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347B1 -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 Google Patents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347B1
KR102067347B1 KR1020180138724A KR20180138724A KR102067347B1 KR 102067347 B1 KR102067347 B1 KR 102067347B1 KR 1020180138724 A KR1020180138724 A KR 1020180138724A KR 20180138724 A KR20180138724 A KR 20180138724A KR 102067347 B1 KR102067347 B1 KR 10206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sealing
pillar
filling
mol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정
이주엽
이태강
주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이소음컨설팅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이소음컨설팅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이소음컨설팅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138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목재부재와 벽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몰재부재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수축 틈새를 밀봉하여 목조건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몰딩에 있어서, 목조건물의 기둥과 벽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를 커버하는 몰딩몸체와 몰딩몸체의 일단에 기둥모서리의 기둥 면에 밀착되는 몰딩헤드와 상기 몰딩몸체의 타단에 벽체부의 면에 밀착되는 몰딩스커트 및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수축틈세에 충진되어 보강충진실링체를 형성할 수 있게 몰딩몸체에 형성한 실링충진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목재부재와 벽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에 형성되는 수축 틈새를 밀봉하여 목조건물의 단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Moldings for wooden structures}
본 발명은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몰딩에 있어서, 몰딩몸체의 일단에 기둥모서리의 기둥 면에 밀착되는 몰딩헤드와 상기 몰딩몸체의 타단에 벽체부의 면에 밀착되는 몰딩스커트 및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수축틈세에 충진되어 보강충진실링체를 형성할 수 있게 몰딩몸체에 형성한 실링충진부로 구성하여서,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기둥과 벽체부 사이의 기둥모서리에 형성되는 수축틈새를 밀봉하여 목조건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조건물은 자연 친화적이고 친환경적이며 화학물질에 노출이 최소화되는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이다.
이상과 같은 목조건물은 기둥과 벽체부 및 지붕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조건물을 기둥과 벽체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목조모서리에는 목재의 수축으로 인한 틈새를 커버하기 위한 몰딩이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조건물용 몰딩은 모서리에 장착되어 모서리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벽체부의 지속적인 수축발생시 증폭 발생되는 수축틈새가 차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167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조건물용 몰딩이 모서리를 장착되어 모서리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벽체부의 지속적인 수축발생시 증폭 발생되는 수축틈새가 차단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몰딩에 있어서, 목조건물의 기둥과 벽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를 커버하는 몰딩몸체와 몰딩몸체의 일단에 기둥모서리의 기둥 면에 밀착되는 몰딩헤드와 상기 몰딩몸체의 타단에 벽체부의 면에 밀착되는 몰딩스커트 및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수축틈세에 충진되어 보강충진실링체를 형성할 수 있게 몰딩몸체에 형성한 실링충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링충진부를 몰딩몸체의 외면에서 몰딩헤드의 내면으로 몰딩몸체를 관통형성한 보강실링충진공과 상기 몰딩몸체의 몰딩헤드 내면에 보강실링충진공을 통하여 유입된 실링제를 길이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실링분산홈 및 상기 보강실링충진공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충진캡으로 구성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몰딩헤드를 외측단부가 기둥에 선형 접촉되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내측 단부보다 돌출되게 밀착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몰딩스커트를 벽체부에 탄성 밀착될 수 있게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는 립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몰딩몸체의 몰딩헤드 측에 예비실링충진부를 형성하되, 상기 예비실링충진부는 몰딩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실링제가 저장되는 예비실링충진실과 상기 몰딩몸체 내면에 상기 예비실링충진실에 충진된 실링제가 배출되는 예비보강실링충진공과 상기 예비보강실링충진공을 밀봉하고 벽체의 수축에 따른 몰딩몸체에서 분리되는 보강충진실링체에 의하여 당김 개방되는 충진밀봉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몰딩몸체의 일단에 기둥모서리의 기둥 면에 밀착되는 몰딩헤드와 상기 몰딩몸체의 타단에 벽체부의 면에 밀착되는 몰딩스커트 및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수축틈세에 충진되어 보강충진실링체를 형성할 수 있게 몰딩몸체에 형성한 실링충진부로 형성함으로써,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기둥과 벽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에 형성되는 수축 틈새를 밀봉하여 목조건물의 단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부재의 수축 틈새에 실링체를 충진하는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목재부재와 벽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수축틈새를 밀봉하여 목조건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조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몰딩에 있어서, 몰딩몸체(110)와 몰딩헤드(120), 몰딩스커트(130), 실링충진부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몰딩몸체(110)는 목조건물의 기둥과 벽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를 커버하는 목재,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몰딩헤드(120)는 몰딩몸체(110)의 일단에 기둥 등으로 사용되는 기둥모서리의 기둥 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몰딩헤드(120)는 외측단부가 목재부재에 선형 접촉되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내측 단부보다 돌출되게 밀착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몰딩스커트(130)는 상기 몰딩몸체(110)의 타단에 벽체부의 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몰딩스커트(130)는 벽체부에 탄성 밀착될 수 있게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는 립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충진부는 보강실링충진공(141)과 실링분산홈(142) 및 충진캡(143)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보강실링충진공(141)은 상기 몰딩몸체(110)의 외면에서 몰딩헤드(120)의 내면으로 몰딩몸체(110)를 관통형성한 것이다.
