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762B1 - 조리 기구 및 그 실시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 및 그 실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762B1
KR102066762B1 KR1020157000687A KR20157000687A KR102066762B1 KR 102066762 B1 KR102066762 B1 KR 102066762B1 KR 1020157000687 A KR1020157000687 A KR 1020157000687A KR 20157000687 A KR20157000687 A KR 20157000687A KR 102066762 B1 KR102066762 B1 KR 10206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rocker
pivot rocker
foo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291A (ko
Inventor
세바스띠엉 볼라띠에
조엘 르세르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5002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47J2037/0617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eat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 판(3)을 구비하는 제1 구조물(2); 및 그 위에 배치되는 식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12)로서, 그 제1 단부(7)에 의해 피봇 가능한 샤프트(9)에 연결되는 피봇 로커(6)와, 식품의 두께를 추정하기 위해 로커(6)의 피봇 각도를 측정하는 수단(10)을 포함하는 두께 측정 장치(12)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기구(1)는 제1 구조물(2)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제1 구조물(2)에 대한 상기 샤프트(9)의 피봇을 발생시켜 로커(6)의 피봇을 초래하는 제2 가동 구조물(4)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수단(10)은 로커(6)와 그 제2 단부(8)를 향하여 상호작용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구 및 그 실시 방법{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본 발명은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 및 그 실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류, 어류, 야채 등과 같은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 판을 포함하는 조리 기구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구 내에 수용되는 식품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는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형태의 식품 조리 기구는 DE 4 302 190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은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 판을 구비하는 제1 구조물 및 기구 내의 식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를 기재하고 있다. 측정 장치는 두 개의 피봇 로커(rocker)를 구비하며, 각각의 피봇 로커는 제1 단부에 의해 피봇 가능한 샤프트에 연결된다. 측정 장치는 또한 식품의 두께를 추정하기 위해 로커의 피봇 각도를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기구는 식품의 두께를 매우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없으며 사용하기에 쉽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종래 기술의 단점의 전체 또는 부분을 극복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의 자동 조리를 제어 및 취득하기 위해 식품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는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식품의 질, 특히 관능 특성을 보장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조리 시간이 무엇보다도 두께에 종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 목적은 조리 기구이며,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 판을 구비하는 제1 구조물, 및
상기 가열 판 상에 배치된 식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로서,
제1 단부에 의해 피봇 가능한 샤프트에 연결되는 피봇 로커; 및
식품의 두께를 추정하기 위해 피봇 로커의 피봇 각도를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두께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조리 기구가 제1 구조물에 대한 그 분리 운동이 제1 구조물에 대한 상기 샤프트의 피봇을 발생시켜 피봇 로커의 피봇을 초래하는 제2 가동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수단은 피봇 로커와 그 제2 단부를 향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동 구조물은 식품의 두께에 대한 기구의 적응성을 가능하게 하며, 두 구조물 사이의 기존 거리는 식품의 두께를 고도의 신뢰성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제1 구조물은 그에 대고 식품을 조리할 것이다.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제2 가동 구조물은 가열 판 사이에 배치된 상기 식품을 전도에 의해 그에 대고 조리하도록 구성된 가열 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식품은 그 양쪽이 가열 판과 접촉하므로 균일하고 보다 신속하게 조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봇 로커는 피봇 가능한 샤프트에 단단히 연결되거나, 또는 샤프트 주위로의 피봇 로커의 피봇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간극을 갖고 샤프트 상에 장착된다. 피봇 로커의 피봇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든 시나리오는 장착이 간단하도록 고려된다.
유리하게, 제2 가동 구조물은 제1 구조물에 대해 적어도 이동 가능한 측방 아암에 의해 샤프트 상에 장착된다.
이 구성은 제조 중의 장착 및 시간 절약을 촉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측방 아암은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제2 가동 구조물의 플랭크(flank)에 그 중간을 향하여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측방 아암은 식품의 평균 측정 및 두 구조물 사이의 평행 관계 결핍의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봇 로커는 하나의 측방 아암이 샤프트에 연결되는 측방 아암의 제1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단부를 구비하고, 이 결합은 그 각도를 넘어설 때 상기 측방 아암이 피봇 로커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측방 아암의 소정 피봇 각도까지 작동하며, 따라서 측방 아암은 피봇 로커가 계속 피봇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 피봇을 계속한다.
