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86B1 -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586B1
KR102068586B1 KR1020180100417A KR20180100417A KR102068586B1 KR 102068586 B1 KR102068586 B1 KR 102068586B1 KR 1020180100417 A KR1020180100417 A KR 1020180100417A KR 20180100417 A KR20180100417 A KR 20180100417A KR 102068586 B1 KR102068586 B1 KR 10206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density
user
information
impedance
bod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류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8010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체성분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체성분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신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상기 사용자 정보는 제 1 시점에 측정된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시점과 상이한 제 2 시점에 측정된 제 2 사용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상기 멀티 임피던스는 상기 제 1 시점에 측정된 제 1 멀티 임피던스 및 상기 제 2 시점에 측정된 제 2 멀티 임피던스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체성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골밀도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1 골밀도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2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골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BONE DENSITY}
본 개시는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를 통해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이 필요하다. 전압 전극은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전류 전극은 인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인가된 전압과 전류를 통하여 인체의 임피던스가 측정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537호는 체성분 분석기를 개시한다.
일반적인 체성분 분석장치는 측정된 임피던스, 신장, 체중, 나이와 성별에 관한 정보를 주로 이용하여 신체 내의 지방 및 수분의 비율과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신체 내부에 수분이 많으면 전기가 쉽게 흘러 전기 저항이 낮아지고, 수분이 적으면 전기가 흐를수 있는 통로가 좁아져 저항이 높아진다. 인체의 대부분의 수분은 근육에 포함되어 있고, 지방은 수분을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로부터 인체의 근육량 및 체지방량을 측정하고 결과를 LCD 표시 화면이나 출력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 체성분 측정장치는 직관적이지 않아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없고, 결과로써 출력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골밀도 정보를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를 통해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체성분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체성분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신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상기 사용자 정보는 제 1 시점에 측정된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시점과 상이한 제 2 시점에 측정된 제 2 사용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상기 멀티 임피던스는 상기 제 1 시점에 측정된 제 1 멀티 임피던스 및 상기 제 2 시점에 측정된 제 2 멀티 임피던스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체성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골밀도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1 골밀도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2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골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와 제 2 골밀도 정보의 차이가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least significant change)보다 큰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성분 측정 장치의 정밀도 오차(precision error)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골밀도 수치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멀티 임피던스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서 산출된 표준편차의 실효값(root mean square)을 상기 정밀도 오차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멀티 임피던스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서 산출된 평균값을 상기 제 1 멀티 임피던스로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밀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업데이트하도록 유도하는 업데이트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 및 제 2 골밀도 정보에 대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를 포함하는 제 4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는 상기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수치 및 상기 멀티 임피던스가 측정된 시점을 각각 축으로 하는 2차원 그래프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는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 및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체성분 측정 장치의 측정 오차 가능성이 있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유의수준 그래픽 추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는 연령별 골밀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전 결정된 범위에 대해서 정상 범위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4 화면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설정 그래픽 추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를 통해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화면에서 식별정보 입력 그래픽 요소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측정 그래픽 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그래픽 추가 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그래픽 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그래픽 요소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1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 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 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 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서버의 서버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디지털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서버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웹 서버일 수 있다. 전술한 서버의 종류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4 전극법을 사용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탠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측정부(100), 조작부(20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하고, 각 구성을 동작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400)의 제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류를 인가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두 개 이상의 전극(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00)는 전극(11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컴퓨팅 장치(400)의 제어부(4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110)은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110)은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일정한 주파수를 지닌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극(110)은 사용자 신체에 대한 복수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멀티 임피던스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임피던스는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측정 값 모음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 임피던스는 두개 이상의 전극(110) 중에서 하나의 전극(110)에서 다른 하나의 전극(110)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로와 관련한 임피던스인 다중 경로 임피던스 및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인가된 전압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별 임피던스인 다중 주파수 임피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임피던스는 위상각 및 리액턴스를 포함하는 값일 수 있다. 다중 주파수 임피던스는 사용자 신체에 복수의 주파수를 가진 복수의 전류를 흐르게 하여 측정되는 임피던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경로 임피던스는 왼손과 접촉하는 전극(110)에서 오른손과 접촉하는 전극(110)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로와 관련된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임피던스 및 오른손과 접촉하는 전극과 왼발과 접촉하는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와 관련된 사용자 신체에 관한 임피던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중 경로 임피던스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복수의 전극(110)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따라 전류가 흐르는 경로 각각에 대한 임피던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로써, 다중 주파수 임피던스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인가된 50kHz의 전류가 흐를 때의 사용자 신체에 관한 임피던스와 30kHz의 전류에 대한 임피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중 주파수 임피던스는 다중 경로 각각에 대하여 다중 주파수의 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일 수 있다. 전술한 멀티 임피던스에 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측정부(100)는 스탠드형 체성분 측정 장치의 상부에 배치된 핸들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왼손바닥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왼손 전극 및 오른손바닥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오른손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전극은 50kHz의 주파수를 지니는 전류를 사용자의 왼손바닥의 왼손 전극으로 인가 할 수 있고, 전류는 왼쪽 손목, 왼쪽 팔, 몸통, 오른쪽 팔 및 오른쪽 손목을 거쳐 오른쪽 손바닥의 오른손 전극으로 돌아올 수 있다. 