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302B1 -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302B1
KR102069302B1 KR1020180061568A KR20180061568A KR102069302B1 KR 102069302 B1 KR102069302 B1 KR 102069302B1 KR 1020180061568 A KR1020180061568 A KR 1020180061568A KR 20180061568 A KR20180061568 A KR 20180061568A KR 102069302 B1 KR102069302 B1 KR 10206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tring
ornament
closing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198A (ko
Inventor
김광렬
Original Assignee
김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렬 filed Critical 김광렬
Priority to KR102018006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3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감싸 착용할 수 있는 줄 및 상기 줄의 일측,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줄마감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줄마감부는 상기 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영역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줄마감부는 단조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기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줄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줄이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 및 상기 줄마감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줄이 줄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줄에서 장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을 말아주는 대신에 단조방식 등의 방식으로 마련되는 줄마감부를 통하여 줄을 마감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줄을 접지 않음으로써 줄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탄성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를 포함하여 탄성효과를 제공하는 줄마감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과정에서 줄에 꿰어진 장식물이 압박되더라도 파손되지 않으며, 장식물을 줄에 밀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ornament including string finishing member using forging method}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식물이 꿰어지거나 그 자체로 장신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줄을 단조방식으로 마감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귀금속, 보석류 등을 활용한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의 다양한 장신구들이 세대를 막론하고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팔찌, 목걸이, 발찌, 벨트형 장신구 등의 경우에 구멍이 뚫린 구슬(bead) 형상, 관 형상 등의 장식물을 실, 줄, 강선, 와이어 등에 원하는 개수만큼 꿰어 제작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실, 줄, 강선, 와이어 등 장식물을 꿰는 데에 사용되는 소재를 줄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줄에 장식물을 꿰어서 장신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장식물이 줄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의 양끝단에 마감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장식물을 줄에 꿰어서 장신구를 제작하는 경우에 실과 같은 줄이 사용될 경우에는 장식물의 하중에 의하여 장신구의 형상이 아래로 쳐지게 되어 효과적인 미감을 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장식물이 꿰어지더라도 곡선의 형상을 유지하는 강선, 형상기억 와이어, 메모리 와이어 등이 장식물이 꿰어지는 줄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줄에 장식물을 꿰어 구현되는 장신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KR 20-0213376 “탄력강선 장신구”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탄력강선에 장식물을 꿰어 밀착시킨 후 탄력강선의 양끝단을 말아서 인접한 장식물의 구멍에 끼우는 방식을 취한다. 이를 통하여 탄력강선에 꿰어진 장식물이 탄력강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장신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탄력강선의 말린 양끝단은 사용자가 가하는 힘 등으로 인하여 장식물의 구멍의 압박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말린 부분의 탄력강선에 피로도가 누적되어 탄력강선이 부러지는 등의 손상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에 탄력강선에 누적되는 피로도를 줄이기 위하여 양끝단을 약하게 말게 될 경우에는 탄력강선의 복원력에 의하여 말린 부분이 풀림으로써 탄력강선에 꿰어진 장식물들이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장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을 말아주는 대신에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통하여 줄을 마감함으로써 줄마감부를 통하여 줄에 꿰어진 장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줄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탄성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를 포함하여 탄성효과를 제공하는 줄마감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행위에 의하여 줄에 꿰어진 장식물이 압박되더라도 장식물이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감싸 착용할 수 있는 줄 및 상기 줄의 일측,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줄마감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줄마감부는 상기 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영역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줄마감부는 단조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기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줄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줄이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 및 상기 줄마감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기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줄마감부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줄마감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대향면에 대향하는 상기 줄마감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기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줄마감부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마감부는 단조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줄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물이 꿰어지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장식물에 외력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기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의 상기 줄마감부는 상기 