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018B1 -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018B1
KR102068018B1 KR1020190150032A KR20190150032A KR102068018B1 KR 102068018 B1 KR102068018 B1 KR 102068018B1 KR 1020190150032 A KR1020190150032 A KR 1020190150032A KR 20190150032 A KR20190150032 A KR 20190150032A KR 102068018 B1 KR102068018 B1 KR 10206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reaker
frame
transfe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숙
남건우
Original Assignee
김재숙
남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숙, 남건우 filed Critical 김재숙
Priority to KR102019015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6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08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차단기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 및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볼트가 체결되지 않은 차단기를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단기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Breaker terminal bolt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에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1차, 2차 볼트를 체결하며, 체결이 완료된 차단기를 검수하도록 하며,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볼트가 체결된 차단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을 위한 차단기는 케이스에 배선을 위한 전선이 결합될 수 있는 단자가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에는 절연을 위해 단자별 칸막이가 형성되어 단자별로 배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에 형성된 단자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체결되어 있으며, 볼트는 작업자가 직접 볼트를 체결하거나, 볼트를 사용시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형성된 차단기이다.
다수의 차단기를 제조하는 경우 단자에 볼트를 작업자가 체결하여 생산하는 경우 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되며, 작업자에 대한 인건비에 대한 부담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차단기의 경우 단자 위치에 이물질이 묻거나, 볼트가 체결되지 않은 불량이 발생하고 있어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148677호
본 발명은 차단기에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1차, 2차 볼트를 체결하며, 체결이 완료된 차단기를 검수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공기분사와 브러쉬를 통해 제거하여 볼트가 체결된 차단기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미리 저장된 차단기의 영상정보와 영상확인수단을 통해 획득한 차단기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불량을 선별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차단기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 및 차단기의 단자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를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단기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사각의 함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형성되는 프레임함체; 이송부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부지지대; 차단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롤러와 이송와이어와 이송가이드가 형성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부지지대에 연결 형성되는 이송부프레임; 차단기이송부 측으로 차단기를 투입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투입프레임; 이송을 통해 볼트 체결이 완료된 차단기가 안착 적재되도록 이송부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이송부는, 이송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롤러; 복수개의 이송롤러 간의 연결 형성되는 이송와이어; 차단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부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이송가이드; 투입프레임측에서 투입되는 차단기를 감지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차단기감지센서; 제1차단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단기의 이송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스토퍼; 제1스토퍼를 거쳐 일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볼트체결을 위해 차단기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대; 제1고정대를 이송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송부프레임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제1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실린더; 이송와이어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차단기에 1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 측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고정대; 제1측면고정대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측면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실린더; 1차 볼트가 체결되어 이동되는 차단기를 감지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차단기감지센서; 제2차단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단기의 이송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스토퍼; 제2스토퍼를 거쳐 일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볼트체결을 위해 차단기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대; 제2고정대를 이송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송부프레임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제2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실린더; 1차 볼트가 체결된 차단기에 2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 측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면고정대; 제2측면고정대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2측면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면실린더; 1차와 2차 볼트체결이 완료된 차단기를 감지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차단기감지센서; 제3차단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단기의 이송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스토퍼; 제3스토퍼를 거쳐 일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를 검수하기 위해 차단기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고정대; 제3고정대를 이송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송부프레임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제3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고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제1측면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차단기에 1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1볼트체결부; 및 제2측면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차단기에 2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2볼트체결부; 및 볼트체결이 완료된 차단기의 체결상태를 검수하기 위한 완료차단기검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볼트체결부는, 제1수평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제1체결부고정대; 제1체결부고정대 상부로 형성되는 제1수평레일; 상기 제1수평레일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수평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1수평레일부재; 제1수평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레일; 상기 제1수직레일을 따라 승하강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수직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1수직레일부재; 제1볼트안착지그에 위치되는 볼트를 흡착하기 위해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어 0.1bar ~ 0.5bar의 공기압력으로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볼트흡착회전바; 하부로 제1볼트흡착회전바가 형성되며, 상부로 제1볼트토크바가 형성되도록 제1수직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제1볼트흡착회전바의 하강시 차단기와 접촉되는 제1볼트흡착회전바가 일정 탄성을 갖도록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제1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 제1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된 볼트가 차단기와 접촉시 차단기에 볼트를 일정 토크로 회전시켜 결합시키기 위해 제1흡착회전바 내부로 연결되어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상부로 형성되며, 0.05㎏.m ~ 1.6㎏.m의 토크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볼트토크바; 제1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되는 볼트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볼트가 보관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제공함; 제1볼트제공함에 보관된 볼트가 제1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제1볼트제공함 일측에서 제1볼트투입부재 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제공가이드; 제1볼트제공가이드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1볼트투입부재 측으로이동시키기 위해 제1볼트이송실린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이송부재; 제1볼트이송부재를 제1볼트제공가이드 측에서 제1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이송실린더; 제1볼트이송부재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1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볼트이송실린더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제1볼트투입부재; 제1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된 제1볼트투입부재에 위치한 볼트를 제1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볼트안착지그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1볼트투입실린더; 제1볼트투입실린더에 의해 투입되는 볼트가 안착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안착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볼트체결부는, 제2수평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제2체결부고정대; 제2체결부고정대 상부로 형성되는 제2수평레일; 상기 제2수평레일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2수평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2수평레일부재; 제2수평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레일; 상기 제2수직레일을 따라 승하강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2수직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2수직레일부재; 제2볼트안착지그에 위치되는 볼트를 흡착하기 위해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어 0.1bar ~ 0.5bar의 공기압력으로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볼트흡착회전바; 하부로 제2볼트흡착회전바가 형성되며, 상부로 제2볼트토크바가 형성되도록 제2수직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제2볼트흡착회전바의 하강시 차단기와 접촉되는 제2볼트흡착회전바가 일정 탄성을 갖도록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제2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 제2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된 볼트가 차단기와 접촉시 차단기에 볼트를 일정토크로 회전시켜 결합시키기 위해 제2흡착회전바 내부로 연결되어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상부로 형성되며, 0.05㎏.m ~ 1.6㎏.m의 토크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볼트토크바; 