁(370)을 구동하기 위한 서보모터(342)와 서보모터(342)의 구동력을 변환하는 요소들 및 지지요소들을 포함한다.구체적으로, 구동어셈블리(300)는 브라켓(312)에 결합되며 내부에 한 쌍의 마찰팁(370)을 설치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프레임(315)과, 제1프레임(315)의 일측에 형성된 제2프레임(341), 제2프레임(341)의 내에서 한 쌍의 마찰팁(370) 중 하나의 마찰팁(370)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형성된 샤프트(360)를 갖는다. 샤프트(360)는 서보모터(342)에 의하여 슬라이드(110)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샤프트(360)를 구동시킨다.
서보모터(342)와 샤프트(360)의 사이에는 감속기(343)가 구비된다. 감속기(343)기의 회전 구동력을 변환하여 샤프트(360)의 축방향으로 샤프트(36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리니어 가이드(344)가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360)와 리니어 가이드(344) 사이에는 제2로드셀(3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로드셀(350)은 구동어셈블리(300)에 의하여 시편(S)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구동어셈블리(300)의 일측에는 슬라이드(110)의 상승 스트로크에서 시편(S)의 이동변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형성된 변위센서(3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위센서(380)는 슬라이드(110)의 이동시의 위치를 출력하며, 이때의 하중을 제2로드셀(350)을 통하여 측정하고, 최종적으로 그 위치에서의 마찰계수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는 구동어셈블리(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가 포함된 컴퓨터(400)을 가질 수 있다. 제2제어부는 서보모터(342)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하여 마찰팁(370)과 시편(S) 사이의 마찰하중을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도 5는 도 4의 마찰 시험장치에서 시편(S)을 시편고정부(2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드(110)를 하강시킨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슬라이드(110)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마찰 시험을 위하여, 먼저 도 4의 상태에서 시편(S)을 시편고정부(220)에 고정시킨다. 즉, 그립편(222) 사이에 시편(S)을 끼워 넣는 상태에서 가압하여 그립편(222)과 시편(S)이 고정되도록 한 후 고정부(223)에 의하여 그립편(222)을 홀더바디(221)에 체결시켜 조립한다.
도 5와 같이, 승강장치(100)의 슬라이드(110)를 하강시켜 시편(S)의 마찰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서보모터(342)를 제어하여 시편(S)과 마찰팁(370) 사이에 하중을 가한다. 변위센서(380)를 슬라이드(110)의 대상 패드에 접촉시켜 측정 준비상태로 한다.
도 6과 같이, 슬라이드(110)를 상승시키면 승강장치(100)의 구동력에 의하여 시편(S)이 마찰팁(370)에 대하여 마찰되며 상대이동한다. 변위센서(380), 제1로드셀(230) 및 제2로드셀(350)에 의해 측정된 결과는 컴퓨터(400)를 통하여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스 기계로 사용되는 승강장치(100)의 빠른 스트로크는 시편(S)의 마찰시험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변위센서(380), 제1로드셀(230) 및 제2로드셀(350)에 의한 마찰계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 시험장치에 의하여 시편(S)의 마찰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도표로서, 슬라이드(110)의 이동 거리에 따른 마찰계수의 값을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장치(100)가 슬라이드(110)의 하강시 제1형태의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한 상태를 보인 도표이다. 프레스 기계로 사용되는 승강장치(100)는 성형시 단계적으로 슬라이드(110)가 하강될 수 있다(다단 성형). 이러한 단계 성형시 재료의 마찰계수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모드에서 슬라이드(110)의 상승 스트로크를 하강과 대응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도 9와 같이, 도 8에 대응하여 슬라이드(110)가 상승시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시험조건을 설정한다. 이때, 시편(S)은 슬라이드(110)의 단계적 상승에 따라 마찰상황도 변화되며 마찰계수가 이를 반영하여 계산된다. 도 10은 도 9와 같은 시험조건을 통하여 시편(S)의 마찰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도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장치(100)가 슬라이드(110)의 하강시 제2형태의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한 상태를 보인 도표이고,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여 슬라이드(110)가 상승시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시험조건을 설정한 상태를 보인 도표이며, 도 13은 도 12와 같은 시험조건을 통하여 시편(S)의 마찰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도표이고, 도 14는 도 8, 도 10 및 도 13의 그래프를 중첩하여 표현한 도표이다. 본 예에서는 도 8과 달리, 1단계 스트로크보다 2단계 스트로크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도 13와 같이, 마찰 계수가 급변하는 위치도 도 10에 비해 뒤에 형성된다. 도 14와 같이 슬라이드(110)를 한 번의 스트로크로서 이송을 완성하는 경우와 복수의 서브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하여 시험한 상태를 한꺼번에 배치하면 각 위치 또는 스트로크별 마찰계수의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마찰 시험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승강장치 110: 슬라이드
112: 펀치홀더 115: 제1방향홈
120: 베드부 122: 볼스터
125: 제2방향홈 210: 제1장착부
220: 시편고정부 221: 홀더바디
222: 그립편 223: 고정부
230: 제1로드셀 300: 구동어셈블리
310: 제2장착부 312: 브라켓
315: 제1프레임 341: 제2프레임
342: 서보모터 343: 감속기
344: 리니어가이드 345: 가이드
350: 제2로드셀 360: 샤프트
370: 마찰팁 380: 변위센서
400: 컴퓨터 S: 시편

