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368B1 -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368B1
KR102065368B1 KR1020197024281A KR20197024281A KR102065368B1 KR 102065368 B1 KR102065368 B1 KR 102065368B1 KR 1020197024281 A KR1020197024281 A KR 1020197024281A KR 20197024281 A KR20197024281 A KR 20197024281A KR 102065368 B1 KR102065368 B1 KR 10206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arbon black
composition
conveyor belt
butadien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978A (ko
Inventor
더칭 조우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06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3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with reinforcing layers, e.g. of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타디엔 고무를 50질량% 초과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고무 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며,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가 5.0×104~16.6×104이고,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60~100질량부이고,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85~160 m2/g이고, 카본 블랙의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이 105~140 ml/100 g인,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상면 커버 고무층과, 보강층과, 하면 커버 고무층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이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컨베이어 벨트에는 환경을 배려하는 관점에서 장수명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종래 벨트 컨베이어의 내마모 수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고무 성분으로서 네오디뮴계 촉매에 의해 합성한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용 고무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05136호
이러한 가운데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을 참고로 하여 고무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를 평가한 바, 이러한 고무 조성물이 내마모성 또는 가공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지견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부타디엔 고무를 소정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무 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며,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long chain branching index)에 대한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 및 카본 블랙의 함유량, 질소 흡착 비표면적 및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이 소정의 범위임으로써, 소망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 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1. 부타디엔 고무를 50질량% 초과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고무 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며,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에 대한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가 5.0×104~16.6×104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60~100질량부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85~160 m2/g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이 105~140 ml/100 g인,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2.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100만인, 상기 1에 기재한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3. 상기 장쇄 분지 지수가 0.1~12.0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4.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상면 커버 고무층과,
보강층과,
하면 커버 고무층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는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의 아주 알맞은 실시 양태의 일 예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숫자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은 그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분이 2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성분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물질의 합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마모성 및 가공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보다 우수한 것을,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타디엔 고무를 50질량% 초과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고무 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며,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에 대한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가 5.0×104~16.6×104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60~100질량부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85~160 m2/g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이 105~140 ml/100 g인,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소망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자는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가 큰 경우, 이러한 부타디엔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고무의 내마모성이 높아지는 것을 지견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타디엔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은 가공성이 낮아지는 것을 찾아냈다.
상기와 같은 가공성의 악화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일반적으로는 가공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입경이 작은 카본 블랙(즉,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소정의 범위인 카본 블랙)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가공성의 악화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지견했다.
또한, 상기 부타디엔 고무를 절반을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고무 성분에 대하여, 상기 카본 블랙을 종래보다 많은 양으로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 및 가공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지견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무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무 성분을 함유하며, 고무 성분은 소정의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한다.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BR)는 부타디엔의 단독 중합체이다.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의 효과(내마모성 및 가공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50만~100만이 바람직하고, 50만~8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사이클로헥산을 용매로 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측정값을 기초로 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LCB Index)는, 본 발명의 효과(특히 내마모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0.1~12.0이 바람직하고, 1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는 RPA2000형 시험기(알파 테크놀로지스사(Alpha Technologies Company) 제품)를 이용하여, 100℃의 조건하에서 LAOS(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대진폭 진동 전단)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장쇄 분지 지수가 영에 가까울수록, 부타디엔 고무의 분지도가 낮은 것을 나타낸다.
장쇄 분지 지수(LCB Index)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FT-Rheology, a Tool to Quantify Long Chain Branching(LCB) in Natural Rubber and its Effect on Mastication, Mixing Behaviour and Final Properties."(Henri G. Burhin, Alpha Technologies, UK 15 Rue du Culot B-1435 Hevillers, Belgium)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
본 발명에 있어서,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에 대한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는 5.0×104~16.6×104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는, 본 발명의 효과(내마모성 및 가공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5.3×104~14.2×104이 바람직하고, 5.3×104~10.0×104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타디엔 고무의 마이크로 구조)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1, 4-시스 구조는, 본 발명의 효과(특히 내마모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97% 이상이 바람직하고, 9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1, 4-트랜스 구조는, 본 발명의 효과(특히 내마모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1, 2-비닐 구조는, 본 발명의 효과(특히 내마모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타디엔 고무의 마이크로 구조는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해석되었다. 740 cm- 1는 1, 4-시스 구조, 967 cm- 1는 1, 4-트랜스 구조, 910 cm- 1는 1, 2-비닐 구조의 흡수대이며, 각 흡수 강도비로부터 마이크로 구조를 산출했다.
