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699B1 -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699B1
KR102060699B1 KR1020180125182A KR20180125182A KR102060699B1 KR 102060699 B1 KR102060699 B1 KR 102060699B1 KR 1020180125182 A KR1020180125182 A KR 1020180125182A KR 20180125182 A KR20180125182 A KR 20180125182A KR 102060699 B1 KR102060699 B1 KR 10206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hydrogel
stretchabl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러브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러브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러브바드
Priority to KR102018012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699B1/ko
Priority to PCT/KR2019/013655 priority patent/WO202008084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은 다수 회의 신축을 반복하더라도 겔 형태가 찢어지거나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신축성 지지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의 굴곡진 부위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부착 후에도 활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체를 발수 처리하더라도 안정적인 밀착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피부 부착부 반대편으로 제형이 용출되거나 증발하지 않아 피부 부위에만 효능 성분이 100% 흡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를 차단하여 조성물의 변질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에 부착 후 의복을 착용하더라도 옷에 제형이 묻지 않아 편리하다.

Description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Hydrogel Composition for Stretchable Mask Pack and Stretchable Mask Pack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신축에도 마스크팩 지지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유형의 화장품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마스크팩은 간편한 사용성과 1회 사용으로도 보습 효과가 우수하여 많은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찾고 있는 제품 유형이다. 마스크팩은 얼굴에 붙이고 떼어내 버리면 된다는 편리함으로 인해 소비자 선호도가 크게 증가했으며, 최근 다양한 형태의 스킨 케어 마스크 제품의 개발과 소비가 활발하다.
마스크팩은 제형에 따라 크게 3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합성 섬유나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에 에센스를 첨가한 제품이다. 두 번째는 천연 검류를 활용한 하이드로겔 타입의 마스크 제품이다. 세 번째는 코코넛 등의 과일수에 미생물을 발효하여 생성되는 고분자 물질인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제품이다.
이 중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분산매체로 하는 3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전체 중량의 약 20%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고 있어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탄성, 피부밀착성 및 부드러운 촉감 등의 장점이 있어 피부 미용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팩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팩의 보습, 영양공급 및 각질제거 효과를 향상시킨 하이드로겔 팩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피부 온도에 반응하여 피부에 녹아드는 제형으로서 피부에 겔을 부착했을 때 부착된 겔보다 높은 피부 온도의 영향으로 겔이 서서히 녹아 피부로 흡수되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이드로겔은 피부에 필요한 유효 성분을 겔 타입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3451호에 '비열처리 공법을 이용한 입체형 하이드로 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272호에 '온도에 감응하여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얼굴뿐만 아니라 팔, 다리 등 신체의 어느 부위에도 부착할 수 있는 마스크팩이 개발되고 있지만, 신체의 굴곡진 부위에 팩을 안정적으로 부착하기가 어렵고, 제형이 흐르게 되어 마스크팩을 부착한 상태에서 활동을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바, 신축성 지지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성 지지체에 안정하게 부착될 수 있는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 글리세린,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32 내지 40중량%; 글리세린 22 내지 28중량%;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8 내지 12중량%;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8 내지 13중량%;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0.4 내지 0.6중량%; 및 잔탄검(xanthan gum) 5 내지 7.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팔미토일 이소류신(palmitoyl isoleucine), 가수분해 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카라기난(carrageen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aluminium glycinate), 폴리소르베이트 80, 타타르산, 에틸헥실글리세린, 바닐릴부틸에터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 지지체의 일면에 물, 글리세린,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지지체는 발수 처리된 지지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텍스쳐(textur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물, 글리세린,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38 내지 85℃에서 용융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용융 혼합물을 신축성 지지체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도포된 조성물을 30 내지 180분간 숙성시켜 겔화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신축성 지지체를 발수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도포된 조성물의 숙성 중에 하이드로겔 표면에 텍스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포된 조성물의 숙성을 15 내지 25분 수행한 후에 텍스쳐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은 다수 회의 신축을 반복하더라도 겔 형태가 찢어지거나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신축성 지지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의 굴곡진 부위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부착 