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33B1 -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33B1
KR102067233B1 KR1020190038912A KR20190038912A KR102067233B1 KR 102067233 B1 KR102067233 B1 KR 102067233B1 KR 1020190038912 A KR1020190038912 A KR 1020190038912A KR 20190038912 A KR20190038912 A KR 20190038912A KR 102067233 B1 KR102067233 B1 KR 10206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ipe
outlet
discharge induction
ind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기술 filed Critical (주)티에스기술
Priority to KR102019003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구(101)가 넓고 출구(102)가 좁은 깔때기형으로 된 배출유도관체(10); 상기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A)에 형성되는 유출구(A3)에 연결된 관로(B)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결합관체(20); 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 내경과 결합관체(20)의 입구(101)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관체(20) 외측에는 관로가 결합되는 환상의 걸림턱부(201)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맨홀 및 관로 내에 협잡물의 퇴적을 방지함으로써, 맨홀 및 관로 내부의 악취 발생 및 각종 세균이나 유해충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맨홀 및 관로의 청소 등 유지 관리에 따른 불편함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Manhole flow rate increasing device}
본 발명은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와 연결되게 매설되는 맨홀의 유출구 입구에 설치함으로써,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맨홀 및 관로 내에 협잡물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하수, 오수, 우수 등)가 흐르는 관로(하수관로, 오수관로, 우수관로 등)에는 다수 지점에 맨홀을 설치함으로써, 지상에서 발생한 오수나 우수 등이 맨홀에 수집된 후, 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통상의 맨홀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부가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콘크리트 블록의 저부에 저수부와 연통되는 유입구(A2) 및 유출구(A3)가 각각 형성되어 그 유입구(A2)와 유출구(A3)에 각각 관로가 연결 설치되어 유입구(A2)를 통해 저수부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구(A3)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통상의 맨홀은 유입구(A2) 및 유출구(A3)가 동일한 높이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저수부의 바닥면은 평평한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됨으로써, 유입구(A2)로 유입된 유체가 저수부에 소정 높이만큼 채워진 후, 유출구(A3)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저하되면, 저수부의 바닥면에 각종 협잡물이 침전, 퇴적됨에 따라 수시로 저수부를 청소하여야 하는 등 관리상의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수부 내부에 각종 협잡물이 침전, 퇴적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면, 퇴적된 협잡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 발생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이나 유해충의 번식을 유발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유체가 흐르는 관로 역시 유속이 느려지면 관로 바닥에 퇴적된 협잡물이 쌓여 적층된다.
따라서 통상의 관로는 유속 저하로 인하여 바닥에 협잡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설계유속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로가 설계하게 되는데,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설계유속을 충족하지 않으면 협잡물이 침전, 퇴적되고, 그로 인해 관로 내의 유하시간이 길어져 퇴적된 협잡물의 부패로 인하여 악취 및 각종 유해물질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377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의 직경이 크고, 출구의 직경이 작은 깔때기형의 배출유도관체를 구비하여 맨홀에 형성된 유출구의 입구에 설치됨으로써,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이 증가되게 한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는, 입구(101)가 넓고 출구(102)가 좁은 깔때기형으로 된 배출유도관체(10);
상기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에 형성되는 유출구(A3)에 연결된 관로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결합관체(20); 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 내경과 결합관체(20)의 입구(101)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관체(20) 외측에는 관로가 결합되는 환상의 걸림턱부(2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유도관체(10)와 결합관체(20)는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할 형성되되, 각 조각이 상호 맞물리게 각 조각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수단(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는 제1날개부(50a, 50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날개부(50a, 50b)는,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배출유도관체(10) 내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날개부(50a, 50b)는,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관체(20) 내면에는 제2날개부(60a, 60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날개부(60a, 60b)는, 결합관체(20) 내면에서 결합관체(2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결합관체(20) 내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날개부(60a, 60b)는, 결합관체(20) 내면에서 결합관체(2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결합관체(20)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의 유출구 입구에 설치됨으로써,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맨홀 및 관로 내에 협잡물의 퇴적을 방지함으로써 맨홀 및 관로 내부의 악취 발생 및 각종 세균이나 유해충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출구에 연결되는 관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속도 증가됨으로써, 관로 바닥에 협잡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관로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협잡물도 증가된 유속에 의해 씻겨짐으로써 맨홀 및 관로의 청소 등 유지 관리에 따른 불편함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맨홀 및 관로의 유지 관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맨홀과 관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는 맨홀의 유출구 입구에 설치함으로써, 유출구(A3)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배출유도관체(10), 결합관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유도관체(10)는 입구(101)가 넓고 출구(102)가 좁은 깔때기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유도관체(10)의 입구(101) 단면적보다 출구(102) 단면적이 작으므로 배출유도관체(10)의 입구(101)로 유입된 유체의 속도보다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유체의 유속이 증가된다.