상기 보강실링충진공(141)은 원형 또는 타원 또는 길이방향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장공형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링분산홈(142)은 몰딩헤드(120)의 하측면 내측으로 보강실링충진공(141)을 통하여 유입된 실링제를 길이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충진캡(143)은 상기 보강실링충진공(141)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것이다.
상기 충진캡(143)은 각각의 보강실링충진공(141)에 개별 결합되도록 단독으로 형성된것과, 보강실링충진공(141)이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충진캡(143)이 일체로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몰딩몸체(110)의 몰딩헤드(120) 측에 예비실링충진부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예비실링충진부는 예비실링충진실(151)과 예비보강실링충진공(152) 및 충진밀봉막(153)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예비실링충진실(151)은 몰딩몸체(110) 내부에 형성되며 실링제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예비보강실링충진공(152)은 몰딩몸체(110) 내면에 상기 예비실링충진실(151)에 충진된 실링제가 몰딩헤드(120)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진밀봉막(153)은 예비보강실링충진공(152)을 밀봉하고 벽체의 수축에 따른 몰딩헤드(120)에서 분리되는 보강충진실링체(200)에 의하여 당김 개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실시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몰딩에 있어서, 목조건물의 기둥과 벽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를 커버하는 몰딩몸체(110)와 상기 몰딩몸체(110)의 일단에 기둥모서리의 기둥 면에 밀착되는 몰딩헤드(120), 상기 몰딩몸체(110)의 타단에 벽체부의 면에 밀착되는 몰딩스커트(130) 및 실링충진부로 구성하여 실시하면, 목조건물의 수축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목재부재와 벽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에 형성되는 수축틈새를 밀봉하여 목조건물의 단열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몰딩헤드(120)를 외측단부가 내측 단부보다 돌출되게 밀착경사면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몰딩헤드가 기둥에 선형 접촉되어 기밀성을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몰딩스커트(130)를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는 립형상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몰딩스커트(130)가 벽체부에 탄성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실링충진부를 일정 간격을 두고 2열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속하여 발생하는 목재부재의 수축변형에 의해 틈새가 발생할 때 수축 틈새에 실링재를 2차 충진하여 밀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몰딩몸체(110)의 몰딩헤드(120) 측에 예비실링충진부를 형성하되, 상기 예비실링충진부를 몰딩몸체(110) 내부에 형성되며 실링제가 저장되는 예비실링충진실(151)과 상기 몰딩헤드(120) 내면에 상기 예비실링충진실(151)에 충진된 실링제가 배출되는 예비보강실링충진공(152)과 상기 예비보강실링충진공(152)을 밀봉하고 벽체의 수축에 따른 몰딩헤드(120)에서 분리되는 보강충진실링체(200)에 의하여 당김 개방되는 충진밀봉막(153)으로 구성하여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공 후 목조건물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하여 보강충진실링체(200)에 의한 실링 한계를 벋어나 상기 보강충진실링체(200)가 몰딩헤드(120)로부터 이격되면 충진밀봉막(153)이 상기 보강충진실링체(200)에 의하여 당김 개방되어 예비실링충진실(151)에 충진된 실링제가 배출되어 예비 실링함으로써 몰딩의 실링효과가 지속되는 것이다.
