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539B1 -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39B1
KR102065539B1 KR1020190122247A KR20190122247A KR102065539B1 KR 102065539 B1 KR102065539 B1 KR 102065539B1 KR 1020190122247 A KR1020190122247 A KR 1020190122247A KR 20190122247 A KR20190122247 A KR 20190122247A KR 102065539 B1 KR102065539 B1 KR 10206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communication
mod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진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9012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04B1/0346Hand-held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7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or channel sim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9Self-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무전기 통신 시험 보드를 구비하여 사격 통제장치/포병부대 사격지휘체계(BTCS)를 모사하여 무전기 통신 시험을 가능하도록 한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PC와 연동하고,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 무선모드, 무선 모의 모드 중 일 모드가 선택되고, 선택된 해당 모드의 통신 기능 시험을 위한 송신 전문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송신 전문을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전문에 대응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응답 전문에 따라 통신 기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통신 기능 시험 보드; 및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 데이터를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상기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Radio communication function tes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무전기 통신 시험 보드를 구비하여 사격 통제장치/포병부대 사격지휘체계(BTCS)를 모사하여 무전기 통신 시험을 가능하도록 한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군에서 운용중인 무전기는 PTT(Push To Talk)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데이터 단말기의 시리얼 데이터를 무선으로 원거리에 있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반 이중(Half-Duplex) 방식이다.
PTT(Push-to-talk)는 한번에 한 명의 사용자만이 말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 인스턴트 음성을 전달하는 단일 채널 통신 서비스로서, 단지 기기의 버튼을 누르는 것을 통해 음성을 전달할 수 있으며, 다자간 그룹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전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무전기에 연결된 유선 송수화기 또는 인터컴 등으로 유선 음성 통화를 하거나 무선 송수화기로 블루투스 페어링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무전기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BMS(Battle Management System) 같은 데이터 단말기를 연결하여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B2CS(Battalion Battle Command System) 같은 단말기를 연결하여 이더넷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더넷은 맨체스터(Manchester) 코드를 사용하던 10Mbps를 거쳐 4B/5B와 8B/10B 코드를 사용하는 100Mbps와 1Gbps의 전송 속도로 발전하였고, 더욱더 속도를 높여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전기에 대한 유선, 무선 통신 기능 시험을 위해서는 실제와 같은 별도의 사격지휘체계를 구성하여 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격지휘체계 장비에 의존하는 바가 크고, 장비 구매에 비용이 상응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종래의 무전기 통신 기능 시험을 위해서는 고가의 사격지휘체계 장비를 별도로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전기의 유선, 무선통신을 시험할 수 있는 통신보드를 설계하여 무전기 통신 기능을 시험할 수 있고, FPGA 내부 로직을 설계하여 시험 대상품(무전기)의 유무선 통신 시험 시, 통신 보드 내부의 IC 칩을 제어하여 신뢰성 높은 통신 기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전기의 통신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전기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에 따르면, PC와 연동하고,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 무선모드, 무선 모의모드 중 일 모드가 선택되고, 선택된 해당 모드의 통신 기능 시험을 위한 송신 전문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송신 전문을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전문에 대응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응답 전문에 따라 통신 기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통신 기능 시험 보드; 및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 데이터를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상기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전기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은, 유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유선 시험 라인이 연결되고, 무선 모의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무선 모의시험 라인(유선)이 연결되며, 무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제1 무전기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 무전기는 제2 무전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2 무전기는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는, 운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선택 모드에 대한 구동 모듈의 활성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 제어부; 운용자가 유선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성화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을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유선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유선모드 구동모듈; 운용자가 무선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성화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을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PTT 신호에 따라 제1, 2 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PTT 신호에 따라 제2,1 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여 무선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무선모드 구동모듈; 및 운용자가 무선 모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성화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을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모의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무선 모의 모드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모드 구동모듈은, 유선을 통해 제1 무전기와 연결되고, 제1 무전기는 제2 무전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2 무전기는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선모드 구동모듈은,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포맷 변환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고, 전송된 유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상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IDLE Time 필드, 시작 구분자 필드, 전문 데이터 필드,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모드 구동모듈은,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제1 무전기의 PTT 신호를 감지하는 PTT 신호 감지부;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PTT 감지신호에 따라 제1 무전기, 제2 무전기 순으로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 제1 무전기를 거쳐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은,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고,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상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문은,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전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전문은,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에 