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93B1 -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8593B1 KR102068593B1 KR1020180076613A KR20180076613A KR102068593B1 KR 102068593 B1 KR102068593 B1 KR 102068593B1 KR 1020180076613 A KR1020180076613 A KR 1020180076613A KR 20180076613 A KR20180076613 A KR 20180076613A KR 102068593 B1 KR102068593 B1 KR 1020685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tension
- base
- cam shap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25J9/104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comprising tensio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베이스상에 배치된 와이어; 베이스에 설치되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베이스에 설치되며 베이스와 상대회전을 하고 회전된 상태에서의 위치가 베이스에 고정 가능하며, 측면의 일부에 캠 형상이 형성되고 캠 형상이 와이어의 일부와 접촉되며, 베이스를 기준으로 회전시 캠 형상이 함께 회전되며 캠 형상과 와이어가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캠 형상이 형성된 텐션부가 베이스와 상대회전하여 캠 형상과 와이어가 접촉하는 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로봇의 관절 등에 적용되는 기계적으로 구성된 회전장치는 구동부의 간소화 및 경량화를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구동부를 이격시키고, 이 둘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조작할 수 있다. 와이어는 모터에서 제공되는 기계적 동력을 구동부에 전달하여 구동부가 작동하도록 한다. 그러나, 와이어에 장시간 동안 인가된 텐션 및 장치의 온도 상승 등으로 인해, 와이어가 늘어나 와이어에 인가된 텐션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에 인가된 텐션이 변할 경우, 모터에서 제공되는 기계적 동력보다 구동부에 전달되는 동력이 현저히 적어 장치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제어의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의 해결책으로 와이어에 텐션을 조절하는 와이어 텐셔너가 사용되고 있었다.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어 텐셔너는 와이어의 텐션을 측정하여 텐션이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와이어를 밀거나 당겨서 와이어에 인가되는 텐션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 와이어 텐셔너는 와이어를 밀거나 당겨서 와이어에 인사되는 텐션을 조절하기 때문에, 와이어 텐셔너의 위치 변화로 인해 베이스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 및 베이스가 힘의 균형을 잃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텐션 조절 동작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좁은 공간 상에 배치된 와이어의 텐션 조작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와이어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이 없어 베이스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 및 베이스가 힘의 균형을 잃어버리는 문제없이, 육각 렌치로 좁은 공간상에서도 용이하게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베이스; 베이스상에 배치된 와이어; 베이스에 설치되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베이스에 설치되며 베이스와 상대회전을 하고 회전된 상태에서의 위치가 베이스에 고정 가능하며, 측면의 일부에 캠 형상이 형성되고 캠 형상이 와이어의 일부와 접촉되며, 베이스를 기준으로 회전시 캠 형상이 함께 회전되며 캠 형상과 와이어가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를 포함한다.
텐션부는 고정 볼트 및 고정 볼트로 베이스와 결합되고, 다각 헤드 및 캠 형상이 형성된 텐션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에 설치되고, 표면의 일부에 홈부가 형성되며, 홈부는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의 다각형의 꼭지점이 걸려 텐션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텐션부 고정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는 육각 헤드이고, 텐션부 고정파트의 홈부는 세개일 수 있다.
베이스는 표면의 일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텐션 조절부는 베이스의 설치홈에 삽입되는 샤프트부가 형성되고, 샤프트부의 상단에는 다각 헤드가 형성되며, 샤프트부와 다각 헤드 사이에 캠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의 하단에는 원통형의 샤프트부의 둘레 측면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캠 형상이 형성되고, 캠 형상과 와이어가 접촉할 수 있다.
