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230B1 -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230B1
KR102177230B1 KR1020180147139A KR20180147139A KR102177230B1 KR 102177230 B1 KR102177230 B1 KR 102177230B1 KR 1020180147139 A KR1020180147139 A KR 1020180147139A KR 20180147139 A KR20180147139 A KR 20180147139A KR 102177230 B1 KR102177230 B1 KR 10217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pin
communication protocol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620A (ko
Inventor
장민석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2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 장비의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된 통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받은 통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선택하는 입력단자 선택부, 상기 제어부에서 받은 상기 통신 식별 정보를 통해 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가 핀에 대한 정보가 없이도 바로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어떤 통신 규약을 사용하고 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rial communication control discriminating}
본 발명은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리얼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리얼 통신 방식에서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핀맵 및 사용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알고 있어야만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커넥터로 구현할 경우에는 표준화된 핀맵이 있으므로 프로토콜별 동일하게 핀맵을 적용할 수 있으나, 군 장비(MS Connector 가 적용된)의 경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핀맵이 바뀔 수 있으므로 장비별로 별도의 점검용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유사상황에 대응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기술에는 정해진 규격(속도 정보, 통신 프로토콜, 핀맵 등)을 만족하게 회로를 구성해야 통신이 가능하며, 한가지라도 조건을 모를 시 통신이 불가능하여, 유사상황 발생시 빠른 대처가 불가능 할 수 있기에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가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MS 커넥터를 이용한 시리얼 통신에 있어서, 정해진 규격에 대한 정보가 없어도 통신을 할 수 있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시리얼 통신을 식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입력단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단자 선택부, 상기 통신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 및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프로토콜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통신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최초 통신 식별 시작 시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특정 식별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는 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식별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특정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각 핀의 고유한 정보가 포함된 핀맵 정보, 상기 제2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기 설정된 양식 및 규칙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규격에 대한 속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최초 통신 식별 시작 시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특정 식별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는 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식별 정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상기 통신 식별 테이블을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식별 테이블은 고유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각 핀을 번호순으로 나열한 핀맵 테이블, 상기 제2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양식 및 규칙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에 대응되는 규격에 맞는 속도 테이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단자 선택부는 상기 핀맵 테이블을 토대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 제어부에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기 위해서 핀의 입력단자 타입 제어신호를 각 상기 핀에 보내는 상기 입력단자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단자 멀티플렉서는 상기 입력단자 타입 제어신호에 따라 핀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단자 멀티플렉서는 핀을 전송용 신호(TX), 수신용 신호(RX), 사용하지 않는 상기 핀 및 없는 핀을 연결하지 않는 신호(NC) 및 모든 회로에 대해 전기적인 기준이 되는 전도체인 접지(GND)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통신 모듈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부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모듈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모듈부는 통신 거리, 전송 속도 및 한 라인에 포함된 송신기/수신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맵의 보유 유무 확인 후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단계, 통신 프로토콜의 보유 유무 확인 후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결정하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속도를 변화시키며 장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입력된 정보에 부합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핀맵 보유 유무를 확인 후, 상기 핀맵을 보유하고 있을 때, 보유한 상기 핀맵을 바탕으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핀맵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 저장되어 있는 핀맵 테이블을 바탕으로, 상기 핀맵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보유 유무 확인 후,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보유하고 있을 때, 보유한 상기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통신 모듈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통신 모듈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바탕으로,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상기 속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보유한 상기 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속도를 변화할 수 있으며, 상기 속도의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저장되어 있는 속도 테이블을 바탕으로, 상기 속도 정보를 변화하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핀맵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보유하지 