후에도 활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체를 발수 처리하더라도 안정적인 밀착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피부 부착부 반대편으로 제형이 용출되거나 증발하지 않아 피부 부위에만 효능 성분이 100% 흡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를 차단하여 조성물의 변질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에 부착 후 의복을 착용하더라도 옷에 제형이 묻지 않아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팩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피부 밀착력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지지체 결합력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제형 편평도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제형 변질도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신축 안정도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실사용 모습을 비교한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축성 마스크팩 지지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약 200%의 높은 신장률을 갖는 신축성 지지체에도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신축을 반복하여도 제형이 깨어지거나 지지체와 분리되지 않는 우수한 밀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 글리세린,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무수한 실험 끝에 신축성이 뛰어난 지지체에도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상기 조성물의 최적의 조성비를 찾아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물 32 내지 40중량%; 글리세린 22 내지 28중량%;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8 내지 12중량%;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8 내지 13중량%;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0.4 내지 0.6중량%; 및 잔탄검(xanthan gum) 5 내지 7.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피부컨디셔닝제 및 용제로서 첨가된다. 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32 내지 4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함량이 너무 적게 되면 용제가 부족하여 성분들의 혼합이 어렵고, 물 함량이 너무 많게 되면 점도가 낮아져 부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동식물의 지방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로서, 점성이 강하며 습윤성 및 특유한 용해력이 있어 변성제, 보습제, 피부보호제, 피부컨디셔닝제, 점도감소제 등으로 사용된다. 상기 글리세린은 22 내지 28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유지 성분이 과다해져 제형화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고, 부족할 경우 제품의 건조화가 단시간에 진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자기 분자량의 약 800배까지의 수분 함유력을 갖는 친수성 고분자로서, 보습력을 부여하는 중요한 성분이며, Na 치환도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정도의 점액성(스티키 형태)을 획득하기가 어렵다. 상기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 내지 12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때 8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점액성을 구현할 수 없고, 12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점성이 너무 높아지거나 겔화를 방해하고 죽처럼 늘어질 수 있다.
상기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은 캐럽콩(Ceratonia siliqua)의 성숙한 열매의 씨를 분쇄하여 얻은 것이다. 상기 캐럽콩검은 로커스트콩 종자로, 종피, 배유, 배아 부분으로 구분되며, 배유부분만을 분리정제하여 얻는다. 보습 능력이 우수한 점증제와, 결합제, 유화안정제, 착향제로 사용된다. 상기 캐럽콩검의 바람직한 첨가비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8 내지 13중량%이다.
상기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는 세틸알코올과 2-에틸헥사노익애씨드의 에스터 성분으로서, 끈적임이 없이 잘 퍼지며 낮은 응고점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4 내지 0.6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탄검(Xanthan gum)은 백색분말로 물에 용해되는 특징이 있고, 무미, 무취이며, 점성은 대단히 높고 의가소성을 나타낸다. 또한, 잔탄검은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열하더라도 점도 저하가 적은 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잔탄검은 전체 조성물 대비 5 내지 7.5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팔미토일 이소류신(palmitoyl isoleucine), 가수분해 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카라기난(carrageen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aluminium glycinate), 폴리소르베이트 80, 타타르산, 에틸헥실글리세린, 바닐릴부틸에터, 실리카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중 팔미토일 이소류신은 피부보호제로서, 전체 조성물의 8 내지 13중량% 만큼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 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은 소 또는 돼지 등의 뼈, 피부를 산, 알칼리, 효소 각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가수분해하여 얻은 콜라겐을 의미하며, 피부 컨디셔닝제로 사용될 수 있다. 가수분해 콜라겐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라기난(Carrageenan)은 홍조류의 아이리시 모스(Irish moss)로부터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다당류를 의미하며, 기본구조는 갈락토스 폴리머(Galactose polymer)로서, 겔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안정화제 및 분산제로서 사용되며, 식물성 피부컨디셔닝제로서 사용된다. 카라기난은 0.3 내지 1.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루코만난(Glucomannan)은 난초과 식물, 구약나무, 붓꽃, 나리, 잔디의 덩이줄기에 함유되어 있으며, 물로 가압·가열하여 추출한 용액에서 불용성 구리착물로 분리된다. 