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352B1 -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5352B1 KR102065352B1 KR1020180076351A KR20180076351A KR102065352B1 KR 102065352 B1 KR102065352 B1 KR 102065352B1 KR 1020180076351 A KR1020180076351 A KR 1020180076351A KR 20180076351 A KR20180076351 A KR 20180076351A KR 102065352 B1 KR102065352 B1 KR 102065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tion information
- relay attack
- smartphone
- vehicle
- p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고, PASE(Passive Start and Entry) 기능을 통해 차량 열림이 시도될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어택(Relay Attack) 가능성을 판단하고,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ASE(Passive Start and Entry) 기능을 통한 차량 열림을 시도할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차량 열림의 허가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릴레이 어택(Relay Attack)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 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휴대가 용이한 카드 형태의 스마트키나 포브키(FOB key)가 사용된다.
편의상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포브키도 스마트키와 동일한 장치인 것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키(즉, FOB key)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상기 차량(즉, 차량 내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키(즉, FOB key)와의 알에프(RF : Radio Frequency) 통신(통상 315/433MHz 사용)을 통하여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즉, 차량 내의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스마트키의 위치를 파악하는 인증 요구(LF 주파수 : 보통 125/134.2KHz를 사용)와, 이에 대하여 스마트키가 회신을 주는 인증 응답(RF 주파수)을 차량에서 수신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PASE(Passive Start and Entry) 기능(즉, LF/RF 무선 통신을 통한 도어 개폐 및 차량 시동 기능)이 장착된 차량에서 릴레이 어택(Relay Attack)을 통한 차량 침입이 발생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PASE 기능은, 스마트키가 차량 주변에서 독립적으로 차량과 통신하고, 스마트키가 인증되면 차량 도어를 여닫을 수 있음은 물론 스타트 버튼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도어개폐 및 엔진시동 제어 기능이다. 가령,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라이트가 켜지고 접혀있던 사이드미러가 펴지고, 굳이 도어 개폐 스위치를 누르지 않더라도 차 문을 열 수 있으며, 운전자가 차에서 내리면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고 도난경보장치가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상기 릴레이 어택은, 사용자(운전자)가 주차를 하고 난 이후 차량을 잠그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였을 경우, 침입자가 차량에 침입하기 위해서 불법적인 무선 증폭 장치를 이용해 차량에서 발생한 신호(LF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차량에서 발생한 신호(LF 신호)가 정상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신호 전달 거리(예 : 1 ~ 2m) 이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키에 전달되게 하고, 상기 차량에서 발생한 신호(L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가 도어 열림 명령(RF 신호)을 차량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도어가 열리게 하여 침입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릴레이 어택에 의한 차량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9069호(2013.08.09.공개, 차량용 스마트키 탐색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PASE(Passive Start and Entry) 기능을 통한 차량 열림을 시도할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차량 열림의 허가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릴레이 어택(Relay Attack)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는, 근거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고, PASE(Passive Start and Entry) 기능을 통해 차량 열림이 시도될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어택(Relay Attack) 가능성을 판단하고,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스마트폰과 BLE 통신을 수행하는 BLE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는, PASE 기능, 또는 RKE(Remote Keyless Entry) 기능 중 하나로 선택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는, 지정된 조건이 되었을 때 PASE 기능, 또는 RKE 기능 중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매뉴얼 방식으로 PASE 기능, 또는 RKE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조건이 되었을 때 상기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지정된 조건은, 도어 잠금이 시도되는 조건으로서,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또는 지정된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 잠금이 시도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1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또한 도어 열림이 시도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2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다른 경우에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차량 도어 열림을 허가하지 않고, 차량에 경고 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폰에 침입 경고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안내하거나 유도하고, 또는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은, 차량의 도어 열림 요청 시,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현재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제2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던 다른 위치정보(제1 위치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열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잠금 시도 시,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현재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제1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경적, 및 램프 점멸을 지시하는 경고 신호를 차량에 송신하거나, 스마트폰에 침입 경고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안내하거나 유도하고, 또는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PASE(Passive Start and Entry) 기능을 통한 차량 열림을 시도할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차량 열림의 허가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릴레이 어택(Relay Attack)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가 수행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기 저장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가 수행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기 저장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는, LF 수신부(110), RF 송신부(120), BLE 통신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버튼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는 스마트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키는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가 적용된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와 동일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LF 수신부(110)는 LF(Low Frequency)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차량(200)으로부터 LF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 송신부(120)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차량(200)에 RF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BLE 통신부(12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 저에너지)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스마트폰(300)과 BLE 신호로 통신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BLE 통신부(120)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기존 통신 방식인 LF 및 RF 이외에, 스마트폰(300)과의 통신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스마트폰(300)에 적용된 다른 방식(예 : BLE, NFC, UWB 등)의 통신부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한다. 