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358B1 -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358B1
KR102065358B1 KR1020190027590A KR20190027590A KR102065358B1 KR 102065358 B1 KR102065358 B1 KR 102065358B1 KR 1020190027590 A KR1020190027590 A KR 1020190027590A KR 20190027590 A KR20190027590 A KR 20190027590A KR 102065358 B1 KR102065358 B1 KR 10206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support
main body
vertical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완규
허보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허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허보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Priority to KR102019002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Abstract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과 개방된 입구를 갖는 제1,2본체를 갖추어 제1,2본체간의 합형조립시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1,2본체의 열림펼침시 바닥면을 노출시키는 본체케이스 ;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바닥고정판의 결합구에 하부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높이의 수직대 ; 상기 수직대의 상부단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바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상부경사바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하부경사바를 갖추어 상기 상부경사바와 하부경사바의 각 타단간의 결합에 의해서 삼각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걸림연결되어 설치되는 완강기 ; 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에 걸림연결된 완강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로프에 구비되는 완강벨트를 피교육생이 착용하여 완강기의 사용법을 체험한다.

Description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Portable mobile education descending life lines experienc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이동이 간편하면서 교육적으로 완강기를 사용하는 체험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화재와 같은 긴급 재난발생시 고층건물에서 사용하게 되는 완강기를 건물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면서 지상으로 하강하기 위해서 완강벨트를 착용하는 체험교육을 실감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미사용시 분리분해되는 구성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취급 및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용 완강기(이하 완강기 이라함.)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 발생시에 조난자가 신속하게 화재현장에서 안전한 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로프에 매달린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감속되어 서서히 지면으로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고층건물에서의 화재발생시 완강기를 이용하여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사례가 TV나 신문등의 언론매체에서 종종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에서 외부로 내려올 때 추락 등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매스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11-0128457 A
(특허문헌 2) KR 10-1683245 B1
(특허문헌 3) KR 10-1932022 B1
특허문헌 1에는 어린이가 모터에 의해 좌우로 구동되는 진동판상에서 지진체험을 하며 링크부로 완강기에 인접되게 상승하여 완강기의 벨트를 어린이가 착용하고 진동판 및 승강판이 하강하고 난다음에 완강기의 벨트를 하부로 하강하여 어린이가 지진체험 및 완강기체험을 동시에 하도록 하는 어린이용 지진 및 완강기 체험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제1수평판이나 수평고정프레임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한쌍의 걸림링크바의 상단을 상기 제1계단판에 걸림해제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걸림링크바를 갖추어 피교육생이 밟고 올라서도록 제1수평판과 수직고정프레임사이에서 펼쳐지는 계단부를 갖추고, 수직고정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을 갖추고, 연장프레임의 일측에 완강기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갖추어 완강기의 로프에 피교육생이 매달려 제2수평판상으로 하강하게 되는 체험부를 포함하는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지지고리를 구비하는 지지대; 상부에 고정고리를 구비하는 조속기와, 개폐부를 구비하여 고정고리와 지지고리를 연결하는 연결고리와, 양단에 바디벨트가 연결된 로프와, 상기 로프와 일측의 바디벨트가 권취되는 릴몸체를 포함하는 로프릴 및 상기 로프릴과 조속기를 사이에 두고 로프로 연결된 바디벨트를 포함하는 교육용 완강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학생이나 일반인과 같은 피교육생이 실감적으로 체험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체험교육 후 다른 체험장소로의 이동 및 사용후 별도의 장소에서의 보관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제1,2계단판으로 이루어진 계단부를 수직고정프레임과 제1수평판사이에 접이배치하고, 제1,2연장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장프레임을 수직고정프레임과 제2수평판사이에 접이 배치하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전체적인 구성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고, 핸디형으로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운반및 설치시 작업자의 업뭅부하를 가중시키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특허문헌 3은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취급 및 이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완강기 사용시 건물외부로 완강기를 인출하는 초기교육을 수행할 수 없어 체계적이고 기초적인 완강기 체험교육을 수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와 같은 긴급 재난발생시 고층건물에서 사용하게 되는 완강기를 체험하는 교육을 실감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미사용시 전체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취급 