또한, 전극은 50kHz 전류가 흐를 때 왼손 전극과 오른손 전극 간의 전압차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 신체 중 전류가 통전 된 양쪽 팔과 몸통 부분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극은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상에서 왼쪽 손목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왼손 전극 및 오른쪽 손 2개의 손가락이 접촉할 수 있는 오른손가락 전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전극의 배치와 작동 동작의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00)는 네 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여 복수의 주파수를 가진 전류를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00)는 복수 개의 전류전극과 전압전극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여러 주파수를 지니는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로 통전 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부(100)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통해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00)는 스탠드형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상부에 배치된 핸들부의 전극 외에도, 하부에 배치된 본체의 상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00)는 사용자가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본체를 밞고 일어서 있을 때, 사용자의 왼발바닥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왼발 전극 및 오른발바닥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오른발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00)는 핸들부에 배치되는 왼손 전극 및 오른손 전극을 통해 5kHz의 주파수를 지닌 전류를 양 팔과 몸통 일부분에 통전시켜, 사용자의 양 팔과 몸통 일부분에 대한 임피던스 700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시점에 측정부(100)는 본체의 상판에 배치되는 왼발 전극 및 오른발 전극을 통해 50kHz의 주파수를 지닌 전류를 양 다리와 몸통에 통전시켜, 사용자의 양 다리와 몸통에 대한 임피던스 600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측정부(100)는 네 개 이상의 전극을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류를 통전하여 사용자의 신체 여러 부분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측정부(100)의 임피던스 측정 방법의 자세한 기재 및 수치의 한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가 올라올 수 있는 발판 형태의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하부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를 지지하며 바닥면과 접하는 하판부,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상판부, 그리고 체중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중계(120)는 상판부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가 포함하는 구성요소(예컨대, 핸들부, 지지대 및 신장계 등)의 무게를 반영하여 영점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상부에 핸들부가 배치됨으로써 체중계(12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체중계(120)는 핸들부의 무게를 반영하여 영점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체중계(120)의 영점 조절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장계(130)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사용자 신장의 고점(예컨대, 정수리)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막대 자의 높이 변화량에 따라 신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장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계(130)는 사용자에게 신장 측정 방식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전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는 서브 디스플레이(31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디스플레이(311)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동안,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311)의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 디스플레이 동작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도 6과 함께 후술한다.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신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스크린 및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00)는 키패드와 같은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전자적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든 명령 신호를 의미한다. 즉,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손의 터치 동작 또는 터치 펜에 의한 터치 동작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단순한 접촉 동작 및 필기 동작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터치 펜'은 '전자 펜' 및 '디지털 펜'을 총칭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동작에 의한 명령 신호가 터치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300)는 제어부(410)에서 생성된 체성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300)는 골밀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300)는 프린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300)는 디스플레이(310), 프린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식으로 제어부(410)가 생성한 체성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310)가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화면(500), 제 2 화면(600), 제 3 화면(700) 및 제 4 화면(8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출력부(300)는 체성분 정보를 인쇄 용지에 프린트함으로써 결과지를 생성하기 위한 프린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과지는 체성분 결과지 및 부위별 결과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체성분 결과지는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근육량, 골밀도 등 인체 성분에 대한 전체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위별 결과지는 왼팔, 오른팔, 왼다리, 오른다리 및 몸통에 각각에 대하여 얼마나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를 평가한 부분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과지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체성분 분석, 비만 분석, 복부 비만 평가, 부위별 근육분석, 체수분 분석, 종합평가, 신체균형 평가, 체중조절, 임피던스, 혈압 평가 및 부위별 결과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는 제 1 내지 제 4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쇄 용지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300)는 프린터를 통해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쇄물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400)의 구성은 간략화 하여 나타낸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400)는 컴퓨팅 장치(400)의 컴퓨팅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디지털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건강 측정을 처리하는 웹 서버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제어부(410), 네트워크부(420), 메모리(430), 측정부(100), 조작부(20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 딥러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및 골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관련 데이터 측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측정된 임피던스 및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해당하는 체성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 정보는 체중, 체수분량, 세포 내 수분량, 세포 외 수분량,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 근육량, 골격근량, 단백질량 및 무기질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정보는 골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골밀도 정보는 사용자의 뼈의 강도와 관련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골밀도 정보는 사용자의 골밀도 값, 사전결정된 사용자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상기 골밀도 정보의 사용자와 동일한 연령대의 사용자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상기 골밀도 정보의 사용자와 동일한 성별의 사용자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상기 골밀도 정보의 사용자와 동일한 인종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T-스코어 및 Z-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스코어는 동일한 성별에서 젊은 성인 집단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하여 표준편차로 나타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Z-스코어는 동일한 연령대의 골밀도 평균 골밀도와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임피던스 측정값은 측정부(100)의 전극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체성분 정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들이 체성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는 제 1 시점에 측정되거나, 입력된 제 1 사용자 정보와 제 1 시점과 상이한 제 2 시점에 측정되거나, 입력된 제 2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시점은 체성분 측정 장치(1000)에 대한 정밀도 오차(precision error)가 측정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제 2 시점은 제 1 시점으로부터 임의의 시간 간격이 지난 후의 시점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임피던스는 제 1 시점에 측정된 제 1 멀티 임피던스와 제 2 시점에 측정된 제 2 멀티 임피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제 1 멀티 임피던스 및 제 2 멀티 임피던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정보를 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2020년 4월 1일에 입력된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과, 동일한 일자에 측정된 체중 및 신장을 제 1 사용자 정보로써 메모리(430)에 저장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동일한 일자에 사용자에 대하여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 값을 제 1 멀티 임피던스로써 메모리(4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1 사용자 정보와 제 1 멀티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2020년 10월 1일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측정되는 체중 및 신장을 제 2 사용자 정보로 결정하고, 동일한 일자에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를 제 2 멀티 임피던스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정보와 멀티 임피던스의 결정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410)는 네트워크부(420)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건강 측정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생체 데이터는 학습 생체 데이터와 대응될 수 있다.