즉, 상기 BLE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기재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BLE 통신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버튼 입력부(160)는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예 : 스마트키)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예 : 도어 열림/잠금 버튼, 시동 버튼 등)을 입력 받는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와 상기 스마트폰(300)에서 전송되는 정보(예 :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LF 수신부(110), RF 송신부(120), BLE 통신부(130), 저장부(150), 및 버튼 입력부(16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PASE 기능(또는 PASE 모드)을 수행하거나 RKE(Remote Keyless Entry) 기능(또는 RKE 모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PASE 기능을 통한 차량 열림을 시도할 경우, 스마트폰(300)의 위치 정보를 차량 열림의 허가 결정에 반영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지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자동으로 PASE 기능 대신 RKE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운전자)로부터 수동(매뉴얼)으로 PASE 기능 대신 RKE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도어 잠금 시도 시(예 :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스마트폰(300)에 위치정보(예 : 제1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도어 열림 시도 시에도 상기 스마트폰(300)에 위치정보(제2 위치정보)를 다시 요청하고, 상기 두 위치정보(예 :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가 다른 경우에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PASE 기능을 통한 차량 열림을 시도 시,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예 :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릴레이 어택 가능성 판단)하여,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을 경우, 차량(200)에 경고 신호(예 : 경적, 램프 점멸 등)를 송신하고, 스마트폰(300)에 침입 경고 정보(예 : 도어 열림 시도에 대한 경고 문구)를 전송하여 출력(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가 수행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예 : 스마트키)(100)는 차량(200)으로부터 L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200)에는 RF 신호를 송신하며, 스마트폰(300)과는 BLE 신호를 이용해 통신한다.
이때 상기 각 신호(예 : LF 신호, RF 신호, BLE 신호)는 신호 전달 거리에 차이가 있다.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예 : 스마트키)(100)는 PASE 기능(또는 PASE 모드)을 수행하거나 RKE(Remote Keyless Entry) 기능(또는 RKE 모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예 : 스마트키)(100)는, PASE 기능을 통한 차량 열림이 시도될 경우, 스마트폰(300)의 위치 정보를 차량 열림의 허가 결정에 반영하고,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예 :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판단)하여,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을 경우, 차량(200)에 경고 신호(예 : 경적, 램프 점멸 등)를 송신하고, 스마트폰(300)에 침입 경고 정보(예 : 도어 열림 시도에 대한 경고 문구)를 전송하여 출력(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예 : 스마트키)(100)는, 지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예 : 밤 9시 이후) 자동으로 PASE 기능 대신 RKE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운전자)로부터 수동(매뉴얼)으로 PASE 기능 대신 RKE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 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예 : 스마트키)(100)와 스마트폰(300)이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마트폰(300)을 스마트키로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BLE 신호를 이용하지 않을 뿐 상기 스마트폰(300) 내부적으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와 직접적으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술한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예 : 스마트키)의 제어부(140)는, 도어 잠금 시도 시(예 :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또는 도어 잠금 버튼이 입력된 경우)(S101), 지정된 스마트폰(3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102).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300)은 현재의 위치정보(예 : GPS를 이용해 검출한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송한다(S103).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예 : 제1 위치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104).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기 저장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100)(예 : 스마트키)의 제어부(140)는, 도어 열림 요청 시(예 : 도어 열림 요청 LF 신호의 수신 시)(S201), 지정된 스마트폰(3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202).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300)은 현재의 위치정보(예 : GPS를 이용해 검출한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송한다(S203).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전송받은 새로운 위치정보(예 :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부(15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위치정보(예 : 제1 위치정보)와 비교한다(S204).
상기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 두 위치정보(예 :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S205의 예),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에 도어 열림 신호(RF 신호)를 송신한다(S209).
그러나 상기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 두 위치정보(예 :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S205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예 :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릴레이 어택 가능성 판단)하여,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으면서 대신에 차량(200)에 경고 신호(예 : 경적, 램프 점멸 등)를 송신하고(S206), 스마트폰(300)에는 침입 경고 정보(예 : 도어 열림 시도에 대한 경고 문구)를 전송한다(S207).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침입 경고 정보를 출력(표시)한다(S2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PASE 기능을 통한 차량 열림을 시도할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차량 열림의 허가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릴레이 어택(Relay Attack)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하 주차장 또는 도심 내의 복잡한 지형 등에 의해 차량 잠금시의 정확한 위치 정보가 저장 되지 않았을 경우, 도어 열림은 리모트키의 버튼 누름을 통한 RKE(Remote Keyless Entry)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다(예 : 음성 안내 또는 웰컴 라이트 점멸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해당 내용 전달).