않는 경우, 핀맵 테이블,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 및 속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단자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 모듈의 선택을 제어하고, 제어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처음 단계로 돌아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은 최초 통신 식별 시 점검부가 데이터 유무를 조사 후 제어부를 통해 없는 데이터를 제어부에 입력하고, 입력단자 선택부가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해 입력단자를 제어하며,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가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부에서 통신을 선택하며, 스위치 제어부가 통신 모듈부에서 선택된 모듈에 따라 스위치 연결 및 분리 신호를 보내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서 유사상황 발생시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당 디버그 핀에 대한 정보가 없이도 바로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어떤 통신 규약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조건을 알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바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별 점검용 케이블을 별도 설계 및 제작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구조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1 내지 도3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구성할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통신 시스템(10)은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는 컴퓨터 통신에서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 통신이므로, 한 비트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주고받는다.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통신을 송수신하는 것을 도와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는 제1 단말기(100)에서 보내는 신호를 규격에 맞춰 제2 단말기(300)로 보낼 수 있다. 규격은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에서 정해진 규격으로 맞춰질 수 있다.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는 직렬 통신으로 원거리 전송에 유리하며,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 사이의 통신이며, 데이터의 전송량이 적지만 구현 기술이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실시간의 작은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는 핀맵 및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가 없어도 바로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바뀌는 핀맵을 확인하기 위한 장비별 점검용 케이블을 별도 설계 및 제작 할 필요가 없다.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는 제1 단말기(100)에서 보내는 통신의 통신 거리를 길게 도와주고, 장거리 전송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 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와 원하는 통신 속도에 따라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에서 사용하는 통신 모듈을 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는 제어부(210), 입력단자 선택부(220) 및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 를 포함하며, 제어부(210)는 점검부(212), 선택 제어부(214) 및 저장부(216)를 포함하고, 입력단자 선택부(220)는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 및 입력단자 제어부(224)를 포함하고,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는 통신 멀티플렉서(232) 및 통신 모듈부(234)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통신 식별 테이블을 가지고 있는 저장부(216)를 포함하며, 최종 통신 가능 조건을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216)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식별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점검부(212) 및 선택 제어부(214)를 포함하며, 점검부(212)는 최초 통신 식별을 시작할 때 통신 식별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선택 제어부(214)는 입력단자 선택부(220)에서 선택한 입력단자 및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에서 선택한 통신 프로토콜의 선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식별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특정 식별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는 특정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식별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핀맵 정보, 속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정보는 제2 단말기(300)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기 설정된 양식 및 규칙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이며, 통신 프로토콜은 직렬 통신 방식을 가지고 있는 RS-422, RS-485, RS-23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 정보는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로 정해져 있을 수 있다.
핀맵 정보는 제2 단말기(300)의 각 핀의 고유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핀맵이며, 핀은 송신, 수신 및 사용하지 않는 핀과 없는 핀을 연결하지 않는 핀으로 나뉠 수 있으며, 핀맵 정보는 하나의 핀맵으로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속도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규격에 맞는 속도의 정보를 뜻하며, 규격에 따라 최대 속도가 변할 수 있으며, 통신을 하며 변화시킬 수 있는 속도의 구간을 알려주는 정보이다.
통신 식별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특정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는 저장부(216)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식별 테이블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 식별 테이블은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 핀맵 테이블, 속도 테이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은 제2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양식 및 규칙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며, 직렬 통신 방식을 가지고 있는 RS-422, RS-485, RS-23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렬 통신 방식을 가지고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핀맵 테이블은 고유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각 핀을 번호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핀은 송신, 수신 및 사용하지 않는 핀과 없는 핀을 연결하지 않는 핀으로 나뉠 수 있으며, 핀의 고유한 정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의해 핀의 고유한 정보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속도 테이블은 통신 프로토콜의 정해진 규격에 맞는 속도의 정보를 뜻하며, 규격에 따라 최대 속도가 변할 수 있으며, 통신을 하며 변화시킬 수 있는 속도의 구간을 알려주는 정보이다.