제2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되는 볼트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볼트가 보관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제공함; 제2볼트제공함에 보관된 볼트가 제2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제2볼트제공함 일측에서 제2볼트투입부재 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제공가이드; 제2볼트제공가이드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2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볼트이송실린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이송부재; 제2볼트이송부재를 제2볼트제공가이드 측에서 제2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이송실린더; 제2볼트이송부재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2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볼트이송실린더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제2볼트투입부재; 제2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된 제2볼트투입부재에 위치한 볼트를 제2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볼트안착지그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2볼트투입실린더; 제2볼트투입실린더에 의해 투입되는 볼트가 안착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안착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완료차단기검수부는, 검수바가 형성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부지지대; 검수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검수부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승하강레일; 상기 검수승하강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드 승하강되도록 검수승하강레일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검수승하강부재; 상기 검수승하강부재를 검수승하강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검수승하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승하강실린더; 완료된 차단기를 검수하기 위해 검수승하강실린더의 작동으로 차단기와 접촉되도록 검수승하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바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투입프레임을 통해 투입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프레임함체 상부로 형성되는 제거프레임; 복수의 공기분사노즐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거프레임 전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프레임; 브러쉬롤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거프레임 후면으로 형성되는 후면프레임; 이송부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전면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공기분사노즐; 이송부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기 위해 후면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브러쉬롤러; 브러쉬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브러쉬롤러 일측으로 형성되는 롤러모터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투입프레임을 통해 이송부프레임측으로 투입되는 차단기 중 불량차단기를 검출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차단기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차단기검출부는,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출프레임; 투입프레임을 통해 투입되는 차단기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검출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영상확인수단; 불량 차단기를 불량제품보관케이스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검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제품이송레일; 흡착대를 통해 흡착된 차단기가 불량제품보관케이스 측으로 이동되도록 불량제품이송레일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안착 형성되는 이송부재; 이송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차단기흡착대; 차단기를 흡착하기 위해 차단기흡착대 하부로 형성되는 차단기흡착판; 차단기에 차단기흡착판이 밀착되도록 차단기흡착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착대실린더; 차단기흡착판에 부착된 불량차단기를 불량제품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불량차단기가 보관되도록 프레임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제품보관케이스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볼트체결이 완료되고, 검수가 완료된 차단기를 적재하기 위한 제품적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적재부는, 차단기를 보관 및 적재하도록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적재케이스; 이송부프레임 측으로부터 이동되는 차단기를 제품적재구역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완제품이송레일; 제품적재구역에 맞게 차단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완제품이송레일과 적재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레일회전플레이트; 완제품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의 수량을 카운팅하기 위해 완제품이송레일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카운터; 완제품이송레일을 따라 각 제품적재구역 측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재케이스 상부로 형성되는 제품가이드; 제품가이드에 의해 이동되는 차단기를 각각 적재하기 위해 적재케이스 상부에 복수의 구역으로 형성되는 제품적재구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단기에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1차, 2차 볼트를 체결하며, 체결이 완료된 차단기를 검수하도록 하여 정상제품의 차단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공기분사와 브러쉬를 통해 제거하여 제품의 퀄리티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미리 저장된 차단기의 영상정보와 영상확인수단을 통해 획득한 차단기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불량을 선별하도록 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차단기이송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제1볼트체결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제2볼트체결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완료차단기검수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이물질제거부를 본 발명에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불량차단기검출부를 본 발명에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적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레임부(100)와 차단기이송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차단기가 안착되어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틀을 형성하며, 각 구성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프레임함체(110), 이송부프레임(130), 이송부지지대(120), 투입프레임(140), 제품케이스(1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함체(110)는, 지면에 고정 형성되며, 사각의 함으로 형성되고 함체 내부로 각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와 동력부 등의 제어구성이 형성되며, 함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으로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프레임(130)은, 투입프레임(140)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단기를 제품케이스(15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형성되도록 프레임함체(1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프레임(130)은, 양측으로 형성되어 중앙으로 차단기가 이동될 수 있는 이송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지지대(120)는, 이송부프레임(130)을 프레임함체(110)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함체(110) 상부로 이송부프레임(130)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지지대(120)는 이송부프레임(130)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형성되며, 이송부프레임(130)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프레임(140)은, 이송부프레임(13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차단기를 준비시키는 위치로, 투입프레임(140)은 차단기의 투입시 차단기가 이송부프레임(130) 측으로 자유낙하가 이루어지도록 일정 높이에서 이송부프레임(130) 측으로 일정 각도를 두고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프레임(140)은,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에서 이송부프레임(130) 상에 형성되는 이송수단의 높이에 형성되어 자유낙하시 차단기가 이송수단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케이스(150)는, 볼트체결이 완료되고, 검수가 완료된 차단기가 안착 보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케이스(150)는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품케이스(150)는 이송부프레임(130) 상에 형성되는 이송수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차단기가 이송수단을 통해 이동시 제품케이스(150) 측으로 일정 높이에서 낙하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 차단기이송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2c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이송부(200)는 투입프레임(140)에서 낙하되어 이송부프레임(130)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의 단자 위치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기이송부(200)는 이송부프레임(130) 상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이송부(200)는, 이송롤러(210), 이송와이어(220), 이송가이드(230), 제1차단감지센서, 제1스토퍼(241), 제1고정대(242), 제1고정실린더(243), 제1측면고정대(244), 제1측면실린더(245), 제2차단기감지센서(250), 제2스토퍼(251), 제2고정대(252), 제2고정실린더(253), 제2측면고정대(254), 제2측면실린더(255), 제3차단기감지센서(260), 제3스토퍼(261), 제3고정대(262), 제3고정실린더(263)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롤러(210)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이송부프레임(130)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롤러(210)는 이송모터(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하나의 이송롤러(210)가 회전함으로 이송롤러(210) 간에 연결된 이송와이어(220)에 의해 복수의 이송롤러(21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롤러(210)는, 이송와이어(220)의 원형태로 형성되어 이송와이어(220)가 이송롤러(210)의 홈에 밀착되어 이송와이어(220)에 의해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와이어(22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와이어(220)는 복수의 이송롤러(210)를 회전시켜주기 위해 이송롤러(2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와이어(220)는 이송롤러(210)에 형성되는 홈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송와이어(220)가 일측방향으로 움직일때, 이송롤러(21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230)는, 이송와이어(220)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차단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가이드(230)는 이송부프레임(130) 상부 양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230)는, 차단기의 넓이, 두께 등의 크기에 따라 이송가이드(230)를 탈부착시킴으로 넓혀주거나, 높여줌으로 차단기에 맞게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230)는, 차단기의 이동시 차단기와 마찰로 발생될 수 있는 차단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가이드(230)가 탄성재질의 코팅제로 코팅되거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소재를 사용하거나, 차단기와 마찰되는 위치에 탄성패드가 부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차단기감지센서(240)는, 투입프레임(140) 측으로부터 이송부프레임(130) 측으로 제공되는 차단기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투입프레임(140)을 통해 복수개의 차단기가 낙하되어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복수개의 