따르면, PC를 통해 유선모드, 무선모드, 무선 모의 모드 중 일 모드와, 선택된 해당 모드의 통신 기능 시험을 위한 송신 전문을 선택하는 단계; PC와 연동하는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선택된 송신 전문을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원격의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에서,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 데이터를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상기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된 송신 전문에 대응되는 응답 전문을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 전문을 PC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모드 별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은, 유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유선 통신 라인이 연결되고, 무선 모의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무선 모의 유선 라인(유선)이 연결되며, 무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제1 무전기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 무전기는 제2 무전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2 무전기는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시험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가 선택된 경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포맷 변환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전송된 유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에 대한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IDLE Time 필드, 시작 구분자 필드, 전문 데이터 필드,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무선모드가 선택된 경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제1 무전기의 PTT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1 무전기로 유선으로 전송하고, 제1 무전기에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며, 제2 무전기에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제2 무전기를 통해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 제1 무전기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에 대한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무선 모의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클럭에 따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상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클럭에 따라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에 대한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문은,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전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전문은,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별도의 무전기 통신 시험 보드를 구비하여 사격 통제장치/포병부대 사격지휘체계(BTCS)를 모사하여 무전기 통신 시험 시 BTCS 역할을 하여 유선/무선에 해당되는 시험이 가능하여 신뢰성 높은 장비 양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의 통신 시험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선모드 구동모듈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유선모드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모드 구동 모듈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무선모드 및 무선 모의모드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은, PC 연동부(1100)와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를 포함하는 PC(1000), 제1 무전기(2000), 제2 무전기(3000) 및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는 FPGA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보드 형태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PC(1000)내 또는 별도의 다른 PC에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무전기의 유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PC(1000)의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와 통신 응답 처리 보드(4000) 간에 유선 시험 라인이 연결되고, 무전기의 무선 모의모드 시험을 위해 PC(1000)의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 간에 무선 모의 시험라인(유선)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무전기의 무선모드 시험을 위해 PC(1000)의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와 제1 무전기(2000)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 무전기(2000)와 제2 무전기(3000)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2 무전기(3000)는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PC(1000)에는 시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와, 다수의 송신 전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송신 전문을 운용자가 선택하고 수신된 수신 전문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수신 전문을 이용하여 통신 기능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UI)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선택부 및 디스플레이부는 PC 연동부(1100)를 통해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PC(1000) 내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자.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C(1000)내 통신 기능 시험 보드(1200)는 모드 선택 제어부(1210), 유선모드 구동 모듈(1220),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 및 무선 모의모드 구동 모듈(12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모드 선택 제어부(1210)는 운용자가 PC(1000)의 모드 선택부(미도시)를 통해 유선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유선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모드 선택 제어부(1210)는 운용자가 PC(1000)의 모드 선택부를 통해 무선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무선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모드 선택 제어부(1210)는 운용자가 PC(1000)의 모드 선택부를 통해 무선 모의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무선 모의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은 운용자의 유선모드 선택에 따른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에서, 운용자의 송신전문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110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된다.
이에,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상기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전송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유선모드 구동 모듈(1220)로 전송한다.
유선모드 구동 모듈(1220)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유선 라인을 통해 전송한 응답 전문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1100)로 제공한다.
이에, PC(1000)는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UI)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운용자가 확인하여 통신 기능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선모드 구동모듈(1220)은 운용자의 무선모드 선택에 따른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운용자의 송신전문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110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무전기(2000)를 통해 무선으로 제2 무전기(300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은 송신 전문 데이터를 전송 시, PTT 스위치를 온 시킨 상태에서 제1 무전기(2000) 및 제2 무전기(3000)를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한다.
