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879B1 -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879B1
KR102065879B1 KR1020190060445A KR20190060445A KR102065879B1 KR 102065879 B1 KR102065879 B1 KR 102065879B1 KR 1020190060445 A KR1020190060445 A KR 1020190060445A KR 20190060445 A KR20190060445 A KR 20190060445A KR 102065879 B1 KR102065879 B1 KR 10206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it
lens array
image
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욱
Original Assignee
(주)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엔텍 filed Critical (주)휴엔텍
Priority to KR102019006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3
    • H04N5/2254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어레이의 중심과 기판 이미지센서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도록 렌즈어레이의 결합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이미지센서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렌즈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센터정렬유닛과,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된 렌즈어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와, 상기 기판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송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유닛과, 상기 기판지지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되는 기판의 이미지수신부의 중심위치와 일치하는 중심위치가 표시된 기준표시부와, 상기 기준표시부와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상기 이미지센서의 초점과 렌즈어레이와 이미지수신부의 중심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렌즈어레이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센터정렬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이스틱을 구비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Center alignment device of Image sensor}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어레이의 중심과 기판이미지센서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도록 렌즈어레이의 결합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이미지센서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을 대신하는 로봇의 역할이 커지고 있으며, 활용 영역도 확장되고 있다.
최근 로봇은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움직이는 단순 구동형태에서 벗어나 스스로 공간을 인지하고 이동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생활 속에 사용되는 로봇 중 자율주행 기능이 적용된 로봇 제품의 대표적인 예가 로봇청소기이다.
로봇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잡고 움직이던 진공청소기 형태에서 벗어나 스스로 청소할 공간을 찾아가 청소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집주인의 외출중에 청소를 완료해둘 수 있어 삶의 편의성을 매우 높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창기 로봇청소기의 경우, 높은 가격과 장애물 인식에 대한 정확성이 낮고, 같은 구간을 반복 청소하고, 청소가 되지 않는 영역이 다수 발생하는 등 성능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나, 최근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수요와 만족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로봇청소기를 비롯해 자율 주행을 위한 로봇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카메라 렌즈를 이용하는 이미지센서이다.
이 이미지센서는 로봇장치에 장착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 장애물을 감지하여 로봇장치가 이동할 이동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미지센서는 통상 렌즈들을 배열하여 형성한 렌즈어레이와, 이 렌즈어레이가 결합되며, 렌즈어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거나, 자율주행을 위한 제어부에 제공하는 영상정보로 전달하기 위한 기판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기판에 입력되는 영상 수신부의 중심위치와 렌즈어레이의 중심위치가 일치해야 자율주행체의 정확한 주행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렌즈어레이와 기판의 중심위치를 일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구동오류의 원인이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1223호 : 로봇 툴과 레이저 비전 센서 간의 위치 보정 지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기판과 렌즈어레이의 결합위치를 설정할 때, 렌즈어레이의 센터와, 기판 이미지수신부의 센터 위치를 일치하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렌즈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센터정렬유닛과,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된 렌즈어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와, 상기 기판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송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유닛과, 상기 기판지지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되는 기판의 이미지수신부의 중심위치와 일치하는 중심위치가 표시된 기준표시부와, 상기 기준표시부와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상기 이미지센서의 초점과 렌즈어레이와 이미지수신부의 중심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렌즈어레이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센터정렬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이스틱을 구비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정렬유닛은 상기 이미지센서가 안착되는 상기 기판지지부와, 상기 기판지지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된 이미지센서의 렌즈어레이를 클램핑하는 렌즈클램핑부와,상기 렌즈클램핑부가 지지되는 클램퍼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퍼지지판을 상기 기판의 평면상에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및 Y축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클램퍼이송부와, 상기 렌즈어레이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해상기 렌즈어레이의 하단과 상기 기판이 접촉하는 접촉부에 UV 본드를 도포하는 제1 본드도포부와, 상기 렌즈어레이의 상부측에서 렌즈어레이의 초점조절 후 렌즈어레이의 바디에 대하여 렌즈커버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렌즈어레이의 바디와 렌즈커버의 연결부에 UV 본드를 도포하는 제2 본드도포부와, 상기 기판지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본드도포부 및 제2 본드도포부에 의해 도포된 UV 본드가 경화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기판과 이미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터미널이 형성되어있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접속터미널이 관통할 수 