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533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533B1
KR102064533B1 KR1020170146262A KR20170146262A KR102064533B1 KR 102064533 B1 KR102064533 B1 KR 102064533B1 KR 1020170146262 A KR1020170146262 A KR 1020170146262A KR 20170146262 A KR20170146262 A KR 20170146262A KR 102064533 B1 KR102064533 B1 KR 102064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oor unit
information
control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660A (ko
Inventor
오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5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04L61/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가 여러 대 설치된 경우 어느 하나의 실내기에 대한 제어 신호가 다른 실내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 리모컨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실내기 및 실내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며, 실내기는 리모컨으로부터 I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ID 설정 정보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고,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와 변경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리모컨으로 다수개의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싱글형 에어컨과 멀티형 에어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싱글형 에어컨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내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실외기가 1:1 로 연결되는 것이다.
멀티형 에어컨은 다수개의 실내기와, 다수개의 실내기와 공유되어 각 실내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실외기가 다수:1 로 연결되는 것이다. 멀티형 에어컨의 경우, 설치공간의 제약이 적으며,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학교, 사무실 또는 쇼핑몰 등과 같은 대형 건물에서는 제어의 용이성과, 관리의 편리성 등의 이유로 멀티형 에어컨이 주로 설치되는 추세였다.
최근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 인버터 에어컨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대형 건물에 인버터 에어컨과 실외기로 구성되는 싱글형 에어컨을 다수개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각 실에 다수개의 에어컨이 위치할 수 있고, 리모컨으로 다수개의 에어컨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시 다른 에어컨도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실내기가 인접하게 설치된 경우 각 실내기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발명은 실외기, 리모컨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실내기 및 실내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며, 실내기는 리모컨으로부터 I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ID 설정 정보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고,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와 변경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어부가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와 변경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제어 신호에 포함된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은 리드 코드(lead code)와 체크섬 코드(checksum code)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리드 코드와 체크섬 코드 사이에 ID 설정 정보에 따른 ID 코드가 추가되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제4 발명은, 실내기는 변경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발명은, 리모컨은 ID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된 ID 정보를 포함하는 ID 설정 정보를 실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발명은, 리모컨은 입력된 ID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 발명은, 통신부는 ID 정보와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8 발명은, 동작 정보는 전원 온/오프 명령, 온도 조절 명령, 풍향 조절 명령 및 바람 세기 조절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따르면, 같은 공간에 다수개의 실내기가 설치된 경우 각 실내기에 설정된 ID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수개의 실내기 중 제어 하고자 하는 실내기를 선택하여 정확하게 제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실내기가 인접하게 위치한 경우 제어 대상 실내기가 아닌 다른 실내기가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오동작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3 발명에 따르면, 기존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을 통해 실내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 실내기를 교체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4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는 각각에 설정된 ID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실내기에 표시된 ID 정보를 참고할 수 있어, 실내기가 다수개 설치된 경우 헷갈리지 않고 실내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5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을 통해 각 실내기에 ID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6 발명에 따르면, 설정될 ID 정보를 리모컨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7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에서 실내기로 제어 신호를 전송시 ID 정보와 동작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실내기의 개별 제어하더라도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알고리즘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8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의 개별 제어시 기존 리모컨을 통해 제어하던 각종 기능 제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글형 에어컨이 다수개 설치된 경우 제어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같은 공간에 싱글형 에어컨이 다수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개의 실내기가 설치된 경우 각 실내기를 개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으로 ID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가 ID 정보를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수 개의 실내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글형 에어컨이 다수개 설치된 경우 제어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같은 공간에 싱글형 에어컨이 다수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실외기와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싱글형 에어컨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실외기와 복수개의 실내기가 설치되나, 하나의 실외기에는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하면, 실외기(10)는 제1 실외기(11), 제2 실외기(12) 및 제3 실외기(13) 등을 포함하고, 실내기(20)는 제1 실내기(21), 제2 실내기(22) 및 제3 실내기(23) 등을 포함하고, 제1 실외기(11)는 제1 실내기(21)에만 연결되고, 제2 실외기(12)는 제2 실내기(22)에만 연결되고, 제3 실외기(13)는 제3 실내기(23)에만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외기와 하나의 실내기는 하나의 냉매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외기(11)와 제1 실내기(21)는 제1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며 운전되고, 제2 실외기(12)와 제2 실내기(22)는 제2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며 운전되고, 제3 실외기(13)와 제3 실내기(33)는 제3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며 운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실내기(21 내지 23)는 같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 각각은 서로 다른 실외기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 개의 실내기(21 내지 23)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 개의 실내기(21 내지 23)가 모두 동일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다수 개의 실내기(21 내지 23)가 서로 다른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내기(20)에 구비된 입력 버튼 또는 리모컨(100)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통해 실내기(20)를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실내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다수 개의 실내기(21 내지 23) 중 제1 실내기(21)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100)에 명령을 입력하였으나, 제1 실내기(21)가 아닌 다른 실내기에 제어 명령이 전송되거나, 제1 실내기(21) 뿐만 아니라 다른 실내기에도 제어 명령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바와 다르게 실내기가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실내기의 제어 상태가 불필요하게 변경됨에 따라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모컨으로 실내기 각각에 ID를 설정하여, 실내기를 개별 제어하고자 한다.