상기 글루코만난은 0.1 내지 0.3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사용될 경우 제품이 너무 단단하게 고형화되어 마스크팩으로서의 사용하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aluminium glycinate), 폴리소르베이트 80, 타타르산, 에틸헥실글리세린, 바닐릴부틸에터, 실리카 등의 첨가제는 각각 0.01 내지 0.1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pH 조절제, 피부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흡수제 등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팩은 신축성 지지체의 일면에 상기 하이드로겔이 도포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신축성 지지체에 적용되어 다수 회의 신축을 반복하더라도 겔 형태가 찢어지거나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지지체는 약 200%의 신장률을 갖는 탄성 원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수, 30수, 40수의 면(Cotton)섬유, 면 30수 싱글 스판(면95%, 스판 5%), 폴리에스테르(Polyester, T/W(Tetron-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과 같은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신축성 지지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의 굴곡진 어느 부위에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 후에도 활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지지체는 발수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수 처리는 공지의 발수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발수 처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축성 원단을 왁스계, 불소계, 지르코늄계, 에틸렌 요소계, 메틸올 아미드, 피리디늄염계, 파라핀계 발수제 등의 발수제를 이용하여 발수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신축성 지지체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과 오일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발수 처리된 원단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발수 처리된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부착부 반대편으로 제형이 용출되거나 증발하지 않아 피부 부위에만 효능 성분이 100% 흡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를 차단하여 조성물의 변질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부착부 반대편으로 제형이 스며나오지 않기 때문에 신체에 부착 후 의복을 착용하더라도 옷에 제형이 묻지 않아 편리하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텍스쳐(tex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스쳐는 반고체 상태의 겔에 요철이 있는 필름을 롤링기 등을 이용하여 합포한 후 떼어냄으로써 겔 표면에 올롤볼록한 요철이 형성된 텍스쳐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겔 표면에 텍스쳐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팩이 피부에 보다 더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부착 후 팩이 밀려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38 내지 85℃에서 용융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용융 혼합물을 신축성 지지체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도포된 조성물을 30 분간 180분간 숙성시켜 겔화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38 내지 85℃에서 용융되어 액체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액체 상태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후 지지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합물 액체상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이를 신축성 지지체에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포는 롤코팅, 바코팅, 필름코터(Film coater) 코팅, 도프(Dope) 후 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포는 0.3 내지 2.5mm의 두께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의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경우 0.5 내지 2mm의 두께로 도포하여 압축하여 제조되는데, 두께가 0.5mm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 시 하이드로겔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2mm 초과인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시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신축성 지지체와 조성물의 교합비를 잘 조정하여 하이드로겔이 찢기거나 흘러내리는 현상이 없이 신체 부위별 피부 조직에 밀착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미용제 혹은 약제의 성질과 목적에 따라 얇거나 두껍게 도포가 가능하다.
상기 숙성 단계는 도포된 조성물을 15 내지 25℃에서 30 내지 180분간 숙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숙성 단계를 거치게 되면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안정도가 높은 반고체 겔 상태가 되어, 신축성 및/또는 발수성 지지체 상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기존의 지지층이 없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하이드로겔의 고형화를 위하여 60분 이상 냉각 후 건조기에서 10시간 이상 열처리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였으나, 본 발명은 탄성 원단이 지지층 역할을 하여 고형화 단계와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제형의 안정도 증가와 생산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숙성에 의해 형성된 반고체 상태의 하이드로겔은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어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제형이 흐르지 않아 사용시의 불쾌감이 전혀 없다. 또한, 숙성된 반고체 상태의 겔은 점도가 100 내지 10,000cps로 매우 높아 별도의 접착 성분이나 접착부가 없어도 피부에 겔 자체만으로 밀착되어 접착제에 의한 과민성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신축성 지지체를 발수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 처리는 상기 신축성 지지체를 왁스계, 불소계, 지르코늄계, 에틸렌 요소계, 메틸올 아미드, 피리디늄염계, 파라핀계 발수제 등의 발수제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도포된 조성물의 숙성 중에 하이드로겔 표면에 텍스쳐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스쳐 형성 단계는 숙성 시작 15 내지 25분 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숙성 중간에 텍스쳐를 형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표면에 텍스쳐가 형성된 상태로 굳어진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
메인믹서 탱크에 하기 표 1의 성분을 혼합하고, 80℃로 가열한 상태에서 교반하여 용융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회 발수 처리된 신축성 원단(웰크론)을 구입하여 실험에 적합한 크기로 자른 후, 상기 용융 혼합물을 각각 2mm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상온에서 20분간 휴지시켜 원당 상에 겔 상태의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상기 겔에 텍스쳐가 형성된 원단을 합포한 뒤 떼어내어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텍스쳐를 형성하였다.