이에,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상기 무선모드 시험을 위해 제1,2 무전기(2000, 3000)를 통해 송신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생성하여 제2 무전기(3000)로 유선으로 전송한다.
제2 무전기(3000)는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무선으로 PTT 스위치를 On 상태로 하여 제1 무전기(2000)로 전송한다.
제1 무전기(2000)는 PTT 스위치를 Off 상태에서 해당 응답 전문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전문을 PTT 스위치 On 상태에서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로 유선을 통해 전송한다.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은 제1 무전기(2000)를 통해 유선으로 전송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1100)로 제공한다.
이에, PC(1000)는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UI)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운용자가 확인하여 통신 기능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 모의 모드 구동모듈(1240)은 운용자의 무선 모의 선택에 따른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에서, 운용자의 송신전문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1100)를 통해 수신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클럭을 생성한 후, 생성된 클럭에 따라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된다.
이에,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상기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전송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무선 모의모드 구동 모듈(1240)로 전송한다.
무선 모의모드 구동 모듈(1240)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전송한 응답 전문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1100)로 제공한다.
이에, PC(1000)는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UI)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운용자가 확인하여 통신 기능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한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 및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선모드 구동모듈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유선모드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은 운용자가 구동모드를 유선모드로 선택하여 도 2의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는 모듈로서, 데이터 변환부(1221), 데이터 송수신부(1222) 및 데이터 추출부(122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에서, 데이터 변환부(1221)는 PC 연동부(1100)를 통해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도 4와 같은 형태의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222)로 제공한다. 여기서, 송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1221)에서 변환되는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eamble 필드, IDLE Time 필드, 시작 구분자 필드, 전문 데이터 필드,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222)는 상기 데이터 변환부(1221)에서 포맷 변환된 송신 전문에 대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한다.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의 데이터 송수신부(1222)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도 4와 동일한 유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부(1222)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전문(수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222)는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데이터 추출부(1223)로 제공한다.
데이터 추출부(1223)는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로부터 전문구성 필드를 파싱하여 응답전문(수신 전문)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응답 전문(수신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1100)를 통해 PC(10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운용자는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수신 전문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 기능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 전문 전체에 대하여 유선 통신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모드 구동 모듈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무선모드 및 무선모드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은 운용자가 구동모드를 무선모드로 선택하여 도 2의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는 모듈로서, 데이터 변환부(1231), PTT 감지부(1233), 제어부(1232), 데이터 송수신부(1233) 및 데이터 추출부(1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에서, 데이터 변환부(1221)는 PC 연동부(1100)를 통해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도 6과 같은 형태의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232)로 제공한다. 여기서, 송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1231)에서 변환되는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PTT 감지부(1233)는 무전기를 통해 무선 통신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위한 것으로, 무선 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PTT 스위치가 On되어 있는지 신호를 감지하고, 무선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PTT 스위치가 OFF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PTT신호의 감지는 운용자에 의해 제1 무전기(200)의 PTT 스위치 On/Off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고, 무선모드 구동 모듈(1230)내 제어부(1232)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PTT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무전기는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서는 PTT신호의 온/오프 선택이 필수적이다.
제어부(1232)는 상기 데이터 변환부(1231)에서 포맷 변환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PTT 감지신호(PTT 스위치 On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부(1234)를 통해 제1 무전기(2000)로 전송한다.
제1 무전기(2000)는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의 데이터 송수신부(1234)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3000)를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한다.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제2 무전기(3000)를 통해 무선 전송되는 송신 전문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도 6과 동일한 무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제2 무전기(3000)로 전송한다.
제2 무전기(3000)는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1 무전기(2000)로 무선 전송한다.
제1 무전기(2000)는 제2 무전기(30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의 데이터 송수신부(1234)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무전기(2000)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제2 무전기(3000)로부터 수신하고, PTT 스위치를 On시킨 상태에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의 데이터 송수신부(1234)로 전송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234)는 상기와 같은 제1 무전기(2000)의 PTT 스위치가 Off된 상태에서 제1 무전기(2000)로부터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어부(1232)로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제2,1 무전기(3000, 2000)를 통해 수신되는 응답 전문(수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32)는 데이터 송수신부(1234)로부터 전송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PTT 감지신호에 따라 데이터 추출부(1235)로 제공한다.