있게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기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과 승강판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기판이 상기 접속터미널에 접속되게 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상하로 승강구동하게 하는 승강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클램핑부는 상기 기판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중심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클램핑액추에이터와, 상기 각각의 클램핑액추에이터의 인출로드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렌즈어레이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퍼이송부는 상기 클램핑액추에이터가 지지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하여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Y축 구동부와,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이 장착되는 상기 클램퍼지지판과, 상기 클램퍼지지판을 상기 이송판에 대하여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X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드도포부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에 상기 클램핑액추에이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두 개의 제1 본드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본드액추에이터의 제1 진퇴로드에 결합되며, UV 본드가 충진된 제1 주입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드도포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기판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두 개의 제2 본드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본드액추에이터의 제2 진퇴로드에결합되며, UV 본드가 충진된 제2 주입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입실린더와 제2 주입실린더는 각각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단속되며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가압튜브와 제2 가압튜브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조이스틱을 통해 상기 렌즈클램핑부를 X축 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기판의 이미지수신부와 렌즈어레이의 센터 위치가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장치는 렌즈어레이와 기판의 이미지수신부 사이의 중심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이미지센서의 작동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정렬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미지센서 정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이미지센서 정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기판지지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기준표시부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도면,
도 7은 모니터에 출력되는 기준표시부 영상의 일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미지센서(1)는 자율주행을 위한 로봇의 구동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 기판(2)과, 상기 기판(2)에 설치되는 렌즈어레이(4)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2)과 렌즈어레이(4)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렌즈어레이(4)의 중심과 기판(2)의 이미지수신부(3)의 중심 위치가 일치해야 로봇이 정확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렌즈어레이(4)는 상기 기판(2)의 이미지수신부(3) 상에 결합되는 바디(5)와, 바디(5)의 상부에 체결되며,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렌즈커버(6)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커버(6)는 바디(5)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며, 렌즈커버(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렌즈와 이미지수신부(3) 상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정렬장치(10)는 센터정렬유닛(100)과, 디스플레이유닛(200), 기준표시부(230) 및 제어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정렬유닛(100)은 이미지센서(1)가 안착 및 고정되는 기판지지부(110)와, 렌즈어레이(4)를 파지하는 렌즈클램핑부(120)와, 렌즈클램핑부(120)를 이동하는 클램퍼이송부(130)와, 렌즈어레이(4)와 기판(2)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본드도포부(140)와 제2 본드도포부(150) 및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지지부(110)는 상기 기판(2)과 이미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2)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터미널(112)이 형성되어있는 베이스판(111)과, 상기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2)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판(113)과, 승강판(113)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15)와, 승강판(113)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판(116) 및 가압판(116)을 승강구동하는 승강액추에이터(117)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판(113)은 안착홈(114)이 형성된 위치에 상기 접속터미널(112)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기판(2)이 안착된 후 하강하면 상기 접속터미널(112)이 상기 기판(2)의 접속부와 연결되어 렌즈어레이(4)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0)의 모니터(2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15)는 상기 베이스판(111)과 승강판(113)의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판(113)을 베이스판(11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탄성지지한다. 승강판(113)은 후술하는 가압판(116)에 의해 베이스판(111) 측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며, 가압판(116)이 상승하면 상기 탄성부재(115)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베이스판(11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기판(2)과 접속터미널(112)의 연결이 해제되어 기판(2)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압판(116)은 승강판(113)의 상부에 설치되며 승강액추에이터(117)에 의해 상하로 승강 구동할 수 있다. 가압판(116)은 상기 승강판(113)의 안착홈(114)에 안착된 이미지센서(1) 중 기판(2)이 안착홈(114)에 고정되도록 기판(2)의 가장자리 부분을 파지하며, 기판(2)과 승강판(113)을 함께 하강시킨다. 상기 가압판(116)은 이미지센서(1)의 렌즈어레이(4)에는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승강액추에이터(117)는 가압판(116)을 승강구동하는 것이며, 공압실린더가 적용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유압실린더나 리니어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렌즈클램핑부(120)는 기판지지부(110)의 상부에서 렌즈어레이(4)를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렌즈클램핑부(120)는 두 개의 클램핑액추에이터(121)와, 각 클램핑액추에이터(121)의 인출로드(122) 단부에 장착되는 파지부재(123)를 포함한다.