와이어가 선회하여 지나가도록 베이스에 설치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통해 역으로 전달되는 외란을 흡수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기둥 형상이며, 중심축이 베이스의 폭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는 탄성체, 텐션부 및 고정부와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탄성체는 와이어와 접촉하는 측면부가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 및 텐션부가 텐션 조절 파트를 구성하고, 베이스에는 한 쌍의 텐션 조절 파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각각의 텐션 조절 파트의 고정부는 베이스의 폭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는 육각 렌치를 체결할 수 있는 육각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와이어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이 없어 베이스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 및 베이스가 힘의 균형을 잃어버리는 문제없이, 캠 형상이 형성된 텐션부가 베이스와 상대회전하여 캠 형상과 와이어가 접촉하는 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육각 렌치로 좁은 공간상에서도 용이하게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 고정파트 및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텐션 조절부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 고정파트 및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텐션 조절부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베이스(100); 베이스(100)상에 배치된 와이어(200);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와이어(200)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300); 및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베이스(100)와 상대회전을 하고 회전된 상태에서의 위치가 베이스(100)에 고정 가능하며, 측면의 일부에 캠 형상(422)이 형성되고 캠 형상(422)이 와이어(200)의 일부와 접촉되며,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회전시 캠 형상(422)이 함께 회전되며 캠 형상(422)과 와이어(200)가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20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는 표면의 일부에 텐션부(400)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홈은 텐션부(400)의 텐션 조절부(420)의 샤프트부(421)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 즉, 원통형 홀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와이어(200)는 일단이 연장되어 텐션부(400)와 접촉된 후 고정부(300)에 의해 베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00)의 타단은 모터(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모터의 회전시 와이어(200)의 당김 동작에 의해 베이스(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부(300)는 베이스(100)의 폭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베이스(100)의 폭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설치되고, 와이어(200)는 텐션부(400)를 최대한 감싸듯이 돌아나가게 배치됨으로써, 와이어(200)와 텐션부(400)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와이어(200)의 텐션 조절이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텐션부(400)는 고정 볼트(410) 및 고정 볼트(410)로 베이스(100)와 결합되고, 다각 헤드(423) 및 캠 형상(422)이 형성된 텐션 조절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는 표면의 일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텐션 조절부(420)는 베이스(100)의 설치홈에 삽입되는 샤프트부(421)가 형성되고, 샤프트부(421)의 상단에는 다각 헤드(423)가 형성되며, 샤프트부(423)와 다각 헤드(421) 사이에 캠 형상(422)이 형성될 수 있다. 텐션 조절부(420)는 샤프트부(421)를 통해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베이스(100)와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다각 헤드(423)를 포함하여 베이스(100)에 고정 가능하며, 캠 형상(422)을 포함하여 와이어(200)의 가압량을 조절함으로써 와이어(200)의 텐션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조절부(420)의 다각 헤드(423)의 하단에는 원통형의 샤프트부(421)의 둘레 측면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캠 형상(422)이 형성되고, 캠 형상(422)과 와이어(200)가 접촉할 수 있다(도 3 참조). 