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496B1 -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496B1
KR102068496B1 KR1020180030341A KR20180030341A KR102068496B1 KR 102068496 B1 KR102068496 B1 KR 102068496B1 KR 1020180030341 A KR1020180030341 A KR 1020180030341A KR 20180030341 A KR20180030341 A KR 20180030341A KR 102068496 B1 KR102068496 B1 KR 10206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seat back
setting position
bracket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808A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to KR102018003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49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6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로 자동 회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백을 접거나 세우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시트백이 세팅 위치 부근에서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스토퍼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자동차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방향으로 접고 그 반대 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시트백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브래킷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폴딩조작수단과; 상기 폴딩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이 구속 해제되는 경우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로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탄성복귀수단과; 상기 탄성복귀수단의 탄성력 및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세팅 위치 부근에서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로 자동 회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백을 접거나 세우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시트백이 세팅 위치 부근에서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스토퍼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백 폴딩 장치는 후석(2열이나 3열)의 시트백을 폴딩함으로써 러기지 공간 및 착좌 공간을 손쉽게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고,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시트백을 폴딩하거나 다시 세울 때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관련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44817호(2004.09.10.)에는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가 제안된 바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10-0523044호(2005.10.20.)에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에서 폴딩할 경우에는 레버를 당겨 락을 해제한 후 손으로 시트백을 밀어 폴딩시키고, 반대로 폴딩된 상태에서 시트백을 세울 경우에는 레버를 당겨 락을 해제한 후 손으로 시트백을 들어 올려 시트백을 복원시켜야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시트백을 처음부터 끝까지 회동시켜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시트백을 접거나 세우는 것이 용이한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시트백이 세팅 위치 부근에서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자동차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방향으로 접고 그 반대 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시트백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브래킷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폴딩조작수단과; 상기 폴딩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이 구속 해제되는 경우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로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탄성복귀수단과; 상기 탄성복귀수단의 탄성력 및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세팅 위치 부근에서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복귀수단은, 상기 시트백이 접힌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제1 탄성모듈과,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제2 탄성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제2 탄성모듈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모듈과 상기 제2 탄성모듈 사이에 작용하는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 부근에서 상기 시트백이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브래킷의 상기 제1 탄성모듈에 의한 상기 세팅 위치를 넘어서는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일단은 상기 회동브래킷에 암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는 가이드핀이 구비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암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 접혔다가 다시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 세워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판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홀의 제1 꼭지점 부근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1 꼭지점과 상기 제1 꼭지점의 전방 하부에 위치된 제2 꼭지점을 잇는 제1 변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시트백이 상기 세팅 위치 부근을 지나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2 꼭지점과 상기 제2 꼭지점의 후방에 위치된 제3 꼭지점을 잇는 제2 변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시트백이 접힌 위치에서 다시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 세워지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3 꼭지점과 상기 제1 꼭지점을 잇는 제3 변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제2 탄성모듈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친 후 상기 제1 탄성모듈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제2 변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핀이 걸려 상기 시트백이 상기 세팅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제2 변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기에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1 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1 꼭지점의 상부로 상기 제1 변과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핀이 위치되는 핀방향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로 자동 회동됨으로써 세팅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시트백을 접는 방향이나 세우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것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회동시켜야 하는 거리도 짧아지게 되어 시트백의 폴딩 및 언폴딩 작동이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스터퍼수단을 통해 탄성복귀수단의 탄성력 및 회동브래킷의 회전 관성에 의해 시트백이 세팅 위치 부근에서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주요부 분해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주요부 분해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자동차의 시트백(2)을 시트쿠션(1) 방향으로 접고 그 반대 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로서 고정브래킷(10)과, 회동브래킷(20)과, 폴딩조작수단(30)과, 탄성복귀수단(40)과, 스토퍼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쿠션(1)의 후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회동브래킷(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백(2)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10)에 대한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동은 상기 시크쿠션(1)에 대한 상기 시트백(2)의 회동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회동브래킷(20)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10)에 각각 제1 힌지축(21) 및 제2 힌지축(22)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 힌지축(21) 및 제2 힌지축(22)이 상기 한 쌍의 회동브래킷(20) 각각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브래킷(2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폴딩조작수단(3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조작레버(31)와, 상기 조작레버(31)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2)와, 상기 와이어(32)의 타단에 연결되어 작동되며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회전구속유닛(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폴딩조작수단(30)의 구성은 자동차용 시트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복귀수단(40)은 상기 폴딩조작수단(30)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이 구속 해제되는 경우 탄성복귀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시트쿠션(1)과 일정한 예각(θ)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P0)로 상기 회동브래킷(20)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복귀수단(40)은 상기 시트백(2)이 접힌 위치(P1)에서 상기 세팅 위치(P0) 방향으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20)을 회전시키는 제1 탄성모듈(40a)과,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세팅 위치(P0) 방향으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20)을 회전시키는 제2 탄성모듈(40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탄성모듈(40a)과 상기 제2 탄성모듈(40b)은 상기 세팅 위치(P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구성인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탄성모듈(40a)은 상기 고정브래킷(10) 및 상기 회동브래킷(20)에 착탈 가능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과, 케이싱(20)과, 힌지연장축(43)과, 스프링지지핀(44)과, 케이싱고정핀(45)과, 이탈방지클립(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은 중심단부가 상기 제1 힌지축(21)에 지지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10) 중 상기 제1 힌지축(2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어느 하나(10a)에 지지되되,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세팅 위치(P0)에서 외력에 의해 접히게 되는 경우 감기며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은 힌지연장축(43)의 전면에 형성된 스프링체결홈(4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중심단부가 직선형으로 절곡된다.