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물이 꿰어지며, 상기 분지체는 상기 장식물에 외력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줄마감부 및 상기 줄걸림부재는 상기 줄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줄의 상기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줄걸림부재와 상기 줄의 상기 타측에 마련되는 상기 줄걸림부재는 서로 체결됨으로써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장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을 말아주는 대신에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통하여 줄을 마감함으로써 줄마감부를 통하여 줄에 꿰어진 장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줄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탄성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를 포함하여 탄성효과를 제공하는 줄마감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행위에 의하여 줄에 꿰어진 장식물이 압박되더라도 장식물이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한 쌍의 줄걸림부재들 간의 체결방법의 예시와 줄마감부와 줄걸림부재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탄성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를 포함하여 탄성효과를 제공하는 줄마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장식물이 꿰어진 줄 및 줄걸림부재를 통하여 곡선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체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체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줄이라는 용어는 실, 줄, 강선, 와이어 등 장식물을 꿰거나 장식물을 상호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든 소재를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한 쌍의 줄걸림부재들 간의 체결방법의 예시와 줄마감부와 줄걸림부재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한 쌍의 줄걸림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단조방식으로 마련된 줄마감부가 이탈방지부에 걸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c)는 도 2의 (a)의 BB”선에 따른 일단면의 사시도이며, 이탈방지부가 포함하는 함몰부에 삽입되는 줄마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탄성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를 포함하여 탄성효과를 제공하는 줄마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걸림부와 줄마감부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b)는 함몰부와 줄마감부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c)는 줄마감부가 포함하는 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장식물이 꿰어진 줄 및 줄걸림부재를 통하여 곡선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100)는 줄(110) 및 줄마감부(12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줄걸림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100)는 선택적으로 탄성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줄(110)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감싸 착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감싸’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전부 감싸는 경우 이외에 일부를 감싸는 경우도 아우르는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줄(110)의 소재로는 금속, 플라스틱,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감싸 착용할 수 있는 한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줄(110)의 형상에도 제한은 없으나, 줄(110)의 형상으로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된 곡선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진주, 루비 등 보석 장식물을 줄(110)에 꿰더라도 줄(110)은 곡선의 형상을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아름다운 미감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줄(110)의 소재로는 형상기억 메모리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줄(110)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줄마감부(120)는 줄(110)의 일측,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다. 이 경우, 줄마감부(120)는 도 2 및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110)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영역(120a)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줄(110)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영역을 제1영역(120a)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1영역(120a)은 예로서 줄(110)의 상기 일측, 상기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조 가공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제1영역(120a)으로서 삼각형상의 영역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조방식으로 제1영역(120a)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줄마감부(12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줄걸림부재(130)는 이탈방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2)는 줄(110)이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132a) 및 줄마감부(120)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줄걸림부재(130)는 사용자의 동작, 장식물(150) 간의 접촉이나 기타 주위환경에 의해 줄(110)에 외력이 인가될 때에 줄(110)이 관통홀(132a)을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줄마감부(120)가 걸림부(132b)에 걸리도록 마련되어 줄(110)에서 장식물(15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줄걸림부재(130)는 줄(110)의 일측, 타측 모두에 마련되거나 어느 한 쪽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줄걸림부재(130) 내부에 수용된 줄마감부(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줄마감부(120)는 줄걸림부재(130) 외부에 위치하거나 일부는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는 등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줄마감부(120)가 줄걸림부재(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에 미감 연출, 줄걸림부재(130) 내부로의 이물질의 유입방지 등을 위하여 줄걸림부재(130)는 밀폐부(134)에 의하여 마감될 수 있다. 