상기 결합관체(20)는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에 형성되는 유출구(A3)에 연결된 관로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때,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 내경과 결합관체(20)의 입구(101)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배출유도관체(10)에서 결합관체(20)로 흐르는 유체에 대한 흐름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배출유도관체(10)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된 유체는 빠른 속도로 결합관체(20)를 통해 관로 내부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결합관체(20) 외측에는 관로가 결합되는 환상의 걸림턱부(201)가 구비되되, 결합관체(20)의 외경은 관로의 내경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결합관체(20)를 맨홀의 유출부에 결합된 관로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으로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출유도관체(10)와 결합관체(20)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도록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아크릴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류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류 또는 고무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배출유도관체(10)와 결합관체(20)는 상호 동일한 소재로 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되, 결합부가 인서트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출유도관체(10)와 결합관체(20)는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할 형성되되, 각 조각이 상호 맞물리게 각 조각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수단(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상호 맞물리는 조각의 분리 방지를 위하여 상호 대응되는 요철단면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호 맞물리는 조각의 분리 방지를 위하여 분할 형성된 조각을 한꺼번에 감싸서 고정하는 클램프수단(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수단(40)은 분할 형상된 조각이 모두 조립되었을 때, 원형 단면을 가지는 배출유도관체(10)를 한꺼번에 감싸서 고른 압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밴드클램프(또는 호스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램프수단(40)은 배출유도관체(1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배출유도관체(10)의 외주면에는 클램프수단(4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프수단(40)이 투입되는 요입홈부(10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배출유도관체(10)와 결합관체(20)를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맨홀 내부에 설치할 때, 맨홀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직경이 작은 경우라도 분할 형성된 조각을 개구부를 통해 각각 투입한 후, 맨홀의 저수부 내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는 제1날개부(50a, 5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날개부(50a)는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배출유도관체(10) 내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날개부(50a)의 양 단부는 유체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날개부(50a)가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배출유도관체(10)의 입구(101)에서 출구(102)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유체의 압력을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날개부(50b)는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날개부(50b)의 양 단부는 유체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날개부(50b)가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배출유도관체(10)의 입구(101)에서 출구(102)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유체의 와류가 형성되면서 배출된다.
따라서 맨홀의 유출구(A3)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관로를 따라 배출됨에 따라 관로의 바닥에 퇴적된 협잡물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관로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관로 바닥에서 분리되어 유체와 함께 배출됨으로써, 관로 내부에 퇴적된 협잡물을 씻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로 내부에 협잡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결합관체(20) 내면에는 제2날개부(60a, 6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날개부(60a)는 결합관체(20) 내면에서 결합관체(2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결합관체(20) 내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날개부(60a)의 양 단부는 유체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날개부(60a)가 결합관체(20) 내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관체(20)의 입구(101)에서 출구(102)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유체의 압력을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날개부(60b)는 결합관체(20) 내면에서 결합관체(2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결합관체(20)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날개부(60b)의 양 단부는 유체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날개부(60b)가 결합관체(20) 내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관체(20)의 입구(101)에서 출구(102)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유체의 와류가 형성되면서 배출된다.