및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닥면과 개방된 입구를 갖는 제1,2본체를 갖추어 제1,2본체간의 합형조립시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1,2본체의 열림펼침시 바닥면을 노출시키는 본체케이스 ;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바닥고정판의 결합구에 하부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높이의 수직대 ; 상기 수직대의 상부단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바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상부경사바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하부경사바를 갖추어 상기 상부경사바와 하부경사바의 각 타단간의 결합에 의해서 삼각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걸림연결되어 설치되는 완강기 ;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고정판은, 개방되어 좌우양측으로 펼쳐져 입구가 개방된 제1,2본체의 바닥면을 덮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구는 바닥고정판에 하부면이 면접하여 일체로 용접연결되는 매개판에 하부단이 일체로 용접연결되며, 상기 수직대는, 상기 바닥고정판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에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수직대와, 상기 하부수직대의 상부단에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수직대와, 상기 중간수직대의 상부단에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연결관을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상부수직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수직대는 개방된 하부단을 통해 일정길이 진입되어 중첩되는 중간수직대의 상부단과 접해지는 밀폐면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수직대의 상부에는 대응조립되는 상부수직대의 내부면과 면접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상부수직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단차결합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바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경사바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의 상부단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에 걸림연결된 완강기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로프에 구비되는 완강벨트를 피교육생이 착용하여 완강기의 사용법을 체험하고, 상기 완강기의 체험교육이 종료된 후 ,상,하부수직대 및 중간수직대로 분리분해된 수직대와, 수직대와 분리분해된 지지대와 더불어 완강기를 제1,2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내부수용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를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상부경사바의 일단과 상기 연결관의 걸림홈간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완강기를 건물의 외부로 인출하는 완강기 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완강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문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창문은 상기 수직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수직대의 근방 바닥면에 인접하여 독립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수직대와, 상기 완강기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의 수직대와 상기 제2본체의 다른 수직대와의 사이에는 수평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2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분해상태로 보관되어 있던 수직대, 지지대를 좌우양측으로 개방되어 펼쳐지는 제1본체 또는 제2본체에 수직대를 수직하게 조립하여 설치하고, 수직대에 결합된 지지대의 일단에 완강기를 설치함으로써 화재발생시 건물외부로 탈출하기 위해서 완강기를 사용하는 체험을 수행학 위한 완강기 설치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일정높이에 위치된 지지대에 걸림연결된 완강기를 피교육생이 사용하는 체험교육을 실감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지대와 걸림홈간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상부로 들어올려진 지지대를 가상의 창문이나 실제로 설치되는 창문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교육생이 화재발생시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지지대에 연결된 완강기를 건물외부로 인출시키는 최초 행동요령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완강기를 사용하고 체험하는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완강기 체험교육을 완료한 후에 수직대, 지지대 및 완강기를 분리하여 분해한 다음, 제1,2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완강기 체험교육후 별도의 장소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이동휠을 이용하여 보관장소로 취급 및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에 적용되는 수직대와 지지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체케이스로부터 수직대를 분리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의 보관 및 이동을 위해서 수직대, 지지대 및 완강기를 내부수용한 본체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를 이용하여 창문을 통하여 완강기를 인출하는 체험을 수행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고층난간에서 긴박하게 사용해야만 하는 완강기의 사용법에 대한 체험교육시 교육장에 간편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완강기의 사용법에 대하여 안전하게 체험할 수 있고, 체험교육을 종료한 후에 간편하게 분리하여 분해한 다음 간편하게 보관하면서 핸디캐리어 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10), 수직대(120) 및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10)는 도 1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과 개방된 입구를 갖는 대략 박스형상의 제1,2본체(110a,110b)를 갖추어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사이에 경첩과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구비되는 하드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케이스(110)는 보관 및 이동을 위한 제1,2본체(110a,110b)간의 합형조립시 상기 수직대(120),지지대(130) 및 완강기(200)를 포함하는 