차단기가 위치시 이송와이어(220)에 차단기가 안착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1차 볼트체결을 위해 1개의 차단기가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 이동시 다음 차단기가 이동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일시정지를 해야함으로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의 차단기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단기감지센서(240)는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인 제1볼트체결부(300) 이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차단기감지센서(240)는 적외선감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토퍼(241)는, 1개의 차단기가 이동후 다음 차단기의 감지시 이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차단기감지센서(240) 일측방향인 이송부프레임(130)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241)는 예를 들어, 제1차단기감지센서(240)가 1개의 차단기가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 이동됨을 감지함과 동시에 작동되는 것으로,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의 다음 차단기를 일시정지시켜줌으로, 이미 진행되어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의 볼트체결이 완료됨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일시정지되었던 차단기가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대(242)는,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 이동된 차단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고정대(242)는 제1고정실린더(243)의 실린더 축에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대(242)는, 제1볼트체결부(3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가 제1볼트체결부(300) 상에 위치하기 전에 작동됨 차단기가 정지될 수 있도록 제1고정실린더(243)에 의해 미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실린더(243)는, 제1고정대(242)를 차단기 측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고정실린더(243)는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실린더(243)는 이동되어 차단기의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대(242)가 차단기 측으로 전진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면고정대(244)는, 제1볼트체결부(300)를 통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1측면고정대(244)는 이송부프레임(130)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실린더(245)의 실린더 축에 형성되며, 더욱상세하게는 제1볼트체결부(300) 하측 방향인 이송부프레임(130) 상에 형성된 제1측면실린더(24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면고정대(244)는, 차단기가 제1볼트체결부(300) 상에 위치시 제1고정대(242)에 의해 정지됨과 동시에 이송부프레임(130)에 형성된 제1측면고정대(244)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면고정대(244)는 차단기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단자홈에 제1측면고정대(244)의 일부가 삽입되어 차단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면실린더(245)는, 이송부프레임(13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1측면고정대(244)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측면실린더(245)는 이송부프레임(13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1측면실린더(245)의 실린더 축에 제1측면고정대(244)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차단기감지센서(250)는, 이송부프레임(130)을 따라 이동시 제1볼트체결부(300) 상에서 1차 볼트체결이 이루어져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이송부프레임(130)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가 제1볼트체결부(300)를 통해 1차 볼트체결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2차 볼트체결을 위해 1개의 차단기가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시 다음 차단기가 이동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일시정지를 해야함으로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의 차단기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차단기감지센서(250)는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인 제2볼트체결부(400) 이전에 형성되며, 상기 제2차단기감지센서(250)는 적외선감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스토퍼(251)는, 1개의 차단기가 이동후 다음 차단기의 감지시 이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차단기감지센서(250) 일측방향인 이송부프레임(130)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스토퍼(251)는 예를 들어, 제2차단기감지센서(250)가 1개의 차단기가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됨을 감지함과 동시에 작동되는 것으로,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의 다음 차단기를 일시정지시켜줌으로, 이미 진행되어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의 볼트체결이 완료됨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일시정지되었던 차단기가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대(252)는,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된 차단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고정대(252)는 제2고정실린더(253)의 실린더 축에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대(252)는, 제2볼트체결부(4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가 제2볼트체결부(400) 상에 위치하기 전에 작동됨 차단기가 정지될 수 있도록 제2고정실린더(253)에 의해 미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실린더(253)는, 제2고정대(252)를 차단기 측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고정실린더(253)는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실린더(253)는 이동되어 차단기의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고정대(252)가 차단기 측으로 전진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면고정대(254)는, 제2볼트체결부(400)를 통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2측면고정대(254)는 이송부프레임(130)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면실린더(255)의 실린더 축에 형성되며, 더욱상세하게는 제2볼트체결부(400) 하측 방향인 이송부프레임(130) 상에 형성된 제2측면실린더(25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면고정대(254)는, 차단기가 제2볼트체결부(400) 상에 위치시 제2고정대(252)에 의해 정지됨과 동시에 이송부프레임(130)에 형성된 제2측면고정대(254)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면고정대(254)는 차단기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단자홈에 제2측면고정대(254)의 일부가 삽입되어 차단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면실린더(255)는, 이송부프레임(13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2측면고정대(254)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측면실린더(255)는 이송부프레임(13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2측면실린더(255)의 실린더 축에 제2측면고정대(254)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차단기감지센서(260)는, 1차 볼트체결과 2차 볼트체결이 완료된 차단기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3차단기감지센서(260)는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되며, 더욱상세하게는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의 검수를 위해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송부프레임(130) 상의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이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차단기감지센서(260)는 감지되는 차단기 이후의 차단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스토퍼(261)는, 예를 들어, 제3차단기감지센서(260)가 1개의 차단기가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측으로 이동됨을 감지함과 동시에 작동되는 것으로,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의 다음 차단기를 일시정지시켜줌으로, 이미 진행되어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의 검수가 완료됨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일시정지되었던 차단기가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고정대(262)는,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측으로 이동된 차단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3고정대(262)는 제3고정실린더(263)의 실린더 축에 형성된다.
상기 제3고정대(262)는,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가 완료차단기검수부(500) 상에 위치하기 전에 작동됨 차단기가 정지될 수 있도록 제3고정실린더(263)에 의해 미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고정실린더(263)는, 제3고정대(262)를 차단기 측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3고정실린더(263)는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고정실린더(263)는 이동되어 차단기를 검수하기 위해 차단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3고정대(262)가 차단기 측으로 전진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1볼트체결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제2볼트체결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완료차단기검수부(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볼트체결부(300)는, 이송부프레임(130)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1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볼트체결부(300)는, 제1체결볼트고정대, 제1수평레일(311), 제1수평레일부재(312), 제1수직레일(320), 제1수직레일부재(321), 제1볼트흡착회전바(330),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331), 제1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332), 제1볼트토크바(333), 제1볼트제공함(340), 제1볼트제공가이드(341), 제1볼트이송부재(342), 제1볼트이송실린더(343), 제1볼트투입부재(344), 제1볼트투입실린더(345), 제1볼트안착지그(34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부고정대(310)는,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일측으로 제1수평레일(3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체결부고정대(310)는, 흡착되는 볼트를 차단기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과 수평레일을 프레임함체(1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평레일(311)은, 제1체결부고정대(3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수평레일(311)을 따라 제1수평레일부재(312)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평레일(311)은 흡착된 볼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평레일부재(312)는, 제1수평레일(311)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평레일부재(312)는 제1수평레일(311) 상에 형성되는 레일이송모터(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평레일부재(312)는 일측으로 제1수직레일(3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직레일(320)은, 수평으로 이동되는 볼트를 차단기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직레일(320)은 제1수평레일부재(312)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직레일부재(321)는, 제1수직레일(320)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직레일부재(321)는 제1수직레일(320) 상에 형성되는 레일이송모터(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직레일부재(321)는 일측으로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3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흡착회전바(330)는,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331)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볼트안착지그(346)에 