이 구성은 한편으로는 식품 두께에 대략 대응하는 범위에 걸쳐서 측정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측정 수단을 지속적으로 편향하지 않고서도 제2 가동 구조물을 개방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측방 아암의 소정 피봇 각도는 10°내지 30°로 구성되는 피봇 로커의 소정 피봇 각도에 대응한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봇 로커의 소정 피봇 각도는 제1 구조물과 제2 가동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인 제1 구조물 및 제2 가동 구조물의 중간 개방 상태에 대응한다.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봇 로커는, 그 제2 단부를 향하여, 측정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에 연결된다. 이 구성은 피봇 로커가 측정 수단을 쉽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측방 아암에서 커버되는 각도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그러므로 구조물의 분리 및 따라서 식품의 두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 수단은 전위차계를 포함한다.
전위차계의 사용은 간단하고, 매우 비용-효과적이며,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해결책이다.
유리하게, 상기 피봇 로커는 제1 핑거 및 제2 핑거를 포함하고, 측정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은 피봇 로커의 제2 핑거에 의해 구동되고 편향 수단에 의해 편향되는 레버를 형성하며, 상기 편향 수단은 제2 가동 구조물의 분리 운동 중에 피봇 로커와 레버를 접촉 유지시킨다. 레버의 사용은 제2 가동 구조물이 개방될 때 피봇 로커가 측정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편향 수단은 조립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 수단은 피봇 로커의 랙에 의해 구동되고 편향 수단에 의해 편향되는 치차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수단은 제2 가동 구조물의 분리 운동 중에 피봇 로커와 치차를 접촉 유지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 수단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사용은, 역시 간단하고 전술한 것과 같은 기구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수정을 요하지 않는 해결책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및 단순함을 위해서, 상기 측정 수단은 광검출기를 갖는 광학 검출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품 조리 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조리 기구가 포함하는 키 또는 복수 키 조합의 사용자 선택을 통해서 조리 기구를 사용 전에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반복된 사용과 부품 마모로 인한 모든 오류와 불확실성이 보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및 비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개방된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기구 상에 장착된 측정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는 폐쇄된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기구 상에 장착된 측정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7은 기구의 측방 아암의 내부 도시도이다.
도 8은 피봇 로커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의 보다 상세한 도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피봇 로커 및 측방 아암의 결합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피봇 로커의 대체예의 도시도이다.
도 16은 전위차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전위차계의 다른 대체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측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9는 전위차계의 일부의 도시도이다.
도 1은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하부 가열 판(3)을 구비하는 제1 구조물(2) 및 가정용 기구(1) 내에 배치된 식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12)를 포함하는 가정용 기구(1)를 도시한다.
식품은 육류, 어류, 야채 등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 도 8, 도 10a, 도 10b 내지 도 19에 도시된 측정 장치(12)는 기구(1) 내에서 피봇 가능한 로커(6)를 포함한다. 피봇 로커(6)는 제1 단부(7) 및 제2 단부(8)를 가지며, 제1 단부(7)는 회전축(A) 주위로 피봇 가능한 샤프트(9)에 연결된다.
피봇 로커(6)는 예를 들어 샤프트(9) 주위에 타이트하게 장착됨으로써 샤프트(9)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9)가 피봇 또는 회전하면, 이는 또한 피봇 로커(6)를 회전 구동시킨다. 피봇 로커의 회전 또는 피봇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간극을 갖고 피봇 로커(6)가 샤프트(9) 상에 장착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 단단히 장착된 피봇 로커를 갖는 대체예와 달리, 샤프트(9)가 회전할 때, 피봇 로커는 후술될 샤프트(9)에 연결되는 다른 수단을 통해서 피봇된다.
측정 장치(12)는 또한, 후술되는 식품의 두께를 추정할 수 있게 하는 피봇 로커(6)의 피봇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10)을 포함한다.
기구(1)가 분리 운동을 생성하기 위해 제1 구조물(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가동 구조물(4)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제2 가동 구조물(4)은 또한 상부 가열 판(5)을 포함하며, 상부 가열 판은 하부 가열 판(3)과 상부 가열 판(5) 사이에 배치된 식품을 전도에 의해 그에 대고 조리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품은 두 개의 가열 판(3, 5)에 대고 조리된다.