또한 만약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지 않고 차량 운행을 하는 경우(또는 가족이나 지인에게 스마트키를 전달하여 운행하는 경우), 스마트키와 스마트폰 간에도 BLE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오판할 수 있으며, 이때 도어 열림은 RKE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KE 나 PASE에 의한 정상적인 차량 진입이 아닌 경우, 차량 시동은 이모빌라저(immobilizer) 기능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택과 주차 공간이 아주 밀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경우(예 : 북미 혹은 유럽), 최종 주차 위치와 사용자 주택의 위치가 동일 공간으로 판단되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심야 시간 중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위치 정보는 가능한 한 높은 정밀도를 갖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간 시간 중(예 : 밤 9시 이후)에는 PASE 기능 해제하고 RKE 로만(즉, 스마트키의 버튼(스위치)을 직접 눌러서 도어 개폐 조작, 왜냐하면, RKE 기능은 물리적으로 스마트키의 버튼을 눌러야만 작동하기 때문에 릴레이 어택 공격이 불가능하다) 도어 열림이 가능하도록 옵션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PASE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릴레이 어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110 : LF 수신부
120 : RF 송신부 130 : BLE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버튼 입력부
120 : RF 송신부 130 : BLE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버튼 입력부
Claims (14)
- 근거리 무선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고, PASE(Passive Start and Entry) 기능을 통해 차량 열림이 시도될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어택(Relay Attack) 가능성을 판단하고,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제1 위치정보는,
도어 잠금이 시도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한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2 위치정보는,
도어 열림이 시도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스마트폰과 BLE 통신을 수행하는 BLE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는,
PASE 기능, 또는 RKE(Remote Keyless Entry) 기능 중 하나로 선택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는,
지정된 조건이 되었을 때 PASE 기능, 또는 RKE 기능 중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매뉴얼 방식으로 PASE 기능, 또는 RKE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조건이 되었을 때 상기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지정된 조건은,
도어 잠금이 시도되는 조건으로서,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또는 지정된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차량 도어 열림을 허가하지 않고,
차량에 경고 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폰에 침입 경고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안내하거나 유도하고, 또는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 차량의 도어 열림 또는 잠금 요청 시,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현재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제2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던 다른 위치정보(제1 위치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열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 제1,2 위치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열림을 허가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위치정보는,
도어 잠금이 시도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한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2 위치정보는,
도어 열림이 시도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 잠금 시도 시,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의 제어부가 지정된 스마트폰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현재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제1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 삭제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경적, 및 램프 점멸을 지시하는 경고 신호를 차량에 송신하거나,
스마트폰에 침입 경고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어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안내하거나 유도하고, 또는
PASE 방식을 RKE 방식으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351A KR102065352B1 (ko) | 2018-07-02 | 2018-07-02 |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351A KR102065352B1 (ko) | 2018-07-02 | 2018-07-02 |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3502A KR20200003502A (ko) | 2020-01-10 |
KR102065352B1 true KR102065352B1 (ko) | 2020-01-13 |
Family
ID=6915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6351A KR102065352B1 (ko) | 2018-07-02 | 2018-07-02 |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53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32197B2 (en) | 2022-05-10 | 2024-03-19 |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 Digital key relay attack prevention systems and method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30919A (ja) * | 2014-07-28 | 2016-03-07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通信システム |
-
2018
- 2018-07-02 KR KR1020180076351A patent/KR102065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30919A (ja) * | 2014-07-28 | 2016-03-07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通信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3502A (ko) | 2020-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47610B2 (ja) |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 |
JP6372688B2 (ja) | 車両用通信システム | |
US20120268242A1 (en) |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based on a nomadic device location | |
US10957133B2 (en) | NFC activation of vehicle entry privacy mode | |
CN110803127A (zh) | 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 |
JP2016079600A (ja) | 車両用認証システム | |
JP2007039922A (ja) |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 |
JP2015190273A (ja) | 電子キーシステム | |
US10607430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start and entry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start and entry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CN107945316B (zh) | 门控制系统、控制装置和移动装置 | |
KR102225967B1 (ko) | 릴레이 공격의 방어 | |
KR20140127932A (ko) | 핸즈프리 트렁크 오픈시스템 및 오픈방법 | |
JP4870997B2 (ja) | 車両用キーレス装置 | |
KR20080072551A (ko) | 차량용 도난방지 장치 | |
KR102065352B1 (ko) | 릴레이 어택 방지 장치 및 방법 | |
JP2005194799A (ja) |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及びインロック解除方法 | |
JP2000314259A (ja) | 自動車用のハンドフリーアクセス装置 | |
JP2006273325A (ja) |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 |
KR102303232B1 (ko) |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JP2006299798A (ja) | スマートカードによる車両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 |
KR20190064519A (ko) | 차량 위치 결정 방법, 차량 작동 방법 및 시스템 | |
JP2020133233A (ja) | 車両用情報管理装置 | |
KR20130114306A (ko) |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 |
JP2015113613A (ja) | 施解錠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 |
JP2015003652A (ja) | 制御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