(부타디엔 고무의 제조 방법)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부타디엔을, 예를 들어 코발트계 촉매 및/또는 네오디뮴계 촉매와 같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합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코발트계 촉매, 네오디뮴계 촉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코발트계 촉매는 코발트를 갖는 화합물로 할 수 있다. 네오디뮴계 촉매는 네오디뮴(Nd)을 갖는 화합물로 할 수 있다.
<부타디엔 고무의 함유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질량% 초과 100질량% 이하이다. 「50질량% 초과」는 50질량%를 초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내마모성 및 가공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고무 성분 전량에 대하여 60~90질량%가 바람직하고, 70~9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초과 90질량%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타디엔 고무 이외의 고무)
본 발명에 있어서, 고무 성분은 상기 부타디엔 고무 이외의 고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타디엔 고무 이외의 고무로서는, 예를 들어 디엔계 고무(상기 부타디엔 고무를 제외한다)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NR), 이소프렌 고무(IR), 상기 이외의 부타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 고무(예를 들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부틸 고무(IIR), 할로겐화 부틸 고무(예를 들어, Br-IIR, Cl-IIR), 클로로프렌 고무(CR)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천연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가 바람직하다.
고무 성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카본 블랙>>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질소 흡착 비표면적(N2SA)이 85~160 m2/g인 동시에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DBP 흡유량)이 105~140 ml/100 g인 카본 블랙을 함유한다.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
본 발명에 있어서,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N2SA)은 85~160 m2/g이다.
상기 질소 흡착 비표면적은, 본 발명의 효과(내마모성 및 가공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100~150 m2/g이 바람직하고, 115~145 m2/g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은 카본 블랙 표면으로의 질소 흡착량을 JIS K6217-2:2001 「제2부: 비표면적의 구하는 방법-질소 흡착법-단점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카본 블랙의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
본 발명에 있어서, 카본 블랙의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DBP 흡유량)은 105~140 ml/100 g이다. 상기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내마모성 및 가공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110~135 ml/100 g이 바람직하고, 110~130 ml/100 g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은 JIS K 6217-4:2008 「고무용 카본 블랙-기본 특성-제4부: 오일 흡수량의 구하는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었다.
상기 카본 블랙으로서는, 예를 들어
SAF(Super Abrasion Furnace) 카본 블랙,
ISAF(Intermediate Super Abrasion Furnace) 카본 블랙,
HAF-HS(High Abrasion Furnace-High Structure) 카본 블랙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상기 카본 블랙은, 본 발명의 효과(특히 내마모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SAF가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카본 블랙의 함유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60~100질량부이다.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내마모성 및 가공성)가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60~9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60~8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각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카본 블랙 이외의 카본 블랙, 백색 충전제, 노화 방지제 6C와 같은 노화 방지제, 산화아연, 스테아르산, 가공 조제, 파라핀 왁스, 아로마 오일, 액상 폴리머, 테르펜계 수지, 열경화성 수지, 황과 같은 가황제, 가황 조제, 가황 촉진제, 가황 지연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유량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각 성분(황 등의 가황제, 가황 촉진제를 제외한다)을 밴버리 믹서 등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이어서 상기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에 황 등의 가황제, 가황 촉진제를 가하고 이들을 혼련 롤기 등으로 혼련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가황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황으로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를 들어 140~160℃의 조건하에서 가열하고, 가압함으로써 가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형성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상면 커버 고무층과,
보강층과,
하면 커버 고무층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이다.