즉, 텐션 조절부(420)의 샤프트부(421)는 베이스(100)의 설치홈에 삽입되어 텐션 조절부(4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다각 헤드(423)는 캠 형상(422)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캠 형상(422)는 와이어(200)와 접촉하고 와이어(200)와 캠 형상(422)이 접촉하는 면적은 캠 형상(422)으로 인해 변함으로써 와이어(2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조절부(420)는 캠 형상(422)과 와이어(200)가 접촉하는 면적을 조절하여 와이어(200)의 텐션을 손쉽게 조절함으로써, 베이스(100)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 및 베이스(100)가 힘의 균형을 잃어버리는 문제없이 와이어(2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텐션 조절부(420)의 다각 헤드(423)는 육각 렌치를 체결할 수 있는 육각홀(424)이 형성될 수 있다. 다각 헤드(423)는 육각홀(424)이 형성됨으로써, 육각 렌치를 사용하여 좁은 공간상에서 용이하게 와이어(2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조절부(420)는 샤프트부(421)를 통해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육각 렌치를 육각홀(424)에 체결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베이스(100)와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다각 헤드(423)를 포함하여 베이스(100)에 고정 가능하며, 캠 형상(422)을 포함하여 와이어(200)의 가압량을 조절함으로써 와이어(200)의 텐션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텐션 조절부(420)는 고정 볼트(410)의 나사가 관통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d)는 텐션 조절부(420)의 캠 형상(42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캠 형상(422)과 와이어(200)가 접촉하는 면적을 변화시켜 와이어(200)의 텐션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텐션 조절부(420)의 캠 형상(422)의 상사점(돌출부의 꼭지)의 위치를 조절하여 캠 형상(422)와 와이어(200)가 접촉하믄 면적을 변화시켜 와이어(2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2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표면의 일부에 홈부(510)가 형성되며, 홈부(510)는 텐션 조절부(420)의 다각 헤드(423)의 다각형의 꼭지점이 걸려 텐션부(4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텐션부 고정파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텐션 조절부(420)의 다각 헤드는 텐션부 고정파트(500)의 홈부(510)와 맞물려 텐션 조절부(420)의 회전을 방지하여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텐션을 유지하고, 와이어(200)의 텐션은 유단(有段)으로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조절부(420)의 다각 헤드(423)는 육각 헤드이고, 텐션부 고정파트(500)의 홈부(510)는 3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텐션 조절부(420)의 다각 헤드(423)의 다각형의 꼭지점은 텐션부 고정파트(500)의 홈부(510)에 걸려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텐션부(400)의 캠 형상(422)의 위치를 고정하여 캠 형상(422)에 의해 와이어(200)에 가해하는 가압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텐션부 고정파트(500)는 고정파트 볼트(520) 및 홈부(510)가 형성된 고정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는 표면의 일부에 삽입부(110)가 형성되고, 텐션부 고정파트(500)는 고정파트 볼트(52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고정파트 볼트(520)는 텐션부 고정파트(500)의 홀을 관통한 후 베이스(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되어 텐션 고정파트(500)를 베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텐션 조절부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와이어(200)가 선회하여 지나가도록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와이어(200)를 통해 역으로 전달되는 외란을 흡수하는 탄성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모터가 아닌 베이스(100)에 외력이 인가되어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외란에 의해 와이어(200)의 텐션이 증가할 경우, 탄성체(600)가 와이어(200)를 통해 역으로 전달되는 외란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600)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600)는 와이어(200)와 접촉하는 측면부가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와이어(200)가 접촉하는 탄성체(600)의 측면부가 곡면일 경우, 와이어(200)와의 접촉면이 넓어져 외란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탄성체(600)는 기둥 형상이며, 중심축이 베이스(100)의 폭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폭 방향과 탄성체(600)의 중심축이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배치될 경우, 탄성체(600)에 가해지는 과도한 텐션이 저감되어 탄성체(60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와이어(200)에 인가되는 텐션 중 탄성체(600)로 인한 영향이 줄어들어 텐션부(400)의 텐션 조절능이 향상될 수 있다.