구성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반면에 완강기 체험교육을 위한 제1,2본체(110a,110b)의 열림펼침시 내부보관된 수직대(120),지지대(130) 및 완강기(200)를 외부로 꺼내어 조립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2본체가 합형조립된 본체케이스(110)의 일측인 제1본체의 외부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1손잡이(116a)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타측인 제2본체의 외부면에는 신축연장이 가능한 바의 단부에 제2손잡이(116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110b)의 외부면에는 복수개의 이동휠(117)을 장착하고, 상기 본체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제1,2본체의 펼침개방시 상기 복수개의 이동휠을 갖는 제2본체가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휠(117)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추어 상기 이동휠과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받침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10)에 구비되어 합형되어 닫혀지는 제1,2본체(110a,110b)는 합형후 이동에 따른 충격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별도의 잠금장치(119)에 의해서 잠금닫힘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대(120)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바닥고정판(115a)의 결합구(114)에 하부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높이의 수직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수직대(120)는 상기 바닥고정판(115a)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114)에 하부단이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수직대(121)를 갖추고, 상기 하부수직대의 상부단에 하부단이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수직대(122)를 갖추는 한편, 상기 중간수직대의 상부단에 하부단이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연결관을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상부수직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고정판(115a)은 좌우양측으로 펼쳐져 입구가 개방된 제1본체의 바닥면을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114)는 바닥고정판(115a)에 하부면이 면접하여 일체로 용접연결되는 매개판(113)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일체로 용접연결되는 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고정판(115a)은 제1,2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케이스의 제1본체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바닥고정판(115b)이 다른 결합구를 갖추어 상기 제1본체와 더불어 펼쳐진 제2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이에 다른 수직대를 설치하고, 다른 지지대를 매개로 하여 다른 완강기를 임시로 설치하여 완강기체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수직대(121), 중간수직대(122) 및 상부수직대(123)는 대략 사각단면상의 사각형 중공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단면상의 원형 중공파이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수직대(121)의 하부단과 상기 결합구(114)사이의 결합부위와, 상기 중간수직대(122)의 하부단과 하부수직대(121)의 상부단사이의 결합부위 및 상기 상부수직대(123)의 하부단과 중간수직대(122)의 상부단사이의 결합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하부수직대(121), 중간수직대(122) 및 상부수직대(123)의 각 하부단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어 대응결합되는 구조물에 단부가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직대(123)는 상기 중간수직대(122)와의 대응결합시 상기 중간수직대(122)의 상부단과 접해지는 밀폐면(123a)을 갖추고, 상기 중간수직대(122)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수직대(123)의 개방된 하부단으로 대응삽입되어 중첩시 상기 상부수직대의 내부면과 전체적으로 면접하여 이들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상부수직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단차결합면(12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수직대와 상부수직대간의 조립시 상기 중간수직대의 외부면인 단차결합면과 상기 상부수직대의 내부면이 일정구간에서 면접촉되면서 이들간의 밀착결합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를 매개로 중량물인 완강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외력에 기인하는 상부수직대와 중간수직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수직대(123)는 상기 중간수직대(122)의 전체길이의 대략 1/2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간수직대는 상기 완강기(2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맞추어 절단가공된 단일부재로 구비되거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절단가공한 복수개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대(120)의 최상부재인 상부수직대(123)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관(125)에 회동가능하게 대응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연결바(131)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131)의 상단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의 상부단에 걸림배치되는 상부경사바(132)를 갖추며, 상기 연결바(131)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하부경사바(133)를 갖추는 한편, 상기 연결바(131)의 상,하단이 각 일단이 서로 결합되는 상부경사바(132)와 하부경사바(133)의 각 타단과 서로 결합됨으로써 대략 삼각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구조물이다.
상기 연결관(125)은 상기 상부수직대(123)의 일측 외부면에 일체로 용접고정되는 상하한쌍의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단일한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바(131)는 상기 연결관(125)에 회동가능하도록 이에 대응삽입되는 원형단면상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경사바(132)는 상기 연결관(125)의 상부단에 일단이 일체로 용접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서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바(131)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경사바(132)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의 상부단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125a)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배치된다.