줄걸림부재(130)의 소재로는 금속,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밀폐부(134)의 소재로는 금속,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줄걸림부재(130)는 줄(110)의 어느 한쪽에만 마련되고 다른 한쪽에는 통상의 줄걸림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줄(110)로서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는 도 1 및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줄(110)로서 실 등과 같이 형상 미기억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는 도 2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체결부(fastener)를 통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110)에 장식물(150)이 꿰어져 있을 경우에 줄걸림부재(130)는 장식물(150)이 줄(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줄걸림부재(130)의 최대 단면적은 장식물(150)에 형성된 관통홀의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100)는 장식물(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110)을 말아주는 대신에 줄걸림부재(130)의 이탈방지부(132)에 마련된 걸림부(132b)에 줄마감부(12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줄(110) 또는 줄마감부(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줄걸림부재(130)를 통하여 줄(110)에 꿰어진 장식물(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줄(110)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미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줄걸림부재(130)에 장식물이 추가될 수도 있다. 줄걸림부재(130)에 추가되는 장식물이 광투과성의 소재일 경우에는 줄걸림부재(130)의 형상이 제공하는 미감과 광투과성 장식물이 제공하는 미감이 어우러져 보다 더 차별화된 미감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한편, 도 3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140)는 걸림부(132b)와 줄마감부(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부(140)는 걸림부(132b)와 줄마감부(120) 사이에 마련되어 줄(110)을 통하여 줄마감부(120)에 걸림부(132b)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탄성부(140)는 줄마감부(120)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됨으로써 상기 외력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140)가 없을 경우, 줄마감부(120)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걸림부(132b)에 직접 맞닿게 되며, 상기 외력이 기준수준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에 줄마감부(120), 걸림부(132b) 등이 손상되거나, 줄(110)과 걸림부(120)가 분리될 수 있다. 줄(110)에 장식물(150)이 꿰어져 있을 경우에는 줄(110)과 걸림부(120)가 분리됨으로써 장식물(150)이 줄(1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탄성부(140)는 외력에 의하여 줄(110)과 줄마감부(120)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해 주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탄성부(140)의 소재로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탄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도 2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132b)는 줄마감부(120)와 대향하는 대향면(132ba)을 가질 수 있다. 대향면(132ba)에는 대향면(132ba)에 대향하는 줄마감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부(132bb)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부(132b)는 줄마감부(120)와 대향하는 대향면(132ba)을 가지며, 대향면(132ba)에는 대향면(132ba)에 대향하는 줄마감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함몰부(132bb)가 마련됨으로써, 줄마감부(120)가 함몰부(132b)에 일부 삽입, 전부 삽입 등의 방식으로 안착한 경우에 줄(110)에 외력으로서 회전력 또는 토크가 인가되더라도 줄마감부(120)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줄(11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140)는 함몰부(132bb)와 줄마감부(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의 (b)에는 줄(110)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된 탄성부(14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탄성부(140)의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함몰부(132bb)와 줄마감부(120) 사이에 탄성부(140)가 마련되어 줄(110)을 통하여 줄마감부(120)에 걸림부(132b) 또는 함몰부(132bb)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탄성부(140)는 줄마감부(120)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됨으로써 상기 외력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140)가 없을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하여 줄마감부(120)는 걸림부(132b)에 직접 맞닿고 상기 외력이 기준수준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에 줄마감부(120), 걸림부(132b) 등이 손상되거나, 줄(110)과 걸림부(120)가 분리될 수 있다. 줄(110)에 장식물(150)이 꿰어져 있을 경우에는 줄(110)과 걸림부(120)가 분리됨으로써 장식물(150)이 줄(1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탄성부(140)는 외력에 의하여 줄(110)과 줄마감부(120)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해 주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줄마감부(120)는 탄성부(140)로 인해 함몰부(132bb) 밖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는 완충기능의 효과만 얻을 수 있다.
일례로, 줄(110)에 회전력 또는 토크 등의 형태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회전저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줄마감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탄성부(140)의 대응면에 추가적인 함몰부(미도시)를 마련하고, 상기 추가적인 함몰부에 줄마감부(120)이 전부 또는 일부 삽입됨으로써 회전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르게는, 도 3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132bb)에 충분히 삽입되도록 탄성부(140)가 마련된 된 경우, 줄마감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함몰부(132bb)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줄마감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부(132bb)에 걸려 줄마감부(120)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외력으로서 회전력 또는 토크가 줄(110)에 인가되더라도 줄마감부(120)는 탄성부(140)에 의한 완충되며, 줄(110)은 함몰부(132bb)에 걸린 줄마감부(120)에 의해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탄성의 효과는 도 3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마감부(120)의 형상변경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마감부(120)는 줄(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위와 아래로 곡선 형상으로 하나씩 돌출된 분지체(120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분지체(120b)의 개수,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줄(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줄마감부(120)의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120b)는 줄(110)에 외력으로서 당기는 힘, 회전력 등이 인가된 때에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다. 