데이터 추출부(1235)는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로부터 전문구성 필드를 파싱하여 응답전문(수신 전문)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응답 전문(수신 전문)을 PC 연동부(1100)를 통해 PC(10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운용자는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수신 전문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 기능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 전문 전체에 대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은 운용자가 구동모드를 무선 모의 모드로 선택하여 도 2의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는 모듈로서, 데이터 변환부(1241), 제어부(1242), 클럭 생성부(1243), 데이터 송수신부(1244) 및 데이터 추출부(12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모드 선택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에서, 데이터 변환부(1221)는 PC 연동부(1100)를 통해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도 4와 같은 형태의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242)로 제공한다. 여기서, 송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1241)에서 변환되는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42)는 데이터 변환부(1241)로부터 변환된 유선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클럭 발생부(1243)를 제어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클럭을 발생시키고, 상기 포맷 변환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1244)로 제공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244)는 제어부(1242)로부터 수신되는 유선 통신 데이터를 클럭 발생부(1243)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동기화시켜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한다.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데이터 송수신부(1244)로부터 무선 모의 시험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송신 전문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도 4와 동일한 유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의 데이터 송수신부(1244)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수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244)는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을 클럭 발생부(1243)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수신하고,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제어부(1242)를 통해 데이터 추출부(1245)로 제공한다.
데이터 추출부(1245)는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전문구성 필드를 파싱하여 응답전문(수신 전문)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응답 전문(수신 전문)을 PC 연동부(1100)를 통해 PC(10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운용자는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수신 전문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 기능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 전문 전체에 대하여 무선 모의모드 통신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통신 기능 시험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8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PC에서 운용자가 시험 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810). 여기서, 시험 모드는 유선모드, 무선모드 및 무선 모의모드일 수 있다.
판단 결과, 복수의 시험 모드중 일 시험 모드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각 모드 별 시험을 위한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 및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하, 모드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는 각 모듈 별로 통신 시험 방법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S810 단계를 통해 운용자가 유선모드를 선택하여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이 활성화된 경우,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 시험을 위한 송신전문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20). 여기서, 송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20 단계를 통해 송신 전문이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은 상기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S821). 여기서,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eamble 필드, IDLE Time 필드, 시작 구분자 필드, 전문 데이터 필드,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변환된 송신 전문에 대한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을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한다(S822).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에 상응하는 응답 전문을 도 4와 동일한 유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로 전송한다(S823). 여기서,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수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모드 구동모듈(1220)은 유선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로부터 전문구성 필드를 파싱하여 응답전문(수신 전문)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응답 전문(수신 전문)을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24).
이에, 운용자는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수신 전문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 기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850).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송신 전문에 대하여 통신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S810 단계를 통해 운용자가 무선모드를 선택하여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선택된 무선 모드에 대한 통신 기능 시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상기 S810 단계를 통해 운용자가 무선모드를 선택하여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이 활성화된 경우,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 시험을 위한 송신전문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830). 여기서, 송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30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임의의 일 송신 전문이 선택된 경우,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은 상기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도 6과 같은 형태의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PTT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832).
판단 결과, PTT신호가 감지된 경우(PTT 스위치가 On된 경우),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은 송신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데이터를 유선라인을 통해 제1 무전기(2000)로 전송하고, 제1 무전기(2000)는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3000)로 무선으로 전송하며, 제2 무전기(3000)는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한다(S833).
이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제2 무전기(3000)를 통해 무선 전송되는 송신 전문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제2 무전기(30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제1 무전기(2000)로 전송되는 응답 전문(수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무전기(3000)는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1 무전기(2000)로 무선 전송한다.
제1 무전기(2000)는 제2 무전기(30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로 전송한다(S834). 이때, 제1 무전기(2000)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PTT 스위치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제2 무전기(30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로 전송한다(S834).