<리모컨>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리모컨(100)은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은 전원 버튼, 온도 조절 버튼, 풍향 조절 버튼, 타이머 설정 버튼 및 리셋 버튼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명령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실내기(20)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실내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후술하는 ID 정보, ID 설정 정보 및 동작 정보 등을 실내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실내기(20)로부터 실내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리모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실내기에 ID를 설정하기 위한 각종 입력 명령을 수신하여 실내기(20)에 전송함으로써 각 실내기별로 ID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실내기(20)는 입력부(210), 디스플레이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전원 입력부(260), 송풍 유닛(270), 기능 설정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실내기(20)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버턴은 전원 버튼 및 온도 조절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실내기(20)의 동작 상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리모컨(100)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30)는 리모컨(100)으로부터 ID 정보, ID 설정 정보 및 동작 정보 등을 포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리모컨(100)으로 실내기(20)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실내기(2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40)는 ID를 설정한 경우 ID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리모컨(10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시 저장부(240)에 저장된 I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260)는 실내기(2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260)는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풍 유닛(270)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송풍 유닛(270)은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로 유도하여,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풍향조절부재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송풍 유닛(270)은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명령 또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명령에 따라 실내 온도 또는 풍속 등이 조절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기능 설정부(280)는 실내기(20)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기능 설정부(280)는 공기 청정 모드, 제습 모드 등과 같은 운전 기능을 설정하거나, 취침 예약 등과 같은 부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기능 설정부(28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명령 또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명령에 따라 각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실내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입력부(210), 디스플레이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전원 입력부(260), 송풍 유닛(270) 및 기능 설정부(28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90)는 ID를 설정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통신부(230)를 통해 ID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ID 설정 정보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ID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ID 정보를 갖는 통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실내기에 ID를 설정하여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실내기를 개별 제어할 수 있다.
<ID 설정을 통한 실내기 개별 제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개의 실내기가 설치된 경우 각 실내기를 개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리모컨(100)은 전원 온(on)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
리모컨(100)은 전원 버튼을 구비할 수 있고, 전원 버튼을 입력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전원 버튼을 입력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실내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00)은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제1 실내기(21) 및 제2 실내기(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실내기(21)가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실내기(21)의 전원이 온될 수 있다. 제2 실내기(22)가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실내기(22)의 전원이 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내기(21, 22)가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및 제2 실내기(21, 22)의 전원이 온될 수 있다.
전원이 온 된 실내기가 후술하는 다음 과정을 통해 ID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컨(100)의 전원 버튼을 입력한 후 전원이 켜지는 실내기를 확인하여, 다음 과정을 통해 ID 설정될 실내기가 어떤 실내기인지 인식할 수 있다. 즉, 리모컨(100)의 전원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제1 실내기(21)의 전원이 온 되면 다음 과정을 통해 제1 실내기(21)에 ID가 설정되고, 제2 실내기(22)의 전원이 온 되면 다음 과정을 통해 제2 실내기(22)에 ID가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1 실내기(21)와 제2 실내기(22)가 동시에 켜지면 제1 내지 제2 실내기(21, 22)는 동일한 ID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원 입력을 통해 ID 설정될 실내기를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고, 어떤 실내기에 어떤 ID를 설정할 지 인식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음 단계 S13 내지 S17에서는, 단계 S11에서 전원 온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1 실내기(21)의 전원이 온 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리모컨(100)은 제1 ID를 설정할 수 있다(S13).
<ID 설정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으로 ID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리모컨(100)의 입력부(110)는 복수개의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ID 설정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00)은 기 설정된 제1 입력 버튼과 제2 입력 버튼을 동시에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ID 설정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예시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제1 입력 버튼(111)과 제2 입력 버튼(112)을 ID 설정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입력 버튼(111)은 전원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버튼이고, 제2 입력 버튼(112)은 리셋(reset) 버튼일 수 있다. 그러나, 버튼의 개수와 종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140)는 ID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에 ID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ID 정보는 숫자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글, 영문, 특수 문자, 색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입력하여 설정될 ID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하면, 제어부(140)는 온도 설정 버튼(113)을 선택하는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온도 설정 버튼(113)이 선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ID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업 버튼(113a)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ID 번호를 증가시키고, 온도 다운 버튼(113b)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ID 번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온도 업 버튼(113a)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ID 번호의 10의 자리를 증가시키고, 온도 다운 버튼(113b)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ID 번호의 1의 자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ID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ID 정보에 따라 다양한 입력 버튼을 입력 받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ID 정보가 입력되고, 전원 버튼(114)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설정된 ID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원 버튼(114)이 입력되면 ID 설정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전원 버튼(114)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리모컨(100)의 제어부(14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1 ID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ID 설정 정보를 제1 실내기(2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15).