따라서 맨홀의 유출구(A3)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관로를 따라 배출됨에 따라 관로의 바닥에 퇴적된 협잡물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관로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관로 바닥에서 분리되어 유체와 함께 배출됨으로써, 관로 내부에 퇴적된 협잡물을 씻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로 내부에 협잡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맨홀 A1: 저수부
A2: 유입구 A3: 유출구
B: 관로 10: 배출유도관체
101: 입구 102: 출구
20: 결합관체 201: 걸림턱부
30: 결합수단 40: 클램프수단
50a, 50b: 제1날개부 60a, 60b: 제2날개부

Claims (5)

  1. 입구(101)가 넓고 출구(102)가 좁은 깔때기형으로 된 배출유도관체(10);
    상기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A)에 형성되는 유출구(A3)에 연결된 관로(B)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결합관체(20); 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도관체(10)의 출구(102) 내경과 결합관체(20)의 입구(101)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관체(20) 외측에는 관로가 결합되는 환상의 걸림턱부(201)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유도관체(10)와 결합관체(20)는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할 형성되되, 각 조각이 상호 맞물리게 각 조각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수단(30); 이 더 구비되고,
    상호 맞물리는 조각의 분리 방지를 위하여 분할 형성된 조각을 한꺼번에 감싸서 고정하는 클램프수단(40); 을 더 구비하되,
    상기 배출유도관체(10)의 외주면에는 클램프수단(40)이 투입되는 요입홈부(103); 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는 제1날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1날개부(50a)는, 배출유도관체(10) 내면에서 배출유도관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되, 배출유도관체(10) 내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체(20) 내면에는 제2날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KR1020190038912A 2019-04-03 2019-04-03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KR10206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12A KR102067233B1 (ko) 2019-04-03 2019-04-03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12A KR102067233B1 (ko) 2019-04-03 2019-04-03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33B1 true KR102067233B1 (ko) 2020-01-16

Family

ID=6936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912A KR102067233B1 (ko) 2019-04-03 2019-04-03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813B1 (ko) * 2020-05-20 2020-11-20 주식회사 필드테크 일체형 배수판과 이를 사용한 모듈형 배수구조물
WO2022231094A1 (ko) * 2021-04-28 2022-11-03 ㈜한맥기술 역류 방지 맨홀, 맨홀 역류 방지 하수관 및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137Y1 (ko) * 1982-07-29 1988-11-18 안상익 농업용 합성수지제 호-스
US20050229982A1 (en) * 2004-04-20 2005-10-20 Gonzales Peter D Pipe inlet/outlet flow enhancement device
KR200405377Y1 (ko) 2005-10-07 2006-01-10 이상조 맨홀
KR20110008126U (ko) * 2010-02-10 2011-08-18 서영곤 맨홀의 일체형 관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137Y1 (ko) * 1982-07-29 1988-11-18 안상익 농업용 합성수지제 호-스
US20050229982A1 (en) * 2004-04-20 2005-10-20 Gonzales Peter D Pipe inlet/outlet flow enhancement device
KR200405377Y1 (ko) 2005-10-07 2006-01-10 이상조 맨홀
KR20110008126U (ko) * 2010-02-10 2011-08-18 서영곤 맨홀의 일체형 관로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813B1 (ko) * 2020-05-20 2020-11-20 주식회사 필드테크 일체형 배수판과 이를 사용한 모듈형 배수구조물
WO2022231094A1 (ko) * 2021-04-28 2022-11-03 ㈜한맥기술 역류 방지 맨홀, 맨홀 역류 방지 하수관 및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824B2 (en) Tub drain and overflow assembly
KR102067233B1 (ko) 맨홀 및 관로의 유속 증가장치
JP7284778B2 (ja) 排水部材および雨樋
US20210239247A1 (en) Flow control cartridge
KR101869955B1 (ko) 슬러지의 퇴적 방지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JP2023076753A (ja) 排水システム
JP2018053460A (ja) 水洗大便器
JP6655946B2 (ja) 横配管接続構造、及び、トイレ設備
JP2023106603A (ja) 管継手および排水システム
JP4833789B2 (ja) 排水ヘッダとそれを用いた排水装置
US10087611B2 (en) Anti-overflow toilet with an internal diverting wall diverting flush water from a secondary drain inlet
CN114908855B (zh) 落水头装置
CN212561743U (zh) 汇流排水装置
AU2016100472A4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relieve excessive suction within swimming pool skimmers
JP4537965B2 (ja) 複数流入排水ます
JP2009174297A (ja) 排水トラップ
JP2011247021A (ja) 横主管用掃除口構造
KR100733608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TW201521656A (zh) 減少飛濺及增加速度的筒出口
JP3566386B2 (ja) 下水道装置
JP3999919B2 (ja) 排水管継手
US11536408B1 (en) Drain-pipe interface device
JP4693315B2 (ja) 排水用集合管
JP2002030637A (ja) 減勢装置
CN211920993U (zh) 一种污水处理一体化加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