상면 커버 고무층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면 커버 고무층은 1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할 수 있다. 보강층, 하면 커버 고무층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의 아주 알맞은 실시 양태의 일 예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1)는 상면 커버 고무층(2), 보강층(3) 및 하면 커버 고무층(4)을 가지며,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상면 커버 고무층(2)의 표면은 운반물 반송면(5)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상면 커버 고무층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커버 고무층이 2층 이상의 층을 갖는 경우, 당해 2층 이상의 층 중 적어도 1층 또는 모든 층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최외층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 상면 커버 고무층(2)은 외층(11) 및 내층(12)을 갖는다. 외층(11) 및/또는 내층(12)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외층(11)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11)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내층(12)을 보강층(3) 및 외층(11)을 접착시키기 위한 층으로 할 수 있다.
하면 커버 고무층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무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하면 커버 고무층(4)은 외층(16) 및 내층(15)을 갖는다. 외층(16)과 내층(15)은 동일 또는 상이한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보강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컨베이어 벨트에 이용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보강층은, 예를 들어 심체(芯體)와 접착 고무를 가질 수 있다.
심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섬유; 스틸과 같은 금속을 들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범포(帆布)로서 사용할 수 있다. 범포는 평직물의 천을 의미한다.
접착 고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보강층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트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보강층 안에 와이어상 보강선(예를 들어, 스틸 코드(steel cord))을 병렬로 매립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시트상 보강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1층의 범포, 복수층의 범포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상면 커버 고무층의 두께는 3~25 mm가 바람직하다.
하면 커버 고무층의 두께는 3~20 mm가 바람직하고, 5~15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면 커버 고무층이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면 커버 고무층의 두께는 이들 층의 두께의 합계로 할 수 있다. 하면 커버 고무층의 두께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는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1표의 각 성분을 동일 표에 나타내는 조성(질량부)으로 이용하여, 이들을 교반기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하기 제1표에 나타내는 성분 중 황 및 가황 촉진제를 제외한 성분을 밴버리 믹서로 140℃의 조건하에서 혼합하고, 이어서 얻어진 혼합물에 황 및 가황 촉진제를 가하고, 이들을 혼련 롤기를 이용하여 30℃의 조건하에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했다.
<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수행했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내마모성: DIN 마모)
·평가용 가황 고무 시트의 제작
상기와 같이 제조한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시트상 조성물을 148℃의 조건하에서 30분간 가열 가황하여 가황 고무 시트를 제작했다.
·DIN 마모 시험
상기 가황 고무 시트를 사용하고, JIS K 6264-2:2005 6.4.1에 준거하여 DIN 마모 시험기를 이용하여 25℃의 조건하에서 DIN 마모 시험(B법)을 수행하고, 상기 가황 고무 시트의 마모 체적(DIN 마모)을 측정했다.
·평가 기준
상기와 같이 측정된 마모 체적을, 비교예 1의 결과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했다.
상기 지수가 100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가공성)
·롤 가공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서 상기 혼련 롤기로 혼합 중인 고무 시트의 롤에의 휘감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가공성(롤 가공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가공성은 하기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했다.
○: 조성물의 고무 시트가 롤에 대하여 들뜸없이 휘감겨 양호한 혼련 가공을 할 수 있음
△: 조성물의 고무 시트가 롤에 대하여 조금 들뜸이 있는 상태로 휘감기지만, 문제없이 혼련 가공을 할 수 있음
×: 조성물의 고무 시트가 롤에 대하여 들뜨기 때문에 휘감기지 않아 혼련 가공을 할 수 없음
본 발명에 있어서, 롤 가공의 평가 결과가 ○ 또는 △이면, 가공성이 우수하다. ○가 △보다 가공성이 보다 우수하다.