이후 추가로 100분간 휴지시켜 반고체 하이드로겔이 형성된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팩을 나타낸다. 상기 마스크팩은 탄성과 발수력이 좋고, 텍스쳐가 고르게 형성되었으며, 피부가 우는 부분 없이 잘 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분명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정제수 35.00 34.00 42.00 35.00 35.00 36.00
글리세린 25.00 23.00 18.00 20.20 28.50 28.0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10.00 9.80 10.00 15.00 10.00 7.50
캐럽콩검 10.60 14.00 10.60 10.60 10.60 10.6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0.50 0.30 0.50 0.30 0.50 0.80
잔탄검 6.30 6.30 6.30 6.30 2.80 4.50
팔미토일이소류신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가수분해 콜라겐 0.99 0.99 0.99 0.99 0.99 0.99
카라기난 0.62 0.62 0.62 0.62 0.62 0.62
글루코만난 0.20 0.20 0.20 0.20 0.20 0.20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폴리소르베이트80 0.05 0.05 0.05 0.05 0.05 0.05
타타르산 0.05 0.05 0.05 0.05 0.05 0.05
에틸헥실글리세린 0.04 0.04 0.04 0.04 0.04 0.04
바닐릴부틸에터 0.03 0.03 0.03 0.03 0.03 0.03
실리카 0.03 0.03 0.03 0.03 0.03 0.03
(중량%) 100.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마스크팩 물성 시험
1-1. 피부 밀착력
마스크팩의 피부 밀착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마스크팩을 팔등에 부착한 후 팩의 가운데 부분을 잡고 떼어내어 떨어지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마스크팩은 밀착력이 우수하여 손으로 잡은 부분 외에는 잘 떼어지지 않는 모습이 나타났으나, 비교예 1의 마스크팩은 피부 전체적으로 한번에 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비로 혼합된 조성물이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 지지체 결합력
마스크팩의 지지체 결합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마스크팩의 겔 부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마스크팩은 지지체에 하이드로겔이 균일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반면, 비교예 2의 마스크팩은 하이드로겔이 균일하게 결합되지 않았으며 일부는 지지체가 그대로 드러난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비로 혼합된 조성물이 지지체 결합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3. 제형 편평도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마스크팩 피부 부착부의 제형 편평도를 확인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겔은 균일하고 편평하게 도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교예 3의 겔은 두께가 일정치 못하고 불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 제형 변질도
마스크팩의 땀과 수분에 대한 변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마스크팩에 pH 6.0±0.2의 인공 땀과 정제수를 스포이드로 드로핑(dropping)한 후 하이드로겔 부분의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은 땀과 수분에도 전혀 변화가 없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였으나, 비교예 4의 겔은 수분에 의하여 형태가 변하고 녹아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5. 신축 안정도
신축성 지지체의 반복적인 신축에도 밀착성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5의 마스크팩을 10회 반복 신축시킨 후 겔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은 반복적인 신축에도 여전히 지지체에 대한 밀착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형태가 온전히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5의 겔은 신축에 의해 겔이 찢어지고 떨어져 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마스크팩 실사용 모습 비교
본 발명의 마스크팩의 실사용 모습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마스크팩을 신체 중 굴곡이 가장 많은 목 부분에 부착하고 1시간동안 생활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N사의 3D 리프팅 링클넥 마스크와 Y 사의 셀룰로오스 넥 패치를 구입하여 목 부분에 부착하고 1시간동안 생활한 후 그 이미지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굴곡이 많은 목 부분에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부착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기존의 제품들은 모두 표면이 울거나 제형이 뭉치고, 시트가 밀려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물 32 내지 40중량%; 글리세린 22 내지 28중량%;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8 내지 12중량%;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8 내지 13중량%;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0.4 내지 0.6중량%; 및 잔탄검(xanthan gum) 5 내지 7.5중량%를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팔미토일 이소류신(palmitoyl isoleucine), 가수분해 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카라기난(carrageen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aluminium glycinate), 폴리소르베이트 80, 타타르산, 에틸헥실글리세린, 바닐릴부틸에터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4. 신축성 지지체의 일면에