상기 케이싱(42)은 상기 제1 탄성모듈(40a)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이 내부로 수용되고, 케이싱고정핀(45)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힌지연장축(43)은 상기 케이싱(41)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의 중심단부가 지지되되, 상기 케이싱(42)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제1 힌지축(2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연장축(43)은 전면에 일정 깊이 직선형으로 파여진 스프링체결홈(4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의 직선형으로 절곡도니 중심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힌지축(21)은 각각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줄 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연장축(43)과 스플라인 축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지지핀(44)은 일단부는 상기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의 외측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브래킷(1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케이싱고정핀(45)은 상기 케이싱(42)을 상기 회동브래킷(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탈방지클립(46)은 상기 제1 힌지축(21)이 상기 힌지연장축(43)과 축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연장축(43)과 상기 제1 힌지축(21)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제1 탄성모듈(40a)이 상기 고정브래킷(10) 및 상기 회동브래킷(20)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모듈화 되어 구성됨으로써 장착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탄성모듈(40b)은 제2 스파이럴 스프링(41b)의 감긴 방향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탄성모듈(40a)과 마찬가지로 케이싱(20)과, 힌지연장축(43)과, 스프링지지핀(44)과, 케이싱고정핀(45)과, 이탈방지클립(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2 스파이럴 스프링(41b)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스파이럴 스프링(41b)은 중심단부가 상기 제2 힌지축(22)에 지지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10) 중 다른 하나(10b)에 지지되되,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세팅 위치(P0)에서 외력에 의해 세워지는 경우 감기며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제1 스파이럴 스프링(41a)과 상기 제2 스파이럴 스프링(41b)은 감긴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탄성복귀수단(40)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폴딩조작수단(30)을 조작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시트쿠션(1)과 일정한 예각(θ)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P0)로 자동 회동됨으로써 상기 세팅 위치(P0)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시트백(20)을 접는 방향(P1)이나 세우는 방향(P2)으로 힘을 주는 것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회동시켜야 하는 거리도 짧아지게 되어 상기 시트백(20)의 폴딩 및 언폴딩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수단(50)은 상기 탄성복귀수단(40)의 탄성력 및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세팅 위치(P0) 부근에서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수단(50)은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제2 탄성모듈(40b)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P0)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모듈(40a)과 상기 제2 탄성모듈(40b) 사이에 작용하는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P0) 부근에서 상기 시트백(2)이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브래킷(20)의 상기 제1 탄성모듈(40a)에 의한 상기 세팅 위치(P0)를 넘어서는 회전을 구속하도록 가이드암(51)과, 가이드판(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암(51)은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은 상기 회동브래킷(20)에 암힌지축(511)으로 힌지 연결되며, 타단에는 가이드핀(512)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판(52)은 상기 고정브래킷(10)에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핀(512)이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가이드홀(521)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홀(521)은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세팅 위치(P0)를 지나 접혔다가(P1) 다시 상기 세팅 위치(P0)를 지나 세워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핀(512)이 상기 가이드판(52)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이동될 수 있도록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가이드핀(512)은 상기 가이드홀(521)의 제1 꼭지점(a) 부근에 위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세팅 위치(P0)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기에 상기 가이드핀(512)이 제2 변(bd)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제1 변(a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꼭지점(a)의 상부로 상기 제1 변(ab)과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핀방향유도홈(e)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가이드핀(512)이 상기 핀방향유도홈(e)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세팅 위치(P0)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512)은 상기 제1 꼭지점과 상기 제1 꼭지점의 전방 하부에 위치된 제2 꼭지점(b)을 잇는 제1 변(ab)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세팅 위치(P0) 부근을 지나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512)은 상기 제2 꼭지점(b)과 상기 제2 꼭지점(b)의 후방에 위치된 제3 꼭지점(c)을 잇는 제2 변(bc)을 따라 이동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제2 탄성모듈(40b)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P0)를 지나친 후 상기 제1 탄성모듈(40a)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P0)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제2 변(bc)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핀(512)이 걸려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세팅 위치(P0)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변(bc)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걸림홈(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이 접힌 위치(P1)에서 다시 상기 세팅 위치(P0)를 지나 세워지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512)은 상기 제3 꼭지점(c)과 상기 제1 꼭지점(a)을 잇는 제3 변(ca)을 따라 이동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2)에서 상기 가이드핀(512)이 상기 핀방향유도홈(e)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수단(50)으로서의 가이드암(51)과 가이드판(52)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상기 탄성복귀수단(40)의 탄성력 및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 관성에 의해 시트백(2)이 세팅 위치 (P0) 부근에서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고정브래킷