위치한 볼트를 흡착하여 차단기의 단자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흡착회전바(330)는, 일측 끝단이 볼트홈에 맞게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 등의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흡입구를 통해 볼트를 제1볼트흡착회전바(330) 측으로 흡착시키며, 볼트의 체결이 완료됨에 따라 공기를 차단시켜 흡착된 볼트가 제1볼트흡착회전바(330)에서 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볼트흡착회전바(330)에 의해 볼트를 흡착하는 공기의 압력은 0.1bar ~ 0.5bar의 공기 압력으로 흡착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0.3bar의 공기 압력으로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331)는, 상기 제1볼트흡착회전바(330)가 결합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수직레일부재(32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331)는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 사이 모서리에 탄성바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트체결시 차단기와 마찰에도 차단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332)은,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331)와 제1볼트토크바(333) 간의 완충작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331) 내부면에서 제1볼트토크바(333) 일측 외주면에 고정되어 제1흡착회전바가 차단기와 마찰시 제1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332)이 압축되어 힘을 분산시켜줌으로, 차단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토크바(333)는, 제1흡착회전바에 흡착된 볼트를 차단기의 단자에 접촉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트의 회전시 일정 힘이 가해지는 경우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볼트의 나사산이 손상되지 않고 차단기 단자에 알맞은 힘으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볼트토크바(333)는 제1흡착회전바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1볼트흡착바고정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토크바(333)는 0.05㎏.m ~ 1.6㎏.m의 토크로 볼트의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0.05㎏.m ~ 1.6㎏.m의 토크는 차단기 단자에 체결되는 볼트의 규격이 M3, M4, M5, M6, M8 중 어느 하나의 볼트가 선택되어 체결시 사용되는 허용 토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의 규격은 사용되는 차단기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차단기는 M4 ~ M5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0.08㎏.m ~ 1.0㎏.m의 토크로 볼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제공함(340)은, 차단기 체결에 사용되는 볼트를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볼트제공함(340)은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제공가이드(341)는, 제1볼트제공함(340)으로부터 분류되는 볼트를 제1볼트투입부재(34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트의 이동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볼트제공가이드(341)는 제1볼트제공함(340) 일측에서 제1볼트투입부재(344)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이송부재(342)는, 제1볼트제공가이드(341)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1볼트투입부재(34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볼트이송부재(342)는 제1볼트이송실린더(34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볼트이송실린더(343)의 작동시 볼트를 제1볼트제공가이드(341)에서 취득하여 취득된 볼트가 제1볼트이송부재(342) 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 제1볼트이송부재(342) 상에 위치된 볼트를 제1볼트투입부재(344)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이송실린더(343)는, 제1볼트이송부재(34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볼트이송부재(342)가 제1볼트제공가이드(341) 측에서 제1볼트투입부재(34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투입부재(344)는, 제1볼트이송부재(342)로부터 볼트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 제1볼트이송부재(342)가 제1볼트투입부재(344) 일측으로 위치되어 볼트가 제1볼트투입부재(344)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투입실린더(345)는 제1볼트투입부재(344) 상에 안착된 볼트를 제1볼트안착지그(346) 측으로 밀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볼트투입실린더(345)는 제1볼트투입부재(344) 일측으로 형성된다.
즉, 제1볼트투입부재(344) 상에 위치된 볼트는 제1볼트투입실린더(345)에 의해 제1볼트안착지그(346) 측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1볼트이송부재(342)가 제1볼트제공가이드(341) 상에 위치되어 다음 볼트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볼트안착지그(346)는, 제1볼트투입실린더(345)에 의해 일측에서 투입되는 볼트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볼트안착지그(346)에 안착된 볼트는 제1볼트흡착회전바(330)가 하강하여 볼트를 취득함으로 제1볼트안착지그(346)에 안착된 볼트가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볼트체결부(400)는, 이송부프레임(130)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1차 볼트체결이 완료된 차단기에 2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볼트체결부(400)는, 제2체결볼트고정대, 제2수평레일(411), 제2수평레일부재(412), 제2수직레일(420), 제2수직레일부재(421), 제2볼트흡착회전바(430),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431), 제2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432), 제2볼트토크바(433), 제2볼트제공함(440), 제2볼트제공가이드(441), 제2볼트이송부재(442), 제2볼트이송실린더(443), 제2볼트투입부재(444), 제2볼트투입실린더(445), 제2볼트안착지그(446)를 포함한다.
상기 제2체결부고정대(410)는,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일측으로 제2수평레일(4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체결부고정대(410)는, 흡착되는 볼트를 차단기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과 수평레일을 프레임함체(1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평레일(411)은, 제2체결부고정대(4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수평레일(411)을 따라 제2수평레일부재(412)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수평레일(411)은 흡착된 볼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평레일부재(412)는, 제2수평레일(411)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수평레일부재(412)는 제2수평레일(411) 상에 형성되는 레일이송모터(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평레일부재(412)는 일측으로 제2수직레일(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직레일(420)은, 수평으로 이동되는 볼트를 차단기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수직레일(420)은 제2수평레일부재(412)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직레일부재(421)는, 제2수직레일(420)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수직레일부재(421)는 제2수직레일(420) 상에 형성되는 레일이송모터(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직레일부재(421)는 일측으로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4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흡착회전바(430)는,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431)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제2볼트안착지그(446)에 위치한 볼트를 흡착하여 차단기의 단자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흡착회전바(430)는, 일측 끝단이 볼트홈에 맞게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 등의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흡입구를 통해 볼트를 제2볼트흡착회전바(430) 측으로 흡착시키며, 볼트의 체결이 완료됨에 따라 공기를 차단시켜 흡착된 볼트가 제2볼트흡착회전바(430)에서 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볼트흡착회전바(430)에 의해 볼트를 흡착하는 공기의 압력은 0.1bar ~ 0.5bar의 공기 압력으로 흡착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0.3bar의 공기 압력으로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431)는, 상기 제2볼트흡착회전바(430)가 결합 형성될 수 있도록 제2수직레일부재(42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431)는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 사이 모서리에 탄성바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트체결시 차단기와 마찰에도 차단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432)은,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431)와 제2볼트토크바(433) 간의 완충작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431) 내부면에서 제2볼트토크바(433) 일측 외주면에 고정되어 제2흡착회전바가 차단기와 마찰시 제2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432)이 압축되어 힘을 분산시켜줌으로, 차단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토크바(433)는, 제2흡착회전바에 흡착된 볼트를 차단기의 단자에 접촉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트의 회전시 일정 힘이 가해지는 경우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볼트의 나사산이 손상되지 않고 차단기 단자에 알맞은 힘으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볼트토크바(433)는 제2흡착회전바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볼트흡착바고정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토크바(433)는 0.05㎏.m ~ 1.6㎏.m의 토크로 볼트의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0.05㎏.m ~ 1.6㎏.m의 토크는 차단기 단자에 체결되는 볼트의 규격이 M3, M4, M5, M6, M8 중 어느 하나의 볼트가 선택되어 체결시 사용되는 허용 토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의 규격은 사용되는 차단기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차단기는 M4 ~ M5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0.08㎏.m ~ 1.0㎏.m의 토크로 볼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제공함(440)은, 차단기 체결에 사용되는 볼트를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볼트제공함(440)은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제공가이드(441)는, 제2볼트제공함(440)으로부터 분류되는 볼트를 제2볼트투입부재(44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트의 이동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볼트제공가이드(441)는 제2볼트제공함(440) 일측에서 제2볼트투입부재(444)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이송부재(442)는, 제2볼트제공가이드(441)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2볼트투입부재(44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볼트이송부재(442)는 제2볼트이송실린더(44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볼트이송실린더(443)의 작동시 볼트를 제2볼트제공가이드(441)에서 취득하여 취득된 볼트가 제2볼트이송부재(442) 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 제2볼트이송부재(442) 상에 위치된 볼트를 제2볼트투입부재(444)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이송실린더(443)는, 제2볼트이송부재(44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볼트이송부재(442)가 제2볼트제공가이드(441) 측에서 제2볼트투입부재(44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투입부재(444)는, 제2볼트이송부재(442)로부터 볼트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 제2볼트이송부재(442)가 제2볼트투입부재(444) 일측으로 위치되어 볼트가 제2볼트투입부재(444)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투입실린더(445)는 제2볼트투입부재(444) 상에 안착된 볼트를 제2볼트안착지그(446) 측으로 밀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볼트투입실린더(445)는 제2볼트투입부재(444) 일측으로 형성된다.
