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440B1 -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440B1
KR102065440B1 KR1020190080536A KR20190080536A KR102065440B1 KR 102065440 B1 KR102065440 B1 KR 102065440B1 KR 1020190080536 A KR1020190080536 A KR 1020190080536A KR 20190080536 A KR20190080536 A KR 20190080536A KR 102065440 B1 KR102065440 B1 KR 10206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gene
kit
chamb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강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디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디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디피아
Priority to KR102019008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40B1/ko
Priority to PCT/KR2020/007333 priority patent/WO20210026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3Stretching or orienting elongated molecules o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0Integrating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 single entity, e.g. lab-on-a-chip concep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346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 G01N2035/00356Holding samples at elevated temperature (incubation)
    • G01N2035/00366Several different temperatures u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564Handling or washing solid phase elements, e.g. b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모듈이 포함한 올인원 키트로서, 전처리 및 분자진단을 위해 샘플시료 주입구가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가 주입되고 수용되면서 분석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키트 본체;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샘플시료 주입구를 통해서 주입된 상기 샘플시료를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자성을 이용하여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 모듈: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을 통해서 잔여물이 제거된 상기 샘플시료를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고, 농축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분자진단에 필요한 유전자를 용해하여 추출하는 농축 용해 모듈; 및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농축 용해 모듈울 통해서 추출된 상기 유전자를 분석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 이내에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는 유전자 분석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서 상기 유전자 분석 모듈로 상기 유전자의 이동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BIOLOGICAL SAMPLE PRETREATMENT AND MOLECULAR DIAGNOSTICS FOR DETECTION OF ON SITE PATHOGENS ALL-IN-ONE KIT AND ALL-IN-ONE KIT}
본 발명은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진단용 올인원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별도의 검사실이 구축 없이 시료의 전처리에서 검출에 필요한 구성 물질을 하나의 카트리지에 주입하여 유전자의 추출과 감영 여부를 진단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유전체 염기서열 전체가 모두 해독된 후, 질병과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하여, 개인별 및 인종별 다양성을 기반으로 나타나는 단일 염기쌍의 차이에 대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간 유전자의 99.9%는 일치하나, 0.1~0.5%의 SNP 및 CNV(copy number variation)등의 차이로 인해 체질, 외모, 질병 등 개인별 및 인종별 유전적 특성이 나타나며, 사람마다 동일한 약을 사용해도 약의 효능과 약효, 반응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SNP, CNV 등의 차이로 알려져 있다.
한편, 감염성 질환 중의 하나인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으로,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 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전반에 걸친 전신질환이 발생한다.
상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 되어지는 약물 중 trimethoprim 및 sulfamethoxazole은 sulfonamides계 항생제로 엽산 합성 억제제로 감염성 질환의 일차 선택약제제로 사용되어지며, 상기 trimethoprim은 Dihydrofolate reductase의 억제제로 쓰이고, 상기 sulfamethoxazole은 세균의 핵산대사에 필요한 엽산의 합성을 저해하는 정균성(bacteriostatic) 항생제이며, 상기 trimethoprim 및 sulfamethxazole의 병합투여하면 항균 작용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으며, isoniazid은 결핵에 처방되는 1차 치료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Trimethoprim, isoniazid, sulfamethoxazole을 감염 치료제로 사용하였을경우, 약물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두드러기, 가려움증, 발열, 발진, 근육통, 독성표피괴사(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스티븐스 증후군(Stevens Johnson Syndrome, SJS), 골수억제, 전해질 불균형, 결정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상기 Trimethoprim, isoniazid, sulfamethoxazole은 NAT2의 유전자가 변형없이 존재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낮지만, NAT2의 유전자의 변형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대로된 화학 작용이 발생하지 않아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며, 부작용의 증상이 심각해지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Trimethoprim, isoniazid, sulfamethoxazole을 투여하기 전에 개인별 SNP를 확인하여 유전자형을 파악하고 환자의 개인에 맞는 약물과 약물 