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 나이, 성별, 임피던스 및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측정부(100)의 체중계(120)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체중 값을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의 항목 중 체중에 대한 항목 값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임피던스를 생체 데이터의 항목 값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측정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임피던스 항목을 측정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410)는 생체 데이터의 관계 정보를 제외한 다른 항목 값 중 둘 이상의 항목 값을 이용하여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부(42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키, 몸무게, 나이 및 성별 등을 입력한 값을 수신하여 제어부(4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생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항목에 대한 항목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조작부(200)가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신장, 체중,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생체 데이터의 항목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네트워크부(420)를 이용하여 사용자A의 키 178cm, 체중 84kg 및 남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410)는 측정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A의 멀티 임피던스 항목의 값(예컨대, 650Ω)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 받은 나이에 대한 항목 값 31세 및 측정부(100)를 이용하여 입력 받은 멀티 임피던스에 대한 항목 값(본 예시에서, 5kΩ)을 이용하여 관계 정보(본 예시에서,
Figure 112018084755147-pat00001
=
Figure 112018084755147-pat00002
)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제어부(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사용자의 키, 체중, 나이 및 성별에 대한 정보와 측정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A의 임피던스 항목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전술한 생체 데이터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예컨대, ID 정보,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정보, 생년월일 정보, 생체 임피던스 정보 및 심전도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biometric) 정보, 본인인증을 위한 인증번호 정보 및 사전결정된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아이디, 닉네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예시일 뿐이며 전술하지 않은 추가적인 기재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인식(biometric) 정보는, 서명, 얼굴, 홍채, 망막, 지문, 음성, 손 모양, 손혈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Biometrics)은, 신체특성 또는 행위특성을 자동적으로 측정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행동적, 생물학적(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징의 관찰에 기반한 사람의 인식을 생체 인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관련한 지문 정보가 사전 결정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관련한 심전도 정보가 사전 결정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심전도 정보와 메모리모듈에 사전저장된 하나 이상의 심전도 정보가 비교가 될 수 있다. 상기 비교에 따른 차이가 사전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사전저장된 하나 이상의 심전도 정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장치 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및 사용자 장치에 부여된 고유식별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사용자 장치의 모델 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학습된 건강 측정 모델에 입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건강 측정 모델은 라벨링 된 학습 데이터 세트를 통해 학습된 신경망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학습된 건강 측정 모델에 포함된 출력 레이어의 출력에 기초하여 골밀도 정보(BMD: bone mineral density)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골밀도 정보는 사용자의 뼈의 강도와 관련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골밀도 정보는 사용자의 골밀도 값, 사전결정된 사용자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상기 골밀도 정보의 사용자와 동일한 연령대의 사용자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상기 골밀도 정보의 사용자와 동일한 성별의 사용자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상기 골밀도 정보의 사용자와 동일한 인종 그룹의 골밀도와 비교한 지수, T-스코어 및 Z-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스코어는 동일한 성별에서 젊은 성인 집단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하여 표준편차로 나타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Z-스코어는 동일한 연령대의 골밀도 평균 골밀도와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밀도 정보는 폐경 이후의 여성 또는 50세 이상의 남성에 대하여 측정한 경우 T-스코어일 수 있고, 소아, 청소년, 폐경 전 여성 또는 50세 이전 남성에 대하여 측정한 경우 Z-스코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학습된 건강 측정 모델에 입력한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T-값 -1.5의 골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골밀도 정보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체성분 정보는 사용자의 체내의 성분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정보는 체중, 체수분량, 세포 내 수분량, 세포 외 수분량,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 근육량 및 골격근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정보는 사용자에 대하여 체지방량 18%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학습된 건강 측정 모델에 입력한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지방량, 근육량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체성분 데이터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한 생체 정보 측정 방법은 짧은 시간내에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한 생체 정보 측정 방법은 측정자의 부주의에 의한 자세의 변화 등에 따른 오차율이 적다. 또한, 전술한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한 생체 정보 측정 방법은 주기적인 장비의 관리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체성분 측정 장치(1000)가 본 개시의 실시예의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하여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골밀도 정보 및 체성분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체성분 측정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의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하여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컴퓨터의 처리 성능 및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성분 측정 장치(1000)가 본 실시예의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컴퓨팅 장치의 처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체성분 측정 장치가 본 실시예의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체성분 측정 장치의 리소스 소모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0)는 건강 측정 모델에서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기존의 체성분 측정 장치에 건강 측정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410)를 포함하기만 하면, 사용자는 기존의 체성분 측정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비용면에서 큰 이익을 볼 수 있다.
네트워크부(420)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42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부(42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서비스 처리 장치와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부(420)는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 및 네트워크의 송수신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42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메모리(430)를 통해 저장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에 있는 다른 전자장치들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부(42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측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다른 컴퓨팅 장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420)는 생체 데이터, 골밀도 데이터 및 체성분 데이터 등 본 개시의 실시예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다른 컴퓨팅 장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부(42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컴퓨팅 장치 각각에서 건강 측정 모델의 학습이 분산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42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한 골밀도 데이터 및 체성분 데이터 연산을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측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어부(410)에 의하여 판독되어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430)는 제어부(4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 골밀도 데이터, 체성분 데이터 등)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30)는 디스플레이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하여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컴퓨팅 