    물 32 내지 40중량%; 글리세린 22 내지 28중량%;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8 내지 12중량%;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8 내지 13중량%;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0.4 내지 0.6중량%; 및 잔탄검(xanthan gum) 5 내지 7.5중량%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지지체가 발수 처리된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텍스쳐(textu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7.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a) 물 32 내지 40중량%; 글리세린 22 내지 28중량%;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8 내지 12중량%;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8 내지 13중량%;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0.4 내지 0.6중량%; 및 잔탄검(xanthan gum) 5 내지 7.5중량%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38 내지 85℃에서 용융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용융 혼합물을 신축성 지지체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도포된 조성물을 30 내지 180분간 숙성시켜 겔화시키는 단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신축성 지지체를 발수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도포된 조성물의 숙성 중에 하이드로겔 표면에 텍스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조성물의 숙성을 15 내지 25분 수행한 후에 텍스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180125182A 2018-10-19 2018-10-19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KR10206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182A KR102060699B1 (ko) 2018-10-19 2018-10-19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PCT/KR2019/013655 WO2020080847A1 (ko) 2018-10-19 2019-10-17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182A KR102060699B1 (ko) 2018-10-19 2018-10-19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699B1 true KR102060699B1 (ko) 2019-12-30

Family

ID=6910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182A KR102060699B1 (ko) 2018-10-19 2018-10-19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0699B1 (ko)
WO (1) WO2020080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43B1 (ko) * 2022-02-09 2022-08-2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탄성력 및 밀착력이 향상된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14353A1 (de) * 2020-11-16 2022-05-19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Emulsion enthaltend Ceratonia Siliqua Gum und Aluminium Chlorohydr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210B1 (ko) * 2012-11-13 2014-12-17 주식회사 제닉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1698053B1 (ko) * 2014-12-02 2017-01-19 (주)뷰티화장품 엠보싱 형상 표면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170045823A (ko) * 2015-10-20 2017-04-28 고경찬 미용용 마스크 팩
KR102009280B1 (ko) * 2016-06-20 2019-08-09 (주)엔코스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780391B1 (ko) * 2017-02-17 2017-10-10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온도 감응형 순수하이드로겔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킨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43B1 (ko) * 2022-02-09 2022-08-2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탄성력 및 밀착력이 향상된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847A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2354B (zh) 生物透气美容用面膜及其制备方法
CN104352359A (zh) 一种基于水性聚氨酯分散体的可剥离面膜基质
KR101754305B1 (ko) 즉석 쿨링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쿨링 마스크팩 조성물
KR102060699B1 (ko)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KR102643993B1 (ko) 부착력 및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화장품
CN106074217B (zh) 体温自塑成型皮肤护理材料及皮肤护理膜及制备方法
KR20170009164A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20170012810A (ko) 천연꽃잎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CN103976887A (zh) 一种凝胶面膜基质及其制备工艺
CN114557920A (zh) 一种烘焙浮雕保湿粉饼及其制造方法
KR101902272B1 (ko)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N107012031A (zh) 一种具有美白功效的瓜蒌瓤冷制皂及其制作方法
CN106619469A (zh) 一种去红血丝面贴膜
KR20160055418A (ko) 피부 맞춤형 즉석겔을 형성하는 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769A (ko) 겔 마스크팩 조성물
KR101612463B1 (ko) 각질연화용 패치
KR102068534B1 (ko) 점성비누 제조방법 및 점성비누
JP2007022964A (ja) フィブロイン含有シート
KR102038857B1 (ko)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220147894A (ko) 일체형 필-오프 모델링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0519528B2 (ko)
CN103211744B (zh) 一种含可可果/海藻复合提取物、人参根提取物和水解珍珠的化妆水组合物的制备方法
CN112626712A (zh) 用于护肤品的具有功能性成分的多糖和蛋白质纳米纤维基质
CN110464665A (zh) 一种排污霜及其制备方法
KR20050013986A (ko) 젤라틴과 한천 및 알긴산나트륨 겔을 이용한 부직포형팩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