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34B1 -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 Google Patents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534B1
KR102068534B1 KR1020180135472A KR20180135472A KR102068534B1 KR 102068534 B1 KR102068534 B1 KR 102068534B1 KR 1020180135472 A KR1020180135472 A KR 1020180135472A KR 20180135472 A KR20180135472 A KR 20180135472A KR 102068534 B1 KR102068534 B1 KR 10206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weight
viscous
raw material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재숙
Original Assignee
민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재숙 filed Critical 민재숙
Priority to KR102018013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2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원료에 각종 첨가물을 가하여 기존 비누보다 높은 점성을 가지는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점성비누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누원료를 준비하는 제1준비단계(S100);, 상기 점성비누에 점성을 가하는 제1첨가물을 준비하는 제2준비단계(S200);, 상기 점성비누에 향 및 보습효과 등을 포함하는 제2첨가물을 준비하는 제3준비단계(S300);, 상기 제1준비단계, 상기 제2준비단계 및 상기 제3준비단계후, 상기 비누원료, 상기 제1,2첨가물 및 소금물을 혼합하여 비누재료를 형성하는 혼합단계(S400);, 제1혼합단계 후, 교반기에 상기 비누재료를 투입 및 가열하여 용융시키며, 교반하는 교반단계(S500);, 상기 교반단계 후, 용융된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단계(S600);, 상기 응고단계 후,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단계(S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A manufacturing method of viscosity soap}
본 발명은 비누원료에 각종 첨가물을 가하여 기존 비누보다 높은 점성을 가지는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에 대한 것이며, 인체 피부 세포에 함유된 아연 성분의 활동을 자극하고, 산화아연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항균력을 가진 항균 비누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2는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비누의 소지에 혼합되는 기능성 광물질과 발효식초의 효능에 의하여 식물성 유지가 강하게 결합되면서 응고되어 비누의 산패(酸敗)가 억제되고, 항균 및 살균효과를 가지는 천연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올리브오일 42∼48중량%, 팜오일 21∼25중량%, 코코넛오일 15∼19중량%, 가성소다 5∼7중량% 및 물 8∼10중량%로 구성된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재료들 중에서 올리브오일, 팜오일, 코코넛오일을 혼합하여 70∼85℃로 식물성오일을 가열하는 단계; 가성소다를 물에 넣어 희석시키면서 고온으로 발열되면 70∼85℃로 온도를 낮추고, 가성소다 수용액과 식물성오일을 용기에 넣어 고르게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 혼합이 완료되면 0∼3℃를 유지하는 냉각수에 용기가 잠기도록 하여 7∼10분간 중탕으로 급랭시키는 단계; 혼합 및 급랭단계에 의하여 식물성오일이 가성소다 수용액과 반응하여 점성물질로 변화되면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점성물질에 대해 6∼8중량%의 기능성광물질 분말 및 발효식초 5∼7중량%를 혼합하여 10∼12분간 저어주는 단계; 첨가물이 혼합된 비누 점성물질을 몰드(mold)에 넣고 점성물질 성형물을 굳히는 성형단계; 굳어진 형물을 35∼45℃를 유지하는 보온고에 투입하여 5∼6시간 숙성하여 응고시키는 단계; 성형물에 상표를 각인하고, 자연건조 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발명 003은 물에 뜨는 공예용 비누에 대한 것이며, 비누베이스 100 내지 12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발포제 0.5 내지 1 중량부; 및 타피오카 6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며, 물에 매우 쉽게 뜨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특허발명 003의 공예용 비누는 오랫동안 물과 접촉되어도 조직이 쉽게 풀어지지 않으므로 비누가 물에 의하여 짓무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발명 003의 공예용 비누는 손으로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가 매우 용이하고, 손에 거의 묻지 않아 섬세한 공예 작업이 가능하다.