즉, 분지체(120b)는 외력으로서 인력이나 회전력이 인가되더라도 복원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줄마감부(120)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를 포함함으로써, 줄(110)을 통하여 줄마감부(120)에 걸림부(132b) 방향으로의 외력 또는 회전력이 작용할 경우,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는 걸림부(132b)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됨으로써 상기 외력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분지체(120b)가 없을 경우, 줄마감부(120)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걸림부(132b)에 직접 맞닿게 되며, 상기 외력이 기준수준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에 줄마감부(120), 걸림부(132b) 등이 손상되거나, 줄(110)과 걸림부(120)가 분리될 수 있다. 줄(110)에 장식물(150)이 꿰어져 있을 경우에는 줄(110)과 걸림부(120)가 분리됨으로써 장식물(150)이 줄(1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c)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132b)는 줄마감부(120)와 대향하는 대향면(132ba)을 가질 수 있다. 대향면(132ba)에는 대향면(132ba)에 대향하는 줄마감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부(132bb)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지체(120b)의 적어도 일부는 함몰부(132bb)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지체(120b)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부(132bb)에 걸려 줄마감부(120)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외력으로서 회전력 또는 토크가 줄(110)에 인가되더라도 줄마감부(120)는 분지체(120b)가 제공하는 탄성에 의한 완충되며, 줄(110)은 함몰부(132bb)에 걸린 분지체(120b)에 의해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앞서 상술한 내용에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물(150)이 꿰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140) 또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는 장식물(150)에 외력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줄마감부(120)는 단조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줄(110)에 장식물(150)을 꿸 경우에 탄성부(140) 또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는 줄(110)에 장식물(150)을 촘촘하게 꿸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동작, 외부 환경 등에 의하여 장식물(15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변형될 수 있어 외력을 흡수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다. 탄성부(140) 또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가 없을 경우에 줄(110)에 장식물(150)을 촘촘하게 꿰면 줄마감부(120)가 걸림부(132b)와 맞닿게 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외력이 인가될 때, 걸림부(132b)가 손상되거나, 줄마감부(120)와 줄(110)이 분리되거나, 세라믹 등과 같은 깨지기 쉬운 소재로 만들어진 장식물(150)이 파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100)는 탄성부(140) 또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가 제공하는 완충효과를 통하여 줄(110)에 장식물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줄(110)이 줄걸림부재(130)로부터 분리되거나 장식물(150)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하여 장식물(150)이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줄(110)에 장식물(150)을 촘촘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신구를 착용한 후 사용과정에서 장식물(150)이 촘촘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장식물(150), 장신구(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110)에 장식물(150)을 상호 인접하게 또는 상호 밀착되게 끼워 장신구를 제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동작이나 외력에 의하여 장식물(150)은 서로 압박될 수 있다. 게르마늄 비드(bead), 유리 비드, 자기 비드 등과 같은 장식물(150)이 장신구에 사용될 경우에 이들은 서로 압박되는 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다. 이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110)에 장식물(150)을 꿰어 넣어 장신구를 만드는 과정에서 장식물(150) 상호간에 유격을 둘 수 있다. 이 경우, 장식물(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장신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장식물(150)이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줄(110)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미감을 훼손하거나 움직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 등에 의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탄성부(140) 또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행위 또는 외력에 의하여 줄(110)에 꿰어진 장식물(150)이 압박되더라도 탄성부(140) 또는 탄성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지체(120b)는 탄성 변형되어 장식물(150)은 파손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런 효과로 인하여 장식물(150)은 줄(110)에 상호 밀착되게 꿰어 넣을 수 있어 미감 훼손이나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아니하며 장식물(150)이 제공하는 미감을 최대한 끌어 올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마감부(120) 및 줄걸림부재(130)는 줄(110)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줄(110)의 상기 일측에 마련되는 줄걸림부재(130a)와 줄(110)의 상기 타측에 마련되는 줄걸림부재(130b)는 서로 체결됨으로써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벨트형 장신구 등과 같이 고리 형상의 장신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줄(110)로서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a, 130b)는 도 1 및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곡선 형상의 장신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줄(110)에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a, 130b)를 마련하는 경우에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a, 130b)는 다음과 같은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a, 130b)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줄걸림부재(13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a, 130b)는 도 2의 (b)에서 예시한 줄(110)의 회전 가능한 줄걸림부재(130)만을 포함하거나, 도 2의 (c)에서 예시한 줄(110)의 회전이 저지되는 줄걸림부재(130)만을 포함하거나, 회전 가능한 줄걸림부재(130)와 회전이 저지되는 줄걸림부재(13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한 쌍의 줄걸림부재(130a, 130b)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줄걸림부재(130)와 통상의 줄걸림부재가 혼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회전가능 여부를 기준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줄걸림부재의 조합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줄(110)이 줄걸림부재(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줄(110)에서 장식물(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110)을 말아주는 대신에 단조방식 등의 방식으로 마련되는 줄마감부(120)를 통하여 줄(110)을 마감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줄마감부(120)를 통하여 줄(110)이 줄걸림부재(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110)에 꿰어진 장식물(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줄(110)을 접지 않음으로써 장신구에 적용되는 줄(110)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탄성부(14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120b)를 포함하여 탄성효과를 제공하는 줄마감부(120)를 포함함으로써 줄(110)에 꿰어진 장식물(150)이 압박되더라도 장식물(150)이 파손되지 아니하면서도 장식물(150)을 줄(110)에 밀착하여 마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110: 줄