클램핑액추에이터(121)는 기판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클램핑액추에이터(121)는 기판지지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데, 클램핑액추에이터(121)가 설치될 수 있도록 메인지지프레임(13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재(123)는 클램핑액추에이터(121)의 인출로드(122) 단부에 마련되며 인출로드(122)가 인출되면 파지부재(123)가 렌즈어레이(4)의 양측면과 접촉하면서 렌즈어레이(4)를 파지한다.
상기 클램퍼이송부(13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131)과, 베이스프레임(131)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판(132), 이송판(132)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34)이 설치되는 클램퍼지지판(133), 이송판(132)과 클램퍼지지판(133)을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Y축 구동부(135)와 X축 구동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X축과 Y축는 기판(2)의 평면을 따라 지나며 상호 교차하는 두 방향을 가리킨다.
Y축 구동부(135)와 X축 구동부(136)는 각각 스테핑모터와 볼스크류를 포함하며, 이송판(132)과 클램퍼지지판(133)은 각각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스테핑모터에 의해 볼스크류가 회전하면 볼스크류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Y축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렌즈클램핑부(120)에서 렌즈어레이(4)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퍼이송부(130)에 의해 메인지지프레임(134)을 X축과 Y축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기판(2)은 승강판(113) 및 가압판(116)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어레이(4)만 기판(2)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판(2)의 이미지수신부(3)의 센터위치와 렌즈어레이(4)의 센터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상기 제1 본드도포부(14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34)에 상기 클램핑액추에이터(1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두 개의 제1 본드액추에이터(141)와, 상기 제1 본드액추에이터(141)의 제1 진퇴로드(142)에 결합되며, UV 본드가 충진된 제1 주입실린더(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주입실린더(143)는 제1 본드액추에이터(141)에 의해 전진하면 상기 기판(2)과 렌즈어레이(4)가 접촉하는 접촉부의 경계부분으로 UV 본드를 도포할 수 있도록 접근하게 된다.
상기 제2 본드도포부(1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31)에 지지되고, 상기 기판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본드액추에이터(151)와, 상기 제2 본드액추에이터(151)의 제2 진퇴로드(152)에결합되며, UV 본드가 충진된 제2 주입실린더(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주입실린더(153)는 상기 제2 본드액추에이터(151)에 의해 전진하면 렌즈어레이(4)의 바디(5)와 렌즈커버(6)의 경계부에 UV본드를 도포할 수 있도록 접근하게 된다.
상기 제1 주입실린더(143)와 제2 주입실린더(153)에는 각각 제1 가압튜브(144)와 제2 가압튜브(154)가 연결되는데, 제1 가압튜브(144)와 제2 가압튜브(154)를 통해 제1 주입실린더(143)와 제2 주입실린더(153)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압축공기의 공급은 후술하는 제어유닛(300)에 의해 단속되며,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제1 주입실린더(143) 또는 제2 주입실린더(153)에 충진되어 있던 UV 본드가 실린더의 외부로 토출되어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렌즈어레이(4)와 기판(2)의 이미지수신부(3)의 센터 위치 및 렌즈어레이(4)의 초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상기 기판(2)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영상을 받아 전달하는 영상송출부(210)와, 영상송출부(210)에서 송출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22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기판지지부(110)의 상부에는 렌즈어레이(4)와 이미지수신부(3)의 기준 위치를 맞추기 위한 기준표시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준표시부(230)는 중심위치가 표시되어 있는 출력물로서, 기판지지부(110)의 상단에 부착되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패턴 형상일 수 있다.