이어, 무선모드 구동모듈(1230)은 상기 수신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PTT 감지신호에 따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로부터 전문구성 필드를 파싱하여 응답전문(수신 전문)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응답 전문(수신 전문)을 PC 연동부(1100)를 통해 PC(1000)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S835).
이에, 운용자는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수신 전문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 기능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송신 전문에 대하여 통신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S810 단계를 통해 운용자가 무선 모의모드를 선택하여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이 활성화된 경우, 운용자에 의해 무선 모의모드 시험을 위한 송신전문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840). 여기서, 송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40 단계를 통해 송신 전문이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은 상기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S841). 여기서,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S841단계를 통해 포맷 변환된 송신 전문에 대한 무선통신 데이터를 무선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생성한다(S842).
이어, 상기 S841 단계를 통해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S842단계를 통해 생성된 클럭에 따라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 전송한다(S843).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는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데이터내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도 6과 동일한 무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무선 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로 전송한다(S844). 여기서,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수신 전문)의 종류로는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1240)은 무선모의 시험 라인을 통해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40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전문구성 필드를 파싱하여 응답전문(수신 전문)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응답 전문(수신 전문)을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45).
이에, 운용자는 PC(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수신 전문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 기능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850).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송신 전문에 대하여 통신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기능 혹은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PC
2000 : 제1 무전기
3000 : 제2 무전기
4000 :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1100 : PC 연동부
1200 : 통신 기능 시험 보드
1220 : 유선모드 구동모듈
1230 : 무선모드 구동모둘
1240 :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
1221, 1231, 1241 : 데이터 변환부
1223, 1235, 1245 : 데이터 추출부
1222, 1234, 1244 : 데이터 송수신부
1232, 1242 : 제어부
1233 : PTT 감지부
1243 : 클럭 생성부

Claims (20)

  1. 무전기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에 있어서,
    PC와 연동하고,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 무선모드, 무선 모의 모드 중 일 모드가 선택되고, 선택된 해당 모드의 통신 기능 시험을 위한 송신 전문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송신 전문을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전문에 대응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응답 전문에 따라 통신 기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통신 기능 시험 보드; 및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 데이터를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상기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를 포함하는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유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유선 시험 라인이 연결되고,
    무선 모의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무선 모의 시험 라인(유선)이 연결되며,
    무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제1 무전기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 무전기는 제2 무전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2 무전기는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는,
    운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선택 모드에 대한 구동 모듈의 활성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 제어부;
    운용자가 유선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성화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을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유선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유선모드 구동모듈;
    운용자가 무선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성화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을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PTT 신호에 따라 제1, 2 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PTT 신호에 따라 제2,1 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여 무선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무선모드 구동모듈; 및
    운용자가 무선 모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성화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운용자가 선택한 송신 전문을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전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모의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무선 모의 모드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드 구동모듈은, 유선을 통해 제1 무전기와 연결되고, 제1 무전기는 제2 무전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2 무전기는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모드 구동모듈은,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포맷 변환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고, 전송된 유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상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IDLE Time 필드, 시작 구분자 필드, 전문 데이터 필드,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드 구동모듈은,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제1 무전기의 PTT 신호를 감지하는 PTT 신호 감지부;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PTT 감지신호에 따라 제1 무전기, 제2 무전기 순으로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 제1 무전기를 거쳐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의모드 구동모듈은,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고,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상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문은,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전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전문은,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12.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을 이용한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에 있어서,