하나의 대체예에서, 제2 가동 구조물(4)이 제1 구조물(2)을 커버하기 위한, 예를 들어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각각의 구조물(2, 4)은 예를 들어 셸로 형성되며, 측방 플랭크(11)를 포함한다. 셸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가동 구조물(4)은 기구(1)의 개방 및 폐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 셸 상에 열가소체 및 절연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핸들(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2)은 예를 들어 편평 지지체 상에 기구(1)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족부(feet)(45)를 포함할 수 있다. 족부(45)는 제2 가동 구조물(4)의 셸과 함께 몰딩됨으로써 형성되거나 나사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셸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족부(45)는 벽(56)에 의해 커버된다. 주스를 조리하기 위한 수집 트레이(53)도 제공될 수 있다.
제1 구조물(2) 및 제2 가동 구조물(4)은 이들 구조물이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하고 평행한 평면(P)을 따라서 연장되는 폐쇄 상태, 및 [제2 가동 구조물(4)이 샤프트(9)에 단단히 고정될 때, 도 9] 이들 구조물이 약 100°의 분리 각도를 갖는 실질적으로 이면각(dihedral) 형상을 형성하는 개방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조리될 식품은 하부 가열 판(3)과 상부 가열 판(5) 사이에 수평적으로 배치될 것이다.
각각의 가열 판(3, 5)은 식품을 조리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 저항(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된다. 전기 저항은 일반적으로 셸과 가열 판(3, 5)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가열 판(3, 5)은 제거될 수 있으며, 비점착성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구조물(2)에 대한 제2 가동 구조물(4)의 분리 운동은 제1 구조물(2)에 대한 샤프트(9)의 회전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피봇 로커(6)의 피봇을 초래한다. 피봇 로커(6)가 샤프트(9) 상에 단단히 고정되는 경우에, 샤프트(9)의 피봇은 피봇 로커(6)의 피봇을 초래한다. 측정 수단(10)은 피봇 로커와 피봇 로커(6)의 제2 단부(8)를 향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 가동 구조물(4)은 제1 구조물(2)에 대해 적어도 이동 가능한 측방 아암(13)(도 7)에 의해 샤프트(9)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 각각의 측방 아암(13)은 샤프트(9)에 연결되는 제1 단부(14) 및 제2 가동 구조물(4)의 플랭크(11)에 그 중간(16)을 향하여 연결되는 제2 부분(15)을 포함한다. 제2 부분(15)은 측방 아암(13)의 제2 단부(4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제2 단부(47)는 핸들(46)에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 측방 아암(13)의 제1 단부(14)는,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샤프트(9)와 측방 아암(13) 사이에 확고한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역시 편평 섹션(20)을 구비하는 샤프트(9)의 단부(19)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편평 섹션(18), 여기에서 두 개의 편평 섹션이 존재하는 내표면을 갖는 개구(17)를 구비한다. 조립체는 나사(48)에 의해 측방 아암(13)의 개구(17) 및 개구(49)를 통해서 더 조여질 수 있다. 측방 아암의 안내를 촉진하기 위해, 족부(45)를 커버하는 벽(56)은 그 안에서 핀(54)이 슬라이딩하는 홈(55)을 가질 수 있다. 측방 아암(13)의 제2 부분(15)은 예를 들어 제2 가동 구조물(4)의 플랭크(11)의 중간(16)에서 나사결합될 나사(22)의 통과를 위한 개구(21)를 구비한다. 제2 가동 구조물은 측방 아암(13)에 대해 고정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나사(22) 및 개구(21)에 의해 생성되는 피봇 연결을 통해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피봇 연결은 식품의 조리가 균일하도록 제1 구조물(2)에 거의 평행한 방식으로 제2 가동 구조물(4)의 조절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측방 아암(13)에 대한 제2 가동 구조물(4)의 이동성은 장애물을 통한 연결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측방 아암(13)의 내면에 제공되는, 노치 형태의 수형 부재와 협력하는 구조물(4)의 셸 상에 장착되는 포이(trunnion) 형태의 암형 부재로 인해 차단될 수 있다.