110 : 몰딩몸체
120 : 몰딩헤드
130 : 몰딩스커트
141 : 보강실링충진공 142 : 실링분산홈 143 : 충진캡
151 : 예비실링충진실 152 : 예비보강실링충진공 153 : 충진밀봉막
200 : 보강충진실링체

Claims (4)

  1. 몰딩에 있어서;
    목조건물의 기둥과 벽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모서리를 커버하는 몰딩몸체(110)와 상기 몰딩몸체(110)의 일단에 기둥모서리의 기둥 면에 밀착되는 몰딩헤드(120), 상기 몰딩몸체(110)의 타단에 벽체부의 면에 밀착되는 몰딩스커트(130) 및 실링충진부로 구성하되,
    상기 실링충진부는 몰딩몸체(110)의 외면에서 몰딩헤드(120)의 내면으로 몰딩몸체(110)를 관통형성한 보강실링충진공(141), 상기 몰딩몸체(110)의 내면에 보강실링충진공(141)을 통하여 유입된 실링제를 길이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실링분산홈(142) 및 상기 보강실링충진공(141)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충진캡(143)으로 구성하고;
    몰딩헤드(120)를 외측단부가 기둥에 선형 접촉되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내측 단부보다 돌출되게 밀착경사면을 형성하며;
    몰딩스커트(130)를 벽체부에 탄성 밀착될 수 있게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는 립형상으로 형성하고;
    몰딩몸체(110)의 몰딩헤드(120) 측에 예비실링충진부를 형성하되, 상기 예비실링충진부는 몰딩몸체(110) 내부에 형성되며 실링제가 저장되는 예비실링충진실(151)과 상기 몰딩헤드(120) 내면에 상기 예비실링충진실(151)에 충진된 실링제가 배출되는 예비보강실링충진공(152)과 상기 예비보강실링충진공(152)을 밀봉하고 벽체의 수축에 따른 몰딩몸체(110)에서 분리되는 보강충진실링체(200)에 의하여 당김 개방되는 충진밀봉막(1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몸체(110)는 목재와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실링충진공(141)은 원형 또는 타원 또는 길이방향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장공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4. 삭제
KR1020180138724A 2018-11-13 2018-11-13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KR10206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24A KR102067347B1 (ko) 2018-11-13 2018-11-13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24A KR102067347B1 (ko) 2018-11-13 2018-11-13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347B1 true KR102067347B1 (ko) 2020-01-16

Family

ID=6936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724A KR102067347B1 (ko) 2018-11-13 2018-11-13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3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0241A1 (en) * 2000-06-05 2004-03-04 Grunst Kenneth D. Methods and structures for sealing air gaps in a building
JP2006200177A (ja) * 2005-01-19 2006-08-03 Nice Corp 木造軸組用金物の結露防止用キャップ
KR200433327Y1 (ko) * 2006-09-26 2006-12-08 정진남 건물용 주차 보호대
KR101056186B1 (ko) * 2008-10-02 2011-08-10 김인수 한옥용 벽체
KR101291678B1 (ko) 2011-09-27 2013-08-01 김명교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KR101363913B1 (ko) * 2012-12-17 2014-02-18 주식회사 럼버홈코리아 목조 건축물용 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0241A1 (en) * 2000-06-05 2004-03-04 Grunst Kenneth D. Methods and structures for sealing air gaps in a building
JP2006200177A (ja) * 2005-01-19 2006-08-03 Nice Corp 木造軸組用金物の結露防止用キャップ
KR200433327Y1 (ko) * 2006-09-26 2006-12-08 정진남 건물용 주차 보호대
KR101056186B1 (ko) * 2008-10-02 2011-08-10 김인수 한옥용 벽체
KR101291678B1 (ko) 2011-09-27 2013-08-01 김명교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KR101363913B1 (ko) * 2012-12-17 2014-02-18 주식회사 럼버홈코리아 목조 건축물용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01002A (ja) 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KR102067347B1 (ko)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JP2007009905A (ja) 内燃機関シリンダヘッド用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EP3537010B1 (en) Gas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8254715A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AU2008311900A1 (en) Integrated insulator seal and shield assemblies
ES2285450T3 (es) Mejora de las propiedades hidrofobicas de juntas aislantes de valvulas inclinables.
ATE508065T1 (de) Mehrteiliger kunststoffverschluss
KR102507502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788309B1 (ko) 건축용 콘크리트벽 층간 지수판
JP2017524871A (ja) 耐液シール式締結具組立体
ITTO20010939A1 (it) ,,gruppo camera calda - iniettore per stampi di iniezione di materie plastiche,,
JP2017524871A5 (ko)
US11661253B2 (en) Packing structure
US4228910A (en) Device for tightly stopping a bottle
EP2159108B1 (en) Seal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at Sealing Assembly
US10196851B2 (en) Encapsulated insulated glass unit
JP6010673B2 (ja) 外壁の目地構造
KR200477031Y1 (ko) 선박용 해치 커버 패킹
JP6542056B2 (ja) ガスケット
JPH0646742Y2 (ja) ドアガラスランのコーナ部構造
JP6280855B2 (ja)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KR20010059880A (ko) 자동차의 서라운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WO2006042942A8 (fr) Dispositif d'injection-moulage a etancheite renforcee entre buse d'injection et matrice de moulage
JP6542046B2 (ja) 複合材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