투여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각종 생화학 테러물질이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신종인플루엔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에볼라 바이러스 등 유해한 병원체들의 출현과 전염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며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유해 병원체를 현장에서 신속, 정확한 기술로 검출함으로써 질병의 대대적인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기존 현장형 분자진단은 시료 전처리를 위한 검사실 구축, 전처리 과정에서의 2차오염의 가능성, 신,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낮은 특이도, 위양성 판정, 국외 제품 위주의 고비용 키트 등 여러 한계점이 현장성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현장형 분자진단 플랫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인 신속한 분자진단기검사는 약 20여종의 병원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시스템으로 매우 고비용의 의료비가 지출되고 있으며, 병원체의 검출 빈도는 4 ~ 5 종류의 병원체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검출 빈도를 고려하여 단계적 검사 활용 가능성을 반영한 의료비용의 절감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24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915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위험성 병원균의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검체를 검사용 카트리지에 주입하면 자동으로 검체에서 핵산이 추출되고 의심 병원균의 유전자 증폭이 이뤄져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모듈이 포함한 올인원 키트로서, 전처리 및 분자진단을 위해 샘플시료 주입구가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가 주입되고 수용되면서 분석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키트 본체;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샘플시료 주입구를 통해서 주입된 상기 샘플시료를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자성을 이용하여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 모듈: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을 통해서 잔여물이 제거된 상기 샘플시료를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고, 농축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분자진단에 필요한 유전자를 용해하여 추출하는 농축 용해 모듈; 및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농축 용해 모듈울 통해서 추출된 상기 유전자를 분석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 이내에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는 유전자 분석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서 상기 유전자 분석 모듈로 상기 유전자의 이동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은, 상기 키트 본체의 일부분에 상기 샘플시료 주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샘플시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와 양측면의 일부분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제 1챔버; 상기 제 1챔버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수용된 상기 샘플시료 중에서 분석을 위해 필요한 상기 샘플시료를 선별적으로 선택하는 막대자석; 및 상기 제 1챔버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막대자석을 움직이면서 상기 샘플시료에 포함된 잔여물을 제거하는 제 1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트리거는, 상부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가 상기 제 1챔버의 하부 관통홀을 통해서 돌출되면서 상기 막대자석을 거치하는 막대자석 거치대; 및 상기 막대자석 거치대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설정된 길이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키트 본체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작동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를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움직여서 상기 막대자석 거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거치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 용해 모듈은, 상기 키트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챔버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제 1챔버의 입출구측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면서 좌우 왕복운동을 하여 상기 막대자석을 이송시키는 제 2트리거; 상기 제 1챔버에 형성된 출구측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제 1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 2트리거를 통해서 이송된 상기 샘플시료의 농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 2챔버; 및 상기 제 2챔버에 농축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분석이 필요한 유전자를 추출하기 위한 용해를 위해 열원을 제공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트리거는, 상기 막대자석에 대응하는 막대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챔버의 입출구측 관통홀을 통해서 각각 관통하면서 상기 막대자석을 상기 제 2챔버로 이송시키는 막대자석 이송바; 및 상기 키트 본체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2작동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 상기 막대자석 이송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송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 분석 모듈은, 상기 키트 본체 내에서 상기 농축 용해 모듈과 연결되면서 형성되고 일부분에 제 3작동홀이 구비된 분석 챔버; 및 상기 분석 챔버에 수용되며 다수개의 관로가 형성되어 있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하고, 상기 제 3작동홀을 통해서 일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를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분석 챔버 내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서 추출된 상기 유전자를 전달받는 유전자 