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913B1 - 목조 건축물용 벽체 - Google Patents

목조 건축물용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913B1
KR101363913B1 KR1020120147335A KR20120147335A KR101363913B1 KR 101363913 B1 KR101363913 B1 KR 101363913B1 KR 1020120147335 A KR1020120147335 A KR 1020120147335A KR 20120147335 A KR20120147335 A KR 20120147335A KR 101363913 B1 KR101363913 B1 KR 10136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llar
pillars
wooden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럼버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럼버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럼버홈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4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둥들과 상기 기둥들 사이에 구성되는 패널들을 구비하는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의 일측부가 접촉되는 기둥들의 각 면에 패널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소정폭을 가지는 한 쌍의 요홈; 상기 요홈에 삽입 구비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요홈에 완충부재가 삽입 구비된 후 상기 완충부재에 일측의 삽입부위가 접촉되고 타측의 노출부위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노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노출부위에 도포되는 접합제를 통해 패널의 외측면에 접합되어 패널 또는 기둥의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변형시 완충부재가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몰딩재를 포함하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목조 건축물용 벽체{Wall for wooden building}
본 발명은 목조 건축물용 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옥 등과 같은 목조 건축물의 기둥과 패널로 구성되는 벽체에 있어서 기둥과 패널 사이가 목재의 수축 또는 팽창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렴한 목조 건축물에 대한 가치와 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수요에 발맞추어 전문 시공업체의 전문적인 시공 없이도 가족끼리 소규모로 비교적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소규모의 목조 건축물용 자재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목조 건축물은, 목재 기둥들이 건축물의 골격으로 시공되고 소정 길이의 목재 패널들이 기둥들의 사이에 쌓아올려져 벽체로 시공된 다음, 지붕, 창문, 출입문 등의 시공을 통해 완성된다.
여기서, 등록특허 제10-1056186호 등을 통해 개시된 바 있는 종래의 목조 건축물의 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일의 요부(1a)에 패널(2)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일의 철부(2a)가 끼워지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기둥(1)과 기둥(1)들 사이에 시공되는 목재 패널(2)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목조 건축물의 벽체는, 목재 고유의 특성 때문에 수축 및 팽창 변형을 하게 되는바, 수축 또는 팽창된 이후의 벽체 높이나 길이의 차가 10㎝ 정도로 변형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형에 대처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벽체의 변형에 의해 기둥과 패널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기밀성 및 단열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벽체가 변형되는 경우에는 창문이나 문 등의 변형 내지는 파손이 초래되어 목조 건축물의 수명과 기능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과 패널이 완충부재와 몰딩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목재의 수축 또는 팽창시 완충부재를 통해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둥들과 상기 기둥들 사이에 구성되는 패널들을 구비하는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의 일측부가 접촉되는 기둥들의 각 면에 패널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소정폭을 가지는 한 쌍의 요홈; 상기 요홈에 삽입 구비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요홈에 완충부재가 삽입 구비된 후 상기 완충부재에 일측의 삽입부위가 접촉되고 타측의 노출부위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노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노출부위에 도포되는 접합제를 통해 패널의 외측면에 접합되어 패널 또는 기둥의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변형시 완충부재가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몰딩재를 포함하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은, 상기 기둥의 면(面)에 접촉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기둥의 요홈 사이의 접착부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구조목; 상기 한 쌍의 제1구조목이 기둥의 접착부위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1구조목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구조목; 상기 제1구조목과 제2구조목의 일측면에 압축되어 벽체의 내측면을 마감하는 내장재; 상기 제1구조목과 제2구조목의 외측면에 압축되어 벽체의 외측면에 방수 및 방습 기능을 제공하는 외장재; 및 상기 제2구조목들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어 벽체의 중공부에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장재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석고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방수성수지가 도포된 후 압착 생산되는 판재; 투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지는 투습방수지; 및 단열시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가스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은, 상기 기둥의 접착부위에 제1구조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구조목에 제2구조목이 접촉되도록 제1구조목의 단면에 대응되는 내장재와 외장재의 공간에 제1구조목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를 구성하는 기둥에 패널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한 쌍의 요부가 이격 형성되고 상기 요부에 각각 완충부재와 몰딩재가 삽입되며 상기 요부로부터 노출되는 몰딩재의 노출부위 내측면과 기둥에 접촉되는 패널의 단부가 접착된 상태를 가짐으로써, 목재의 수축 또는 팽창시 완충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을 통해 