Figure 112019085207040-pct00001
제1표에 나타낸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NR: 천연 고무(RSS#3)
·BR1: 부타디엔 고무, 중량 평균 분자량(Mw) 77만, 장쇄 분지 지수(LCB) 8.5, Mw/LCB=9.1×104(Buna CB21, 란세스사(Lanxess) 제품, 네오디뮴계 촉매의 존재하에서 부타디엔을 중합시켜 얻어진 부타디엔 고무. 마이크로 구조: 1, 4-시스 구조 97.9%, 1, 4-트랜스 구조 1.9%, 1, 2-비닐 구조 0.2%)
·BR2: 부타디엔 고무, 중량 평균 분자량(Mw) 56만, 장쇄 분지 지수(LCB) 7.3, Mw/LCB=7.7×104(Ubepol BR-360L, 우베코산가부시키가이샤(Ube Industries, Ltd.) 제품, 코발트계 촉매의 존재하에서 부타디엔을 중합시켜 얻어진 부타디엔 고무. 마이크로 구조: 1, 4-시스 구조 97.8%, 1, 4-트랜스 구조 0.9%, 1, 2-비닐 구조 1.3%)
·BR3: 부타디엔 고무, 중량 평균 분자량(Mw) 50만, 장쇄 분지 지수(LCB) 9.5, Mw/LCB=5.3×104(상품명 Nipol BR1220, 닛폰제온가부시키가이샤(Zeon Corporation) 제품, 코발트계 촉매의 존재하에서 부타디엔을 중합시켜 얻어진 부타디엔 고무. 마이크로 구조: 1, 4-시스 구조 98%, 1, 4-트랜스 구조 1.0%, 1, 2-비닐 구조 1.0%)
·BR4(비교): 부타디엔 고무, 중량 평균 분자량(Mw) 38만, 장쇄 분지 지수(LCB) 12.3, Mw/LCB=3.1×104(상품명 UBEPOL BR-130B, 우베코산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코발트계 촉매의 존재하에서 부타디엔을 중합시켜 얻어진 부타디엔 고무. 마이크로 구조: 1, 4-시스 구조 96.0%, 1, 4-트랜스 구조 1.3%, 1, 2-비닐 구조 2.7%)
·CB1: 카본 블랙, 질소 흡착 비표면적 144 m2/g,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 115 ml/100 g (쇼블랙 N110, SAF 그레이드, 캐봇재팬가부시키가이샤(Cabot Japan K.K.) 제품)
·CB2(비교): 카본 블랙, 질소 흡착 비표면적 81 m2/g,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 75 ml/100 g(쇼블랙 N326, HAF-LS 그레이드, 캐봇재팬가부시키가이샤 제품) CB2는 질소 흡착 비표면적 및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다.
·노화 방지제 6C: 노크락(NOCRAC) 6C(오우치신코카가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제품)
·산화아연: 산화아연 3종(세이도카가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Seid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제품)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YR(니치유가부시키가이샤(NOF Corporation) 제품)
·파라핀 왁스: OZOACE-0015(닛폰세이로가부시키가이샤(Nippon Seiro Co., Ltd.) 제품)
·아로마 오일: A-OMIX(산쿄유카코교가부시키가이샤(Sankyo Yuka Kogyo K.K.) 제품)
·가황 촉진제 NS: 녹셀러(NOCCELER) NS-P(오우치신코카가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황: 금화인유 함유 미세 분말 황("Golden Flower" Oil Treated Sulfur Powder)(츠루미카가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Tsurumi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
제1표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부타디엔 고무의 함유량이 소정의 범위보다 적은 비교예 1은 내마모성이 나빴다.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소정의 범위보다 적은 비교예 2는 비교예 1보다도 가공성이 나빴다.
또한,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 및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고,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소정의 범위보다 적은 비교예 3은 비교예 1보다도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나빴다.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소정의 범위보다 많은 비교예 4는 비교예 1보다도 내마모성이 나빴다.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소정의 범위보다 적은 비교예 5는 비교예 1보다도 가공성이 나빴다.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6은 비교예 1보다도 내마모성이 나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우수했다.
