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946B1 -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946B1
KR102064946B1 KR1020180141607A KR20180141607A KR102064946B1 KR 102064946 B1 KR102064946 B1 KR 102064946B1 KR 1020180141607 A KR1020180141607 A KR 1020180141607A KR 20180141607 A KR20180141607 A KR 20180141607A KR 102064946 B1 KR102064946 B1 KR 10206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communication unit
management system
safe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이기용
한정윤
김지용
안현빈
최승찬
Original Assignee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모 또는 작업쪼끼 형태로 작업자가 착용하며, 내부에 각 현장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센싱값을 송신하는 제 1통신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Field wear and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등 각종 시설에서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모, 작업쪼끼 등에 의해 해당 현장의 상태가 모니터링 되도록 하여 사고예방, 사고시 즉각적인 사고조치 등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 등 대형 시설의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들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각 작업자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장소의 환경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안전사고가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더 큰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시설 등에서 안전사고를 모니터링 하고 방지하기 위해 종래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3533호에서는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한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를 통해 작업자가 검출되면 위험에 대한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건설현장 등에서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이나 진동 등으로 위험 영역에 대한 경보를 알려주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토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기술은 위험영역에 대한 거리적 접근에 대해서만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실제 현장에서는 더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3533호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등 각종 시설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원인을 감지 및 알람토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사고 발생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현장착용구는, 작업모 또는 작업쪼끼 형태로 작업자가 착용하며, 내부에 각 현장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센싱값을 송신하는 제 1통신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센서는 보호케이싱에 수용되되, 상기 보호케이싱은 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그라파이트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부틸고무 5 내지 10중량부, 보론질화물 0.5 내지 1중량부, 탄소섬유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현장착용구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함)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현장착용구; 상기 현장착용구의 제 1통신부에서 송신한 센싱값이 수신되는 제 2통신부와, 제 2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전달받아 분석하고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통신부를 통해 상기 현장착용구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각 현장에 구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 2통신부로 송신하는 제 3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영상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센서에는 가속도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한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이 기 입력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고알람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센서에는 위치측정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사고알람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측정센서에 의한 위치값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작업자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등 각종 시설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작업쪼끼 등의 현장착용구에 의해 시설에서 각 현장상태가 자동적으로 모니터링이 되도록 하여 안전사고 예방, 안전사고 발생시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장착용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현장착용구의 일 구성으로 센서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 관제센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 영상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장착용구(2)는 작업모 또는 작업쪼끼 형태로 작업자가 착용하며, 내부에 각 현장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22)와, 상기 센서부(22)에 의한 센싱값을 송신하는 제 1통신부(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현장착용구(2)는 도 1 등에서 작업쪼끼를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전모가 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작업쪼끼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현장착용구(2)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쪼끼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에 구성되며 각 현장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성된 센서부(22)와, 상기 센서부(22)에 의한 센싱값을 송신하는 제 1통신부(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장착용구(2)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가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현장착용구(2)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1)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시스템(1)은 복수의 현장착용구(2); 상기 현장착용구(2)의 제 1통신부(23)에서 송신한 센싱값이 수신되는 제 2통신부(31)와, 제 2통신부(31)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전달받아 분석하고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현장착용구(2)로 송신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하는 관제센터(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은 하수처리장 등 각종 시설에서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현장착용구(2)에 의해 작업자가 위치한 시설내 현장상태가 자동적으로 모니터링 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22)는 현장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속도센서(221), 가스측정센서(222), 위치측정센서(223)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상태라 함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설(a)에 있어서 세부 현장(a1, a2, a3.....)