즉, 제2볼트투입부재(444) 상에 위치된 볼트는 제2볼트투입실린더(445)에 의해 제2볼트안착지그(446) 측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2볼트이송부재(442)가 제2볼트제공가이드(441) 상에 위치되어 다음 볼트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안착지그(446)는, 제2볼트투입실린더(445)에 의해 일측에서 투입되는 볼트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볼트안착지그(446)에 안착된 볼트는 제2볼트흡착회전바(430)가 하강하여 볼트를 취득함으로 제2볼트안착지그(446)에 안착된 볼트가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볼트체결부(300)와 제2볼트체결부(400)는 예를 들어, 차단기의 일측방향에 1번, 2번 단자가 형성되고, 타측방향에 3번, 4번 단자가 형성되었을 경우, 제1볼트체결부(300)는 1번과 4번의 단자에 볼트를 체결하도록 하며, 제2볼트체결부(400)는 2번과 3번의 단자인 대각으로 형성되는 순서대로 볼트를 체결하거나, 또는 1번과 3번 단자, 2번과 4번 단자인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순서대로 볼트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완료차단기검수부(500)는, 제1볼트체결부(300)와 제2볼트체결부(400)를 통해 1차, 2차 볼트체결이 완료된 차단기가 일측방향으로 이동시 차단기를 검수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완료차단기검수부(500)는, 검수부지지대(510), 검수승하강레일(520), 검수승하강부재(530), 검수승하강실린더(540), 검수바(550)를 포함한다.
상기 검수부지지대(510)는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검수승하강레일(520)을 프레임함체(110) 상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승하강레일(520)은 검수승하강부재(530)가 일측으로 형성되어 수직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검수승하강레일(520)은 검수부지지대(510) 일측으로 수직 형성된다.
상기 검수승하강부재(530)는 검수승하강레일(520) 일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검수승하강부재(530)는 검수승하강실린더(54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승하강실린더(540)는 검수승하강부재(530)를 검수승하강레일(5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으로, 상기 검수승하강실린더(540)는 검수승하강부재(530) 상부로 형성되어 검수승하강실린더(540)의 실린더 축에 검수승하강부재(53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바(550)는, 차단기 단자에 체결된 볼트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검수바(550)는 검수승하강부재(530) 하부로 형성된다.
상기 검수바(550)는 전기를 통한 검수, 압력센서를 통한 검수 등의 센서를 통해 검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10)의 또다른 실시예인 이물질제거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는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는 제1볼트체결부(300) 이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는, 제거프레임(610), 전면프레임(611), 후면프레임(612), 공기분사노즐(620), 브러쉬롤러(630), 롤러모터(631)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프레임(61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프레임은 프레임함체(110)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이송부프레임(130)보다 높게 형성됨으로, 이물질제거에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거프레임(610)은, 전면과 후면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측으로 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611)은 제거프레임(610) 전면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프레임(611)은 복수의 공기분사노즐(6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611)은 공기분사 위치에 따라 프레임이 상부와 하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612)은 제거프레임(610) 후면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프레임(612)은 단일의 브러쉬롤러(630)가 형성되거나, 복수의 브러쉬롤러(6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면프레임(612)은 브러쉬롤러(630)의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분사노즐(620)은 전면프레임(611)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송부프레임(130) 상에서 이송와이어(22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공기분사를 통해 제거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분사노즐(620)은 전면프레임(611) 일측에 단일개 형성되거나,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분사노즐(620)로 분사되는 공기압력은 0.2bar ~ 0.5bar로 차단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공기압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롤러(630)는 후면프레임(612)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송부프레임(130) 상에서 이송와이어(22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브러쉬롤러(630)를 통해 제겅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롤러(630)는 후면프레임(612) 상부 단일개 형성되거나,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롤러(630)는 양측으로 탄성체가 형성되어, 차단기 측으로 밀착된 브러쉬롤러(630)에 의해 차단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롤러모터(631)는 브러쉬롤러(6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브러쉬롤러(6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모터(631)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정회전으로 회전되지만, 사용자의 선택(이물질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 따라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10)의 또다른 실시예인 불량차단기검출부(7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불량차단기검출부(700)는 투입프레임(140) 측에서 이송부프레임(13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 중 불량차단기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불량차단기검출부(700)는 미리 저장된 정상차단기 제품의 영상정보와 실시간 촬영되는 차단기의 영상정보를 대조하여 불량차단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차단기검출부(700)는 검출프레임(710), 영상확인수단(720), 불량제품이송레일(750), 이송부재, 차단기흡착대(730), 차단기흡착판(731), 흡착대실린더(732), 불량제품보관케이스(760)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프레임(710)은, 프레임함체(110) 상부로 형성되는 사각의 틀로, 내부 일측으로 영상확인수단(720)이 형성되고, 내부 타측으로 불량제품이송레일(7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확인수단(720)은, 이동하는 차단기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영상확인수단(720)은 검출프레임(7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영상확인수단(720)은,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차단기의 촬영영상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상차단기영상정보와 대조하여 불량차단기로 판단되는 경우 불량판단정보신호를 불량제품이송레일(750)에 형성되는 레일모터와 흡착대실린더(732) 측으로 제공하여 불량차단기를 착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제품이송레일(750)은, 검출프레임(7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검출부이송부재(740)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검출부이송부재(740)는, 상기 불량제품이송레일(7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불량제품이송레일(750)에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불량판단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레일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검출부이송부재(7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차단기 측으로 차단기흡착판(731)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흡착대(730)는, 검출부이송부재(740)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어 차단기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기흡착대(730)는 흡착대실린더(732)의 작동으로 수직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흡착대(730)는 불량판단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흡착대실린더(732)의 작동으로 차단기흡착대(730)가 차단기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흡착대(730)는 내부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흡착판(731)은, 상기 차단기흡착대(730)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차단기에 밀착 형성시 차단기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탄성을 갖고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단기흡착대(730)가 차단기 측으로 하강함에 따라 차단기에 차단기흡착판(731)이 밀착되며, 차단기흡착판(731) 중앙과 차단기흡착대(73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관(미도시)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흡입되어 차단기와 밀착되며, 차단기흡착대(730)의 상승시 차단기흡착판(731)과 밀착된 차단기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차단기를 