도 9에 개략 도시된 기구(1)의 대체예에서는, 기구가 측방 아암(13)을 전혀 갖지 않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피봇 로커(6)의 피봇을 초래하는 것은 샤프트(9)와 함께 타이트하게 단단히 장착되는 제2 가동 구조물(4)의 운동이다.
전술했듯이, 피봇 로커(6)는 샤프트(9)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피봇 로커(6)의 제1 단부(7)는, 고정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샤프트(9)의 편평 섹션(20)과 대면하는 편평 섹션(도시되지 않음)이 그 내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오리피스(23)를 구비한다. 그러나, 피봇 로커(6)는 측방 아암(13)의 체결을 통해서 샤프트(9) 상에 타이트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구(1)를 개방하기 위해 측방 아암(13) 및/또는 제2 가동 구조물(4)을 피봇시킴으로써, 샤프트(9)가 회전 구동되며, 따라서 동시에 피봇 로커(6)를 회전 구동시킨다.
피봇 로커(6)는 약 100 mm의 길이를 갖는다. 피봇 로커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피봇 로커(6)의 제1 단부(7)는 피봇 로커(6)가 샤프트에 연결되는 위치인 측방 아암(13) 중 하나의 제1 단부(14)와 결합될 수 있다. 피봇 로커(6)와 측방 아암(13) 사이의 결합은 피봇 로커(6)의 제1 단부(7)의 외면(24) 상에 위치하는 제1 핑거(25)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핑거(25)는 측방 아암(13)의 변위 중에 측방 아암(13)의 후방 부분(50)이 이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 결합은 측방 아암(13)의 소정 피봇 각도(α)까지 작용하며(도 4 참조), 측방 아암은 상기 소정 각도(α)를 넘어서면 피봇 로커(6)로부터 결합해제되고, 따라서 측방 아암(13)은 이후 피봇 로커(6)가 계속 피봇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방 아암(13) 및/또는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의 완전-개방 위치를 향한 그 피봇을 계속한다.
피봇 로커(6)가 샤프트(9) 상에 간극을 갖고 장착되는 경우에, 샤프트는 측방 아암(13)과 함께 단단히 장착된다. 특히, 장착은 측방 아암(13)의 개구(17)의 내표면의 편평 섹션(18)과 협력하는 샤프트(9)의 편평 섹션(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측방 아암(13) 상에 제공되는 핀(54)은 유리하게 피봇 로커(6)가 포함하는 제1 핑거(25)와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측방 아암(13)을 피봇시킴으로써, 핀(54)이 제1 핑거(25)에 대해 충합하고 따라서 피봇 로커(6)의 회전을 초래한다. 측방 아암(13) 및/또는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이 완전-개방 위치를 향한 그 피복을 계속하도록, 핀(54)이 가요성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핀은 측방 아암의 소정 피봇 각도(α)를 넘어서면 피봇 로커(6)의 측방 아암(13)의 결합해제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물론, 측방 아암(13)과 피봇 로커(6)의 결합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다른 해결책이 고려될 수 있다.
측방 아암(13)의 소정 피봇 각도(α)는 10 내지 30°로 구성되는 피봇 로커(6)의 소정 피봇 각도(β)(도 4에 도시됨)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 피봇 로커(6)의 소정 피봇 각도(β)는 24°정도이다. 보다 정확하게, 피봇 로커(6)의 소정 피봇 각도(β)는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 및/또는 측방 아암(13)의 중간 개방 상태에 대응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2, 4)은 거의 평행하게 분리된다. 제1 구조물(2) 및 제2 가동 구조물(4)의 중간 개봉 상태는 30 내지 60 mm로 구성되는 분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이 분리는 40 mm이다.
피봇 로커(6)는 측정 수단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수단을 그 제2 단부(8)에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 피봇 로커(6)의 제2 단부(8)는 측정 수단(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60)과 피봇 로커(6)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의도된 제2 핑거(26)를 그 내면(51) 상에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수단(10)은 예를 들어, 전위차계(27), 스트레인 게이지, 광검출기를 갖는 광학 검출 시스템(29) 또는 전자기 검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수단(10)은 온도 변화를 피하기 위해 후방 족부(45)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위차계(27)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전위차계는 보디(59) 및 보디(59) 내로 개방되는 공동(36)을 구비한다. 전위차계(27)는 또한 피봇 로커(6)의 제2 핑거(26)에 의해 제1 구조물(2) 및 제2 가동 구조물(4)의 폐쇄 상태와 중간 개방 상태 사이에서 구동되는 레버(30)를 구비한다.