제어부(210)는 제어부(210)의 저장부(216)에 저장된 핀맵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 제어부(214)를 통해 입력단자 선택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단자 선택부(220)는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가 내장되어 있다.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는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단자 선택부(220)는 입력된 핀맵 정보 또는 핀맵 테이블을 토대로 각각의 핀에 입력 할 입력단자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핀에 입력 할 입력단자 타입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TX),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RX), 사용하지 않는 핀과 없는 핀을 연결하지 않는 신호(NC) 및 모든 회로에 대해 전기적인 기준이 되는 전도체인 접지 GND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입력단자 제어부(224)는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의 선택 제어부(214)는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를 통해 전송되는 입력단자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는 통신 멀티플렉서(232)가 내장되어 있다. 통신 멀티플렉서(232)는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는 입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토대로 통신 모듈부(234)에서 사용할 통신을 선택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제1 통신모듈(236), 제2 통신모듈(238) 및 제3 통신모듈(239)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멀티플렉서(232)는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의 통신 모듈부(234)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에 따라 통신 멀티플렉서(232)가 스위치에 보내는 연결 및 분리 신호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선택 제어부(214)를 포함하고 있으며, 선택 제어부(214)는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전송되는 스위치 연결 및 분리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전송된 통신 모듈은 각각의 스위치에 연결 및 분리 신호를 보내 각각의 핀을 연결시켜주고, 분리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입력단자 선택부(220) 및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와 제어신호 및 통신 식별 테이블을 주고 받으며,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각각의 스위치로 전송된 연결 및 분리 신호를 통해 통신 모듈에 맞는 핀들이 연결되며, 통신 모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속도를 변화시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확인하고, 통신을 시작하며, 통신이 되지 않으면 점검부(212)로 다시 돌아가 핀맵, 통신 프로토콜 및 속도 정보의 유무부터 다시 확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200)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를 나타낸 회로도는 제어부(210), 입력단자 선택부(220),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 및 통신 모듈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단자 선택부(220)에 핀맵 정보를 주며,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에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선택 제어부(214)를 포함하며, 선택 제어부(214)는 입력단자 선택부(220)에서 선택되어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를 통해 전송되는 핀의 입력단자 타입 핀 및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에서 선택되어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전송되는 통신 모듈의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부(234)에서 통신 모듈의 정보를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에서 선택 후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스위치에 전달하며, 선택 제어부(214)에서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스위치에 전달되는 스위치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단자 선택부(220)는 핀맵 정보 및 핀맵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핀의 입력단자 타입이 정해질 수 있다. 입력단자 선택부(220)는 핀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는 통신 모듈부(234)를 포함하고, 통신 모듈부(234)에는 제1 통신모듈(236), 제2 통신모듈(238) 및 제3 통신모듈(239)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부(234)에서 제1 통신모듈(236)은 RS-422, 제2 통신모듈(238)은 RS-485 및 제3 통신모듈(239)은 RS-232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은 RS-422, RS-485 및 RS-232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를 직렬 전송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규격으로 통신 모듈에 사용 될 수 있다.
제3 통신모듈(239)인 RS-232는 50 ft에서 1 Mbps까지 최대 데이터 속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최대 거리는 19.2 kbps에서 50 ft까지 갈 수 있다. 또한 full-duplex 모드로 작동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회선이 수신 및 전송에 사용되므로 정보를 동시에 주고받을 수 있으며, 송신기 1개에 수신기 1개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236)인 RS-422는 50 ft에서 10 mbps까지 최대 데이터 속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최대 거리는 100 kbps에서 4000 ft까지 갈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 시 2개의 라인을 각각 사용하여 RS232(239)에 비해 소음이 적고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송신기1개에 최대 10개의 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38)인 RS-485는 50ft에서 10 mbps까지 최대 데이터 속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최대 거리는 100 kbps에서 4000 ft까지 갈 수 있으며, 제1 통신모듈(236)인 RS-422가 개선된 버전으로 기능이 확장되었으며, 최대 32개의 송신기에 최대 32개의 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한 번에 하나의 송신기만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410)는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것이다.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제어부(210)의 점검부(212)에서 핀맵의 정보 유무를 확인한다.