20 회동브래킷
21 제1 힌지축, 22 제2 힌지축
30 폴딩조작수단
40 탄성복귀수단
40a 제1 탄성모듈, 40b 제2 탄성모듈
50 스토퍼수단
51 가이드암
511 암힌지축
512 가이드핀
52 가이드판
521 가이드홀

Claims (4)

  1. 삭제
  2. 자동차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방향으로 접고 그 반대 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시트백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브래킷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폴딩조작수단과; 상기 폴딩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이 구속 해제되는 경우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로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탄성복귀수단과; 상기 탄성복귀수단의 탄성력 및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세팅 위치 부근에서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브래킷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복귀수단은, 상기 시트백이 접힌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제1 탄성모듈과,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제2 탄성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제2 탄성모듈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모듈과 상기 제2 탄성모듈 사이에 작용하는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 부근에서 상기 시트백이 상하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브래킷의 상기 제1 탄성모듈에 의한 상기 세팅 위치를 넘어서는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일단은 상기 회동브래킷에 암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는 가이드핀이 구비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암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 접혔다가 다시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 세워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판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홀의 제1 꼭지점 부근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1 꼭지점과 상기 제1 꼭지점의 전방 하부에 위치된 제2 꼭지점을 잇는 제1 변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시트백이 상기 세팅 위치 부근을 지나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2 꼭지점과 상기 제2 꼭지점의 후방에 위치된 제3 꼭지점을 잇는 제2 변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시트백이 접힌 위치에서 다시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 세워지는 동안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3 꼭지점과 상기 제1 꼭지점을 잇는 제3 변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제2 탄성모듈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를 지나친 후 상기 제1 탄성모듈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제2 변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핀이 걸려 상기 시트백이 상기 세팅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제2 변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세팅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기에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1 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1 꼭지점의 상부로 상기 제1 변과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핀이 위치되는 핀방향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KR1020180030341A 2018-03-15 2018-03-15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KR10206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41A KR102068496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41A KR102068496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08A KR20190108808A (ko) 2019-09-25
KR102068496B1 true KR102068496B1 (ko) 2020-01-21

Family

ID=6806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341A KR102068496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4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776Y1 (ko) * 1995-09-28 1998-04-18 이상은 자동차보조시트용 힌지부 로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08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4358B2 (ja) 車輌シートの収納解除システムと方法
US7537260B2 (en) Layout for an automobile seat retractable into a well of the floor of the said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such a seat
US9085251B2 (en) Storage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KR10198105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US20090255758A1 (en) Novel rear deck service ladder and handle assembly for combines
US7281560B2 (en) Awning assembly
KR101592680B1 (ko) 자동차용 스탠드업 시트 백폴딩 장치
KR20130111959A (ko) 전개 가능한 쉘터 구조물
US20040051351A1 (en) Folding sunshade for car seat
KR102068496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
US20040134870A1 (en) Umbrella-type laundry drying rack
CN209870204U (zh) 一种联动收折式车载茶杯架
JP2006015940A (ja) 車両用天井格納シート
US20090033124A1 (en) Wind Bulkhead Device For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An Open Bodywork
KR102220039B1 (ko)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JP3802635B2 (ja) 中折式構造体
JP2015098249A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5550990B2 (ja) スロープ装置
CN217602286U (zh) 车辆的天幕帐篷和车辆
KR102220040B1 (ko)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JP3242479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H07279464A (ja) 立体式駐車装置
JP4066426B2 (ja)
EP3473535A1 (en) Foldable vehicle with foldable seat
CN109532600A (zh) 头枕安装系统,包括这种安装系统的组件以及包括这种组件的车辆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