수용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를 제 1챔버에 주입하고 상기 샘플시료를 막대자석으로 포획하는 샘플시료 주입단계; 상기 샘플시료 주입단계를 통해서 주입된 상기 샘플시료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 1챔버의 하부에 구비된 제 1트리거가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서 상기 막대자석에 결합되지 않는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단계; 상기 잔여물 제거단계를 통해서 잔여물이 제거된 상기 샘플시료가 부착된 상기 막대자석을 제 2트리거에 의해 제 2챔버로 이동시키는 샘플시료 이송단계; 상기 샘플시료 이송단계를 통해서 이송된 상기 샘플시료를 상기 제 2챔버에서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는 샘플시료 농축단계; 상기 샘플시료 농축단계를 통해서 농축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히팅부재를 이용한 용해로 분석에 필요한 유전자를 추출하는 유전자 추출단계; 상기 유전자 추출단계를 통해서 추출된 상기 유전자를 유전자 분석 모듈로 이동시키는 유전자 이동단계; 및 상기 유전자 이동단계를 통해서 이동된 상기 유전자를 분석하는 유전자 분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 이동단계에서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서 상기 유전자 분석 모듈로 상기 유전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 분석단계에서는, PCR을 이용해서 유전자를 증폭하여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올인원 키트에 샘플시료의 주입만으로 샘플시료로부터 농축 용해 모듈에서 유전자 추출과 유전자 분석 모듈에서 유전자 증폭을 통해 샘플시료 감염 여부의 결과까지 현장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올인원 키트에 샘플시료만 주입하면 되므로 감염의 우려가 있는 샘플시료로부터 검사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샘플시료로부터 올인원 키트를 이용하여 핵산을 추출하고 증폭하는 조작을 한 번에 처리하여 시간 및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종의 분자진단 플랫폼 기술이기 때문에 진단을 위한 올인원 키트만 바꾸면 다른 종류의 진단에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샘플시료를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여 설정된 시간이내에 분자진단법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현장형 병원체 분석의 빠른 반응으로 별도의 검사실 구축 없이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여 현재 분자진단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소규모 의료기관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과 농축 용해 모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상기 농축 용해 모듈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유전자 분석 모듈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올인원 키트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과 농축 용해 모듈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상기 농축 용해 모듈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유전자 분석 모듈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올인원 키트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모듈이 포함한 올인원 키트로서, 키트 본체(10), 잔여물 제거 모듈(100), 농축 용해 모듈(200) 및 유전자 분석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 본체(10)는 전처리 및 분자진단을 위해 샘플시료 주입구(20)가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가 주입되고 수용되면서 분석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처리(pretreatment)란, 하수, 폐기물, 퇴비 등의 처리를 할 때, 처리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미리 실행하는 처리를 말한다. 하수처리에서는 스크리닝에 의한 대형 고형물의 제거, 수세에 의한 미립자의 제거, 응집제의 첨가 등의 조작을 말한다. 폐기물 처리에서는 선별, 증발, 탈수, 여과, 흡수, 흡착, 분쇄, 압축, 소각 등의 조작을 말한다. 또 퇴비화 처리에서는 유리, 고무, 플라스틱 등의 비퇴비 물질의 제거, 퇴비화 물질의 파쇄 등의 조작을 말한다.
즉, 시료의 전처리 목적은 시료에 목적물질 분석을 위한 것으로, 전처리 과정은 목적물질을 시료에서 최대한 손실없이 뽑아내어 기기에서 분석하기 좋은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잔여물 제거 모듈(100)은 키트 본체(10)에 구비되어 샘플시료 주입구를 통해서 주입된 샘플시료를 수용하고, 수용된 샘플시료에서 자성을 이용하여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잔여물 제거 모듈(100)은 제 1챔버(110), 막대자석(120) 및 제 1트리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챔버(110)는 키트 본체(10)의 일부분에 샘플시료 주입구(20)에 연결되어 샘플시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와 양측면의 일부분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막대자석(120)은 제 1챔버(110)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수용된 샘플시료 중에서 분석을 위해 필요한 샘플시료를 선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제 1트리거(130)상기 제 1챔버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막대자석을 움직이면서 상기 샘플시료에 포함된 잔여물을 제거하는
제 1트리거(130)는 막대자석 거치대(132) 및 거치대 지지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자석 거치대(132)는 상부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돌기가 제 1챔버(110)의 하부 관통홀(116)을 통해서 돌출되면서 막대자석(120)을 거치할 수 있다.
거치대 지지대(134)는 막대자석 거치대(132)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설정된 길이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키트 본체(10)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작동홀(12)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돌출부를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움직여서 막대자석 거치대(13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막대자석(120)의 원위치로의 복귀는 외부에서 자석 등을 이용해서 막대자석(120)을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농축 용해 모듈(200)은 키트 본체(10)에 구비되며 잔여물 제거 모듈(100)에 연결되어 잔여물 제거 모듈(100)을 통해서 잔여물이 제거된 샘플시료를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고, 농축된 샘플시료에서 분자진단에 필요한 유전자를 용해하여 추출할 수 있다.