즉, 제어부(140)는 도 6의 (d)에서 전원 버튼(114)이 선택되면, 제1 실내기(21)가 제1 ID로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한 뒤 전원을 오프 및 온 시킴으로써 ID를 설정하도록 실내기(21)로 제1 ID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실내기(21)의 통신부(230)는 리모컨(100)으로부터 제1 ID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1 ID 설정 정보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S17).
<통신 프로토콜 변경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종래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변경된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종래 통신 프로토콜 또는 ID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통신 프로토콜은 리드 코드(Lead Code), 커스텀 코드(Custom Code), 제1 데이터 코드(Data A), 제2 데이터 코드(Data B) 및 체크섬 코드(Check Sum)로 구성될 수 있다. 리드 코드는 리모컨(100)에서 전송된 코드임을 나타내고, 커스텀 코드는 제품의 종류를 나타내며, 제1 데이터 코드는 운전 모드를 나타내고, 제2 데이터 코드는 온도 정보를 나타내고, 체크섬 코드는 수신된 신호가 에러 없이 제대로 수신된 신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체크섬 코드를 확인하여 에러 없이 제대로 수신된 신호로 판별되면 제1 내지 제2 데이터 코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90)는 ID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통신 프로토콜에 ID 코드를 추가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ID 코드는 리드 코드와 체크섬 코드 사이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D 코드는 리드 코드와 커스텀 코드 사이, 커스텀 코드와 제1 데이터 코드 사이, 제1 데이터 코드와 제2 데이터 코드 사이 또는 제2 데이터 코드와 체크섬 코드 사이에 추가될 수 있다. 도 7의 (b)에서는 ID 코드가 리드 코드와 커스텀 코드 사이에 추가된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제어부(290)는 수신된 제1 ID 설정 정보에 따른 제1 ID 정보가 추가되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한 후 전원을 오프시킨 다음 온 시켜 제1 ID를 실내기(21)의 시스템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리모컨(100)은 전원 온 명령을 수신한 후 제2 ID를 설정하고(S19), 제2 ID 설정 정보를 제2 실내기(2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실내기(22)는 리모컨(100)으로부터 제2 ID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ID 설정 정보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S23).
여기서, 제1 ID와 제2 ID는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제1 ID와 제2 ID가 상이하면 제1 실내기(21)와 제2 실내기(22)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제1 ID와 제2 ID가 동일하면 제1 실내기(21)와 제2 실내기(22)는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ID는 01이고, 제2 ID는 02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290)는 변경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초기에 ID를 설정할 때뿐만 아니라, 설정된 ID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밖에, 자세한 설명은 단계 S11 내지 S17을 통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리모컨(100)은 ID 정보와,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25).
사용자는 다수개의 실내기(21, 22)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고 싶은 경우 리모컨(100)에 ID 정보와 함께 동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ID 정보는 실내기(20)에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D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01 또는 02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정보는 실내기(20)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명령으로, 전원 온/오프 명령, 온도 조절 명령, 풍향 조절 명령, 바람 세기 조절 명령, 공기 청정 모드로 동작 명령, 제습 모드로 동작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리모컨(100)은 입력부(110)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통해 ID 정보와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수신된 입력 명령에 따라 실내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7).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ID 정보와 동작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도 7을 통해 설명한 통신 프로토콜 형식을 갖을 수 있고, ID 정보는 ID 코드에 포함되고, 동작 정보는 제1 데이터 코드 및 제2 데이터 코드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리모컨(100)의 방향, 통신 환경, 실내기의 상태 등에 따라 제1 및 제2 실내기(21, 22) 중 어느 하나에만 전송되거나, 제1 및 제2 실내기(21, 22)에 모두 전송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내기(21, 22) 중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21, 22)의 제어부(29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가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9).