이에 따라, 피교육생이 상기 연결관(125)에 연결바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지지대(130)를 일정높이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상부경사바의 일단과 상기 연결관의 걸림홈간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완강기를 인출시켜 사용하는 방법을 체험하기 위해서 피교육생이 지지대(130)를 가상의 창문(W)이나 실제로 설치되는 창문(W)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지지대(130)에 연결된 완강기(200)를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는 초기 행동요량에 대한 체험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피교육생이 들어올려진 지지대(130)를 자중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상부경사바의 일단과 상기 연결관의 걸림홈간의 걸림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회전조작을 중단한 상태에서, 가상의 창문(W)이나 실제로 설치되는 창문(W)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완강기(200)의 완강벨트를 피교육생이 착용하는 완강기 체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창문(W)은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사각틀형상의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수직대의 근방 바닥면에 독립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사각틀형상의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경사바(133)는 상기 연결바(131)의 하부단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134)에 관통형성된 조립공(134a)과 대응하는 다른 조립공(133a)을 일단에 관통형성함으로서, 상기 조립공들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134b)에 의해서 상기 연결바(131)의 하부단에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경사바(133)는 상기 상부경사바 측으로 향하여 상부로 개방된 대략 'ㄷ'자형 단면상의 앵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31)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일정각도 하향경사지는 상부경사바(132)의 타단과, 상기 연결바(131)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일정각도 상향경사지는 하부경사바(133)의 타단에는 각각 조립공(132a,133b)을 관통형성함으로써, 서로 일치되는 조립공(132a,133b)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135)에 의해서 상기 연결바, 상,하부경사바를 대략 삼각틀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경사바(133)의 타단에는 상기 완강기(200)의 완강본체(210)에 구비되는 후크가 걸림연결되는 고리(13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경사바(133)의 타단에는 상기 상부경사바(132)의 타단에 형성되는 조립공(132a)과 대응하여 체결부재가 조립되는 다른 조립공(133b)을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관통형성함으로써 상기 완강기의 완강본체가 연결되는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완강기의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30)를 구성하는 상,하부경사바(132,133)는 분할조립되는 각각의 경사바부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수직대(120)와 상기 완강기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10)에서 열림개방되는 좌우한쌍의 제1,2본체(110a,110b)중 제1본체에 설치되는 수직대와 지지대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본체에 동일하게 설치됨으로써 좌우양측으로 펼쳐져 개방되는 제1본체와 제2본체에 각각 수직대와 지지대를 각각 좌우한쌍으로 구비하여 완강기 사용체험을 수행할 수 있는 완강기를 각각 설치하여 체험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본체(110a)의 수직대(120)와 상기 제2본체(110b)의 다른 수직대(120)와의 사이에는 이들사이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수직대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수평연결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연결대(140)는 일단이 상기 제1본체(110a)의 수직대(120)에 체결부재(141)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수평연결대의 타단은 상기 제2본체(110b)의 다른 수직대(120)에 다른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연결대(140)의 각 양단에는 상기 제1,2본체(110a,110b)의 각 수직대(120)에 밀착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하부 측으로 절곡되는 밀착판(1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휴대 이동형 완강기 체험장치를 이용하여 피교육생이 완강기를 체험하는 방법은 본체케이스를 좌우양측으로 펼쳐 제1,2본체를 바닥면에 배치한 다음, 바닥고정판에 하부수직대, 중간수직대 및 상부수직대로 이루어지는 수직대를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수직대의 상부수직대와 조립된 지지대에 완강기의 후크를 걸어 완강기 체험을 준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험준비된 피교육생이 상기 완강기가 걸림연결된 지지대(130)를 일정높이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상부경사바의 일단과 연결관의 걸림홈간의 걸림을 해제한 다음, 지지대(130)를 가상의 창문(W)이나 실제로 설치되는 창문(W)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교육생이 지지대(130)에 연결된 완강기(200)를 건물내부에서 건물외부로 인출하는 체험을 1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피교육생은 완강벨트(220)와 연결된 연결로프(220)가 감겨진 릴(230)을 완강기의 완강본체(210)와 더불어 창문을 통하여 건물 외부로 인출하는 체험을 2차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피교육생은 완강본체(210)와 연결로프(220)를 매개로 연결된 완강벨트(240)를 허리에 끼워 착용함으로써, 화재발생시 건물외부로 인출시킨 완강기를 이용하여 탈출하기 위해서 완강기를 사용하는 체험교육을 종료하는 것이다.
한편, 완강기 체험교육이 종료되면, 상기 완강기(200)의 완강본체(210)를 지지대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지지대와 결합된 상부수직대를 중간수직대로부터 분리하여 분해한 다음, 상기 수직대의 나머지 중간수직대 및 하부수직대를 분리하여 분해한다.