유리하게, 측정 수단(10)은 또한 편향 수단(32)을 포함한다.
특히, 레버(30)는 예를 들어 제2 가동 구조물(4)의 분리 운동 또는 측방 아암(13)의 운동 중에 제2 핑거(26)에서 피봇 로커(6)와 레버(30)를 접촉 유지시키는 편향 수단(32)에 의해 편향될 수 있는 원위 단부(31)를 갖는다. 편향 수단(32)은 그 일 단부(33)에 의해 기구(1)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그 타 단부(33)에 의해 레버(30)의 원위 단부(31)가 포함할 수 있는 통로(52)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30)는 또한 전위차계(27)의 공동(36) 내에 결합되도록 의도되는 헤드(35)를 갖는 근위 단부(34)를 구비한다. 레버(30)는 0°내지 65°로 구성되는 각도(γ)를 따라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레버는 약 20 mm의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이 실시예의 다른 대체예에 따르면, 측정 수단(10)은 전위차계(27)를 포함한다. 전위차계는 전위차계(27)의 보디(59) 내부에 설치되는 치차(58)를 구비한다. 그러나, 치차(58)의 일부는 보디(59)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상태로 남아있다. 보다 정확하게, 치차는 피봇 로커(6)의 단부(8)가 포함하는 랙(58)에 의해 구동된다. 치차의 티쓰는 그 둘레의 전체 또는 부분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편향 수단(32)은 제2 가동 구조물(2)의 분리 운동 중에 피봇 로커(6)와 레버(30)를 접촉 유지시키기 위해 전위차계의 보디(59)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편향 수단(32)은 제1 편향 요소(61) 및 제2 편향 요소(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향 요소(61)는 측정 수단(10) 내에, 예를 들어 전위차계(27)의 보디(59)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및/또는 제2 편향 요소(62)는 한편으로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레버(30)의 원위 단부(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편향 수단(32)은 기구(1)의 완전한 개방 시에 피봇 로커가 해방될 때 피봇 로커(6)를 복귀시킬 수 있고, 제조에 관련된 간극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이는 인장 스프링 및/또는 나선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전위차계(27)는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전위차계는 0 내지 90°, 0 내지 120°또는 심지어 0 내지 360°에서 변화하는 각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전위차계(27)는 빌트인, 오프셋 또는 집적 인쇄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스트레인 게이지(28)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는 예를 들어 후방 족부(45)의 벽(37) 상에 배치된다. 피봇 로커(6)의 제2 단부(8)는 피봇 로커(6)가 피봇될 때 개구(38)를 통과하는 바늘(39)이 그 안에 수용되는 개구(38)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바늘(39)은 스프링(40) 상에 장착되며 스트레인 게이지(28) 상에 작용한다.
도 11에는 LED(41) 및 예를 들어 족부(45) 내부에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광검출기(42)를 포함하는 광검출기를 갖는 광학 검출 시스템(29)의 일 예가 개략 도시되어 있다. 광선을 광검출기(42) 쪽으로 반사시켜 식품의 두께를 추정할 수 있도록 피봇 로커(6)의 제2 단부(8)에는 반사 요소(43)가 장착될 수 있다.
측정 수단에 제공되는 전자기 요소에 관하여, 이들 요소는 예를 들어 홀-효과(Hall-effect)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 장치(12)의 구성 덕분에, 식품의 두께를 +/- 1 mm로 식별할 수 있도록 피봇 로커의 피봇 각도(β)[또는 측방 아암(13)의 각도]의 증폭 비율을 3보다 크게 수립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 비율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2812946-pct00001
달성된 결과를 정확하도록 최적화하기 위해서 및 식품의 보다 양호한 조리를 위해서, 제조 이후 공장에서 기구(1)의 교정(calibration) 또는 사이징이 제공될 수 있다. 더 큰 정확성을 위해서, 교정은 게이지 블록을 갖는 기구에 의해 동일한 품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포인트로 지칭되는 제1 값을 얻기 위해서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 사이에는 식품 두께를 시뮬레이션하도록 의도된 제1 게이지 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블록은 약 2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후 제2 포인트로 지칭되는 제2 값을 얻기 위해서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 사이에는 제2 게이지 블록이 배치된다. 제2 블록은 약 3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포인트는 그 교정은 물론 수정 중에 기구(1)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에 관련된 불확실성을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결정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기구가 판매되고 사용할 준비가 되었을 때, 사용자는 이를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기구(1)가 갖는 인터페이스(44)의 온/오프 버튼 또는 키의 누름에 의한 기구(1)의 턴온(turn-on). 기구는 예를 들어 기구를 메인에 연결하기 위해 기구가 포함하는 파워 코드를 플러그 연결함으로써 턴온될 수 있다.