농축 용해 모듈(200)에서 유전자 분석 모듈(300)로 유전자의 이동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농축 용해 모듈(200)은 제 2트리거(210), 제 2챔버(220) 및 히팅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트리거(210)는 키트 본체(1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제 1챔버(110)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제 1챔버(110)의 입출구측 관통홀(112, 114)을 각각 관통하면서 좌우 왕복운동을 하여 막대자석(120)을 이송시킬 수 있다.
제 2트리거(210)는 막대자석 이송바(212) 및 이송바 손잡이(214)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자석 이송바(212)는 막대자석(120)에 대응하는 막대형상으로 제작되어 제 1챔버(110)의 입출구측 관통홀(112, 114)을 통해서 각각 관통하면서 막대자석(120)을 제 2챔버(21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바 손잡이(214)는 키트 본체(10)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2작동홀(14)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 막대자석 이송바(212)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 2트리거(210)로 막대자석(120)을 이송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샘플시료를 주입된 샘플시료 대비 10배의 고농도로 농축시켜서 샘플시료 내의 병원체 검출 민감도의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챔버(220)는 제 1챔버(110)에 형성된 출구측 관통홀(114)을 통해서 제 1챔버(110)와 연결되며 제 2트리거(210)를 통해서 이송된 샘플시료의 농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히팅부재(230)는 제 2챔버(210)에 농축된 샘플시료에서 분석이 필요한 유전자를 추출하기 위한 용해를 위해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히팅부재(230)로는 열풍팬, 열선, 전기스토브, 인덕션, 히터 등의 기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유전자 분석 모듈(300)은 키트 본체(10)에 구비되며 농축 용해 모듈(200)에 연결되어 농축 용해 모듈(200)을 통해서 추출된 유전자를 분석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30분) 이내에 PCR 반응을 통해 증폭(30~40 cycles)할 수 있다.
유전자 분석 모듈(300)은 분석 챔버(310) 및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챔버(310)는 키트 본체(10) 내에서 농축 용해 모듈(200)과 연결되면서 형성되고 일부분에 제 3작동홀(15)이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은 분석 챔버(310)에 수용되며 다수 개의 관로가 형성되어 있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하고, 제 3작동홀(15)을 통해서 일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를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분석 챔버(310) 내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농축 용해 모듈(200)에서 추출된 유전자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 챔버(310)와 제 2챔버(220)는 각각의 하부에 현성된 연통홀(30)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연통홀(30)에 대응하여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의 일부분에 돌출형성된 유전자 주입구(50)를 통해서 제 2챔버(220)에서 추출된 유전자를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으로 수용할 수 있다.
PCR(중합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현재 유전물질을 조작하여 실험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사용하고 있는 검사법으로, 검출을 원하는 특정 표적 유전물질을 증폭하는 방법이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 의해, 소량의 유전물질로부터 염기 순서가 동일한 유전물질을 많은 양으로 증폭할 수 있으므로, 인간의 DNA를 증폭하여 여러 종류의 유전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의 DNA에 적용하여 감염성 질환의 진단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는, 유전자 증폭 칩,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자 증폭 칩은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샘플시료들의 감염 여부를 동시에 확인하고, 유전자 증폭에 필요한 시약의 일부가 내부에 건조되어 있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샘플시료 내 병원체의 농축 및 검출 겸용 PCR 칩(유전자 증폭 칩)은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폴리부틸렌프탈레이트(polybuthylene 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Polyetheretherketone) 및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서버는 키트 본체(10)에 연결되어 유전자의 증폭을 위한 농축 용해 모듈(200)의 온도 제어와 유전자가 증폭된 결과를 분석하여 검사자가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는, 각종 생화학 테러물질이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신종인플루엔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에볼라 바이러스 등의 검체를 올인원 키트(1)에 주입하여 현장에서 즉각적인 분석 및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는, 각각의 제 1, 2트리거(130, 210)와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0는 유압펌프,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유압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컨트롤러 등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의 제어가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샘플시료 주입단계(S100), 잔여물 제거단계(S200), 샘플시료 이송단계(S300), 샘플시료 농축단계(S400), 유전자 추출단계(S500), 유전자 이동단계(S600) 및 유전자 분석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
샘플시료 주입단계(S100)는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를 제 1챔버(110)에 주입하고 샘플시료를 막대자석(120)으로 포획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를 키트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샘플시료 주입구(20)를 통해서 제 1챔버(110)로 주입하고 막대자석(120)을 이용하여 샘플시료 중에서 잔여물을 제거할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잔여물 제거단계(S200)는 샘플시료 주입단계(S100)를 통해서 주입된 샘플시료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제 1챔버(110)의 하부에 구비된 제 1트리거(130)가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서 막대자석(120)에 결합되지 않는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 1작동홀(12)을 통해서 노출된 거치대 지지대(134)의 일부분이 노출된 제 1트리거(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막대자석(120)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운동을 통해서 자성이 없는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샘플시료 이송단계(S300)는 잔여물 제거단계(S200)를 통해서 잔여물이 제거된 샘플시료가 부착된 막대자석(120)을 제 2트리거(210)에 의해 제 2챔버(220)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 2트리거(210)가 제 1챔버(110)의 입출구측 관통홀(112, 114)을 관통하면서 샘플시료가 부착된 막대자석(120)을 제 2챔버(220)로 보내는 작업을 통해서 제 2챔버(220)에 유전자의 추출을 위한 샘플시료를 농축시킬 수 있다.