장치(400)의 처리 성능 및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성분 측정 장치(1000)가 본 실시예의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컴퓨팅 장치(400)의 처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생체 정보 측정 장치가 본 실시예의 건강 측정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리소스 소모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건강 측정 모델에서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기존의 체성분 측정 장치에 건강 측정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410)를 포함하기만 하면, 사용자는 기존의 체성분 측정 장치의 기계적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이 높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사용자 정보와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 1 골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자 정보와 제 2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 2 골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되있거나, 네트워크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멀티 임피던스를 건강 측정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건강 측정 모델에서 출력 레이어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 1 골밀도 정보(BMD: bone mineral density)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하게 제어부(410)는 제 2 사용자 정보 및 제 2 멀티 임피던스를 건강 측정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건강 측정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 2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임피던스 세트는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되는 멀티 임피던스 측정값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00)는 왼손부터 오른손까지의 루트에 대하여 인가된 전압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별 임피던스인 다중 주파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동일한 신체 부위에 대해서 동일한 전압으로 측정을 반복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 횟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멀티 임피던스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멀티 임피던스 세트로 통합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410)의 멀티 임피던스 세트 생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서 산출된 표준편차의 실효값(root mean square)을 정밀도 오차(precision error)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복수의 멀티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서 각각의 멀티 임피던스를 제곱하여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산출된 각 멀티 임피던스 제곱의 평균값에 대하여 제곱근을 산출함으로써 멀티 임피던스 세트의 평균 제곱근 편차(root mean square deviation; RMSD) 또는,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re error; RMSE)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 자체의 정확도와 측정자(예컨대, 측정을 관리하는 측정원)의 측정 방식에 따라 변동되는 정밀도 오차(precision error)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정밀도 오차(precision error)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골밀도 수치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산출(least significant change)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복수의 멀티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 대해서 정밀도 오차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정밀도 오차에 원하는 신뢰도에 대응되는 사전결정된 수치를 곱셈하여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신뢰도 95%의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해 정밀도 오차 0.0047 g/m^2에 신뢰도 95%에 해당하는 2.77를 곱셈함으로써,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 0.013 g/m^2을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 산출 과정에서의 수치 한정들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제 1 시점(예컨대, 2018년 9월 1일)에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임피던스들을 묶어 하나의 멀티 임피던스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서 산출된 대표값을 제 1 멀티 임피던스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값은 멀티 임피던스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멀티 임피던스들의 산술 평균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에서 멀티 임피던스 세트의 대표값은 측정값을 크기 순으로 나열하고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값, 측정값의 빈도가 가장 높은 최빈값, 또는 빈도를 가중치로 삼고 평균값을 산출하는 가중 평균값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 1 시점의 제 1 사용자 정보와 멀티 임피던스 세트의 대표값(예컨대, 산술평균값)으로 산출된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 1 골밀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골밀도 정보의 산출은 제어부(410)가 건강 측정 모델에 제 1 사용자 정보 및 제 1 멀티 임피던스를 입력함으로써 출력 노드에서 출력되는 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제 1 골밀도 정보와 제 2 골밀도 정보의 차이가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보다 큰 경우,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제 1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수치(g/m^2)와 제 2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수치를 감산하여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1 및 2 골밀도 수치의 차이가 최저 유의수준 변화향보다 큰 경우, 골밀도 수치가 유의미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골밀도 수치의 변화를 알리기 위한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이 0.015g/m^이고 제 1 골밀도 정보와 제 2 골밀도 정보의 골밀도 수치가 0.016g/m^2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골밀도 수치가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출력부(300)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310) 상에 "골밀도 수치의 변화가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보다 0.001g/m^2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것을 권유 드립니다."라는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을 디스플레이 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 제공의 수치 한정 및 출력 방식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400)의 제어부(410)에서 생성된 체성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00)의 동작을 위주로 서술한다.
출력부(300)는 골밀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3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신장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대한 입력을 유도하는 제 1 화면(500)을 출력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화면(50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화면(500)은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410)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하는 초기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화면(500)은 입력 선택 그래픽 요소(510) 및 성별 입력 그래픽 요소(520) 및 식별정보 입력 그래픽 요소(5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화면(500)은 입력창(540), 가상키패드(550) 및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그래픽 요소(56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키패드(550)는 조작부(200)의 터치 스크린과 대응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그래픽 요소(560)는 특수 화면(예컨대, 설정 화면, 장치 정보 화면 등)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제 1 화면(500) 상에 입력 선택 그래픽 요소(51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입력 선택 그래픽 요소(510)를 통해 조작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이 체중, 신장 및 연령 중 어느 항목에 대한 입력으로 처리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선택 그래픽 요소(51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중, 신장 및 연령에 대한 각 그래픽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중, 신장 및 연령에 대한 각 그래픽 개체는 직사각형의 셀(cell) 내부에 각각 체중, 신장, 또는 연령이라는 단어가 각각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부(200)를 통해 입력 선택 그래픽 요소(510) 중 하나의 그래픽 개체에 대한 선택이 수신되는 경우, 이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해당하는 항목에 대한 입력 값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체중 그래픽 개체를 선택하고 키패드를 통해 67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값을 67로 입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화면(500) 상에 입력되는 값이 디스플레이 되는 입력창(540)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값을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값이 실제 입력된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화면(500)이 포함하는 입력 선택 그래픽 요소(51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화면(500) 상에 성별 입력 그래픽 요소(52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성별 입력 그래픽 요소(520)를 통해 사용자의 성별에 대한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별 입력 그래픽 요소(52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남성 및 여성을 의미하는 성별 마크가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성별 입력 그래픽 요소(520) 중 하나의 그래픽 개체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성별을 해당 성별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화면(500)이 포함하는 성별 입력 그래픽 요소(52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체중, 신장, 연령 및 성별에 대한 항목별 