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73B1 - 인공어초 거푸집 - Google Patents

인공어초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73B1
KR102065673B1 KR1020190071809A KR20190071809A KR102065673B1 KR 102065673 B1 KR102065673 B1 KR 102065673B1 KR 1020190071809 A KR1020190071809 A KR 1020190071809A KR 20190071809 A KR20190071809 A KR 20190071809A KR 102065673 B1 KR102065673 B1 KR 10206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ember
formwork
horizontal
hole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건
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건, 박재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to KR102019007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Abstract

이 건 발명은 인공어초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인공어초로 양생되어지도록 구비된 인공어초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 거푸집은 아우터 거푸패널부의 내부에 인너 거푸패널부가 수직 간격유지부재와 수평 간격유지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의 내부면과 인너 거푸패널부의 외부면 및 수직 간격유지부재와 수평 간격유지부재의 외부면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어지는 콘트리트 공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인공어초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거푸집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또는 서식장소 및 치어나 성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은신처를 갖는 인공어초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어초 거푸집{ARTIFICIAL FISH REEF MOLD}
이 건 발명은 인공어초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간격유지부재와 수평 간격유지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아우터 거푸패널부와 인너 거푸패널부 사이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공간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 수역의 수산자원 증대를 위한 인공적인 구조물로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또는 서식장소로 제공되고 치어나 성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은신처로 인공어초가 제공되고 있다.
인공어초는 자원증식 및 어군의 군집에 의한 어획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어장의 근접화로 조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백화현상이 발생한 해역에서는 해조류의 이식 및 배양을 통해 연안 수역의 갯녹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소정형태를 갖도록 골조를 구비하고, 골조를 감싸듯 거푸집을 구비하여, 거푸집에 적정비율의 시멘트와 모래 그리고 자갈이 물과 함께 혼합되어 믹싱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거푸집에 타설한 후 일정 기간 양생과정을 거친 어초블록에서 거푸집을 해체함으로써, 인공어초블록이 제조되었다.
하지만 콘크리트 모르타르에는 거푸집에 투입하기 전 믹싱과정에서 미세한 기포가 무수히 존재하고 있어, 이러한 기포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양생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층에 기포층이 잔류하게 되어, 어초블록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져, 어장을 이루기 이전에 조기에 붕괴되어 어장형성과는 정반대인 환경오염의 주역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어초블록의 제조과정을 마친 거푸집의 반복적인 해체 및 재조립 과정에서 거푸집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해체 및 재조립에 따른 제조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생산성이 낮아지는 가운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7940호(2012.09.05)의 인공어초 거푸집의 구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거푸집의 구조는 양생과정을 마친 인공어초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할 시 거푸집의 해체 없이 진동기의 구동만으로 인공어초 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할 수 있어, 거푸집의 재조립 및 해체 과정이 필요치 않아 인공어초블록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다수개의 형틀로 이루어져 구조가 복잡한 가운데 별도의 진동기와 결합부재 및 보강플레이트가 소요됨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인공어초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공어초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또는 서식장소 및 치어나 성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은신처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7940호(2012.09.05)
이 건 발명은 인공어초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또는 서식장소 및 치어나 성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갖는 은신처가 제공될 수 있는 인공어초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인공어초로 양생되어지도록 구비된 인공어초 거푸집(A)에 관한 것으로, 아우터 거푸패널부(10)의 내부에 인너 거푸패널부(20)가 다수의 수직 간격유지부재(30)와 수평 간격유지부재(40)에 의하여 결합되어 콘크리트 공간부(50)가 형성된 인공어초 거푸집(A)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10)는 중공의 사각통형태를 갖는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상,하부에 각각 다수의 상,하부 아우터 수직관통홀(111)(111')이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다수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112)(112')이 구비되며,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20)는 중공의 사각통형태를 갖는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상,하부에 각각 다수의 상,하부 인너 수직관통홀(211)(211')이 구비되고,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다수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212)(21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 및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각각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원통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111)(111')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211)(211')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212)(212')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타측 인너 수평관통홀(212)(212')에 맞대어져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내부면과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외부면 사이에 콘트리트 공간부(50)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어초 거푸집(A)의 콘크리트 공간부(50)에는 철근(S)이 배근되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와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원통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는 수평 간격유지부재(40)보다 단면적이 넓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각 모서리에는 각각 외측 상,하부의 대각선방향으로 날개패널부재(120)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날개패널부재(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
Figure 112019113936210-pat00007