흡착하는 공기의 압력은 0.5bar ~ 1.0bar의 공기압력으로 차단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대실린더(732), 차단기흡착대(730)를 차단기 측으로 하강시키거나, 차단기 흡착시 차단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착대실린더(732)는 차단기흡착대(730) 상부 검출프레임(710)에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흡착대실린더(732)가 검출프레임(710)에 지지되어 차단기흡착대(730)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제품보관케이스(760)는, 차단기흡착판(731)에 의해 흡착된 차단기가 흡착대실린더(732)의 작동으로 상승되고, 검출부이송부재(7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탈락되는 차단기가 보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불량제품보관케이스(760)는 프레임함체(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10)의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적재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품적재부(800)는 차단기에 볼트가 체결되고, 볼트가 체결된 차단기의 검수가 완료된 차단기를 차단기별 각 구역에 맞는 제품적재구역(86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적재부(800)는, 적재케이스(810), 완제품이송레일(820), 레일회전플레이트(830), 제품카운터(840), 제품가이드(850), 제품적재구역(860)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케이스(810)는, 차단기를 보관 및 적재하도록 이송부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로 각각의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제품적재구역(860)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제품이송레일(820)은, 적재케이스(8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송부프레임(130)으로부터 제공받는 차단기를 제품적재구역(86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제품이송레일(820)은 레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회전플레이트(830)는 완제품이송레일(820)을 각 제품적재구역(860) 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일회전플레이트(830)는 적재케이스(810) 상부로 형성되어 레일회전플레이트(830) 상부로 완제품이송레일(820)이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카운터(840)는 완제품이송레일(820)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의 수량을 카운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품카운터(840)는 완제품이송레일(820)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품가이드(850)는 완제품이송레일(820)을 따라 각 제품적재구역(860) 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가 타 제품적재구역(860) 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재케이스(810) 상부로 형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적재구역(860) 일측으로 각 구역에 맞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제품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는 층별로 형성되는 적재함 측으로 이동되어 저장 보관될 수 있으며, 투입프레임으로 투입되는 차단기의 종류 별 적재보관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완제품이송레일은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층별 형성되는 적재함에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차단기의 종류별 적재는 예를들어, 적재함의 1층에 적재되는 차단기가 투입프레임 측으로 투입되는 경우 완제품이송레일이 1층에 형성된 적재칸에 차단기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며, 적재함의 2층에 적재가 되야하는 차단기가 투입프레임으로 투입되어 차단기 검수가 완료되어 이동되는 차단기는 완제품이송레일이 상승하여 2층에 적재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단기 단자에 볼트가 체결되어 검수가 완료된 차단기가 적재되는 제품케이스는 바닥면에 무게센서가 형성되어 적재되는 다수의 차단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설정된 차단기의 무게정보에 따라 동일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알람수단이 형성된다.
즉, 차단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경우 소리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 적재차단기의 누적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입프레임 측으로 투입되는 차단기는 차단기의 종류에 따라 투입이되도록 투입프레임 일측으로 차단기별 투입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수단은 복수의 투입레일이 형성되어 제어부에서 선택되는 투입수단이 투입프레임 측으로 이동하여 해당 차단기가 투입프레임 측으로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투입수단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적재칸이 형성되며, 각 칸 일측으로 해당 차단기가 투입프레임 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투입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수단에 적재된 차단기의 정보는 제어부에 저장되어 제어부에서의 선택에 따라 해당 투입수단의 투입레일이 작동하여 해당 차단기가 투입레일로 이동하며, 투입레일을 따라 투입프레임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볼트제공함과 제2볼트제공함 내부 바닥면으로 진동자가 형성되어 보관되는 볼트에 진동을 가하여 볼트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볼트제공함과 제2볼트제공함에 크기가 다양한 볼트를 혼합하여 투입시 진동자에 의해 진동이 진동플레이트에 전달되어 진동플레이트 상부에 투입된 볼트가 무게에 따라 이동되거나, 진동플레이트에 각각의 볼트 크기에 맞게 형성된 홈을 통해 볼트가 투입되어 볼트가 크기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류된 볼트는 제어부에서 차단기에 맞는 볼트를 선택하여 각각의 분류케이스에 보관된 볼트 중 해당볼트의 분류케이스 측에서 볼트가 제1볼트제공가이드와 제2볼트제공가이드 측으로 각각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에서 3mm볼트를 선택하는 경우, 제1볼트제공함과 제2볼트제공함에 각각 형성된 분류케이스 중에서 3mm볼트가 저장된 분류케이스가 제1볼트제공함과 제2볼트제공함 측으로 이동되어 해당 3mm볼트가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케이스 하부로는 탄성스프링이 형성되고, 탄성스프링의 수축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센서가 분류케이스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의 수축율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여 분류케이스 내에 보관되는 볼트의 양을 제어부에 표시해주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스프링의 수축율이 낮은 분류케이스는 해당 볼트를 추가하여 일정 양의 볼트가 보관되도록 하며, 수축율이 높은 분류케이스는 해당 볼트의 추가 투입을 정지시키며, 해당 볼트에 맞는 차단기를 투입프레임 측으로 투입하여 해당 볼트를 소진 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볼트체결장치
B : 차단기
100 : 프레임부 110 : 프레임함체
120 : 이송부지지대 130 : 이송부프레임
140 : 투입프레임 150 : 제품케이스
200 : 차단기이송부 210 : 이송롤러
220 : 이송와이어 230 : 이송가이드
240 : 제1차단기감지센서 241 : 제1스토퍼
242 : 제1고정대 243 : 제1고정실린더
244 : 제1측면고정대 245 : 제2측면실린더
250 : 제2차단기감지센서 251 : 제2스토퍼
252 : 제2고정대 253 : 제2고정실린더
254 : 제2측면고정대 255 : 제2측면실린더
260 : 제3차단기감지센서 261 : 제3스토퍼
262 : 제3고정대 263 : 제3고정실린더
300 : 제1볼트체결부 310 : 제1체결부고정대
311 : 제1수평레일 312 : 제1수평레일부재
320 : 제1수직레일 321 : 제1수직레일부재
330 : 제1볼트흡착회전바 331 :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332 : 제1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 333 : 제1볼트토크바
340 : 제1볼트제공함 341 : 제1볼트제공가이드
342 : 제1볼트이송부재 343 : 제1볼트이송실린더
344 : 제1볼트투입부재 345 : 제1볼트투입실린더
346 : 제1볼트안착지그
400 : 제2볼트체결부 410 : 제2체결부고정대
411 : 제2수평레일 412 : 제2수평레일부재
420 : 제2수직레일 421 : 제2수직레일부재
430 : 제2볼트흡착회전바 431 :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432 : 제2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 433 : 제2볼트토크바
440 : 제2볼트제공함 441 : 제2볼트제공가이드
442 : 제2볼트이송부재 443 : 제2볼트이송실린더
444 : 제2볼트투입부재 445 : 제2볼트투입실린더
446 : 제2볼트안착지그
500 : 완료차단기검수부 510 : 검수부지지대
520 : 검수승하강레일 530 : 검수승하강부재
540 : 검수승하강실린더 550 : 검수바
600 : 이물질제거부 610 : 제거프레임
611 : 전면프레임 612 : 후면프레임
620 : 공기분사노즐 630 : 브러쉬롤러
631 : 롤러모터
700 : 불량차단기검출부 710 : 검출프레임
720 : 영상확인수단 730 : 차단기흡착대
731 : 차단기흡착판 732 : 흡착대실린더
740 : 이송부재 750 : 불량제품이송레일
760 : 불량제품보관케이스
800 : 제품적재부 810 : 적재케이스
820 : 완제품이송레일 830 : 레일회전플레이트
840 : 제품카운터 850 : 제품가이드
860 : 제품적재구역

Claims (2)

  1.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에 있어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차단기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 및
    차단기의 단자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를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단기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사각의 함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형성되는 프레임함체;