이어서, 분리분해된 수직대(120)의 상,하부수직대(121,123) 및 중간수직대(122)와 더불어 지지대(130)를 상기 제1본체(110a)의 내부에 배치한 다음, 상기 제1본체(110a)의 내부 여유공간에 상기 완강기의 완강본체, 완강벨트 및 릴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완강기의 완강본체, 완강벨트 및 릴은 별도의 보관박스에 삽입된 다음 보관박스로 제1본체의 여유공간에 삽입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110a)에 대하여 제2본체(110b)를 닫고 잠금장치(119)를 체결하게 되면, 분리분해된 수직대, 지지대와 더불어 완강기를 제1,2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케이스(110)의 내부공간에 간편하게 내부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케이스(110)의 제1본체(110a)에는 손잡이(116a)를 구비하고, 제2본체(110b)에는 이동휠(117)과 외측으로 연장가능한 제2손잡이(116b)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케이스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임의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본체케이스
110a,110b : 제1,2본체
115a,115b : 바닥고정판
120 : 수직대
121 : 하부수직대
122 : 중간수직대
123 : 상부수직대
125 : 연결관
125a : 걸림홈
130 : 지지대
131 : 연결바
132 : 상부경사바
133 : 하부경사바
140 : 수평연결대
200 : 완강기
210 : 완강본체
220 : 연결로프
230 : 릴
240 : 완강벨트

Claims (7)

  1. 바닥면과 개방된 입구를 갖는 제1,2본체를 갖추어 제1,2본체간의 합형조립시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1,2본체의 열림펼침시 바닥면을 노출시키는 본체케이스 ;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바닥고정판의 결합구에 하부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높이의 수직대 ;
    상기 수직대의 상부단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바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상부경사바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하부경사바를 갖추어 상기 상부경사바와 하부경사바의 각 타단간의 결합에 의해서 삼각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걸림연결되어 설치되는 완강기 ;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고정판은, 개방되어 좌우양측으로 펼쳐져 입구가 개방된 제1,2본체의 바닥면을 덮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구는 바닥고정판에 하부면이 면접하여 일체로 용접연결되는 매개판에 하부단이 일체로 용접연결되며,
    상기 수직대는, 상기 바닥고정판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에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수직대와, 상기 하부수직대의 상부단에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수직대와, 상기 중간수직대의 상부단에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연결관을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상부수직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수직대는 개방된 하부단을 통해 일정길이 진입되어 중첩되는 중간수직대의 상부단과 접해지는 밀폐면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수직대의 상부에는 대응조립되는 상부수직대의 내부면과 면접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상부수직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단차결합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바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경사바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의 상부단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에 걸림연결된 완강기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로프에 구비되는 완강벨트를 피교육생이 착용하여 완강기의 사용법을 체험하고,
    상기 완강기의 체험교육이 종료된 후 ,상,하부수직대 및 중간수직대로 분리분해된 수직대와, 수직대와 분리분해된 지지대와 더불어 완강기를 제1,2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내부수용하여 보관하고,
    상기 지지대를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상부경사바의 일단과 상기 연결관의 걸림홈간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완강기를 건물의 외부로 인출하는 완강기 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완강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문을 포함하며,
    상기 창문은 상기 수직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수직대의 근방 바닥면에 인접하여 독립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수직대와, 상기 완강기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의 수직대와 상기 제2본체의 다른 수직대와의 사이에는 수평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연결대의 각 양단에는 상기 제1,2본체의 각 수직대에 밀착되도록 상,하부 측으로 절곡되는 밀착판을 구비하는,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27590A 2019-03-11 2019-03-11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KR10206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90A KR102065358B1 (ko) 2019-03-11 2019-03-11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90A KR102065358B1 (ko) 2019-03-11 2019-03-11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358B1 true KR102065358B1 (ko) 2020-01-13

Family

ID=6915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590A KR102065358B1 (ko) 2019-03-11 2019-03-11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3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46A (ja) * 1998-12-17 2000-06-27 Imotani:Kk 携行用折り畳みテーブル
KR20100103181A (ko) * 2009-03-13 2010-09-27 신영공업 주식회사 완강기 거치대
KR101683245B1 (ko) * 2016-09-22 2016-12-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46A (ja) * 1998-12-17 2000-06-27 Imotani:Kk 携行用折り畳みテーブル
KR20100103181A (ko) * 2009-03-13 2010-09-27 신영공업 주식회사 완강기 거치대
KR101683245B1 (ko) * 2016-09-22 2016-12-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680A (en) Emergency rescue system
BRPI0407020B1 (pt) Sistema para erguer os bombeiros e equipamento para evacuar as pessoas de um piso superior de um edifício de muitos andares
US3894614A (en) Extensible passage apparatus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102065358B1 (ko) 휴대이동형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KR101683245B1 (ko)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JP2016003480A (ja) 足場装置
RU22744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экстренного спуска из здания
CN201171871Y (zh) 高楼自救逃生器
KR102020219B1 (ko) 스윙-아웃-다운 방식 비상탈출장치
CN110975180B (zh) 高层火灾逃生用悬挂气垫
KR20070015237A (ko) 고층건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US5867947A (en) Folding pyramidal structure for protection in case of earthquakes
CN110384877B (zh) 紧急自走式避难梯结构
US4066144A (en) Rescue apparatus
CN207377426U (zh) 一种救生防盗窗
CN217339822U (zh) 一种营地逃生杆
KR101260232B1 (ko) 비상용 사다리 구조물
JP4338098B2 (ja) 脱出用避難器具
JP3024457U (ja) 自由落下速度緩和式滑走パイプ
KR102135978B1 (ko) 완강기 실습용 훈련장치
KR101420407B1 (ko) 비상탈출장치용 안전사다리
JPH032640Y2 (ko)
CN219885520U (zh) 有限空间救援装置
JP5722292B2 (ja) 高層建物用避難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