핀맵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면, 보유한 핀맵 정보를 바탕으로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할 수 있다.
핀맵의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입력단자 선택부(220)는 제어부(210)의 저장부(216)에 저장된 핀맵 테이블을 이용하여 핀맵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할 수 있다. 핀맵 테이블의 순차적 적용은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를 통해 이뤄 지며, 제어부(210)의 선택 제어부(214)를 통해 핀으로의 입력단자 타입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핀의 입력단자 타입은 RX, TX, NC, G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시리얼 통신에는 RX, TX, GND를 이용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의해 핀의 입력단자 타입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인 RX는 수신을 하는 수신 데이터이며, TX는 전송을 하는 전송 데이터며, GND는 모든 회로에 대해 전기적인 기준이 되는 전도체인 접지이고, NC는 사용하지 않는 핀이거나 없는 핀을 연결하지 않는 핀의 입력단자 타입이다.
단계(S420)는 통신 모듈 제어 단계이다. 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제어부(210)의 점검부(212)에서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 유무를 확인한다.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보유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 모듈을 결정하여, 결정된 통신모듈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는 제어부(210)의 저장부(216)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통신 모듈에 맞게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의 순차적 적용으로 스위치의 연결 및 분리는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이뤄지며, 제어부(210)의 선택 제어부(214)를 통해 스위치로의 스위치의 연결 및 분리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은 통신 모듈부(234)의 제1 통신모듈(236), 제2 통신모듈(238) 및 제3 통신모듈(239)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단계(S430)는 장비와의 통신 수행 단계이다. 장비와의 통신 수행을 위해 우선적으로 제어부(210)의 점검부(212)에서 속도의 정보 유무를 확인한다.
속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면, 보유한 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속도를 변화하며 제2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다.
속도의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210)의 저장부(216)에 저장된 속도테이블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속도를 변화시키며, 제2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440)는 데이터 수신 확인 단계이다. 데이터가 수신되면 통신 수행이 되는 것이며, 데이터 미수신 시 처음 단계로 돌아가 순차적으로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510)는 최초 통신 식별을 시작 시 핀맵 정보 유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점검부(212)는 최초 통신 식별 시 핀맵의 정보 보유 유무를 확인한다. 핀맵을 보유하고 있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만, 핀맵을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핀맵 테이블을 적용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12)는 핀맵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때 제어부(210)의 저장부(216)에 저장된 핀맵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단자 선택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핀맵 테이블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핀맵의 정보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핀맵의 정보를 포함한 핀맵 테이블일 수 있다.
단계(S520)는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기 위한 단계이다. 입력단자 선택부(220)는 적용된 핀맵 정보 및 핀맵 테이블을 통해 제어할 핀을 선택하고,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를 통해 각각의 입력단자 타입을 핀에 보내며, 핀은 각각의 입력단자 타입에 따라 전송용 TX, 수신용 RX, 사용하지 않는 핀 및 없는 핀을 연결하지 않는 NC 및 모든 회로에 대해 전기적인 기준이 되는 전도체인 접지 GND등으로 분류 될 수 있다.
입력단자 제어부(224)에서 각각의 핀 별로 알맞은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보내는 것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를 통해 핀에 입력단자 타입을 보낼 수 있다. 제어부(210)의 선택 제어부(214)는 입력단자 멀티플렉서(222)를 통해 핀에 입력단자 타입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S520)가 만족되면, 통신 프로토콜 유무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
단계(S530)는 점검부(212)에서 통신 프로토콜 보유 유무를 확인한다.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만, 통신 프로토콜을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적용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32)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때 제어부(210)의 저장부(216)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일 수 있다.