"형태의 날개 중공부(121)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날개 중공부(121)를 형성하는 날개패널부재(120)의 양측 경사면에는 다수의 경사 관통홀(122)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 관통홀(122)에 다수의 원통형의 경사 중공부재(130)가 끼워져 상기 날개패널부재(120)의 날개 중공부(12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수직 간격유지부재와 수평 간격유지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아우터 거푸패널부와 인너 거푸패널부 사이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공간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인공어초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거푸집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인공어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또는 서식장소 및 치어나 성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은신처를 갖는 인공어초가 제조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도시한 횡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거푸집(A)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인공어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또는 서식장소 및 치어나 성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은신처가 제공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거푸패널부(10), 인너 거푸패널부(20), 수직 간격유지부재(30), 수평 간격유지부재(40) 및 콘트리트 공간부(5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10)의 내부에 인너 거푸패널부(20)가 수직 간격유지부재(30)와 수평 간격유지부재(4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10)의 내부면과 인너 거푸패널부(20)의 외부면 및 수직 간격유지부재(30)와 수평 간격유지부재(40)의 외부면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어지도록 상기 콘트리트 공간부(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사각통형태를 갖는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하부 아우터 수직관통홀(111)(111')이 구비되어짐으로써,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의 외측단부가 결합되어있다.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112)(112')이 구비되어 상기 수평 간격유지부재(40)의 외측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와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내부면과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외부면 사이에 콘트리트 공간부(50)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지게 하는 것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지며, 각각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원통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모서리에 각각 외측 상,하부의 대각선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패널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각 모서리에는 각각 외측 상,하부의 대각선방향으로 날개패널부재(120)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날개패널부재(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
Figure 112019113936210-pat00008
"형태의 날개 중공부(121)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날개 중공부(121)를 형성하는 날개패널부재(120)의 양측 경사면에는 다수의 경사 관통홀(122)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 관통홀(122)에 다수의 원통형의 경사 중공부재(130)가 끼워져 상기 날개패널부재(120)의 날개 중공부(12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20)는 아우터 거푸패널부(10)의 내부로 삽입되어짐으로써,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C)에 의하여 내부가 막힌 형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통형태를 갖는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부 인너 수직관통홀(211)(211')이 구비되어짐으로써,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의 내측단부가 끼워져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10)의 내부와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타측 인너 수평관통홀(212)(212')이 구비되어짐으로써, 상기 수평 간격유지부재(40)의 내측단부가 끼워지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10)의 내부와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와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각각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어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C)가 양생된 상태에서 관통홀이 구비되도록 하여 내,외부로 해수가 용이하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는 수평 간격유지부재(40)보다 단면적이 넓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공간부(50)에는 외부로부터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타설되어진 콘크리트(C)가 양생되어짐으로써,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또는 서식장소 및 치어나 성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은신처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 건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공간부(50)의 내부로 단순히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공간부(50)의 내부에 철근(S)이 배근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근되어지는 상기 철근(S)에 의하여 강도가 더 높아진 콘크리트 인공어초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공어초 거푸집은 먼저,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가 중공의 사각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날개패널부재(12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부 아우터 수직관통홀(111)(111')이 구비되도록 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112)(112')이 구비되도록 한다.
다음, 인너 거푸패널부재(210)가 중공의 사각통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상,하부에 각각 상,하부 인너 수직관통홀(211)(211')이 구비되도록 하고, 일측과 타측에 일,타측 인너 수평관통홀(212)(212')이 구비되도록 한다.
다음,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내부로 인너 거푸패널부재(210)가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111) )(111')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211)(211')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112)(112')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타측 인너 수평관통홀(212)(212')에 맞대어져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인공어초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111)(111')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211)(211')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212)(212')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타측 인너 수평관통홀(212)(212')에 맞대어져 결합되어진다.
또한,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에 일,타측에 구비된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112)(112')에 수평 간격유지부재(40)의 외측단부가 결합된 후 상기 수평 간격유지부재(40)의 내측단부가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타측에 구비된 일,타측 인너 수평관통홀(212)(212')에 결합되며, 이어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모서리에 구비된 각각의 날개패널부재(120)에 구비된 경사 관통홀(122)에 경사 중공부재(130)가 결합되어진다.
다음,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인공어초 거푸집(A)을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콘크리트 공간부(5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것으로 인공어초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10:아우터 거푸패널부 20:인너 거푸패널부
30:수직 간격유지부재 40:수평 간격유지부재
50:콘트리트 공간부 110:아우터 거푸패널부재
111,111':상,하부 아우터 수직관통홀 112,112':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
120:날개패널부재