    이송부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부지지대;
    차단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롤러와 이송와이어와 이송가이드가 형성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부지지대에 연결 형성되는 이송부프레임;
    차단기이송부 측으로 차단기를 투입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투입프레임;
    이송을 통해 볼트 체결이 완료된 차단기가 안착 적재되도록 이송부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이송부는,
    이송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롤러;
    복수개의 이송롤러 간의 연결 형성되는 이송와이어;
    차단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부프레임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이송가이드;
    투입프레임측에서 투입되는 차단기를 감지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차단기감지센서;
    제1차단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단기의 이송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스토퍼;
    제1스토퍼를 거쳐 일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볼트체결을 위해 차단기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대;
    제1고정대를 이송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송부프레임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제1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실린더;
    이송와이어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차단기에 1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 측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고정대;
    제1측면고정대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측면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실린더;
    1차 볼트가 체결되어 이동되는 차단기를 감지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차단기감지센서;
    제2차단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단기의 이송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스토퍼;
    제2스토퍼를 거쳐 일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에 볼트체결을 위해 차단기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대;
    제2고정대를 이송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송부프레임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제2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실린더;
    1차 볼트가 체결된 차단기에 2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차단기 측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면고정대;
    제2측면고정대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2측면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면실린더;
    1차와 2차 볼트체결이 완료된 차단기를 감지하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차단기감지센서;
    제3차단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단기의 이송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스토퍼;
    제3스토퍼를 거쳐 일측으로 이동되는 차단기를 검수하기 위해 차단기를 일시정지시키기 위해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고정대;
    제3고정대를 이송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송부프레임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제3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3고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제1측면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차단기에 1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1볼트체결부; 및
    제2측면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차단기에 2차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2볼트체결부; 및
    볼트체결이 완료된 차단기의 체결상태를 검수하기 위한 완료차단기검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볼트체결부는,
    제1수평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제1체결부고정대;
    제1체결부고정대 상부로 형성되는 제1수평레일;
    상기 제1수평레일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수평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1수평레일부재;
    제1수평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레일;
    상기 제1수직레일을 따라 승하강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수직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1수직레일부재;
    제1볼트안착지그에 위치되는 볼트를 흡착하기 위해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어 0.1bar ~ 0.5bar의 공기압력으로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볼트흡착회전바;
    하부로 제1볼트흡착회전바가 형성되며, 상부로 제1볼트토크바가 형성되도록 제1수직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제1볼트흡착회전바의 하강시 차단기와 접촉되는 제1볼트흡착회전바가 일정 탄성을 갖도록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제1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
    제1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된 볼트가 차단기와 접촉시 차단기에 볼트를 일정 토크로 회전시켜 결합시키기 위해 제1흡착회전바 내부로 연결되어 제1흡착회전바고정부재 상부로 형성되며, 0.05㎏.m ~ 1.6㎏.m의 토크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볼트토크바;
    제1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되는 볼트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볼트가 보관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제공함;
    제1볼트제공함에 보관된 볼트가 제1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제1볼트제공함 일측에서 제1볼트이송부재 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제공가이드;
    제1볼트제공가이드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1볼트투입부재 측으로이동시키기 위해 제1볼트이송실린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이송부재;
    제1볼트이송부재를 제1볼트제공가이드 측에서 제1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이송실린더;
    제1볼트이송부재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1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볼트이송실린더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제1볼트투입부재;
    제1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된 제1볼트투입부재에 위치한 볼트를 제1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볼트안착지그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1볼트투입실린더;
    제1볼트투입실린더에 의해 투입되는 볼트가 안착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볼트안착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볼트체결부는,
    제2수평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제2체결부고정대;
    제2체결부고정대 상부로 형성되는 제2수평레일;
    상기 제2수평레일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2수평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2수평레일부재;
    제2수평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레일;
    상기 제2수직레일을 따라 승하강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2수직레일에 결합 형성되는 제2수직레일부재;
    제2볼트안착지그에 위치되는 볼트를 흡착하기 위해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어 0.1bar ~ 0.5bar의 공기압력으로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볼트흡착회전바;
    하부로 제2볼트흡착회전바가 형성되며, 상부로 제2볼트토크바가 형성되도록 제2수직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제2볼트흡착회전바의 하강시 차단기와 접촉되는 제2볼트흡착회전바가 일정 탄성을 갖도록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제2흡착회전바탄성스프링;
    제2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된 볼트가 차단기와 접촉시 차단기에 볼트를 일정토크로 회전시켜 결합시키기 위해 제2흡착회전바 내부로 연결되어 제2흡착회전바고정부재 상부로 형성되며, 0.05㎏.m ~ 1.6㎏.m의 토크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볼트토크바;
    제2볼트흡착회전바에 흡착되는 볼트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볼트가 보관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제공함;
    제2볼트제공함에 보관된 볼트가 제2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제2볼트제공함 일측에서 제2볼트이송부재 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제공가이드;