단계(S540)는 통신 모듈 결정 후 스위치 연결 및 분리하는 단계이다.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230)는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통해 사용할 통신 모듈을 통신 선택하고,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핀의 연결 여부를 스위치로 보내줄 수 있다. 통신 테이블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있는 통신 모듈부(234)는 통신 모듈은 제1 통신모듈(236), 제2 통신모듈(238) 및 제3 통신모듈(239)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540)은 통신 모듈 결정 후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스위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멀티플렉서(232)를 통해 받은 스위치의 연결 여부에 대한 스위치들의 연결 및 분리 신호는 제어부(210)의 선택 제어부(214)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단계(S540)가 만족되면, 속도 유무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
단계(S550)는 점검부(212)에서 속도의 정보 유무를 확인한다. 속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만, 속도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속도 테이블을 적용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22)는 속도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때 제어부(210)의 저장부(216)에 저장된 속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속도 테이블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속도의 정보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속도의 정보를 포함한 속도 테이블일 수 있다.
단계(S560)는 제어부(210)에서 속도를 변화시키며 제2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다. 통신 모듈에 따라 최고 속도 및 거리는 제한될 수 있다.
단계(S570)는 핀맵, 통신 프로토콜 및 속도의 정보가 모두 확인이 되면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확인해봐야 한다. 통신이 가능하지 않다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핀맵 정보 유무, 통신 프로토콜 유무 및 속도 유무에 대해 다시 확인해봐야 한다.
단계(S570)에서 통신 가능에 대한 확인은 사용자가 입력한 ICD에 부합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해보고, 수신이 된다면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원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통신 조건을 메시지나 기타 방법으로 출력하고, 미수신 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핀맵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건을 바꾸어 반복 수행할 수 있다.
ICD는 Interface Control Document로서 시스템 간 데이터를 연동하기 위한 데이터 정의 및 프로토콜 등을 기술하는 문서이다.
단계(S570)까지 끝나면 통신이 성공되어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 사이에서 선택한 통신모듈에 따른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시리얼 통신 시스템
100: 제1 단말기
200: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210: 제어부
220: 입력단자 선택부
230: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
300: 제2 단말기

Claims (14)

  1.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시리얼 통신을 식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입력단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단자 선택부;
    상기 통신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 및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통신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최초 통신 식별 시작 시 (i)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핀맵 정보, (ii)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iii)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식별 정보의 보유 유무를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식별 정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통신 식별 테이블을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식별 테이블은,
    고유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각 핀을 번호순으로 나열한 핀맵 테이블;
    상기 제2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양식 및 규칙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에 대응되는 규격에 맞는 속도 테이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i) 상기 점검부를 통해 상기 핀맵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핀맵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핀맵 테이블을 적용시켜 상기 각 핀의 입력 단자 타입을 제어하고, (ii) 상기 점검부를 통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적용시켜 통신 모듈에 맞게 상기 복수의 입력 단자를 제어하고, (iii) 상기 점검부를 통해 상기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속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속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통신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점검부에서 (i)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핀맵 정보, (ii)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iii) 상기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를 순차적으로 다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식별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특정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각 핀의 고유한 정보가 포함된 핀맵 정보;
    상기 제2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기 설정된 양식 및 규칙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규격에 대한 속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선택부는,
    상기 핀맵 테이블을 토대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단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 제어부에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기 위해서 핀의 입력단자 타입 제어신호를 각 상기 핀에 보내는 입력단자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멀티플렉서는 상기 입력단자 타입 제어신호에 따라 핀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단자 멀티플렉서는 핀을 전송용 신호(TX), 수신용 신호(RX), 사용하지 않는 상기 핀 및 없는 핀을 연결하지 않는 신호(NC) 및 모든 회로에 대해 전기적인 기준이 되는 전도체인 접지(GND)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선택부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토대로, 통신 모듈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부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모듈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부는 통신 거리, 전송 속도 및 한 라인에 포함된 송신기/수신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10.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시리얼 통신을 식별하는 장치에 의한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에 있어서,