샘플시료 농축단계(S400)는 샘플시료 이송단계(S300)를 통해서 이송된 샘플시료를 제 2챔버(220)에서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는 단계이다. 상기 샘플시료 이송단계(S300)와 샘플시료 농축단계(S400)의 과정의 반복을 통해서 기존 샘플시료의 10배로 농축이 가능하다.
유전자 추출단계(S500)는 샘플시료 농축단계(S400)를 통해서 농축된 샘플시료에서 히팅부재(230)를 이용한 용해로 분석에 필요한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히터, 열풍팬, 인덕션 등을 이용하여 샘플시료가 농축된 제 2챔버(220)를 가열하여 분석에 필요한 유전자를 추출해낼 수 있다.
유전자 이동단계(S600)는 유전자 추출단계(S500)를 통해서 추출된 유전자를 유전자 분석 모듈(320)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유전자 이동단계(S600)에서는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로을 통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서 유전자 분석 모듈로 유전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트 본체(10)의 제 3작동홀(16)을 통해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유전자 수용 하우징(320)을 제 2챔버(220) 쪽으로 이동시키고 추출된 유전자를 내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로를 이용한 모세관 현상으로 전달받아 분석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유전자 분석단계(S700)는 유전자 이동단계(S600)를 통해서 이동된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유전자 분석단계(S700)에서는 PCR을 이용해서 유전자를 증폭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PCR 증폭 반응을 이용하여 유전자를 증폭하고 검진이나 분석이 가능하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설명과 상기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 올인원 키트(1)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올인원 키트(1)에 샘플시료의 주입만으로 샘플시료로부터 농축 용해 모듈(200)에서 유전자 추출과 유전자 분석 모듈(300)에서 유전자 증폭을 통해 샘플시료 감염 여부의 결과까지 현장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올인원 키트(1)에 샘플시료만 주입하면 되므로 감염의 우려가 있는 샘플시료로부터 검사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샘플시료로부터 올인원 키트(1)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추출하고 증폭하는 조작을 한 번에 처리하여 시간 및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종의 분자진단 플랫폼 기술이기 때문에 진단을 위한 올인원 키트(1)만 바꾸면 다른 종류의 진단에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샘플시료를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여 설정된 시간이내에 분자진단법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올인원 키트(1)를 이용한 현장형 병원체 분석의 빠른 반응으로 별도의 검사실 구축 없이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여 현재 분자진단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소규모 의료기관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 올인원 키트
20 : 샘플시료 주입구
10 : 키트 본체
12 : 제 1작동홀
14 : 제 2작동홀
16 : 제 3작동홀
30 : 연통홀
50 : 유전자 주입구
100 : 잔여물 제거 모듈
110 : 제 1챔버
112 : 입구측 관통홀
114 : 출구측 관통홀
116 : 하부 관통홀
120 : 막대자석
130 : 제 1트리거
132 : 막대자석 거치대
134 : 거치대 지지대
200 : 농축 용해 모듈
210 : 제 2트리거
212 : 막대자석 이송바
214 : 이송바 손잡이
220 : 제 2챔버
230 : 히팅부재
300 : 유전자 분석 모듈
310 : 분석 챔버
320 : 유전자 수용 하우징

Claims (9)

  1.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모듈이 포함된 올인원 키트로서,
    전처리 및 분자진단을 위해 샘플시료 주입구가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가 주입되고 수용되면서 분석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키트 본체;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샘플시료 주입구를 통해서 주입된 상기 샘플시료를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자성을 이용하여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 모듈: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을 통해서 잔여물이 제거된 상기 샘플시료를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고, 농축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분자진단에 필요한 유전자를 용해하여 추출하는 농축 용해 모듈; 및
    상기 키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농축 용해 모듈을 통해서 추출된 상기 유전자를 분석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 이내에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는 유전자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서 상기 유전자 분석 모듈로 상기 유전자의 이동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며,
    상기 잔여물 제거 모듈은,
    상기 키트 본체의 일부분에 상기 샘플시료 주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샘플시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와 양측면의 일부분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제 1챔버;
    상기 제 1챔버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수용된 상기 샘플시료 중에서 분석을 위해 필요한 상기 샘플시료를 선별적으로 선택하는 막대자석; 및
    상기 제 1챔버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막대자석을 움직이면서 상기 샘플시료에 포함된 잔여물을 제거하는 제 1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트리거는,