특허발명 004는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붉나무와 무환자나무를 오일침출시켜 얻은 침출유를 이용하여 천연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천연비누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붉나무와 무환자나무의 수분함량을 15% 미만으로 건조하는 1 단계; 상기 건조된 무환자나무를 코코넛유 100 중량부 대비 5 ~ 50 중량부로 침지하여 무환자나무코코넛오일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건조된 붉나무를 팜유와 피마자유 각 100 중량부 대비 5 ~ 50 중량부로 침지하여 붉나무팜오일과 붉나무피마자오일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무환자나무코코넛오일, 붉나무팜오일 및 붉나무피마자오일을 각각 1:1:1 중량부로 혼합하여 혼합비누오일을 제조하는 4단계; 및 상기 혼합비누오일에 수산화나트륨과 물을 첨가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KR 10-2015-0065452 A (공개일자 2015년06월15일) KR 10-2016-0106259 A (공개일자 2016년09월12일) KR 10-2018-0017921 A (공개일자 2018년02월21일) KR 10-1893085 B1 (등록일자 2018년08월23일)
본 발명은 비누원료에 각종 첨가물을 가하여 기존 비누보다 높은 점성을 가지는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방법이며, 구체적으로 비누원료를 준비하는 제1준비단계(S100);, 상기 점성비누에 점성을 가하는 제1첨가물을 준비하는 제2준비단계(S200);, 상기 점성비누에 향 및 보습효과 등을 포함하는 제2첨가물을 준비하는 제3준비단계(S300);, 상기 제1준비단계, 상기 제2준비단계 및 상기 제3준비단계후, 상기 비누원료, 상기 제1,2첨가물 및 소금물을 혼합하여 비누재료를 형성하는 혼합단계(S400);, 제1혼합단계 후, 교반기에 상기 비누재료를 투입 및 가열하여 용융시키며, 교반하는 교반단계(S500);, 상기 교반단계 후, 용융된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단계(S600);, 상기 응고단계 후,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단계(S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방법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누원료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10~15중량%, 마카다미아오일 1~2중량%, 글리세린 20~25중량%, 라우릴산나트륨, 미리스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각 7~12중량%, 시어버터 3~8 중량%, 히알론산나트륨 0.1~1중량%, 증류수 13~18중량%, 바오밥오일, 병풀추출물, 벌꿀추출물 각 0.1~1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방법이며, 앞에서 제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첨가물 0.3 내지 0.8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방법이며, 앞에서 제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첨가물 0.01 내지 10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방법이며, 앞에서 제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의 가열은 비누재료 0.5 내지 3 kg 기준 60도시 내지 80도시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성비누제조방법은 기존 비누보다 높은 점성을 가진 비누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점성비누제조방법은 각종 첨가물을 선택 또는 치환 가능하며, 상기 선택되는 재료에 의해 점성비누의 효능이 달라지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다수의 효능을 가지는 점성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성비누제조방법은 높은 점성으로 인해 끈적한 거품을 생성하며, 세안 시 모공 속까지 꼼꼼하게 세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성비누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의 인용관계는 기술적 이해를 돕고자 제시한 번호에 불과 할 뿐이며, 기타 인용하지 않은 다른 실시 예를 인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유사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하지 않은 하위개념 구성이어도 명시된 것으로 간주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비누원료를 준비하는 제1준비단계(S100);, 상기 점성비누에 점성을 가하는 제1첨가물을 준비하는 제2준비단계(S200);, 상기 점성비누에 향 및 보습효과 등을 포함하는 제2첨가물을 준비하는 제3준비단계(S300);, 상기 제1준비단계, 상기 제2준비단계 및 상기 제3준비단계후, 상기 비누원료, 상기 제1,2첨가물 및 소금물을 혼합하여 비누재료를 형성하는 혼합단계(S400);, 제1혼합단계 후, 교반기에 상기 비누재료를 투입 및 가열하여 용융시키며, 교반하는 교반단계(S500);, 상기 교반단계 후, 용융된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단계(S600);, 상기 응고단계 후,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단계(S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상기 점성비누는 기존의 비누 보다 높은 점성을 가진다. 상기 점성은 끈적한 성질의 거품을 발생시키며, 세안 시 뛰어난 보습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투입되는 소금물은 비누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며, 비누원료 100 중량부 대비 0.01~0.1 중량부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제2첨가물로 선택되는 재료에 의해 상기 점성비누의 효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 다수의 효능을 가지는 점성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비누원료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10~15중량%, 마카다미아오일 1~2중량%, 글리세린 20~25중량%, 라우릴산나트륨, 미리스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각 7~12중량%, 시어버터 3~8 중량%, 히알론산나트륨 0.1~1중량%, 증류수 13~18중량%, 바오밥오일, 병풀추출물, 벌꿀추출물 각 0.1~1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준비단계에 있어서, 실시예 2-1에 제시된 재료들이 비누원료로 투입된다.