탄성체(60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탄성체(600)는 중공형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200)는 탄성체(600), 텐션부(400) 및 고정부(300)와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200)는 일단이 연장되어 탄성체(600) 및 텐션부(400)와 순차적으로 접촉된 후 고정부(300)에 의해 베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200)는 탄성체(600) 및 텐션부(400)의 캠 형상(422)을 최대한 감싸듯이 돌아나가도록 접촉됨으로써, 와이어(200)가 탄성체(600) 및 텐션부(400)의 캠 형상(422)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와이어(200)의 텐션을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와이어(200-1, 200-2), 고정부(300-1, 300-2) 및 텐션부(400-1, 400-2)가 텐션 조절 파트를 구성하고, 베이스(100)에는 한 쌍의 텐션 조절 파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각각의 텐션 조절 파트의 고정부(300-1, 300-2)는 베이스(100)의 폭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제1 와이어(200-1), 제1 고정부(300-1) 및 제1 텐션부(400-1)로 구성된 제1 텐션 조절 파트, 및 제2 와이어(200-2), 제2 고정부(300-2) 및 제2 텐션부(400-2)로 구성된 제2 텐션 조절 파트가 형성되고, 제1 고정부(300-1)와 제2 고정부(300-2)는 베이스(100)의 폭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제1 와이어(200-1), 제1 고정부(300-1), 제1 텐션부(400-1) 및 제1 텐션부 고정파트(500-1)로 구성된 제1 텐션 조절 파트, 및 제2 와이어(200-2), 제2 고정부(300-2), 제2 텐션부(400-2) 및 제2 텐션부 고정파트(500-2)로 구성된 제2 텐션 조절 파트가 형성되고, 제1 고정부(300-1)와 제2 고정부(300-2) 및 제1 텐션부 고정파트(500-1)와 제2 텐션부 고정파트(500-2) 각각은 베이스(100)의 폭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텐션 조절 파트의 텐션부(400-1, 400-2)가 대응되는 와이어(200-1, 200-2)를 가압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일 경우, 즉, 각각의 텐션부(400-1, 400-2)의 캠 형상(422)에 의해 와이어(200-1, 200-2)가 가압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일 경우, 제1 텐션부(400-1)와 제2 텐션부(400-2)에 의해 베이스(100)에 작용되는 텐션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베이스(100)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를 방지하고, 베이스(100)가 힘의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안정적인 회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와이어(200-1, 200-2), 고정부(300-1, 300-2), 텐션부(400-1, 400-2), 텐션부 고정파트(500-1, 500-2) 및 탄성체(600-1, 600-2)가 텐션 조절 파트를 구성하고, 베이스(100)에는 한 쌍의 텐션 조절 파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각각의 텐션 조절 파트의 탄성체(600-1, 600-2)가 배치되는 오목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는 제1 와이어(200-1), 제1 고정부(300-1), 제1 텐션부(400-1), 제1 텐션부 고정파트(500-1) 및 제1 탄성체(600-1)로 구성된 제1 텐션 조절 파트, 및 제2 와이어(200-2), 제2 고정부(300-2), 제2 텐션부(400-2), 제2 텐션부 고정파트(500-2) 및 제2 탄성체(600-2)로 구성된 제2 텐션 조절 파트가 형성되고, 제1 고정부(300-1)와 제2 고정부(300-2)는 베이스(100)의 폭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의 베이스(100)는 링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200-1, 200-2)는 링 형태의 베이스(100)를 따라 진입할 수 있다. 즉, 와이어(200-1, 200-2)는 링의 둘레는 따라 탄성체(600-1, 600-2) 또는 텐션부(400-1, 400-2)에 진입할 수 있다.