    상부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가 상기 제 1챔버의 하부 관통홀을 통해서 돌출되면서 상기 막대자석을 거치하는 막대자석 거치대; 및
    상기 막대자석 거치대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설정된 길이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키트 본체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작동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를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움직여서 상기 막대자석 거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거치대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 용해 모듈은,
    상기 키트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챔버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제 1챔버의 입출구측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면서 좌우 왕복운동을 하여 상기 막대자석을 이송시키는 제 2트리거;
    상기 제 1챔버에 형성된 출구측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제 1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 2트리거를 통해서 이송된 상기 샘플시료의 농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 2챔버; 및
    상기 제 2챔버에 농축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분석이 필요한 유전자를 추출하기 위한 용해를 위해 열원을 제공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트리거는,
    상기 막대자석에 대응하는 막대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챔버의 입출구측 관통홀을 통해서 각각 관통하면서 상기 막대자석을 상기 제 2챔버로 이송시키는 막대자석 이송바; 및
    상기 키트 본체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2작동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 상기 막대자석 이송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송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분석 모듈은,
    상기 키트 본체 내에서 상기 농축 용해 모듈과 연결되면서 형성되고 일부분에 제 3작동홀이 구비된 분석 챔버; 및
    상기 분석 챔버에 수용되며 다수개의 관로가 형성되어 있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하고, 상기 제 3작동홀을 통해서 일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를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분석 챔버 내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상기 농축 용해 모듈에서 추출된 상기 유전자를 전달받는 유전자 수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7. 청구항 1, 3 내지 6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있어서,
    자성입자가 결합된 샘플시료를 제 1챔버에 주입하고 상기 샘플시료를 막대자석으로 포획하는 샘플시료 주입단계;
    상기 샘플시료 주입단계를 통해서 주입된 상기 샘플시료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 1챔버의 하부에 구비된 제 1트리거가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서 상기 막대자석에 결합되지 않는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단계;
    상기 잔여물 제거단계를 통해서 잔여물이 제거된 상기 샘플시료가 부착된 상기 막대자석을 제 2트리거에 의해 제 2챔버로 이동시키는 샘플시료 이송단계;
    상기 샘플시료 이송단계를 통해서 이송된 상기 샘플시료를 상기 제 2챔버에서 설정된 농도로 농축하는 샘플시료 농축단계;
    상기 샘플시료 농축단계를 통해서 농축된 상기 샘플시료에서 히팅부재를 이용한 용해로 분석에 필요한 유전자를 추출하는 유전자 추출단계;
    상기 유전자 추출단계를 통해서 추출된 상기 유전자를 유전자 분석 모듈로 이동시키는 유전자 이동단계; 및
    상기 유전자 이동단계를 통해서 이동된 상기 유전자를 분석하는 유전자 분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이동단계에서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서 상기 유전자 분석 모듈로 상기 유전자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분석단계에서는,
    PCR을 이용해서 유전자를 증폭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0190080536A 2019-07-04 2019-07-04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065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36A KR102065440B1 (ko) 2019-07-04 2019-07-04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PCT/KR2020/007333 WO2021002602A1 (ko) 2019-07-04 2020-06-05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36A KR102065440B1 (ko) 2019-07-04 2019-07-04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440B1 true KR102065440B1 (ko) 2020-02-11

Family

ID=6956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536A KR102065440B1 (ko) 2019-07-04 2019-07-04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5440B1 (ko)
WO (1) WO202100260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602A1 (ko) *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유디피아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20220087363A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필메디 올인원 현장진단용 분자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분자진단방법
KR102560737B1 (ko) 2023-01-31 2023-07-27 (주)아이진 현장형 분자진단 전처리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4259B (zh) * 2022-05-05 2023-03-21 东南大学 一种多通道一体化核酸快速检测系统及检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746A1 (en) * 2005-06-27 2009-02-05 Thomas Ehb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 Sample for an Analysis and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a Sample