렌즈어레이(4)의 센터와 기판(2)의 이미지수신부(3) 상의 센터 위치가 맞지 않으면 기준표시부(230)를 통해서 표시되는 기준점의 영상이 모니터(220)에 출력되는 출력영상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기준표시부(230)의 기준이 모니터(220)에서 출력되는 출력 영상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렌즈어레이(4)의 위치를 조절하여 센터를 맞출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렌즈어레이(4)의 바디(5)에 대하여 렌즈커버(6)가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커버(6)에 지지된 렌즈가 렌즈커버(6)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2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렌즈어레이(4)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조이스틱(310)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렌즈클램핑부(120)를 X축 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기판(2)의 이미지수신부(3)와 렌즈어레이(4)의 센터 위치가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장치(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이미지센서(1)를 기판지지부(110)의 안착홈(114)에 안착시킨 후 가압판(116)을 하강시켜 기판(2)을 고정한다. 기판(2)이 고정되면 렌즈클램핑부(120)를 통해 렌즈어레이(4)를 파지하고, 모니터(220)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보면서 작업자가 먼저 렌즈커버(6)를 돌려 렌즈어레이(4)의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이스틱(310)을 통해 클램퍼이송부(130)를 이동시키는데, 모니터(220)의 출력영상을 보면서 렌즈어레이(4)의 센터가 기판(2)의 이미지수신부(3) 센터와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렌즈어레이(4)가 기판(2)의 중심 위치에 맞춰지면 제1 본드도포부(140)와 제2 본드도포부(150)를 통해 UV본드를 도포한다. UV 본드가 도포된 후 램프부(160)를 점등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UV 본드가 경화되면서 렌즈어레이(4)가 기판(2)에 고정되며, 렌즈어레이(4)의 렌즈커버(6)도 바디(5)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이미지센서
2: 기판 3: 이미지수신부
4: 렌즈어레이 5: 바디
6: 렌즈커버
10: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100: 센터정렬유닛 110: 기판지지부
111: 베이스판 112: 접속터미널
113: 승강판 114: 안착홈
115: 탄성부재 116: 가압판
117: 승강액추에이터 120: 렌즈클램핑부
121: 클램핑액추에이터 122: 인출로드
123: 파지부재 130: 클램퍼이송부
131: 베이스프레임 132: 이송판
133: 클램퍼지지판 134: 메인지지프레임
135: Y축 구동부 136: X축 구동부
140: 제1 본드도포부 141: 제1 본드액추에이터
142: 제1 진퇴로드 143: 제1 주입실린더
144: 제1 가압튜브 150: 제2 본드도포부
151: 제2 본드액추에이터 152: 제2 진퇴로드
153: 제2 주입실린더 154: 제2 가압튜브
160: 램프부
200: 디스플레이유닛 210: 영상송출부
220: 모니터 230: 기준표시부
300: 제어유닛 310: 조이스틱

Claims (2)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렌즈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센터정렬유닛과;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된 렌즈어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와, 상기 기판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송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유닛과;
    상기 기판지지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되는 기판의 이미지수신부의 중심위치와 일치하는 중심위치가 표시된 기준표시부와;
    상기 기준표시부와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상기 이미지센서의 초점과 렌즈어레이와 이미지수신부의 중심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렌즈어레이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센터정렬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이스틱을 구비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정렬유닛은
    상기 이미지센서가 안착되는 상기 기판지지부와,
    상기 기판지지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된 이미지센서의 렌즈어레이를 클램핑하는 렌즈클램핑부와,
    상기 렌즈클램핑부가 지지되는 클램퍼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퍼지지판을 상기 기판의 평면상에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및 Y축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클램퍼이송부와,
    상기 렌즈어레이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해상기 렌즈어레이의 하단과 상기 기판이 접촉하는 접촉부에 UV 본드를 도포하는 제1 본드도포부와,
    상기 렌즈어레이의 상부측에서 렌즈어레이의 초점조절 후 렌즈어레이의 바디에 대하여 렌즈커버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렌즈어레이의 바디와 렌즈커버의 연결부에 UV 본드를 도포하는 제2 본드도포부와,
    상기 기판지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본드도포부 및 제2 본드도포부에 의해 도포된 UV 본드가 경화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기판과 이미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터미널이 형성되어있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접속터미널이 관통할 수 있게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기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과 승강판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기판이 상기 접속터미널에 접속되게 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상하로 승강구동하게 하는 승강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클램핑부는 상기 기판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중심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클램핑액추에이터와,