100: 베이스 110: 삽입부
200, 200-1, 200-2: 와이어 300, 300-1, 300-2: 고정부
400, 400-1, 400-2: 텐션부 410: 고정 볼트
420: 텐션 조절부 421:샤프트부
422: 캠 형상 423: 다각 헤드
500: 텐션부 고정파트 510: 홈부
520: 고정파트 볼트 600, 600-1, 600-2: 탄성체
200, 200-1, 200-2: 와이어 300, 300-1, 300-2: 고정부
400, 400-1, 400-2: 텐션부 410: 고정 볼트
420: 텐션 조절부 421:샤프트부
422: 캠 형상 423: 다각 헤드
500: 텐션부 고정파트 510: 홈부
520: 고정파트 볼트 600, 600-1, 600-2: 탄성체
Claims (12)
- 베이스;
베이스상에 배치된 와이어;
베이스에 설치되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베이스에 설치되며 베이스와 상대회전을 하고 회전된 상태에서의 위치가 베이스에 고정 가능하며, 측면의 일부에 캠 형상이 형성되고 캠 형상이 와이어의 일부와 접촉되며, 베이스를 기준으로 회전시 캠 형상이 함께 회전되며 캠 형상과 와이어가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를 포함하며,
와이어가 선회하여 지나가도록 베이스에 설치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통해 역으로 전달되는 외란을 흡수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텐션부는 고정 볼트 및 고정 볼트로 베이스와 결합되고, 다각 헤드 및 캠 형상이 형성된 텐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에 설치되고, 표면의 일부에 홈부가 형성되며, 홈부는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의 다각형의 꼭지점이 걸려 텐션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텐션부 고정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는 육각 헤드이고, 텐션부 고정파트의 홈부는 세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는 표면의 일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텐션 조절부는 베이스의 설치홈에 삽입되는 샤프트부가 형성되고, 샤프트부의 상단에는 다각 헤드가 형성되며, 샤프트부와 다각 헤드 사이에 캠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5에 있어서,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의 하단에는 원통형의 샤프트부의 둘레 측면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캠 형상이 형성되고, 캠 형상과 와이어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는 기둥 형상이며, 중심축이 베이스의 폭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이어는 탄성체, 텐션부 및 고정부와 순차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는 와이어와 접촉하는 측면부가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 및 텐션부가 텐션 조절 파트를 구성하고, 베이스에는 한 쌍의 텐션 조절 파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각각의 텐션 조절 파트의 고정부는 베이스의 폭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텐션 조절부의 다각 헤드는 육각 렌치를 체결할 수 있는 육각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613A KR102068593B1 (ko) | 2018-07-02 | 2018-07-02 |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613A KR102068593B1 (ko) | 2018-07-02 | 2018-07-02 |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3622A KR20200003622A (ko) | 2020-01-10 |
KR102068593B1 true KR102068593B1 (ko) | 2020-01-20 |
Family
ID=6915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6613A KR102068593B1 (ko) | 2018-07-02 | 2018-07-02 |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859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16802A (ja) * | 2014-12-24 | 2016-06-30 | ニスカ株式会社 | 荷重支持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66875B (zh) | 2014-02-24 | 2017-01-21 | 新川股份有限公司 | 線張力器 |
-
2018
- 2018-07-02 KR KR1020180076613A patent/KR1020685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16802A (ja) * | 2014-12-24 | 2016-06-30 | ニスカ株式会社 | 荷重支持機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3622A (ko) | 2020-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00303A (en) | Idler mechanism | |
KR102068593B1 (ko) |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
KR100628288B1 (ko) | 벨트 설치 공구 | |
JP5224598B2 (ja) | コンベア装置及びモータ内蔵ローラ取り付け器具 | |
US4889520A (en) | Tension device for drive belt | |
KR101000638B1 (ko) | 체인 및 벨트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 |
US20050193870A1 (en) | Ratchet opener | |
US6004236A (en) | Belt-drive mechanism | |
KR102068594B1 (ko) |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
JP4577626B2 (ja) | ベルト伝動装置 | |
KR102022295B1 (ko) | 외란 흡수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
KR100651793B1 (ko) | 체인장력조절기구 | |
JPH08184358A (ja) | チェーン張り装置 | |
KR102068592B1 (ko) | 와이어 텐션 조절기구 | |
JPH11303954A (ja) | テンション装置 | |
JP2005140249A (ja) | 巻掛式回転伝動装置の張力調整装置 | |
JP2002098207A (ja) | チェーン緊張装置 | |
KR0180343B1 (ko) | 자동화 기기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 |
US20210198050A1 (en) | Primary belt cleaner tensioning system with internal torsion spring | |
CN115402845A (zh) | 调节装置和卷绕设备 | |
US20210286233A1 (en) | Camera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JP2000025002A (ja) | チェーン張り具合調整装置 | |
KR200309175Y1 (ko) | 자동 텐셔너 | |
EP0472505B1 (en) | Tensioning device | |
JP2007137529A (ja) | ローラコンベヤにおけるベルト駆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