KR101712464B1 (ko) 2015-12-14 2017-03-06 대한민국 감염성 질환 치료제 대사효소 관련 유전자 snp 지노타이핑 시약,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유전자형 분석방법
KR101799153B1 (ko) 2015-08-31 2017-11-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료 내 병원체의 농축 및 검출 겸용 pcr 칩
KR101871042B1 (ko) * 2016-06-29 2018-06-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정지액체상 랩온어칩을 이용한 핵산 시료의 제조 방법
KR20190031873A (ko) * 2017-09-18 2019-03-27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현장검사용 전자동 유전자 검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440B1 (ko) * 2019-07-04 2020-02-11 주식회사 유디피아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746A1 (en) * 2005-06-27 2009-02-05 Thomas Ehb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 Sample for an Analysis and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a Sample
KR101799153B1 (ko) 2015-08-31 2017-11-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료 내 병원체의 농축 및 검출 겸용 pcr 칩
KR101712464B1 (ko) 2015-12-14 2017-03-06 대한민국 감염성 질환 치료제 대사효소 관련 유전자 snp 지노타이핑 시약,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유전자형 분석방법
KR101871042B1 (ko) * 2016-06-29 2018-06-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정지액체상 랩온어칩을 이용한 핵산 시료의 제조 방법
KR20190031873A (ko) * 2017-09-18 2019-03-27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현장검사용 전자동 유전자 검출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602A1 (ko) *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유디피아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20220087363A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필메디 올인원 현장진단용 분자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분자진단방법
KR102656267B1 (ko) 2020-12-17 2024-04-15 주식회사 필메디 올인원 현장진단용 분자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분자진단방법
KR102560737B1 (ko) 2023-01-31 2023-07-27 (주)아이진 현장형 분자진단 전처리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602A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440B1 (ko) 현장형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생체시료 전처리 및 분자진단 올인원 키트 및 올인원 키트를 이용한 진단 방법
US8298763B2 (en) Automated high-throughput flow-through real-time diagnostic system
US11008627B2 (en) Diagnostic system
JP7239568B2 (ja) 携帯型分子診断デバイスおよび標的ウイルスの検出方法
JP4692200B2 (ja) 化学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6536704B (zh) 核酸扩增装置、核酸扩增方法以及核酸扩增用芯片
CN101848765B (zh) 分析方法
RU2432205C2 (ru) Картридж,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диагностики
Chandler et al. Automated immunomagnetic separation and microarray detection of E. coli O157: H7 from poultry carcass rinse
US201500875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ampling, screening, and diagnosis
US20080166793A1 (en) Sorting, amplificatio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nucleic acid subsequences in a complex mixture
US20100112549A1 (en) Microorganis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1003941A1 (en) Device for detection of biological agents
KR102089633B1 (ko) 미세 유체 제어를 위한 진단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현장형 분자진단 시스템
CA292037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ploying onboard reagents in a diagnostic device
US109273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questering substances in bulk liquids
EP3652350A1 (en) Methods to detect cells latently infected with hiv
EP405877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bacteria in a sample using dielectrophoresis
US10525461B2 (en) Cartridge for purification of biological samples
EP400072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pathogen
JP2023546179A (ja) 分子poc診断システム内で統合された熱調節及びpcr
WO20210972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bacteria in a sample using dielectrophoresis
KR20240080404A (ko) 유전자 추출 및 검출용 시스템
Chen Smartphone-based systems for mobile infectious disease detection and epidemiology
CN117377776A (zh) 基于电浸润的crispr的核酸检测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