상기 라우릴글루코사이드는 계면활성제 중 피부 수용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보습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마카다미아오일은 흡수성이 뛰어나 피부에 빨리 흡수되어 피부 속까지 영양을 전달한다. 상기 시어버터는 식물성 유지로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촉촉하게 한다. 상기 바오밥오일은 올레인산, 리놀레익산, 비타민 등 각종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보습력이 뛰어나다. 상기 병풀추출물은 향염 및 향균재생, 상처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의 재생을 돕는다. 또한, 콜라겐을 생성하여 피부탄력유지 효과가 있다. 상기 벌꿀추출물은 피부보습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기능성 재료들에 라우릴산나트륨, 미리스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과 같은 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에 발림성이 뛰어난 점성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비누원료는 소듐아스트로카리움무루무루에이트 10~18중량%, 올리브오일 5~10중량%, 마카다미아오일 1~2중량%, 라우릴산나트륨, 미리스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각 5~12중량%, 글리세린 13~20중량%, 시어버터 3~8 중량%, 히알론산나트륨 0.1~1중량%, 증류수 15~20중량%, 카멜리아오일. 솝베리추출물 각 0.1~1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준비단계에 있어서, 실시예 2-2에 제시된 재료들이 비누원료로 투입된다. 상기 소듐아스트로카리움무루무루에이트는 아프리카 원산의 천연 비누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를 대신하여 첨가된다. 따라서, 계면활성제가 첨가 되지 않은 비누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이다. 상기 올리브오일은 건성 피부에 효과적이며, 노화를 방지한다. 상기 마카다미아오일은 흡수성이 뛰어나 피부에 빨리 흡수되어 피부 속까지 영양을 전달한다. 상기 시어버터는 식물성 유지로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촉촉하게 하며, 상처를 재생하여 재생성이 매우 뛰어나다. 상기 카멜리아오일은 탄력있는 피부에 효과적이며 리프팅 효과가 있다. 상기 솝베리추출물은 열매껍질에 사포닌이 함유되어 독소를 배출하며, 향염 및 향균에 뛰어나다. 상기 기능성 재료들에 라우릴산나트륨, 미리스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과 같은 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에 발림성이 뛰어난 점성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첨가물 0.3 내지 0.8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준비단계 중 제1첨가물을 투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점성비누에 점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첨가물의 적정투입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첨가물의 투입량을 달리 하여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군의 상태는 본 발명의 점성비누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1첨가물의 투입량을 조작변인으로 한다. 즉, 실험군의 점성 및 무른정도를 관능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실험군 A 내지 E는 각 제1첨가물을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0.3중량부, 0.5중량부, 0.8중량부, 1.0중량부를 투입한다.
실험 (가) 에서는 제1첨가물의 함유량에 따라 비누의 경도를 확인한다.
실험 (나) 에서는 제1첨가물의 함유량에 따라 비누의 점도를 확인한다.
상기 비교실험 (가) 및 (나)의 결과 제1첨가물의 투입량을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0.8중량부로 하였을 때 가장 만족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 (나)를 볼 때, 점성은 제1첨가물의 투입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8중량부 이상을 넣어도 충분한 점도를 확보할 수 있지만, 상기 실험 (가)의 결과에 따라 제1첨가물의 투입량이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를 초과하면 비누가 물러 물에 너무 쉽게 녹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첨가물 투입량은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0.8 중량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 비누경도 (관능시험)
A B C D E
너무단단하다 45 20 0 0 0
단단하다 30 30 0 0 0
적당하다 25 50 95 50 0
무르다 0 0 0 38 10
너무 무르다 0 0 0 12 90
(나) 비누점도 (관능시험)
A B C D E
점성이너무없다 95 75 0 0 0
점성이 없다 5 25 0 0 0
적당하다 0 0 80 70 50
점성이 많다 0 0 15 20 30
점성이너무많다 0 0 5 10 20
[실시예 3-2]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물은 폴리 비닐 피롤리돈, 폴리 비닐 알코올, 소듐 폴리아크릴레이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첨가물은 실시예 3-2에 제시된 재료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재료들은 비누용액에 점성을 첨가 하는 점증제이다. 상기 제시된 재료들은 고분자물질이며, 인체에 유해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천연 점증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1첨가물은 쟁탄검, 천연셀룰로오즈, 하이셀 및 젤라틴 등으로 치환 가능하다. 상기 쟁탄검은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로 투입되며,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어 젤화가 용이하다. 상기 천연셀룰로오즈는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중량부로 투입되며, 고점도 성분으로 점착력 향상에 용이하다. 상기 하이셀은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로 투입되며, 천연셀룰로오즈를 주원료로한 분말형태로 워터류에 첨가할 경우 점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상기 젤라틴은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2~1중량부로 투입되며, 천연단백질인 콜라겐에 고온수를 가하여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즉, 천연 점증제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점성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첨가물 0.01 내지 10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3준비단계 중 제2첨가물을 투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점성비누에 보습 및 향 등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첨가물의 적정투입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제2첨가물의 투입량을 달리 하여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군의 상태는 본 발명의 점성비누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2첨가물의 투입량을 조작변인으로 한다. 즉, 실험군의 보습 효과와 향을 관능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실험군 A 내지 E는 각 제2첨가물을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5중량부, 10중량부, 15중량부, 20중량부를 투입한다.