틈새 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단열 성능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목조 건축물용 벽체를 나타낸 도면; 및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용 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용 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용 벽체는, 다수개의 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둥(10)들과, 상기 기둥(10)들 사이에 구성되는 패널(20)들을 구비하는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패널(20)들의 일측부가 접촉되는 기둥(10)들의 각 면에 패널(2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기둥(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소정폭을 가지는 한 쌍의 요홈(11), 상기 요홈(11)에 삽입 구비되며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30) 및 상기 요홈(11)에 완충부재(30)가 삽입 구비된 후 상기 완충부재(30)에 일측의 삽입부위(41)가 접촉되고 타측의 노출부위(42)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노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노출부위(42)에 도포되는 접합제(50)를 통해 패널(20)의 외측면에 접합되어 패널(20) 또는 기둥(10)의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변형시 완충부재(30)가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하여 틈새 발생을 방지하는 몰딩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조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목조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터가 조성되고, 그 터에 건축물의 위치가 선정되어 기둥(10)을 세울 자리에 다수의 주춧돌이나 콘크리트 재질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후, 구조물 상에 기둥(10)이 수직하게 설치되고, 기둥(10) 위에는 대들보와 중간보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는 상태로 골조 설치된다. 이후, 기둥(10)들 사이의 공간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패널(20)이 설치되어 기둥(10)과 기둥(10) 사이가 폐쇄되어 벽체가 시공된다. 이후, 구조물과 기둥(10) 사이에 마루 및 온돌을 구비하는 방바닥 등이 형성되어 주거공간이 형성된 후, 대들보와 중간보 위에 서까래가 설치된 후 기와를 사용하는 지붕이 시공되어 목조 건축물의 시공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용 벽체는, 기둥(10)과 패널(20)이 완충부재(30)와 몰딩재(40)에 의해 상호간 결합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기둥(10)은 보와 패널(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 상에 수직하게 세워지며, 길이방향으로 패널(2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과 소정폭을 가지는 한 쌍의 요홈(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요홈(11)은, 상기 패널(20)들의 일측부가 접촉되는 기둥(10)의 해당 면(面)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 면(面)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패널(20)은 상기 기둥(10)과 기둥(1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둥(10)의 면(面)에 접촉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기둥(10)의 요홈(11) 사이의 접착부위(12)에 타커 못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접착되거나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는 한 쌍의 제1구조목(21), 상기 한 쌍의 제1구조목(21)이 기둥(10)의 접착부위(12)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1구조목(21)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구조목(22), 상기 제1구조목(21)과 제2구조목(22)의 일측면(건축물의 실내를 향하는 측면)에 압축되어 벽체의 타측면을 마감하는 내장재(23), 상기 제1구조목(21)과 제2구조목(22)의 타측면(건축물의 실외를 향하는 측면)에 압축되어 벽체의 외측면에 방수 및 방습 기능을 제공하는 외장재(24) 및 상기 제2구조목(22)들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어 벽체의 중공부에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재(25)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장재(23)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석고보드인 것이 좋고, 상기 외장재(24)는 OSB합판 등과 같은 방수성수지가 도포된 후 압착 생산되는 판재, 타이백 등과 같은 투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지는 투습방수지 및 아이소핑크 등과 같은 단열시트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패널(20)은, 황토를 주재료로 하여 싸리나 대발로 엮은 지지체를 일렬로 세운 후 지지체의 앞뒤로 물에 개인 황토 반죽을 발라 판넬 형상으로 성형되는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요홈(11)의 내부에 삽입 구비되어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며 외력의 작용시 수축되거나 팽창을 통한 완충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켓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딩재(40)는, 상기 요홈(11)에 완충부재(30)가 삽입 구비된 후 상기 완충부재(30)에 일측의 삽입부위(41)가 접촉되도록 삽입됨과 동시에 타측의 노출부위(42)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노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는 몰딩부재로, 상기 기둥(10)들의 사이에 패널(20)이 설치된 후 패널(20) 양측단부의 내장재(23)와 외장재(24) 일부분에 방수 및 접합 기능을 가지는 이지씰 또는 윈도우랩 등과 같은 접합제(50)를 통해 접합되어 패널(20) 또는 기둥(10)의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변형시 그 변형력을 완충부재(30)에 전달하여 완충부재(30)가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기둥(10)과 패널(20)의 결합부위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재(30)와 몰딩재(40)에 의하면, 기둥(10)과 패널(20)이 각각 요부와 철부를 가지면서 상호간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기둥(10)의 요홈(11)에 완충부재와 몰딩부재가 연속 삽입된 후 몰딩부재에 패널(20)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목재의 변형 발생시 완충부재의 완충을 통한 틈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건축물용 벽체의 조립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춧돌 또는 콘크리트 등과 같은 구조물의 상측에 패널(20)이 접촉되는 면에 패널(20)의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요홈(11)이 형성된 기둥(10)이 세워진다.