값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화면(500) 상에서 제 2 화면(600)으로 이동할 수 있는 진행 그래픽 요소(53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 메모리(430) 또는 네트워크부(42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 신장, 연령 및 성별 항목의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1 화면(500)에 진행 그래픽 요소(53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진행 그래픽 요소(53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을 유도하는 제 2 화면(600)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화면(500)에서 식별정보 입력 그래픽 요소(57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부(200)를 통해 식별정보 입력 그래픽 요소(570)의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면(500) 상에 키보드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식별정보 입력 그래픽 요소(570)를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ID, 또는 회원번호 등)을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DONE" 또는 "ENTER" 키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자를 식별정보로 결정하고, 다시 제 1 화면(500)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는 영문, 숫자, 한문, 한글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입력 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측정 그래픽 요소(58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측정부(100)의 체중계(120)가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 체중 측정 그래픽 요소(58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중계(120)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측정을 위해 장치에 올라오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체중계(120)는 측정된 값을 통해 사용자의 체중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410)는 체중계(120)가 생성하는 체중에 관한 정보를 체중 측정 그래픽 요소(58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초기 화면인 제 1 화면(500) 상태에서 체중계(120)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체중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체중 값을 소수점 한 자리 수까지 디스플레이(310) 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0)는 체중계(120)의 동작에 기초하여 스피커를 통해 "체중을 측정합니다", 또는 "체중 측정 중에는 움직임을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체중계(120)가 동작하는 경우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를 조작부(200)를 통한 입력이 아니라, 체성분 측정 장치(1000)에 올라와서 서는 간단한 동작으로 정확한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측정부(100)의 신장계(130)가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경우,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장계(130)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장계(130)는 사용자에게 신장 측정 방식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전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는 서브 디스플레이(31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동안, 서브 디스플레이(311) 상에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신장 측정의 주의 사항, 또는 올바른 측정 자세를 전달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는 서브 디스플레이(311)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보세요"라는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는 서브 디스플레이(311)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측정 자세에 대한 안내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는 신장계(13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장 정보 및 체중계(12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신장 측정 그래픽 요소(59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의 신장에 대한 정보를 조작부(200)를 통한 입력이 아니라, 체성분 측정 장치(1000)에 올라와서 서는 간단한 동작으로 정확한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311)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비교적 아래쪽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310)를 주시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신장 측정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측정을 주관하는 사람 뿐만 아니라, 피측정자 역시 자신의 정확한 신장 및 체중의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10)는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측정부(100)에 접촉하도록 유도하는 제 2 화면(600)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 메모리(430) 또는 네트워크부(42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 신장, 연령 및 성별 항목의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1 화면(500)에 진행 그래픽 요소(53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진행 그래픽 요소(53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을 유도하는 제 2 화면(600)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화면(600)은 조작부(200)를 통해 제 1 화면(500)의 진행 그래픽 요소(53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10)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하는 측정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화면(600)은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측정부(100)가 포함하는 전극의 종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제 2 화면(600) 상에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를 통해 측정부(100)에 포함되는 전극의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 중 접촉해야 하는 부위(예컨대, 발바닥, 또는 발목)와 전극의 접촉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00)가 포함하는 전극이 양 발바닥에 접촉되는 왼발바닥 전극 및 오른발바닥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왼발바닥 전극 및 오른발바닥 전극에 사용자의 발이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사용자의 시점에서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하부를 내려다보았을 때, 바람직한 발의 위치를 표현한 그림이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바람직한 측정 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문구(예컨대, "발판 위의 발모양을 정확히 위치시켜 주십시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예시로써, 측정부(100)가 포함하는 전극이 양 발목에 접촉되는 발목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발목 전극에 왼발목 및 오른발목이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체성분 측정 장치(1000)를 측면 시점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한 발의 위치를 표현한 그림이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바람직한 측정 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문구(예컨대, "양 발목이 전극에 닿도록 최대한 뒤쪽에 위치시켜 주십시오" 또는 "측정 시에 발목 전극에서 발목을 떼면 측정이 진행되지 않습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화면(600)은 조작부(200)를 통해 제 1 화면(500)의 진행 그래픽 요소(53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10)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하는 측정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화면(600)은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측정부(100)가 포함하는 전극의 종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2 화면(600) 상에 제 1 전극에 대한 제 1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1 전극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이 올바르게 위치한 경우, 제 2 전극에 대한 제 2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2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양 발바닥과에 대한 통전을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제 1 전극, 그리고 사용자의 양 손바닥과에 대한 통전을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2 화면(600) 상에 제 1 전극에 대한 제 1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양 발바닥을 제 1 전극에 양호하게 접촉되도록 위치시킨 경우, 제 1 전극에 대한 제 1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를 제 2 전극에 대한 제 2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20)로 변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은 사용자의 양 손바닥과 접촉되기 위해 손잡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20)는 두 개의 손잡이 형태로 구성되는 제 2 전극과 사용자의 양 손바닥이 각각 접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20)는 바람직한 손의 그립 자세, 위치를 표현한 그림이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20)는 바람직한 측정 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문구(예컨대, "전극 손잡이를 들고 양 팔을 자연스럽게 벌려주세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및 2 전극, 제 1 및 제 2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20)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로써, 제 1 전극이 사용자의 양 손바닥과 접촉하고, 제 2 전극이 사용자의 발목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을 시작하기 위한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00)는 임피던스 측정 동작의 시작하기 위한 시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2 화면(600) 상에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전극에 올바르게 접촉되는 경우, 시작 버튼에 대한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전극 손잡이를 들고 전극 손잡이의 시작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라는 안내 문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상기 시작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전류를 인가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생소할 수 있는 체성분 측정 방법을 알기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이 아니거나,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어려움 없이 스스로 체성분을 측정해볼 수 있는 용이함이 있다. 