1: 컨베이어 벨트
2: 상면 커버 고무층
3: 보강층
4: 하면 커버 고무층
5: 운반물 반송면
11, 16: 외층
12, 15: 내층

Claims (4)

  1. 부타디엔 고무를 50질량% 초과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고무 성분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며,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장쇄 분지 지수에 대한 상기 부타디엔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중량 평균 분자량/장쇄 분지 지수)가 5.0×104~16.6×104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60~100질량부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85~160 m2/g이고,
    상기 카본 블랙의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유량이 105~140 ml/100 g인,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100만인,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쇄 분지 지수가 0.1~12.0인,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상면 커버 고무층과,
    보강층과,
    하면 커버 고무층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KR1020197024281A 2017-03-14 2017-12-27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 KR102065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8795 2017-03-14
JP2017048795 2017-03-14
PCT/JP2017/046981 WO2018168153A1 (ja) 2017-03-14 2017-12-27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及びコンベヤベル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978A KR20190100978A (ko) 2019-08-29
KR102065368B1 true KR102065368B1 (ko) 2020-01-13

Family

ID=6352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281A KR102065368B1 (ko) 2017-03-14 2017-12-27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010648A1 (ko)
KR (1) KR102065368B1 (ko)
CN (1) CN110291026B (ko)
AU (1) AU2017404208B2 (ko)
WO (1) WO201816815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6859A (ja) 2008-06-24 2010-01-1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JP2012180475A (ja) 2011-03-02 2012-09-2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JP2014210652A (ja) 2013-04-19 2014-11-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浮上式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空気浮上式コンベヤ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9199B2 (ja) * 2000-08-28 2011-0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ベルト用ゴム組成物及びベルト
JP4963535B2 (ja) 2001-09-28 2012-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用ゴム組成物、ベルト及びベルトコンベア
JP4286298B2 (ja) * 2006-07-14 2009-06-24 横浜ゴム株式会社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US20120208919A1 (en) * 2011-02-15 2012-08-16 Carlo Kanz Pneumatic tire
JP5999014B2 (ja) * 2013-04-15 2016-09-28 横浜ゴム株式会社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CA2878816C (en) * 2014-01-31 2020-11-03 Veyance Technologies, Inc. Conveyor belt
JP6524909B2 (ja) * 2014-05-14 2019-06-05 横浜ゴム株式会社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JP5907211B2 (ja) * 2014-05-26 2016-04-26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コンベヤベルト
JP6148799B1 (ja) * 2015-09-30 2017-06-14 大塚化学株式会社 ゴム成分に低発熱性を付与するための添加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6859A (ja) 2008-06-24 2010-01-1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JP2012180475A (ja) 2011-03-02 2012-09-2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JP2014210652A (ja) 2013-04-19 2014-11-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浮上式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空気浮上式コンベヤ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978A (ko) 2019-08-29
AU2017404208B2 (en) 2020-02-27
CN110291026A (zh) 2019-09-27
AU2017404208A1 (en) 2019-10-03
WO2018168153A1 (ja) 2018-09-20
US20200010648A1 (en) 2020-01-09
CN110291026B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2708B1 (en) Rubber composition for conveyor belts, and conveyor belt
AU2015267872B2 (en) Rubber composition and conveyor belt using same
DE102008058996A1 (de) Luftreifen
DE112014001962T5 (de) Kautschuckzusammensetzung für Förderband und Förderband
DE102008050709A1 (de) Luftreifen
AU2017221581B2 (en) Rubber composition for conveyor belts, and conveyor belt
JP4102143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2065368B1 (ko)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
JP6467873B2 (ja) コンベアベルト用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コンベアベルト
CN106061870B (zh) 对环境友好的橡胶组合物
JP6350778B1 (ja)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及びコンベヤベルト
AU2018203160B2 (en) Rubber composition for conveyor belt, and conveyor belt
KR102361426B1 (ko) 컨베이어 벨트용 고무 조성물 및 컨베이어 벨트
JP2008308632A (ja) ゴム組成物および金属材とこのゴム組成物からなる複合体
CN106232700B (zh) 输送带用橡胶组合物和输送带
JP2016113487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14227541A (ja) コンベアベルト用ゴム組成物、コンベアベルト及びベルト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