의 각종 상태를 정의하는 것으로 세부 현장은 예로 하수처리시설(a)에 있어 전처리조(a1), 생물반응조(a2)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태"라함은 각 현장 자체의 상태로서 가스농도 등이 될 수 있고 각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상태로서 어떠한 충격을 받은 상태, 작업자의 작업위치 등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장소적 및 인적 상태를 포괄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장상태를 센싱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22)에는 가속도센서(221), 가스측정센서(222), 위치측정센서(223)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속도센서(221)는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 가스중독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작업자가 이상 움직임을 발현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속도센서(221)는 가속도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속도센서(221)에서 작업자의 가속도가 측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측정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32)는 실시간으로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이 기 입력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고알람신호를 생성토록 하여 즉각적으로 사고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임계치라 함은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에 대한 임계치를 정의하는 것으로 이러한 임계치의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을 초과하는 실시간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이 감지되는 경우 작업자에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고 간주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임계치의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이 발생되는 이유는 다양하게 추정될 수 있는데 어떠한 충격, 가스에 의한 중독 등에 의해 작업중 작업자에 데미지가 온 상태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사고의 개연성이 있는 정황을 자동적으로 모니터링이 되도록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측정센서(222)는 현장에서 황화수소(H2S) 등 유독성가스의 농도가 측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독성가스 농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됨에 따라 이 경우도 관제센터(3)에서 모니터링을 통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착용구(2) 자체에 디스플레이부(24)가 구성되어 작업자가 현장의 유독성가스의 농도를 직접 모니터링 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독성가스의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관제센터(3)의 제어부(32)에서 알람신호가 생성되도록 하여 이러한 알람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4)에 현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측정센서(223)는 작업자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측정센서(223)의 경우도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위치측정센서(223)가 구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특히 시설에 있어 현장이 큰 경우 작업자의 사고발생위치가 관제센서(3)에서 간파되도록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부(22)는 상기 몸체(21)에 장착이 되는데, 상기 센서부(22)를 구성하는 센서들이 외부충격(작업자의 움직임 동작 포함)에 노출되는 경우 센서의 파손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동절기 등의 경우에 작은 외부충격에도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센서부(22) 주변에서 누설전류,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정확한 센싱을 방해하는 요인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부(22)에 있어 센서는 보호케이싱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데, 상기 보호케이싱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그라파이트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부틸고무 5 내지 10중량부, 보론질화물 0.5 내지 1중량부, 탄소섬유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탄성이 우수하여 센서의 외부충격으로부터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카본그라파이트는 보호케이싱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충격에 대한 충격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전도체인 카본그라파이트가 첨가됨에 의해 정전기 발생을 제어하여 정전기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되거나 표면에 이물질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및 표면에 이물질 축적의 경우 공히 센싱의 정확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바, 상기 보호케이싱에는 카본그라파이트가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본그라파이트에 더하여 부틸고무가 첨가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부틸고무는 이소부틸렌과 소량의 이소프렌을 낮은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이온중합한 고무로서, 순도 99% 이상의 이소부틸렌에 1.5∼4.5%의 이소프렌 혼합물과 순수한 메틸클로라이드를 넣고 촉매제로 무수염화알루미늄을 넣은 뒤 중합반응기에 넣어 약 -100℃의 낮은 온도에서 중합하여 만들며, 불포화도와 무늬점도 및 오염이 있고 없음에 따라 할로겐화 부틸고무와 폴리이소부틸렌 등 여러 종류로 나뉜다. 이러한 부틸고무는 충격을 잘 흡수하며 특히 저온에서도 탄성체가 잘 결정화하지 않으므로 -5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유연성을 가진다.
상기 부틸고무를 첨가토록 하는 이유는 내충격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온에서도 탄성을 잃지 않는 재질특성에 의해 동절기 등에 동결융해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페이스트의 계속적인 신축에도 이러한 신축에 대한 충격을 상기 부틸고무가 완화토록 하여 내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저온에서 페이스트에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반복적인 신축에 의해 페이스트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부틸고무가 저온에서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어 이러한 신축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동결융해에 따른 페이스트의 균열 등의 이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본그라파이트가 저온에서 페이스트의 충격저항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미미할 수 있는데 이를 부틸고무가 보완하는 것으로 부틸고무의 첨가로 저온에서도 내충격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부틸고무의 첨가에 의해 상기 보호케이싱은 동절기 등 저온환경하에서도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결국 센서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제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호케이싱은 절연배리어층으로서 기능을 하는데 보호케이싱 내부의 수소 원자들이 센서로 침투하여 캐퍼시티특성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캐퍼시티특성의 변화에 의해 당연히 정확한 센싱값의 도출을 방해하게 되는데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보호케이싱에 보론질화물이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들과 접하는 상기 보호케이싱의 표면에는 공극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공극은 표면층의 알카리 성분과 금속성분 등이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수소고용 능력이 과포화 되면 경화과정 등에서 수소가 페이스트 조직 외부로 방출되면서 페이스트 표면에 공극, 균열 등이 형성됨에 기인한 것이다.