또한, 전극의 종류에 따라 올바른 위치에 신체를 위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그래픽 추가 요소(63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는 측정부(100)에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이 수행되는 경우, 전극을 통해 사용자 신체에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전류 그래픽 추가 요소(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를 제 2 화면(600) 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극의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 중 접촉해야 하는 부위와 전극의 접촉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측정부 유도 그래픽 요소(610, 62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을 시작하기 위한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10)는 임피던스 측정 동작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수신되는 경우,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전류를 인가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2 화면(600) 상에 전극을 통해 사용자 신체에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전류 그래픽 추가 요소(63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그래픽 추가 요소(630)는 사용자 신체에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가시화하기 위한 애니메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사용자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이 수행되고 있다는 안내 그래픽 추가 요소(640) 및 측정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진행률에 대한 진행 그래픽 추가 요소(650)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시작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시각화한 이미지와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이미지 상에 배치되는 사전 결정된 색(예컨대, 주황색 등)의 루트를 포함하는 전류 그래픽 추가 요소(63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가 측정되고 있다는 안내 그래픽 추가 요소(64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그래픽 추가 요소(640)는 임피던스 측정 간 주의해야 하는 점(예컨대, "움직이거나 말하지 마십시오")에 대한 안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측정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진행률에 대한 진행 그래픽 추가 요소(65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진행 그래픽 추가 요소(650)는 동작 완료까지의 타이머, 또는 동작 완료까지의 진행률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전술한 전류 그래픽 추가 요소(630), 안내 그래픽 추가 요소(640) 및 진행 그래픽 추가 요소(650)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화면(70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화면(700)은 측정부(100)의 임피던스 측정이 종료되고, 제어부(410)가 체성분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410)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하는 결과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화면(700)은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10)는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제 3 화면(700)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 메모리(430) 또는 네트워크부(42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 신장, 연령 및 성별 항목의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측정부(100)를 통해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에 대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체성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 정보는 골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3 화면(700) 상에 골밀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측정부(100)를 통해 사용자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이 완료되는 경우, 골밀도 정보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 나이, 성별, 임피던스 및 체성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그래픽 요소가 제 3 화면(70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사용자 식별정보(사용자 성명, ID 번호 및 회원번호 등), 측정일자, 사용자의 신장, 체중,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 그래픽 요소(710)가 제 3 화면(70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그래픽 요소(7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별, 연령, 신장 및 체중에 대한 각각의 셀에 조작부(200)를 통해 입력되거나,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값이 대입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정보 그래픽 요소(710)는 체성분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QR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사용자 정보 그래픽 요소(71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410)는 체성분 분석, 비만분석, 복부비만 평가, 부위별 근육분석, 체수분 분석, 종합평가, 신체균형 평가, 체중조절, 임피던스, 혈압 평가 및 골밀도 분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결과 그래픽 요소(720)가 제 3 화면(70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 분석은 체중을 구성하고 있는 체성분 분석결과를 무게와 체중에 대한 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분석은 체중(Weight), 체지방량(M.B.F.), 제지방량(L.B.M.), 근육량(S.L.M.), 무기질량(Mineral), 단백질량(Protein) 및 체수분량(T.B.W.)에 대해서 표준, 표준 이하, 표준 이상의 구간을 가진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비만 분석은 체성분의 분석 결과와 사용자의 연령, 성별을 감안한 적정 체성분을 비교하여 현재 상태를 판정해 주는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복부비만 평가는 내장지방면적(V.F.A.), 내장지방레벨(V.F.L.), 복부비만율(W.H.R.), 내장지방량, 피하지방량 및 복부비만예측도에 대한 단계를 1~20 단계를 가진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부위별 근육분석은 자신의 표준체중을 기준으로 부위별(팔, 다리, 몸통) 근육의 발달 정도와 세포외수분비 수치를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체수분 분석은 세포내수분, 세포외수분 및 세포외수분비를 표시할 수 있다. 종합평가는 체질량지수(B.M.I.)와 체지방률(P.B.F.)의 교차 판정을 통해 20단계 중 하나의 체형으로 평가하는 체형평가, 피검자의 체성분 분석 결과와 성별, 생물학적 연령을 감안하여 평가한 신체연령(A.M.B), 심장, 위, 뇌 등의 움직임, 신경전달, 체온조절 등 인체가 생존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하며 제지방량에 비례하는 기초대사량(B.M.R.), 그리고 기초대사량과 활동에 필요한 열량을 더한 1일 필요열량(T.E.E.)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균형 평가는 측정자의 상체 좌우와 하체좌우에 대한 균형상태를 균형, 약한불균형 또는 심한불균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체중조절은 근육조절, 지방조절, 체중조절 및 권장체중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는 사용자 신체의 주파수별, 부위별 저항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체성분 분석, 비만분석, 복부비만 평가, 부위별 근육분석, 체수분 분석, 종합평가, 신체균형 평가, 체중조절, 임피던스, 혈압 평가 및 골밀도 분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결과 그래픽 요소(720)가 제 3 화면(70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결과 그래픽 요소(72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체성분 정보를 생성한 경우, 제 3 화면(700) 상에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는 체성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개체의 조합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는 골밀도 정보 및 연령별 골밀도 평균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T-스코어 및 Z-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T-스코어는 골밀도 정보와 사전 결정된 연령대(예컨대, 동성 중 20대~30대)의 골밀도 평균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Z-스코어는 골밀도 정보와 사용자와 동일한 연령대의 골밀도 평균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는 연령, 골밀도 수치, T-스코어 및 Z-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축으로 하는 2차원 그래프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는 좌측의 제 1 세로축을 BMD 값(단위 gm/cm^2), 우측의 제 2 세로축을 T-스코어 및 Z-스코어 값, 그리고 가로축을 연령(age)으로 하는 2차원 그래프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체성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정보에서의 BMD 수치와 사용자 정보가 포함하는 연령 및 성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골밀도 정보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령 60, BMD 값 0.960에 해당하는 지점)를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의 자세한 기재 및 수치 한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골밀도 정보와 동일한 연령의 평균 골밀도(BMD) 값에 기초하여 Z-스코어(733)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연령별 평균 골밀도에 해당하는 지점과 사용자의 골밀도 정보가 해당하는 지점의 간격을 표시하여, Z-스코어(733)를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골밀도 정보와 사전 결정된 연령대(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대)의 평균 골밀도 값에 기초하여 T-스코어(732)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전 결정된 연령대의 평균 골밀도에 해당하는 지점과 사용자의 골밀도 정보가 해당하는 지점의 간격을 표시하여, T-스코어(732)를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410)는 T-스코어(732) 및 Z-스코어(733) 중 적어도 하나를 수치 값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10)가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로 골밀도 정보를 생성한 경우,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는 어느 부위에 해당하는 골밀도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목(7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는 연령별 골밀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전 결정된 범위에 대해서 정상 범위임을 표시하기 위한 골밀도 그래픽 추가 