- 제공될 경우, 인터페이스(44)에 의한 식품 형태의 선택.
- 여전히 제공될 경우, 식품의 소망 조리 정도의 선택. 그렇지 않을 경우, 식품에 따른 조리 온도의, 기구(1)에 의한, 결정이 제공될 수 있다.
- 여전히 제공될 경우, 기구(1)의 예열 온도의 자동 결정.
- 기구의 개방. 이 단계는 상기 단계의 어느 때나 수행될 수 있다.
- 식품의 셋업.
- 제2 가동 구조물(4) 및/또는 측방 아암(13)을 식품 위로 하강시킴에 의한 기구(1)의 폐쇄.
이 단계는 기구(1)가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 사이에 배치된 식품의 두께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예를 들어 식품 조리의 시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할 것이다. 상기 두께 측정은 피봇 로커(6)의 피봇 각도(β)에 의해 자동으로 얻어진다. 피봇 로커는 식품의 두께를 추정하기 위해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 사이의 분리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 식품의 조리가 끝날 때, 사용자는 식품을 꺼내거나 식품을 구조물(2, 4) 사이에서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 기구는 온/오프 키를 선택함으로써 턴오프될 수 있거나 또는 전원 차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44)는 메뉴 또는 터치스크린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키 또는 버튼을 가질 수 있다.
기구(1)의 기계적 및/또는 전자 시스템이 최적으로 작동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및 기구(1)의 많은 사용 및/또는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모든 오류 및 불확실성을 보상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기구(1)의 자동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조절은 그릴이 폐쇄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장치(12)를 그 사용에 적절한 작동 상태로 리셋하는 것이 의도된다. 예를 들어, 그릴이 폐쇄되는 경우에, 장치는 기구(1) 내에 식품 두께가 전혀 없음을 나타내는 값인 0으로 리셋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 전에, 조절을 달성하기 위해 조절 키를 누르거나 복수 키의 조합을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5)

  1.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 판(3)을 구비하는 제1 구조물(2); 및
    상기 가열 판(3) 상에 배치된 식품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12)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1)이며,
    상기 측정 장치(12)는, 피봇 로커(6)와, 식품의 두께를 추정하기 위해 상기 피봇 로커(6)의 피봇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10)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로커(6)는, 제1 단부(7)와, 상기 피봇 로커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에 대향하여 위치한 제2 단부(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7)에 의해 피봇 가능한 샤프트(9)에 연결되며,
    상기 조리 기구(1)는 제1 구조물(2)에 대한 분리 운동이 제1 구조물(2)에 대한 상기 샤프트(9)의 피봇을 발생시켜 피봇 로커(6)의 피봇을 일으키는 제2 가동 구조물(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수단(10)은 피봇 로커(6)의 제2 단부(8)와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피봇 로커(6)의 피봇 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구조물(4)은 가열 판(3, 5) 사이에 배치된 상기 식품을 전도에 의해 가열 판(5)에 대고 조리하도록 구성된 가열 판(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로커(6)는 피봇 가능한 샤프트(9)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로커(6)는 피봇 로커의 피봇을 허용하는데 충분한 간극을 갖고 샤프트(9)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구조물(4)은 적어도 제1 구조물(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측방 아암(13)에 의해 샤프트(9)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방 아암(13)은 샤프트(9)에 연결되는 제1 단부(14) 및 제2 가동 구조물(4)의 플랭크(11)에 상기 플랭크(11)의 중간(16)을 향하여 연결되는 제2 부분(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로커(6)는 측방 아암(13) 중 하나가 샤프트(9)에 연결되는 측방 아암(13)의 제1 단부(14)와 결합되는 제1 단부(7)를 구비하고, 이 결합은 측방 아암(13)의 소정 피봇 각도까지 작동하며, 그 각도를 넘어서면 상기 측방 아암(13)이 피봇 로커(6)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측방 아암(13)은 피봇 로커(6)가 피봇을 계속하지 않는 상태에서 자신의 피봇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아암(13)의 소정 피봇 각도는 10°내지 30°로 구성되는 피봇 로커(6)의 소정 피봇 각도(β)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로커(6)의 소정 피봇 각도(β)는 제1 구조물(2)과 제2 가동 구조물(4)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인 