이후, 기둥(10)들의 해당 면에 패널(20)의 양측단이 각각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 등을 통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20)은, 상기 기둥(10)의 접착부위(12)에 제1구조목(21)이 접착 설치된 상태에서 제1구조목(21)에 제2구조목(22)이 접촉되도록 제1구조목(21)의 단면에 대응되는 내장재(23)와 외장재(24)의 공간에 제1구조목(21)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널(20)은, 제2구조목(22)이 소정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내장재(23)와 외장재(24)가 일측면과 타측면을 커버한 상태에서 소정간격의 공간에 단열재(25)가 충진되며, 이때, 상기 내장재(23)와 외장재(24)는 기둥(10)에 접합되는 제1구조목(21)이 끼워지는 해당 공간을 가지며 형성됨으로써, 패널(20)과 기둥(10)의 접합 작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후, 상기 기둥(10)의 요홈(11)에 완충부재(30)가 삽입되고, 이어서, 상기 완충부재(30)에 일측의 삽입부위(41)가 접촉되도록 삽입됨과 동시에 타측의 노출부위(42)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노출되도록 몰딩재(4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몰딩재(40)의 노출부위(42) 내측면에는 각각 패널(20)의 내장재(23) 외면과 외장재(24)의 외면 단부에 접착 가능하도록 이지씰 등과 같은 접합제(50)가 도포되어 상기 노출부위(42)가 패널(20)의 내외측 단부에 접착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기둥(10)의 요홈(11)에 완충부재(30)와 몰딩재(40)가 구성되고 상기 몰딩재(40)에 기둥(10) 사이에 설치되는 패널(20)의 양측부가 접합 지지된 상태에서, 기둥(10) 또는 패널(20)이 수축하게 되면, 상기 패널(20)에 접합된 몰딩재(40)가 기둥(10)의 요홈(11)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이때, 상기 몰딩재(40)에 접촉 가압된 상태를 가지는 완충부재(30)가 팽창하게 되면서 요홈(11)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기둥(10) 또는 패널(20)이 팽창하게 되면, 상기 패널(20)에 접합된 몰딩재(40)가 기둥(10)의 요홈(11)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이때, 상기 몰딩재(40)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는 완충부재(30)가 수축하게 되면서 요홈(11)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이로 인하여 틈새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해당 결합부위가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조 건축물용 벽체에 의하면, 기둥(10)의 요홈(11)에 완충부재(30)와 몰딩재(40)가 구성되고 상기 몰딩재(40)에 기둥(10) 사이에 설치되는 패널(20)의 양측부가 접합지지됨으로써, 기둥(10) 또는 패널(20)의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변형 발생시 그 변형력이 완충부재(30)에 전달되고 상기 완충부재(30)가 변형력에 대향되도록 팽창 또는 수축되어 기둥(10)과 패널(20)의 결합부위에 틈새가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다수개의 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둥(10)들과 상기 기둥(10)들 사이에 구성되는 패널(20)들을 구비하는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패널(20)들의 일측부가 접촉되는 기둥(10)들의 각 면에 패널(2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기둥(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소정폭을 가지는 한 쌍의 요홈(11);
    상기 요홈(11)에 삽입 구비되는 완충부재(30); 및
    상기 요홈(11)에 완충부재(30)가 삽입 구비된 후 상기 완충부재(30)에 일측의 삽입부위(41)가 접촉되고 타측의 노출부위(42)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노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노출부위(42)에 도포되는 접합제(50)를 통해 패널(20)의 외측면에 접합되어 패널(20) 또는 기둥(10)의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변형시 완충부재(30)가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몰딩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0)은,
    상기 기둥(10)의 면(面)에 접촉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기둥(10)의 요홈(11) 사이의 접착부위(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구조목(21);
    상기 한 쌍의 제1구조목(21)이 기둥(10)의 접착부위(12)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1구조목(21)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구조목(22);
    상기 제1구조목(21)과 제2구조목(22)의 일측면에 압축되어 벽체의 내측면을 마감하는 내장재(23);
    상기 제1구조목(21)과 제2구조목(22)의 타측면에 압축되어 벽체의 외측면에 방수 및 방습 기능을 제공하는 외장재(24); 및
    상기 제2구조목(22)들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어 벽체의 중공부에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23)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석고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24)는,
    방수성수지가 도포된 후 압착 생산되는 판재;
    투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지는 투습방수지; 및
    단열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가스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물용 벽체.