Claims (12)

  1. 슬라이드의 하강 스트로크와 상승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승강장치의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에 연결되며 시편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시편고정부;
    상기 시편에 대한 마찰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마찰팁;
    상기 마찰팁을 구동시키며, 상기 시편에 대하여 하중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된 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어셈블리를 상기 승강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마찰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워크(work)의 성형 또는 가공을 위한 프레스기계인, 마찰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베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에 제1방향홈을 갖는 펀치홀더가 장착되고,
    상기 베드부에 상기 제1방향홈에 직교하는 제2방향홈을 갖는 볼스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펀치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볼스터에 고정된, 마찰 시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펀치홀더의 하면에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게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시편고정부 사이에 제1로드셀이 결합된, 마찰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고정부는,
    역삼각형 형태의 공간을 갖는 홀더바디;
    상기 홀더바디 내의 공간에 배치되며, 그 사이에 삽입된 상기 시편에 맞대어질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그립편; 및
    상기 홀더바디와 상기 그립편을 체결할 수 있게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찰 시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볼스터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게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부의 상부에 상기 구동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구비된, 마찰 시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마찰팁을 설치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내에서 상기 한 쌍의 마찰팁 중 하나의 마찰팁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마찰 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서보모터에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의 회전 구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이송시킬 수 있게 형성된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마찰 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 사이에 배치된 제2로드셀을 더 포함하는, 마찰 시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스트로크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의 상승 또는 하강의 전체 스트로크를 분할하는 복수의 서브 스트로크를 갖도록 설정된, 마찰 시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마찰팁과 상기 시편 사이의 마찰하중을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마찰 시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상승 스트로크에서 상기 시편의 이동변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형성된 변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마찰 시험장치.
KR1020170158291A 2017-11-24 2017-11-24 마찰 시험장치 KR102073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291A KR102073584B1 (ko) 2017-11-24 2017-11-24 마찰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291A KR102073584B1 (ko) 2017-11-24 2017-11-24 마찰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61A true KR20190060261A (ko) 2019-06-03
KR102073584B1 KR102073584B1 (ko) 2020-02-05

Family

ID=6684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291A KR102073584B1 (ko) 2017-11-24 2017-11-24 마찰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6284A1 (fr) * 2022-02-18 2023-08-24 Universite De Lorraine Dispositif de test et procédé de mesure de propriétés tribologiqu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600A (ko) * 2008-11-26 2010-06-04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금속 판재류 마찰계수 측정장치
KR20160049240A (ko) * 2014-10-27 2016-05-09 한국기계연구원 통전용 시편 인장 압축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600A (ko) * 2008-11-26 2010-06-04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금속 판재류 마찰계수 측정장치
KR20160049240A (ko) * 2014-10-27 2016-05-09 한국기계연구원 통전용 시편 인장 압축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6284A1 (fr) * 2022-02-18 2023-08-24 Universite De Lorraine Dispositif de test et procédé de mesure de propriétés tribologiques
FR3132951A1 (fr) * 2022-02-18 2023-08-25 Universite De Lorraine Tribomètre et procédé de mesure de propriétés tribolog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584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2029A4 (en) Sliding friction and wear tester
CN109211684B (zh) 一种可实现自动精确加载的机械式高温蠕变试验机
EP1043579B1 (en) Test apparatus for measuring stresses and strains
EP3156786B1 (en) Compression heat-generation detector and method therefor
EP3290903B1 (en) Abrasive wear test device and method
CN107290104B (zh) 一种柔性薄膜阵列压力传感器的自动标定装置及标定方法
CN101832901B (zh) 一种接触式摩擦界面粘滑特性在线检测装置
CN102692319A (zh) 一种载荷可控的被动式随动施力直线导轨副试验台
KR102073584B1 (ko) 마찰 시험장치
CN201697862U (zh) 一种接触式摩擦界面粘滑特性在线检测装置
CN112639429A (zh) 冲压装置、终端装置、滚珠丝杠估计寿命计算方法以及程序
KR840000299A (ko) 공작물을 변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24346B1 (ko) 마찰실험장치
CN110595771A (zh) 滚动直线导轨副预加载荷和摩擦力同步快速测量装置及方法
CN105139725A (zh) 一种静摩擦力试验机
KR101335686B1 (ko) 스크래치 테스터기
CN212159509U (zh) 一种多用途摩擦系数测试装置
CN211179285U (zh) 一种夹持装置可调节的拉力测试机
CN211402088U (zh) 一种往复式机械摩擦界面原位信息获取装置
CN214667423U (zh) 窄条传感器自动标定的力标准机
US51429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movement
CN117405547B (zh) 一种压痕施加装置
CN210221446U (zh) 一种新型的纸箱抗压机
RU12077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металлов и сплавов горячей деформации
CN214224068U (zh) 一种平面度测量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