제1 구조물(2) 및 제2 가동 구조물(4)의 중간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로커(6)는, 그 제2 단부(8)를 향하여, 측정 수단(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6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10)은 전위차계(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로커는 제1 핑거(25) 및 제2 핑거(26)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수단(60)은 피봇 로커(6)의 제2 핑거(26)에 의해 구동되고 편향 수단(32)에 의해 편향되는 레버(30)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수단은 제2 가동 구조물(2)의 분리 운동 중에 피봇 로커(6)와 레버(30)를 접촉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60)은 피봇 로커(6)의 랙(58)에 의해 구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32)에 의해 편향되는 치차(57)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수단은 제2 가동 구조물(2)의 분리 운동 중에 피봇 로커(6)와 치차(57)를 접촉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10)은 스트레인 게이지(28) 또는 광검출기를 갖는 광학 검출 시스템(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1).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리 기구(1)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기구는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 판을 구비하는 제1 구조물(2)을 포함하고,
    조리 기구(1)가 포함하는 키 또는 키들의 조합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조리 기구(1)를 사용 전에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7000687A 2012-06-15 2013-06-12 조리 기구 및 그 실시 방법 KR102066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5600 2012-06-15
FR1255600A FR2991862B1 (fr) 2012-06-15 2012-06-15 Appareil de cuisson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PCT/FR2013/051365 WO2013186487A1 (fr) 2012-06-15 2013-06-12 Appareil de cuisson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291A KR20150028291A (ko) 2015-03-13
KR102066762B1 true KR102066762B1 (ko) 2020-01-15

Family

ID=4708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687A KR102066762B1 (ko) 2012-06-15 2013-06-12 조리 기구 및 그 실시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844297B2 (ko)
EP (1) EP2861110B1 (ko)
KR (1) KR102066762B1 (ko)
CN (1) CN104363805B (ko)
AU (1) AU2013276337B2 (ko)
BR (1) BR112014031229B1 (ko)
CA (1) CA2875954C (ko)
CO (1) CO7160010A2 (ko)
DK (1) DK2861110T3 (ko)
ES (1) ES2701431T3 (ko)
FR (1) FR2991862B1 (ko)
HR (1) HRP20182046T1 (ko)
HU (1) HUE041302T2 (ko)
PL (1) PL2861110T3 (ko)
SI (1) SI2861110T1 (ko)
TR (1) TR201818820T4 (ko)
WO (1) WO2013186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289B1 (fr) 2015-01-06 2017-12-15 Seb Sa Appareil de cuisson a panneau amorti
FR3043899B1 (fr) * 2015-11-23 2018-05-18 Seb S.A. Dispositif de detection pour appareil de cuisson
CN107647797B (zh) * 2016-07-25 2020-06-09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厚度量测装置与能量测食物厚度的煎烤机
FR3058626B1 (fr) * 2016-11-14 2020-01-10 Seb S.A. Appareil de cuisson pour la cuisson de produits alimentaires
CN112167950A (zh) * 2019-07-05 2021-01-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装置及其烹饪方法、计算机存储介质
FR3117759B1 (fr) * 2020-12-17 2022-12-30 Seb Sa Appareil de cuisson electrique pour la cuisson de produits alimentaires
CN113827102B (zh) * 2021-09-28 2022-09-0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控制面板驱动机构及烹饪器具
FR3132621B1 (fr) 2022-02-16 2024-02-16 Seb Sa Appareil de cuisson électrique équipé d’un dispositif de mesure d’épaisseur
FR3141049A1 (fr) 2022-10-24 2024-04-26 Seb S.A. Appareil et procédé de cuisson d’un aliment précu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2190A1 (de) * 1993-01-27 1994-07-28 Gerd Mues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aten und Grillen oder Backen von Gargut unterschiedlicher Stärke (Dicke)