    상기 각각의 클램핑액추에이터의 인출로드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렌즈어레이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퍼이송부는 상기 클램핑액추에이터가 지지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하여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Y축 구동부와,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이 장착되는 상기 클램퍼지지판과,
    상기 클램퍼지지판을 상기 이송판에 대하여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X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드도포부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에 상기 클램핑액추에이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두 개의 제1 본드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본드액추에이터의 제1 진퇴로드에 결합되며, UV 본드가 충진된 제1 주입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드도포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기판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두 개의 제2 본드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본드액추에이터의 제2 진퇴로드에결합되며, UV 본드가 충진된 제2 주입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입실린더와 제2 주입실린더는 각각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단속되며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가압튜브와 제2 가압튜브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조이스틱을 통해 상기 렌즈클램핑부를 X축 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기판의 이미지수신부와 렌즈어레이의 센터 위치가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2. 삭제
KR1020190060445A 2019-05-23 2019-05-23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KR10206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445A KR102065879B1 (ko) 2019-05-23 2019-05-23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445A KR102065879B1 (ko) 2019-05-23 2019-05-23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879B1 true KR102065879B1 (ko) 2020-01-13

Family

ID=6915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445A KR102065879B1 (ko) 2019-05-23 2019-05-23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8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223B1 (ko) 2005-06-30 2006-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봇 툴과 레이저 비전 센서 간의 위치 보정 지그
KR101509176B1 (ko) * 2014-02-24 2015-04-08 (주)아이솔루션 효율성 및 정확도가 향상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방법
KR101906110B1 (ko) * 2018-04-17 2018-10-08 구영욱 비전센서의 센터 정렬장치
KR101906115B1 (ko) * 2018-04-26 2018-11-30 구영욱 비전센서용 중심 세팅장치
KR101906114B1 (ko) * 2018-04-26 2018-11-30 구영욱 비전센서의 중심위치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223B1 (ko) 2005-06-30 2006-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봇 툴과 레이저 비전 센서 간의 위치 보정 지그
KR101509176B1 (ko) * 2014-02-24 2015-04-08 (주)아이솔루션 효율성 및 정확도가 향상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방법
KR101906110B1 (ko) * 2018-04-17 2018-10-08 구영욱 비전센서의 센터 정렬장치
KR101906115B1 (ko) * 2018-04-26 2018-11-30 구영욱 비전센서용 중심 세팅장치
KR101906114B1 (ko) * 2018-04-26 2018-11-30 구영욱 비전센서의 중심위치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891B2 (ja) 傾斜調整機構およびこの傾斜調整機構の制御方法
US20080047651A1 (en) Substrate bonding apparatus having alignment unit and method of aligning substrates using the same
JP200630898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
JP5879461B2 (ja) 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KR100915592B1 (ko)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TW511219B (en) Alignment apparatus
KR101245995B1 (ko) 본딩장치
CN108296751A (zh) 回流线式自校准摄像头组装设备
KR102065879B1 (ko) 이미지센서 정렬장치
KR102034991B1 (ko) 이미지센서 자동 정렬장치
CN112008298A (zh) 全自动精准对位的管座管帽封装装置及对位封装方法
US7150672B2 (en) Cup attaching apparatus
WO2015104892A1 (ja) 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撮像モジュール製造装置
KR101906114B1 (ko) 비전센서의 중심위치 정렬장치
KR101292330B1 (ko) 위치검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의 초점 조정 및 본딩 장치
KR20160129651A (ko)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CN106961538B (zh) 阵列摄像模组的调焦方法及调焦装置
KR101906115B1 (ko) 비전센서용 중심 세팅장치
CN213612373U (zh) Cob全自动耦合固化装置
KR102045506B1 (ko) 미세 피치 회로 검사 장치
JP2001217596A (ja) チップ実装装置におけるアライメント方法
CN210675767U (zh) 一种双工位点胶贴合机
CN213003437U (zh) 全自动精准对位的管座管帽封装装置
KR101906110B1 (ko) 비전센서의 센터 정렬장치
WO2015060188A1 (ja) 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