요소(7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는 연령별 골밀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예컨대, BMD 수치 기준 ±0.120gm/cm^2)를 표시하기 위한 골밀도 그래픽 추가 요소(7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차원 그래프 형식의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 상에 20대~40대까지의 평균 골밀도 값 1.200을 기준으로 +0.120부터 -0.120까지의 범위에 대해서 임의의 색이 채워진 골밀도 그래픽 추가 요소(731)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40대의 평균 골밀도 값 1.200부터 60대까지의 평균 골밀도 값 0.960까지의 변화를 기준으로 +0.120부터 -0.120까지의 범위에 대해서 임의의 색이 채워진 골밀도 그래픽 추가 요소(731)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골밀도 그래픽 추가 요소(731)에 대한 자세한 기재 및 수치 한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의 다른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적인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부위별 골밀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조작부(200), 메모리(430) 또는 네트워크부(42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 신장, 연령 및 성별 항목의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측정부(100)를 통해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에 대해 부분적으로 측정된 복수의 임피던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부분적인 복수의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체성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 정보는 부위별 골밀도 정보(BM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 3 화면(700) 상에 사용자의 부위별 골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부위별 뼈 상태 모식도(735)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측정부(100)가 포함하는 왼발바닥 전극 및 오른발바닥 전극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하체 임피던스, 그리고 왼손바닥 전극 및 오른손바닥 전극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상체 임피던스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수신하고, 측정부(100)를 통해 신장 및 체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하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하체 골밀도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상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체 골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된 하체 골밀도 정보는 0.950 gm/cm^2이고, 상체 골밀도는 1.010 gm/cm^2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전에 저장된 골밀도 수치 테이블과 상체 골밀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체 골밀도에 대하여 정상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저장된 골밀도 수치 테이블과 하체 골밀도 정보를 비교하여 하체 골밀도에 대하여 골감소증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상체 및 하체 골밀도의 상태에 기초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에 대해서 정상적인 뼈 상태 모식도를 디스플레이 하고, 하체에 대해서 골감소증 상태의 뼈 상태 모식도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부위별 골밀도 정보 생성 및 부위별 뼈 상태 모식도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각 화면 마다의 직관적인 그래픽 요소들을 통해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스스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올바른 자세를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측정 오차가 적어질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그래프 형식의 골밀도 그래픽 요소(730)를 통해 골밀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어, T-스코어나 Z-스코어와 같이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의 값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부위별 골밀도 정보에 기초하여 뼈 상태 모식도를 생성함으로써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복합한 의학 용어를 모르더라도 자신의 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뼈 관련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제 1 및 2 체성분 정보를 생성한 경우, 제 4 화면(800) 상에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제 1 및 2 체성분 정보가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2 골밀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개체의 조합일 수 있다. 즉,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제 1 골밀도 정보로부터의 제 2 골밀도 정보로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멀티 임피던스가 측정된 시점 및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축으로 하는 2차원 그래프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제 1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수치에 대응하는 제 1 골밀도 그래픽 개체(811)와 제 2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수치에 대응하는 제 2 골밀도 그래픽 개체(8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 제 1 골밀도 그래픽 개체(811) 및 제 2 골밀도 그래픽 개체(812)를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골밀도 그래픽 개체(811, 812, 813, 814, 815 및 816)는 2차원 그래프 상에 배치되는 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좌측의 제 1 세로축을 BMD 값(단위 gm/m^2), 우측의 제 2 세로축을 월 단위의 멀티 임피던스 측정 시점으로 하는 2차원 그래프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제 1 체성분 정보가 포함하는 제 1 골밀도 정보에서의 BMD 수치 "1.109g/m^2"와 제 1 시점에 해당하는 "4월"에 대응하는 제 1 골밀도 그래픽 개체(811)를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2 체성분 정보가 포함하는 제 2 골밀도 정보에서의 BMD 수치 "1.112g/m^2"와 제 2 시점에 해당하는 "5월"에 대응하는 제 2 골밀도 그래픽 개체(812)를 상기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제 1 시점의 골밀도 수치와 제 2 시점의 골밀도 수치 간의 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의 자세한 기재 및 수치 한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제 1 골밀도 정보 및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기초하여 체성분 측정 장치(1000)의 측정 오차 가능성이 있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유의수준 그래픽 추가 요소(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제 1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제 1 골밀도 수치를 기준으로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해당하는 범위(예컨대, BMD 수치 기준 0.01 g/m^2)를 표시하기 위한 유의수준 그래픽 추가 요소(8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차원 그래프 형식의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 제 1 골밀도 수치값 "1.109g/m^2"을 기준으로 +0.007g/m^2부터 -0.007g/m^2까지의 범위에 대해서 임의의 색이 채워지거나, 또는 범위 외각을 선 형태의 그래픽 개체로 표시하는 유의수준 그래픽 추가 요소(82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의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화살표 형태의 그래픽 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유의수준 그래픽 추가 요소(820)에 대한 자세한 기재 및 수치 한정은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연령별 골밀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전 결정된 범위에 대해서 정상 범위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는 연령별 골밀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전 결정된 범위(예컨대, BMD 수치 기준 ±0.0012g/m^2)를 표시하기 위한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8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차원 그래프 형식의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 20대~40대까지의 평균 골밀도 값 1.108을 기준으로 +0.003부터 -0.003까지의 범위에 대해서 임의의 색이 채워진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83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멀티 임피던스의 측정 시점에 따라 변경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83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제 1 시점의 체중과 제 2 시점의 체중이 다르게 입력되는 경우, 제 1 시점(예컨대, 4월)의 정상범위와 제 2 시점(예컨대, 5월)의 정상범위가 상이함으로 나타내도록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8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830)에 대한 자세한 기재 및 수치 한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제 1 골밀도 정보와 제 2 골밀도 정보의 차이가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보다 큰 경우,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서 골밀도 수치가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벗어나는 지점 상에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의수준 그래픽 추가 요소(820)의 범위를 벗어난 제 6 골밀도 그래픽 개체(816)를 감싸는 원형의 표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은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알림창(예컨대, "의사의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퇴행성 관절염, 또는 압착 골절의 가능성이 있습니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골밀도 수치가 체성분 측정 장치(1000)를 통한 측정의 정밀도를 벗어난 변화, 즉, 유의미한 골밀도의 변화가 발생했다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주기적인 측정을 통해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이 길지 않지만 골밀도가 유의미하게 변한 경우, 압착 골절이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발견될 수 있어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의 다른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는 골밀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시간 간격마다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업데이트하도록 유도하는 업데이트 알림(860)을 제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의 산출 시점을 메모리(4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의 산출 시점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1개월)이 