Claims (5)

  1. 아우터 거푸패널부(10)의 내부에 인너 거푸패널부(20)가 다수의 수직 간격유지부재(30)와 수평 간격유지부재(40)에 의하여 결합되어 콘크리트 공간부(50)가 형성된 인공어초 거푸집(A)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10)는 중공의 사각통형태를 갖는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상,하부에 각각 다수의 상,하부 아우터 수직관통홀(111)(111')이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다수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112)(112')이 구비되며,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20)는 중공의 사각통형태를 갖는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상,하부에 각각 다수의 상,하부 인너 수직관통홀(211)(211')이 구비되고,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다수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212)(212')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 및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각각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원통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111)(111')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상,하부 수직관통홀(211)(211')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수평 간격유지부재(40)는 상기 아우터 거푸 패널부재(110)의 일,타측 아우터 수평관통홀(212)(212')과 상기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일,타측 인너 수평관통홀(212)(212')에 맞대어져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내부면과 인너 거푸패널부재(210)의 외부면 사이에 콘크리트 공간부(50)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도록 끼워지고, 상기 아우터 거푸패널부재(110)의 각 모서리에는 각각 외측 상,하부의 대각선방향으로 날개패널부재(120)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날개패널부재(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
    Figure 112020500195185-pat00009
    "형태의 날개 중공부(121)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날개 중공부(121)를 형성하는 날개패널부재(120)의 양측 경사면에는 다수의 경사 관통홀(122)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 관통홀(122)에 다수의 원통형의 경사 중공부재(130)가 끼워져 상기 날개패널부재(120)의 날개 중공부(12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간격유지부재(30)는 수평 간격유지부재(40)보다 단면적이 넓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 거푸집(A)의 콘크리트 공간부(50)에는 철근(S)이 배근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거푸집.
KR1020190071809A 2019-06-17 2019-06-17 인공어초 거푸집 KR10206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09A KR102065673B1 (ko) 2019-06-17 2019-06-17 인공어초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09A KR102065673B1 (ko) 2019-06-17 2019-06-17 인공어초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73B1 true KR102065673B1 (ko) 2020-02-11

Family

ID=6956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809A KR102065673B1 (ko) 2019-06-17 2019-06-17 인공어초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28B1 (ko) * 2020-03-05 2020-08-04 아라온건설(주) 돔형 인공어초 거푸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022A (ja) * 1998-07-07 2000-01-2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形型枠
KR100704338B1 (ko) * 2006-01-27 2007-04-09 유원종합건설(주) 날개부를 가진 인공어초
KR20080077591A (ko) * 2008-01-15 2008-08-25 한상관 친환경 콘크리트 몰탈 제조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이용한 도로포장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옹벽시공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방음벽의제조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호안의 구성방법, 그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친환경 블록의 제조방법, 그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그 블록을 이용하여 오염된수질을 정화시키는 방법, 친환경 돌모형의 제조방법 및 그친환경 블록 구조체
KR101045841B1 (ko) * 2011-02-17 2011-07-01 주식회사 성현엔지니어링 다골다공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20120097940A (ko) 2011-02-28 2012-09-05 성오용 인공어초 거푸집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022A (ja) * 1998-07-07 2000-01-2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形型枠
KR100704338B1 (ko) * 2006-01-27 2007-04-09 유원종합건설(주) 날개부를 가진 인공어초
KR20080077591A (ko) * 2008-01-15 2008-08-25 한상관 친환경 콘크리트 몰탈 제조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이용한 도로포장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옹벽시공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방음벽의제조방법, 그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호안의 구성방법, 그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친환경 블록의 제조방법, 그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그 블록을 이용하여 오염된수질을 정화시키는 방법, 친환경 돌모형의 제조방법 및 그친환경 블록 구조체
KR101045841B1 (ko) * 2011-02-17 2011-07-01 주식회사 성현엔지니어링 다골다공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20120097940A (ko) 2011-02-28 2012-09-05 성오용 인공어초 거푸집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28B1 (ko) * 2020-03-05 2020-08-04 아라온건설(주) 돔형 인공어초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301B1 (ko) 인공어초 거푸집의 구조
CN102021895A (zh) 消波块的制造方法及其施工方法
KR102065673B1 (ko) 인공어초 거푸집
KR100950657B1 (ko) 인공어초
KR20120089090A (ko) 소파(消波) 블록 및 이러한 소파 블록의 제조방법
AU2004309226A1 (en) Block structure for gutter, water channel formed of block structure for the gut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lock the structure for gutter
KR102214011B1 (ko) 사각교차형 인공어초의 거푸집
KR102140628B1 (ko) 돔형 인공어초 거푸집
KR101674892B1 (ko)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JP3123522U (ja) 藻場ブロック
KR102359368B1 (ko) 텐트형 인공어초 거푸집
CN110405918A (zh) 一种混凝土人工鱼礁体的预制工艺
KR100874170B1 (ko) 황토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JP2004051461A (ja) 貝殻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2194727A (ja) 護岸構造及び護岸施工方法、並びに護床構造及び護床施工方法
JP2875050B2 (ja) 超硬練コンクリートを利用した伊勢海老魚礁の製造方法
KR100741717B1 (ko) 바다 목장 조성용 인공해림초
JP3001114U (ja) 人工漁礁
JP2875049B2 (ja) 超硬練コンクリートを利用した伊勢海老魚礁
JP2019195276A (ja) 人工礁の製造方法
KR100740419B1 (ko) 친환경 소재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JPH1146619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30019165A (ko) 인공어초의 제작방법
JPS6359827A (ja) 水中コンクリ−トによる人工魚礁の製造方法
JP2720219B2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を利用した伊勢海老魚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