실험 (가) 에서는 제2첨가물의 함유량에 따라 비누의 보습효과를 확인한다.
실험 (나) 에서는 제2첨가물의 함유량에 따라 비누의 향을 확인한다.
실험 (다) 에서는 제2첨가물의 함유량에 따라 비누 성형화의 저항성을 확인한다.
(가) 비누의 보습효과 (관능시험)
A B C D E
보습효과가매우좋다 87 91 95 97 95
보습효과가 좋다 10 4 3 3 4
보통이다 3 5 2 0 1
건조하다 0 0 0 0 0
매우 건조하다 0 0 0 0 0
(나) 비누의 향 (관능시험)
A B C D E
향이 매우진하다 0 5 37 51 77
향이 진하다 83 90 60 40 20
향이보통이다 17 15 3 9 3
향이 옅다 0 0 0 0 0
무향이다 0 0 0 0 0
Figure 112018110182118-pat00001
상기 비교실험 (가) 및 (나)의 만족도 결과 제2첨가물의 투입량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 (다)에 따라 제2첨가물의 투입량이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를 초과 할 시 고체 성형화의 저항성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 확보를 위하여 제2첨가물 투입량은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제2첨가물은 석류추출물, 아사이베리, 아로니아추출물, 마키베리추출물, 유스베리추출물 등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첨가물은 실시예 4-2에 제시된 재료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는 상기 점성비누에 첨가되며, 보습효과, 향기 등을 제공하는 기능성 원료이다. 상기 카제인나트륨은 우유단백질로써, 비누의 점도를 높이고 촉감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달팽이점액에 포함된 콘드로이틴 황산이 진피내의 수분을 균형있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보습 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참마피토뮤신은 식물성 뮤신성분으로 피부에 수분을 유지하고 ,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준다. 또한, 상기 달팽이점액과 같은 효능을 발휘하며, 식물성 성분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낫토모이스트는 모발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고 유지시키며, 유연성을 증진하여 부드럽게 한다. 따라서, 세안 뿐만 아니라 모발에도 사용 가능 한 점성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피부의 산화를 방지하여 건강을 유지하여 맑고 깨끗한 피부를 가꾸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천연분말, 구체적으로 어성초는 해독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피부질환이나 여드름 등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다양한 에센셜오일들을 첨가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실시예 4-2에 제시된 재료 및 그 외의 추가 재료를 제2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 하나의 재료 또는 여러 재료를 혼합하여 더욱 복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점성비누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의 가열은 비누재료 0.5 내지 3 kg 기준 60도시 내지 80도시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누원료, 제1첨가물 및 제2첨가물은 각 다른 형태의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원활한 비누용액 제조를 위하여 용융하며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누원료, 제1,2첨가물을 교반기에 투입하고 비누재료 0.5 내지 3kg 기준 60도시 내지 80도시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가열한다.
S100 : 제1준비단계 S200 :제2준비단계
S300 : 제3준비단계 S400 : 혼합단계
S500 : 교반단계 S600 : 응고단계
S700 : 성형단계

Claims (6)

  1. 점성비누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누원료를 준비하는 제1준비단계(S100);
    상기 점성비누에 점성을 가지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 비닐 알코올, 소듐 폴리아크릴레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첨가물을 준비하는 제2준비단계(S200);
    상기 점성비누에 향 및 보습효과를 포함하는 제2첨가물을 준비하는 제3준비단계(S300);
    상기 제1준비단계, 상기 제2준비단계 및 상기 제3준비단계 후, 상기 비누원료, 상기 제1,2첨가물 및 소금물을 혼합하여 비누재료를 형성하는 혼합단계(S400);
    상기 혼합단계 후, 교반기에 상기 비누재료를 투입 및 가열하여 용융시키며, 교반하는 교반단계(S500);
    상기 교반단계 후, 용융된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단계(S600);
    상기 응고단계 후,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단계(S700);
    상기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첨가물 0.3 내지 0.8중량부를 투입하는 것;
    상기 비누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첨가물 0.01 내지 10중량부를 투입하는 것;
    상기 비누원료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10~15중량%, 마카다미아오일 1~2중량%, 글리세린 20~25중량%, 라우릴산나트륨, 미리스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각 7~12중량%, 시어버터 3~8 중량%, 히알론산나트륨 0.1~1중량%, 증류수 13~18중량%, 바오밥오일, 병풀추출물, 벌꿀추출물 각 0.1~1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점성비누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의 가열은 비누재료 0.5 내지 3 kg 기준 60도시 내지 80도시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성비누제조방법.