    제2볼트제공가이드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2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볼트이송실린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이송부재;
    제2볼트이송부재를 제2볼트제공가이드 측에서 제2볼트투입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이송실린더;
    제2볼트이송부재로부터 제공받은 볼트를 제2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볼트이송실린더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제2볼트투입부재;
    제2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된 제2볼트투입부재에 위치한 볼트를 제2볼트안착지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볼트안착지그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제2볼트투입실린더;
    제2볼트투입실린더에 의해 투입되는 볼트가 안착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볼트안착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완료차단기검수부는,
    검수바가 형성되도록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부지지대;
    검수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검수부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승하강레일;
    상기 검수승하강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드 승하강되도록 검수승하강레일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검수승하강부재;
    상기 검수승하강부재를 검수승하강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검수승하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승하강실린더;
    완료된 차단기를 검수하기 위해 검수승하강실린더의 작동으로 차단기와 접촉되도록 검수승하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바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투입프레임을 통해 투입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프레임함체 상부로 형성되는 제거프레임;
    복수의 공기분사노즐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거프레임 전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프레임;
    브러쉬롤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거프레임 후면으로 형성되는 후면프레임;
    이송부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전면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공기분사노즐;
    이송부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기 위해 후면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브러쉬롤러;
    브러쉬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브러쉬롤러 일측으로 형성되는 롤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투입프레임을 통해 이송부프레임측으로 투입되는 차단기 중 불량차단기를 검출하기 위해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차단기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차단기검출부는,
    프레임함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출프레임;
    투입프레임을 통해 투입되는 차단기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검출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영상확인수단;
    불량 차단기를 불량제품보관케이스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검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제품이송레일;
    흡착대를 통해 흡착된 차단기가 불량제품보관케이스 측으로 이동되도록 불량제품이송레일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안착 형성되는 이송부재;
    이송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차단기흡착대;
    차단기를 흡착하기 위해 차단기흡착대 하부로 형성되는 차단기흡착판;
    차단기에 차단기흡착판이 밀착되도록 차단기흡착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착대실린더;
    차단기흡착판에 부착된 불량차단기를 불량제품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불량차단기가 보관되도록 프레임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제품보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는,
    볼트체결이 완료되고, 검수가 완료된 차단기를 적재하기 위한 제품적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적재부는,
    차단기를 보관 및 적재하도록 이송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적재케이스;
    이송부프레임 측으로부터 이동되는 차단기를 제품적재구역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완제품이송레일;
    제품적재구역에 맞게 차단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완제품이송레일과 적재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레일회전플레이트;
    완제품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기의 수량을 카운팅하기 위해 완제품이송레일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카운터;
    완제품이송레일을 따라 각 제품적재구역 측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재케이스 상부로 형성되는 제품가이드;
    제품가이드에 의해 이동되는 차단기를 각각 적재하기 위해 적재케이스 상부에 복수의 구역으로 형성되는 제품적재구역을 포함하는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2. 삭제
KR1020190150032A 2019-11-21 2019-11-21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KR10206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32A KR102068018B1 (ko) 2019-11-21 2019-11-21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32A KR102068018B1 (ko) 2019-11-21 2019-11-21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018B1 true KR102068018B1 (ko) 2020-01-20

Family

ID=6936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032A KR102068018B1 (ko) 2019-11-21 2019-11-21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8090A (zh) * 2022-07-21 2022-10-28 西门子中压开关技术(无锡)有限公司 用于断路器的测量装置
KR102597810B1 (ko) * 2022-10-24 2023-11-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차단기 시스템 조립 자동화 장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677Y1 (ko) 1996-12-24 1999-06-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커버
KR100700047B1 (ko) * 2005-12-30 2007-03-28 경신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스터드 볼트용 너트 체결장치
KR20090044234A (ko) * 2007-10-31 2009-05-07 진흥전기 주식회사 누전배선차단기 조립장치 및 그 방법
KR101999582B1 (ko) * 2019-03-26 2019-10-01 김흥수 배선용차단기를 조립할 수 있는 볼트 조립장치
KR101999575B1 (ko) * 2018-11-29 2019-10-01 김흥수 배선용차단기 볼트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677Y1 (ko) 1996-12-24 1999-06-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커버
KR100700047B1 (ko) * 2005-12-30 2007-03-28 경신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스터드 볼트용 너트 체결장치
KR20090044234A (ko) * 2007-10-31 2009-05-07 진흥전기 주식회사 누전배선차단기 조립장치 및 그 방법
KR101999575B1 (ko) * 2018-11-29 2019-10-01 김흥수 배선용차단기 볼트 조립장치
KR101999582B1 (ko) * 2019-03-26 2019-10-01 김흥수 배선용차단기를 조립할 수 있는 볼트 조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8090A (zh) * 2022-07-21 2022-10-28 西门子中压开关技术(无锡)有限公司 用于断路器的测量装置
CN115248090B (zh) * 2022-07-21 2024-01-26 西门子中压开关技术(无锡)有限公司 用于断路器的测量装置
KR102597810B1 (ko) * 2022-10-24 2023-11-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차단기 시스템 조립 자동화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018B1 (ko) 차단기 단자볼트 체결장치
CN109239492A (zh) 一种变压器检测设备
CN110187257A (zh) Pcb板自动化测试设备
CN108098338A (zh) 一种框架式电磁铁快速自动装配系统
JP3553460B2 (ja) Lcdテスト装置
KR102078408B1 (ko) 제품이송시스템
CN104386290A (zh) 一种全自动上下料系统
CN108686980A (zh) 锂电池检测和分选设备
CN108928510A (zh) 半导体编带包装机
CN106824817B (zh) 一种pcb线路板的自动检测机
CN216213270U (zh) 一种双通道芯片检测设备
CN108722896A (zh) 一种新型轴承内径尺寸检测分选装置
CN105618390A (zh) 小型五金零件影像分检机
CN113426701A (zh) 一种芯片检测分选设备
CN107185853B (zh) 细纱机纲领表面尺寸及精度全自动检测装置
CN108344915A (zh) 一种端盖装配式电源通用测试装置
CN110044922A (zh) 外观检测设备
CN108928511A (zh) 全自动半导体编带包装机
CN109272908A (zh) 一种全自动显示屏传感器性能检测装置
CN108957332A (zh) 锂电池成品检测设备
CN208140814U (zh) 一种端盖装配式电源通用测试装置
CN106238353B (zh) 一种高频变压器自动测试装置及装盘装置
CN109596642A (zh) 一种全自动双通道外观检查机
CN211056169U (zh) 一种电容器检测设备的下料系统
CN219172797U (zh) 一种微电流面膜布包装检测设备的辅助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