WO2007140547A1 (en) 2006-06-09 2007-12-13 Sunbeam Corporation Limited Cooking press and grill
JP2008541988A (ja) 2005-06-07 2008-11-27 ガーランド コマーシャ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ッキング装置および食品識別が行われる方法
AU2009201010A1 (en) * 2008-03-13 2009-10-01 Newell Australia Pty Ltd Height adjustable gril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067A (en) * 1976-06-11 1978-05-09 Mcgraw-Edison Company Cooking appliance
US4913040A (en) * 1988-07-19 1990-04-03 Victor Sherman Apparatus for cooking food
JP2905017B2 (ja) * 1992-11-16 1999-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US5642658A (en) * 1996-07-01 1997-07-01 Liebermann; Benno E. Adjustable hinge apparatus
CN201316169Y (zh) * 2008-11-12 2009-09-30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烤盘的旋转式高度调整机构
US8863734B2 (en) 2008-12-01 2014-10-21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grill
CN201384408Y (zh) * 2009-02-27 2010-01-20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煎烤机的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2190A1 (de) * 1993-01-27 1994-07-28 Gerd Mues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aten und Grillen oder Backen von Gargut unterschiedlicher Stärke (Dicke)
JP2008541988A (ja) 2005-06-07 2008-11-27 ガーランド コマーシャ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ッキング装置および食品識別が行われる方法
WO2007140547A1 (en) 2006-06-09 2007-12-13 Sunbeam Corporation Limited Cooking press and grill
AU2009201010A1 (en) * 2008-03-13 2009-10-01 Newell Australia Pty Ltd Height adjustable gr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7160010A2 (es) 2015-01-15
HRP20182046T1 (hr) 2019-02-08
SI2861110T1 (sl) 2019-02-28
EP2861110A1 (fr) 2015-04-22
CA2875954C (fr) 2020-03-24
WO2013186487A1 (fr) 2013-12-19
CN104363805B (zh) 2017-04-26
FR2991862B1 (fr) 2015-04-24
BR112014031229B1 (pt) 2021-02-02
ES2701431T3 (es) 2019-02-22
CN104363805A (zh) 2015-02-18
BR112014031229A2 (pt) 2017-06-27
CA2875954A1 (fr) 2013-12-19
TR201818820T4 (tr) 2019-01-21
KR20150028291A (ko) 2015-03-13
AU2013276337B2 (en) 2017-04-13
US20150122135A1 (en) 2015-05-07
FR2991862A1 (fr) 2013-12-20
AU2013276337A1 (en) 2015-01-22
US9844297B2 (en) 2017-12-19
HUE041302T2 (hu) 2019-05-28
DK2861110T3 (en) 2019-01-07
EP2861110B1 (fr) 2018-09-19
PL2861110T3 (pl)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762B1 (ko) 조리 기구 및 그 실시 방법
TWI389657B (zh) 壓力鍋
JP5150487B2 (ja) クッキング装置および食品識別が行われる方法
EP2959811B1 (en) Cooking device
US8530797B2 (en) Cooking appliance
JP5485376B2 (ja) 既定のロック位置を有するハンドルの付いた炙り焼き装置
US9392899B2 (en) Temperature sensing and control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20180338644A1 (en) Cooking appliance with temperature indicator
JP6774998B2 (ja) 両面焼き調理器
US9474413B2 (en) Kitchen appliance with an improved temperature probe jack receiver cover
US8783168B2 (en) Double-layer grilling device
BR112015021654B1 (pt) método de operação de uma zona de cozinhar de um aparelho de cozinhar, unidade de controle e aparelho de cozinhar
CN108430284A (zh) 包括第一和第二烹饪板的烹饪器具以及用于控制烹饪板之间的距离的方法
CN214104128U (zh) 一种烹饪基座及烹饪器具
CN210540970U (zh) 可调控温度的电饼铛
ITGE20070091A1 (it) Apparecchio elettrico per la preparazione di alimenti.
CN211511519U (zh) 烤牛排机
CN112426066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CN217827559U (zh) 烹饪器具
CN208769581U (zh) 自动识别食物厚度的煎烤器
CN107752744B (zh) 电烹饪装置
JPS5918609B2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