    PC를 통해 유선모드, 무선모드, 무선 모의 모드 중 일 모드와, 선택된 해당 모드의 통신 기능 시험을 위한 송신 전문을 선택하는 단계;
    PC와 연동하는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선택된 송신 전문을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원격의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에서,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전문 데이터를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을 상기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전송된 송신 전문에 대응되는 응답 전문을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시험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 전문을 PC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모드 별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유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유선 통신 라인이 연결되고, 무선 모의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 간에 무선 모의 유선 라인(유선)이 연결되며, 무선모드 시험을 위해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와 제1 무전기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 무전기는 제2 무전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2 무전기는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가 선택된 경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포맷 변환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전송된 유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유선 통신 데이터를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수신된 유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에 대한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IDLE Time 필드, 시작 구분자 필드, 전문 데이터 필드, Postambl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무선모드가 선택된 경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제1 무전기의 PTT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1 무전기로 유선으로 전송하고, 제1 무전기에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며, 제2 무전기에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제2 무전기를 통해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대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제2 무전기, 제1 무전기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에 대한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은, Preamble 필드, Opening Flag 필드, 전문구성 필드, CRC 필드, Closing Flag 필드 및 Postambl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무선 모의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 전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포맷 변환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클럭에 따라 유선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전송된 무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전문에 상응하는 응답 전문이 포함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클럭에 따라 상기 통신 기능 응답 처리 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통신 기능 시험 보드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응답전문 데이터를 PC 연동부를 통해 PC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유선모드에 대한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문은, 전포대 사격명령, 최후 방어 사격 명령, 전포대 통제, 계획 사격 명령, 진지 수정 량, 탄도형 기상 통보문, 일반 전문, 선로 상태 통보 요구, 최후 방어 사격 제원, 전포대 계획 사격 제원, 보고 통보 요구, 탄종롯트 현황, 장약 롯트 현황, 안전 카드 제원, 전포대 사격 정보, 최후 방어 사격 정보, 계획 사격 정보, 포 이동 명령 전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전문은, 전포대 보고사항, 일반전문, 차폐 제원, 장약 온도, 탄약 소모 보고, 사격 제원 보고, 포반 탄종 현황, 신관 현황, 장약 현황, 초속 정보, 상태 보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문을 포함하는 것인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방법.
KR1020190122247A 2019-10-02 2019-10-02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47A KR102065539B1 (ko) 2019-10-02 2019-10-02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47A KR102065539B1 (ko) 2019-10-02 2019-10-02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539B1 true KR102065539B1 (ko) 2020-01-13

Family

ID=6915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247A KR102065539B1 (ko) 2019-10-02 2019-10-02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363A (ja) * 1999-03-11 2000-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機制御方法、システムおよび無線機
KR20110080069A (ko) * 2010-01-04 2011-07-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입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363A (ja) * 1999-03-11 2000-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機制御方法、システムおよび無線機
KR20110080069A (ko) * 2010-01-04 2011-07-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입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5744B (zh) 基于智能手机的红外家电管理系统和方法
JP6307625B2 (ja) 音源の直接選択
US20140158008A1 (en) Remote firing device with diverse initiators
KR102122376B1 (ko) 커넥티드형 차량용 게이트웨이
CN101409871B (zh) 一种远程遥控方法、系统和遥控装置
US20130192486A1 (en) Computer system for the timed firing of pyrotechnic devices that uses a closed or open ethernet network.
KR102065539B1 (ko) 무전기의 통신 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303814B (zh) 一种移动终端与红外中转设备配对的方法
CN107204807A (zh) 蓝牙设备的配对方法及系统
US11224113B2 (en) Lighting system
CN103366547A (zh) 设备识别装置以及遥控系统
CN101753225A (zh) 射频频道决定与变换方法及其射频无线收发系统
CN108566252B (zh) 一种可穿戴设备的通信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
KR101019082B1 (ko) 개량된 비티씨에스 연동장비 시스템
CN104253900B (zh) 智能手机及其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20170091695A (ko) 운영 스탭용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JP2008175454A (ja) 訓練用端末装置
US20150195687A1 (en) Push to talk virtual key
CN106559533A (zh) 一种手机遥控器、遥控系统及方法
CN109520075A (zh) 电量显示方法、装置、遥控器以及空调器
EP3138178B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KR102233743B1 (ko) 유도발사 시스템
CN108151080A (zh) 一种低电量不打火式点火控制系统
KR102177230B1 (ko)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CN219499551U (zh) 一种武器外挂模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