지나거나, 사전 결정된 횟수(예컨대, 100번의 체성분 측정), 또는 사용자 정보와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골밀도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의 업데이트를 유도하는 업데이트 알림(86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 알림(86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 상에 배치되는 알림창 "LSC를 업데이트 한지 90일 경과하였습니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출력부(300)가 포함하는 다른 출력 수단(예컨대, 오디오 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200)는 키패드와 같은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전자적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4 화면(800) 상에 조작부(200)를 통해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설정 그래픽 추가 요소(84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제 4 화면(800) 상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로써 설정 그래픽 추가 요소(840)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조작부(200)를 통해 상기 설정 그래픽 추가 요소(84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 그래픽 추가 요소(840)를 선택하고, 0.01g/m^2이라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10)는 기존의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0.01g/m^2"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골밀도 수치의 변화에 대한 세밀한 알림을 제공받고 싶은 경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낮게 변경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850)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정자(예컨대, 골밀도 정보를 측정하는 인원)마다의 측정 방식의 상이함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를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업데이트하면서 반영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시점 별 골밀도 수치를 한눈에 인식할 수 있는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810)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골밀도 수치의 변화 양상을 인지하고 미래의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벗어날 정도의 유의미한 골밀도 수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문의의 진료를 받도록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뼈 관련 질병이나 사고의 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 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체는 저장 매체 및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전송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체성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신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상기 사용자 정보는 제 1 시점에 측정된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시점과 상이한 제 2 시점에 측정된 제 2 사용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멀티 임피던스―상기 멀티 임피던스는 상기 제 1 시점에 측정된 제 1 멀티 임피던스 및 상기 제 2 시점에 측정된 제 2 멀티 임피던스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골밀도 정보―상기 골밀도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1 골밀도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2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골밀도 정보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체성분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와 상기 제 2 골밀도 정보의 차이가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least significant change)보다 큰 경우, 사용자에게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체성분 정보 및 상기 골밀도 변화 관련 알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를 포함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성분 측정 장치의 정밀도 오차(precision error)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골밀도 수치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산출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멀티 임피던스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서 산출된 표준편차의 실효값(root mean square)을 상기 정밀도 오차로 결정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멀티 임피던스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멀티 임피던스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 임피던스 세트에서 산출된 평균값을 상기 제 1 멀티 임피던스로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 1 멀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를 산출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밀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을 업데이트하도록 유도하는 업데이트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 및 제 2 골밀도 정보에 대한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를 포함하는 제 4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는,
    상기 골밀도 정보가 포함하는 골밀도 수치 및 상기 멀티 임피던스가 측정된 시점을 각각 축으로 하는 2차원 그래프 형식으로 구성되는,
    체성분 측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는,
    상기 제 1 골밀도 정보 및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체성분 측정 장치의 측정 오차 가능성이 있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유의수준 그래픽 추가 요소;
    를 더 포함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밀도 변화이력 그래픽 요소는,
    연령별 골밀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전 결정된 범위에 대해서 정상 범위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상범위 그래픽 추가 요소;
    를 더 포함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4 화면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최저 유의수준 변화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설정 그래픽 추가 요소;
    를 더 포함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KR1020180100417A 2018-08-27 2018-08-27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KR10206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17A KR102068586B1 (ko) 2018-08-27 2018-08-27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17A KR102068586B1 (ko) 2018-08-27 2018-08-27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586B1 true KR102068586B1 (ko) 2020-01-21

Family

ID=6936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17A KR102068586B1 (ko) 2018-08-27 2018-08-27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629A (ja) * 2002-04-12 2003-10-21 Art Heaven Nine:Kk 身体組成測定装置
KR20040085124A (ko) * 2004-09-13 2004-10-0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법과 골밀도 측정법을 이용한인체 성분 분석기
KR100548966B1 (ko) * 2003-10-29 2006-02-02 메디게이트(주) 체임피던스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방법
JP3970697B2 (ja) * 2002-06-13 2007-09-05 フクダ電子株式会社 生体情報処理装置
KR101701114B1 (ko) * 2016-05-02 2017-02-02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629A (ja) * 2002-04-12 2003-10-21 Art Heaven Nine:Kk 身体組成測定装置
JP3970697B2 (ja) * 2002-06-13 2007-09-05 フクダ電子株式会社 生体情報処理装置
KR100548966B1 (ko) * 2003-10-29 2006-02-02 메디게이트(주) 체임피던스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방법
KR20040085124A (ko) * 2004-09-13 2004-10-0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법과 골밀도 측정법을 이용한인체 성분 분석기
KR101701114B1 (ko) * 2016-05-02 2017-02-02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1320A1 (en) Indicator
CN102575997B (zh) 血液代谢物水平的无创监测
CN102355855B (zh) 生体信息测定装置、生体信息测定方法及体成分测定装置
US103350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hand-to-mouth behavior
US20220265154A1 (en) Body state classification
KR101701114B1 (ko)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서버
US20140121564A1 (en) Estimating body fat in a user
TW201116318A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uscle performance status at swing action, and program products thereof
KR20200023915A (ko)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JP6149274B2 (ja) 筋質評価装置
US20120302841A1 (en) Biometric healthcare data system
KR100978920B1 (ko) 운동관리 시스템의 맞춤운동 제공방법
WO2020211255A1 (zh) 人体形体及体质数据采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689938A (zh) 一种健康监测一体机和健康监测管理系统
CN104700140A (zh) 多功能体适能检测装置
CN108697363A (zh) 用于检测心脏变时功能不全的装置和方法
KR20170111762A (ko) 무선 신장 및 체성분 체중측정 시스템
KR102068586B1 (ko)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JP2000262484A (ja) 集団健康診断システム
Brandner et al. Smartwatch-based bioimpedance analysis for body composition estimation: precision and agreement with a 4-compartment model
KR101896596B1 (ko) 체성분 분석기의 임피던스를 이용한 컨디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59871B1 (ko) 사용자 이미지에 기초하여 골밀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체성분 측정 장치
CN107928668A (zh) 身体成分测量装置以及与其无线连接的移动终端
KR102234845B1 (ko) 개인 맞춤형 의료 진단 이미지 내의 연락처 메시지
Guarnieri Lopez et al. Associations between 3D surface scanner deri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ody composition in a cross-section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