제어부(29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가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와 일치하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동작 정보에 따라 실내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
그러나, 제어부(29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가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33). 즉, 제어부(29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가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제어 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공간에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실내기(21)는 ID 코드가 01인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고, 제2 실내기(22)는 ID 코드가 02인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고, 제3 실내기(23)는 ID 코드가 03인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ID 정보가 02이며, 동작 정보가 바람 세기를 증가시키는 명령인 제어 신호가 제1 및 제2 실내기(21, 22)로 수신되고, 제3 실내기(23)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실내기(21)의 제어부(290)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가 01이므로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인 02와 상이하므로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실내기(22)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가 02이므로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인 02와 동일하므로, 바람 세기를 증가시키는 명령에 따라 바람 세기가 증가하도록 송풍 유닛(270)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실내기(23)의 제어부(29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수 개의 실내기가 설치된 경우 리모컨을 통해 각 실내기에 ID를 설정함으로써 제어 신호가 잘못 수신되어 오작동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D 설정 정보의 출력>
사용자에 따라 실내기에 설정된 ID 정보를 기억하기 어렵거나, 같은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가 많으면 설정된 ID 정보가 헷갈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기(20)의 제어부(290)는 ID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설정된 ID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가 ID 정보를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제1 실내기(21)는 ID 코드가 01인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고, 제2 실내기(22)는 ID 코드가 02인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고, 제3 실내기(23)는 ID 코드가 03인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내기(21)의 디스플레이부(220)는 'ID: 01'을 출력하고, 제2 실내기(22)의 디스플레이부(220)는 'ID: 02'을 출력하고, 제3 실내기(23)의 디스플레이부(220)는 'ID: 03'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 내용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내기(20)는 설정된 ID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 가능한 다양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 공간에 실내기가 많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각 실내기에 ID를 설정하고, 각 실내기에 표시된 ID를 확인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실내기를 선택하여 정확하게 제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의 알림 출력>
실내기가 여러 개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ID 정보를 입력하여 제어 가능하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가 어떤 실내기인지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기(2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와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의 일치 여부와 관계 없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220)가 제어 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색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개의 실내기 중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모컨(100)을 통한 제어 신호의 수신 가능 거리 및 수신 가능 범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기(2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와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가 일치함에 따라 특정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20)가 동작 상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동작하면 제2 색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리모컨(100)을 통해 입력한 ID와 일치하는 ID 정보를 갖는 실내기(20)를 확인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기가 별도의 통신 장비 및 중앙 제어기, BMS 제어 등 고가의 장비 없이도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실내기와 리모컨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기존 실내기와도 호환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실내기의 교체 비용 등을 절감하여 사용자가 여러 대의 실내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앞에서는 싱글형 에어컨이 다수 설치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내기가 다수개 설치된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옐르 들어, 멀티형 에어컨에서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된 다수개의 실내기에 개별적으로 ID를 설정하여, 각 실내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실내기 210: 실내기의 입력부
220: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 230: 실내기의 통신부
240: 저장부 290: 실내기의 제어부
100: 리모컨 110: 리모컨의 입력부
120: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부 130: 리모컨의 통신부
140: 리모컨의 제어부

Claims (8)

  1. 실외기;
    리모컨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와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상기 전원 온 신호에 따라 전원이 온 된 실내기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ID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D 설정 정보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 설정하고, 상기 변경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 정보와 상기 변경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리드 코드(lead code)와 체크섬 코드(checksum cod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드 코드와 체크섬 코드 사이에 상기 수신된 ID 설정 정보에 따른 ID 코드가 추가되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ID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ID 정보를 포함하는 ID 설정 정보를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입력된 ID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ID 정보와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공기조화기.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전원 온/오프 명령, 온도 조절 명령, 풍향 조절 명령 및 바람 세기 조절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46262A 2017-11-03 2017-1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262A KR102064533B1 (ko) 2017-11-03 2017-1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262A KR102064533B1 (ko) 2017-11-03 2017-1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660A KR20190050660A (ko) 2019-05-13
KR102064533B1 true KR102064533B1 (ko) 2020-01-09

Family

ID=6658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262A KR102064533B1 (ko) 2017-11-03 2017-1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5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889A (ja) * 2008-11-20 2010-06-03 Hitachi Appliances Inc 無線送信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889A (ja) * 2008-11-20 2010-06-03 Hitachi Appliances Inc 無線送信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660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1207B2 (en)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JP6299785B2 (ja) 空調システム
CN103931208B (zh) 空调机及遥控器
KR102549128B1 (ko) 공기조화기, 공기조화기의 중앙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405193B (zh) 空调系统及其遥控器配对方法
US20110181386A1 (en) Providing Guidance During Operation of a Universal Remote Control
JP5316477B2 (ja) 空調制御装置
WO201812795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4932574A (zh) 风管机的控制系统
KR10206453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5887856B2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本体およびリモコン
KR20140039874A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EP3572737B1 (en) Air conditioner
KR101942522B1 (ko)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20516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AU2019300633B2 (en) Ventilation system
CN214469212U (zh) 一种新型中央空调控制装置
JP5887855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リモコン
WO2022208674A1 (ja) 空気調和機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空気調和機システム
KR10227250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994677B2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KR102000064B1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20160044907A (ko) 무선 리모컨을 이용한 냉난방 제어시스템
KR20140139237A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