즉 수소의 방출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소원자가 센서 내부로 침투하여 캐퍼시티특성의 변화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보호케이싱에는 보론질화물이 첨가되도록 하는 것인데 보론질화물에 의해 수소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보론질화물에 의해 수소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센서로 수소침투의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소섬유는 보호케이싱이 경화과정 등에 발생될 수 있는 미세균열 등을 가교작용에 의해 제어하여 보호케이싱의 균열에 의한 충격저항성 저하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고, 미세균열에는 이물질이 침적되어 이러한 이물질의 침적에 의한 부식 등에 의해 센싱값의 교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케이싱에는 탄소섬유가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탄소섬유는 전도체로서 상기 카본그라파이트와 동일하게 정전기 발생을 제어하여 정전기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되거나 표면에 이물질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현장착용구(2)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통신부(23)가 구성되는 바, 상기 제 1통신부(23)에 의해 각 현장착용구(2)가 관제센터(3)와 송,수신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통신부(23)를 통해 상기 센서부(22)에 의한 센싱값을 관제센터(3)로 송신하고, 관제센터(3)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관제센터(3)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통신부(31), 제어부(32), 디스플레이부(3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통신부(31)를 통해 관제센터(3)와 착용구(2)간에 송,수신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현장착용구(2)의 제 1통신부(23)에서 송신한 센싱값이 수신되며, 상기 제어부(32)에서 수신된 센싱값에 의해 생성한 알람신호를 상기 제 1통신부(23)로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2)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통신부(31)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전달받아 분석하고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3)에서 현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현장착용구(2)로 송신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어부(32)에서 수신된 센싱값을 전달받아 분석하고 알람신호를 생성토록 하는 메커니즘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속도센서(221)에서 작업자의 가속도가 측정되어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가속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32)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32)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가속도측정값을 통해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을 도출하게 되는 것이며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이 기 입력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고알람신호를 생성토록 하여 디스플레이부(33)에서 현시되도록 하여 관제센터(3)에서 별도의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제 2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현장착용구(2)로 송신토록 하여 착용구(2)의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사고알람신호가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소리 등으로 착용구(2)의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사고알람신호가 현장에서 발현되도록 하여 작업자 주변의 타 작업자에 의해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는 각 현장(a1, a2...)에 설치되는 영상부(4)가 구성되는 바, 상기 영상부(4)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41)와, 상기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 2통신부(31)로 송신하는 제 3통신부(43)와, 상기 카메라(41)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 현장(a1, a2...)에 영상부(4)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부(22)에 의한 센싱에 더하여 영상부(4)에 의한 영상에 의해 현장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영상부(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관제센터(3)의 디스플레이부(33)에서 발현된다고 하더라도 관리자에 의해 계속적인 영상의 모니터링이 불가할 수 있고 영상이 현장 전체를 담고 있는 것도 현장의 크기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2)가 상기 가속도센서(221)에 의한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이 기 입력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고알람신호를 생성토록 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사고알람신호의 경우도 실질적으로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타원인에 의해 사고알람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사고가 작업자에게 발생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2)에는 위치측정센서(223)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사고알람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위치측정센서(223)에 의한 위치값에 의해 상기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41)가 작업자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사고알람신호에 의한 사고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고알람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위치측정센서(223)에 의한 위치값에 의해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이러한 명령신호는 제 2통신부(31)를 통해 제 3통신부(43)로 전달되며 제 3통신부(43)로 전달된 명령신호는 상기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41)가 작업자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정확하게 사고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한 작업자의 영상이 제 3통신부(43) 및 제 2통신부(3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3)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는 사고알람신호를 통해 사고를 인식하면서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시각적으로 사고여부를 확인토록 하여 정확한 사후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시스템 2 : 현장착용구
3 : 관제센터 4 : 영상부

Claims (6)

  1. 작업모 또는 작업쪼끼 형태로 작업자가 착용하며, 내부에 각 현장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센싱값을 송신하는 제 1통신부가 포함되되,
    상기 센서는 보호케이싱에 수용되며,
    상기 보호케이싱은 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그라파이트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부틸고무 5 내지 10중량부, 보론질화물 0.5 내지 1중량부, 탄소섬유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구.
  2. 삭제
  3. 제 1항의 현장착용구; 및
    상기 현장착용구의 제 1통신부에서 송신한 센싱값이 수신되는 제 2통신부와, 제 2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전달받아 분석하고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통신부를 통해 상기 현장착용구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구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각 현장에 구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 2통신부로 송신하는 제 3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영상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구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는 가속도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한 가속도측정값 변화량이 기 입력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고알람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구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는 위치측정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사고알람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측정센서에 의한 위치값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작업자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구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80141607A 2018-11-16 2018-11-16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6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07A KR102064946B1 (ko) 2018-11-16 2018-11-16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07A KR102064946B1 (ko) 2018-11-16 2018-11-16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946B1 true KR102064946B1 (ko) 2020-01-10

Family

ID=6915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07A KR102064946B1 (ko) 2018-11-16 2018-11-16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9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08B1 (ko) * 2011-08-22 2013-12-10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08B1 (ko) * 2011-08-22 2013-12-10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9706B2 (en)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afety belt unit for high-place work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0443976B (zh) 基于安全帽的安全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KR200482611Y1 (ko)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5701998B (zh) 一种智能安全防护系统及报警方法
JP5884719B2 (ja) 空気式防舷材のガイロープの張力検知システムおよび空気式防舷材
KR101070715B1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64946B1 (ko) 현장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US20200276462A1 (en) Protective Equipment Comprising a Sensor Device
KR20190116781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작업자의 추락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3378749B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视觉检测系统
KR101592830B1 (ko)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00107912A (ko)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A3072678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fall arrest device
CN110984955A (zh) 一种钻机远程监控系统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78671A (ko)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220037614A (ko)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200494028Y1 (ko)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와치형 장치
KR102376720B1 (ko) 안전고리 체결시스템과 안전고리 체결제어방법
KR20210115906A (ko) 적응적 분산 객체를 이용한 가스안전 관리시스템
KR101357444B1 (ko) 발전소 안전 시스템
KR20060068574A (ko) 통신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