120: 줄마감부
120a: 제1영역
120b: 분지체
130, 130a, 103b: 줄걸림부재
132: 이탈방지부
132a: 관통홀
132b: 걸림부
132ba: 대향면
132bb: 함몰부
134: 밀폐부
140: 탄성부
150: 장식물

Claims (8)

  1.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감싸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줄;
    상기 줄의 일측,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줄마감부; 및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줄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줄마감부는 상기 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영역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줄이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 및 상기 줄마감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줄마감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대향면에 대향하는 상기 줄마감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부가 마련되되,
    상기 함몰부와 상기 줄마감부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마감부는 상기 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지체를 포함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마감부는 단조방식으로 마련되며,
    상기 줄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물이 꿰어지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장식물에 외력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축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줄마감부 및 상기 줄걸림부재는 상기 줄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줄의 상기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줄걸림부재와 상기 줄의 상기 타측에 마련되는 상기 줄걸림부재는 서로 체결됨으로써 폐곡선을 형성하는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KR1020180061568A 2018-05-30 2018-05-30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KR10206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568A KR102069302B1 (ko) 2018-05-30 2018-05-30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568A KR102069302B1 (ko) 2018-05-30 2018-05-30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198A KR20190136198A (ko) 2019-12-10
KR102069302B1 true KR102069302B1 (ko) 2020-01-22

Family

ID=6900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568A KR102069302B1 (ko) 2018-05-30 2018-05-30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3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81Y1 (ko) 2000-11-04 2001-04-16 이정곤 물품 현수용 목걸이
JP2001128835A (ja) * 1999-11-05 2001-05-15 Fairyland:Kk ワイヤー状塑性体とこれを使用した製品
US20060248922A1 (en) 2004-04-28 2006-11-09 Scharr Paul R Jewelry system
JP2008534090A (ja) 2005-03-31 2008-08-28 シュワブ、フランシス セルフロック連結装置
JP2014176593A (ja) * 2013-02-15 2014-09-25 Masahiro Hoshino クラスプ
JP2015024059A (ja) * 2013-07-26 2015-02-05 ファイテン株式会社 ネックレスタイプの健康装身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835A (ja) * 1999-11-05 2001-05-15 Fairyland:Kk ワイヤー状塑性体とこれを使用した製品
KR200220481Y1 (ko) 2000-11-04 2001-04-16 이정곤 물품 현수용 목걸이
US20060248922A1 (en) 2004-04-28 2006-11-09 Scharr Paul R Jewelry system
JP2008534090A (ja) 2005-03-31 2008-08-28 シュワブ、フランシス セルフロック連結装置
JP2014176593A (ja) * 2013-02-15 2014-09-25 Masahiro Hoshino クラスプ
JP2015024059A (ja) * 2013-07-26 2015-02-05 ファイテン株式会社 ネックレスタイプの健康装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198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34807A (en) Jewelry connector
NZ544823A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to allow ornamental members to be seperated from each other and not "bunch up"
US4471509A (en) Combination necklace and eyeglass strap
US10016028B2 (en) Substantially annular-shaped accessory
US9289035B2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KR102069302B1 (ko) 단조방식의 줄마감부를 포함하는 장신구
KR102069296B1 (ko) 상감방식의 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장신구
WO2012010814A1 (en) Hair beads or charms
US2789380A (en) Jewelry construction
US20060005575A1 (en) Article of jewelry which encircles a body part without a clasp
US9516929B1 (en) Fastening structure of jewellery
US20210105551A1 (en) Ear-fitting headphon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US20050241335A1 (en) Jewelry connector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AU2014101127A4 (en) Device for forming Brunnian Links
US20230083567A1 (en) Bungee Bead Apparatus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US10925353B1 (en) Bungee bead apparatus
KR20120008345U (ko) 목걸이의 장식용 연결장치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101981298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JP3176850U (ja) 形状保持可能な装身具
JP3160985U (ja) ビーズ織り帯締め
JP3021444U (ja) 変形自在の装身具
TWM645467U (zh) 水晶珠手環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