KR1020120147335A 2012-12-17 2012-12-17 목조 건축물용 벽체 KR10136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35A KR101363913B1 (ko) 2012-12-17 2012-12-17 목조 건축물용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35A KR101363913B1 (ko) 2012-12-17 2012-12-17 목조 건축물용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913B1 true KR101363913B1 (ko) 2014-02-18

Family

ID=5027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335A KR101363913B1 (ko) 2012-12-17 2012-12-17 목조 건축물용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9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94B1 (ko) * 2015-12-23 2016-11-01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친환경 한식 정자
KR20170005937A (ko) * 2015-07-06 2017-01-17 김호준 한옥의 단열 벽체 시공구조
KR101979912B1 (ko) * 2018-10-25 2019-05-20 주식회사 다온아이앤씨 난연 수지 및 보강 섬유 기반의 수지 함침 섬유 보강 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102067347B1 (ko) * 2018-11-13 2020-01-16 주식회사 비앤이소음컨설팅연구소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442A (ja) * 1992-10-30 1994-05-27 Achilles Corp 壁構造
KR970023755U (ko) * 1997-03-15 1997-06-20 나기철 조립식 판넬의 체결장치
KR20100037995A (ko) * 2008-10-02 2010-04-12 김인수 한옥용 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442A (ja) * 1992-10-30 1994-05-27 Achilles Corp 壁構造
KR970023755U (ko) * 1997-03-15 1997-06-20 나기철 조립식 판넬의 체결장치
KR20100037995A (ko) * 2008-10-02 2010-04-12 김인수 한옥용 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937A (ko) * 2015-07-06 2017-01-17 김호준 한옥의 단열 벽체 시공구조
KR101718808B1 (ko) 2015-07-06 2017-03-24 주식회사 현영종합건설 한옥의 단열 벽체 시공구조
KR101670694B1 (ko) * 2015-12-23 2016-11-01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친환경 한식 정자
KR101979912B1 (ko) * 2018-10-25 2019-05-20 주식회사 다온아이앤씨 난연 수지 및 보강 섬유 기반의 수지 함침 섬유 보강 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102067347B1 (ko) * 2018-11-13 2020-01-16 주식회사 비앤이소음컨설팅연구소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913B1 (ko) 목조 건축물용 벽체
NO20015171L (no) Isolert veggkonstruksjon og former og fremgangsmåter for fremstilling av denne
KR100917866B1 (ko)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WO2006091864A3 (en) Composite pre-formed construction articles
KR101861016B1 (ko) 건축용 기능성 마감패널
US3336713A (en) Prefabricated sandwich panel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and partitions
KR101598692B1 (ko)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100770565B1 (ko) 다기능성 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조립식 설치구조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US10267030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0898755B1 (ko)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KR20090130711A (ko) 건축용 단열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KR100729851B1 (ko) 건축물 단열 소재의 시공 방법
KR101363914B1 (ko) 목조 건축물용 벽체
RU92054U1 (ru) Панельная стена или перекрытие
JP2014525001A (ja) 断熱壁部品
CN206737263U (zh) 一种建筑用边框型材
US20140331584A1 (en) Dividing wall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JP2013117130A (ja) 建物及び建物の製造方法
CN219365026U (zh) 一种装配式墙板连接结构
JP4317773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KR101925956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JP2015101850A (ja) 枠組壁構造、建物、及び枠組壁構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