    최초 통신 식별 시작 시 (i)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핀맵 정보, (ii)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iii)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식별 정보의 보유 유무를 점검부에서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핀맵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결정하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속도를 변화시키며 장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입력된 정보에 부합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식별 정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통신 식별 테이블을 포함하는 통신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식별 테이블은,
    고유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각 핀을 번호순으로 나열한 핀맵 테이블;
    상기 제2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양식 및 규칙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에 대응되는 규격에 맞는 속도 테이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부를 통해 상기 핀맵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핀맵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핀맵 테이블을 적용시켜 상기 각 핀의 입력 단자 타입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부를 통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적용시켜 통신 모듈에 맞게 상기 입력 단자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점검부를 통해 상기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속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속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통신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점검부에서 (i)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핀맵 정보, (ii)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iii) 상기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를 다시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핀맵 정보의 보유 유무를 확인 후,
    상기 핀맵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보유한 상기 핀맵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핀맵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저장되어 있는 핀맵 테이블을 바탕으로, 상기 핀맵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상기 핀의 입력단자 타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 보유 유무 확인 후,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보유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 모듈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통신 모듈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바탕으로,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속도 정보의 보유 유무 확인 후,
    상기 속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보유한 상기 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속도를 변화할 수 있으며,
    상기 속도의 정보를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저장되어 있는 속도 테이블을 바탕으로, 상기 속도 정보를 변화하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핀맵 정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 및 상기 속도 정보를 보유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핀맵 테이블, 상기 통신 프로토콜 테이블 및 상기 속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단자 타입 및 통신 프로토콜 모듈의 선택을 제어하고, 제어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처음 단계로 돌아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통신 식별방법.
KR1020180147139A 2018-11-26 2018-11-26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KR10217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39A KR102177230B1 (ko) 2018-11-26 2018-11-26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39A KR102177230B1 (ko) 2018-11-26 2018-11-26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20A KR20200061620A (ko) 2020-06-03
KR102177230B1 true KR102177230B1 (ko) 2020-11-10

Family

ID=7108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39A KR102177230B1 (ko) 2018-11-26 2018-11-26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2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173B1 (ko) * 2014-05-14 2015-05-26 (주) 에어로매스터 항공기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401A (ja) * 1998-04-01 1999-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アダプタ装置
KR101074058B1 (ko) * 2009-12-21 2011-10-17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현장 장치를 위한 하드웨어 어댑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173B1 (ko) * 2014-05-14 2015-05-26 (주) 에어로매스터 항공기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20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2684B1 (en) Network documentation system with electronic modules
KR101991342B1 (ko) 연결 포트 검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CN101752760A (zh) 多工usb线缆连接器
CN101335570B (zh) 数据通信系统和方法
CN102365844A (zh) 通信适配器装置
CN110851386B (zh) 一种接口配置设备
CN102215067A (zh) 端口自协商方法和装置
CN102143238A (zh) 通讯接口、切换电路及通讯接口的切换方法
CN103561087A (zh) 一种设备互连方法及装置
CN105591817A (zh) 一种协商模式处理方法及智能网络设备
CN104242998A (zh) 一种通过磁传感器快捷共享多种信息的方法及系统
KR102177230B1 (ko) 시리얼 통신 식별장치 및 방법
CN105318485A (zh) 空调器室内机的分组控制电路和方法
CN109804655A (zh) 射频网络中信号传输的方法、射频系统和检测设备
CN112260916B (zh) 通信电路、通信网络及通信异常处理方法
CN203869260U (zh) 空调器室内机的分组控制电路
CN101330508A (zh) 连接器及其通信方法
US107289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with transmitting activity detection
CN108737673B (zh) 网络电话设备、外部连接卡以及网络电话设备的通讯方法
US77246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ervice switching
CN103376369B (zh) 通讯负载的测试方法及装置
US20080133955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supporting automatic network identification for power supplies
CN104426752A (zh) 主逆变器与从逆变器之间的数据共享系统
US7543044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CN113692030A (zh) 无人车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