  6. 점성비누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점성비누.

KR1020180135472A 2018-11-06 2018-11-06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KR102068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72A KR102068534B1 (ko) 2018-11-06 2018-11-06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72A KR102068534B1 (ko) 2018-11-06 2018-11-06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534B1 true KR102068534B1 (ko) 2020-02-11

Family

ID=6956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72A KR102068534B1 (ko) 2018-11-06 2018-11-06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110A1 (ko) * 2020-02-17 2021-08-26 손지민 폴리비닐알코올과 붕사를 포함하지 않는 신축성, 점탄성, 연성을 가진 천연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597A (ja) * 1984-12-12 1986-07-17 ザ ビー.エフ.グツドリツチ カンパニー ポリマー増粘剤を含む化粧石鹸
JP2003528166A (ja) * 1999-12-01 2003-09-24 イーコラブ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ハンドソープ濃縮液、使用溶液、及びハンドソープ濃縮物の修飾方法
KR20040056335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금을 함유한 화장비누 제조방법
KR20150065452A (ko) 2013-12-05 2015-06-15 (주)나노미래생활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20160088720A (ko) * 2015-01-16 2016-07-26 함수암 백화고 비누
KR20160106259A (ko) 2015-03-02 2016-09-12 장은총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20180017921A (ko) 2016-08-11 2018-02-21 (주)이오드림 물에 뜨는 공예용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085B1 (ko) 2018-06-19 2018-08-29 정승진 침출오일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597A (ja) * 1984-12-12 1986-07-17 ザ ビー.エフ.グツドリツチ カンパニー ポリマー増粘剤を含む化粧石鹸
JP2003528166A (ja) * 1999-12-01 2003-09-24 イーコラブ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ハンドソープ濃縮液、使用溶液、及びハンドソープ濃縮物の修飾方法
KR20040056335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금을 함유한 화장비누 제조방법
KR20150065452A (ko) 2013-12-05 2015-06-15 (주)나노미래생활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20160088720A (ko) * 2015-01-16 2016-07-26 함수암 백화고 비누
KR20160106259A (ko) 2015-03-02 2016-09-12 장은총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20180017921A (ko) 2016-08-11 2018-02-21 (주)이오드림 물에 뜨는 공예용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085B1 (ko) 2018-06-19 2018-08-29 정승진 침출오일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110A1 (ko) * 2020-02-17 2021-08-26 손지민 폴리비닐알코올과 붕사를 포함하지 않는 신축성, 점탄성, 연성을 가진 천연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479743B2 (en) 2020-02-17 2022-10-25 Ji Min SON Natural soap composition having elasticity viscoelasticity and ductility without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and bora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258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CN105861195B (zh) 一种具有美白祛斑功能的天然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7245394A (zh) 一种含有鹿油火麻油的多功能冷制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20100099547A (ko) 아토피 피부 개선을 위한 클린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606076B (zh) 一种用于人体脱毛的含蜡组合物
KR20170010490A (ko) 해조 추출물이 첨가된 비누와 그의 제조방법.
KR102068534B1 (ko)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CN103735457A (zh) 一种含有草本成分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CN107418793A (zh) 一种银耳胶质手工古皂及其制备方法
KR100781553B1 (ko)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342922A (zh) 一种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2060699B1 (ko)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CN111575126A (zh) 一种绵羊油脂手工冷制皂及其制作方法
KR101625626B1 (ko) 가리비 패각 소성 분말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CN108531319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112716B1 (ko) 황토분말 및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필-오프 황토영양 팩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60110769A (ko) 겔 마스크팩 조성물
KR100889390B1 (ko)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1178368B1 (ko) 캡사이신 함유 러버 마스크 분말조성물
KR101627300B1 (ko) 달걀 껍질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CN108300622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CN107569435A (zh) 一种卸妆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397644B1 (ko)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KR100951115B1 (ko)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