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35B1 -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35B1
KR102063435B1 KR1020140142560A KR20140142560A KR102063435B1 KR 102063435 B1 KR102063435 B1 KR 102063435B1 KR 1020140142560 A KR1020140142560 A KR 1020140142560A KR 20140142560 A KR20140142560 A KR 20140142560A KR 102063435 B1 KR102063435 B1 KR 10206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angle
charging
difference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533A (ko
Inventor
노태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45Layout of circuits for control of the dwell or anti dwell time
    • F02P3/0453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 F02P3/0456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gital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은 설정한 점화코일의 초기점화충전시간으로 점화가 이루어진 후 ECU(Engine Control Unit)에 의한 목표 점화각과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이 판단되고, 목표 점화각과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 시 실제 점화각 차이값에 대한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으로 초기점화충전시간을 보정해 보정 점화충전시간이 결정됨으로써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실제 점화각과 목표 점화각의 차이를 해소하고, 이로부터 급격한 엔진회전수(RPM)의 변동에서도 항상 정확한 점화각 제어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Ignition Coil Charging Start Ang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점화각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제 점화각과 목표 점화각의 차이 시 정확한 점화각 제어를 위한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점화시기는 엔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부분이므로 정확하게 구동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계산된 점화각을 기준으로 출력을 하기 위해 소정 각도 단위의 크랭크 포지션 센서(CPS ; Crank Position Sensor)의 이(Tooth)를 카운트(Count)하고, 타이머(Timer)를 이용하며, 피스톤 행정의 상사점(TDC ; Top Dead Center)을 기준하여 각도로 점화시기가 제어되도록 크랭크 포지션 센서의 동작에 동기된다.
특히, 가솔린 엔진에서 점화를 위해서는 점화 코일 충전이 필요하고, 이 충전 시간이 끝나면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점화가 이루어짐으로써 냉각수온, 배터리 상태 등이 고려되어 충전 시간이 정해지고, 엔진 회전을 고려하여 각 실린더별 세그먼트 시작시 충전 시작각이 결정된다.
국내특허공개 10-2003-0081680(2003년10월22일)
하지만, 실제 점화각은 엔진 회전수(RPM)에 영향을 받음으로써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변동 시 목표 점화각과 차이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증가 시 목표 점화각보다 실제 점화각이 지연되고 반대로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감소 시 실제 점화각은 목표 점화각보다 진각된다. 그러므로,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변동에서 타임 세그먼트 시작(Time Segment Start)시 계산된 충전 시작각에서 충전이 시작되어 충전 시간 후 실제 점화되는 각은 목표 점화각과 차이가 생기고, 그 결과 목표 점화각 대비 지/진각으로 예기치 않은 노킹 발생 또는 출력 저하로 인한 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실제 점화각과 목표 점화각의 차이를 점화 충전 시작각 보정으로 해소함으로써 엔진회전수의 급격한 변동에서도 항상 정확한 점화각 제어가 이루어지는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은 (A) 설정한 점화코일의 초기점화충전시간으로 점화가 이루어진 후 ECU(Engine Control Unit)에 의한 목표 점화각과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이 판단되고; (B) 상기 목표 점화각과 상기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 시 실제 점화각 차이값을 계산하며; (C) 상기 실제 점화각 차이값에 대한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으로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을 보정해 보정 점화충전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은 초기충전시작각으로 결정되고, 상기 초기충전시작각은 목표점화각에서 상기 초기충전시간이 포함된 세그먼트간격과 각속도의 곱을 빼서 결정된다. 상기 실제 점화각 차이는 목표점화각에서 실제 점화각을 빼서 계산된다. 상기 보정 점화충전시간은 충전시작각으로 결정되고, 상기 충전시작각은 목표점화각에서 상기 초기충전시간이 포함된 세그먼트간격과 각속도의 곱에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을 더한 값을 빼서 결정된다.
상기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은, (c-1)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이 적용된 초기 세그먼트와 점화 후 이어지는 다음 세그먼트의 차를 초기 세그먼트와 다음 세그먼트 간격으로 나누어 가속도를 계산하고, (c-2) 엔진회전수증가나 감소에 따른 가속도에 의한 점화각차이 보정값을 계산하며, (c-3) 상기 점화각차이 보정값과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이 시작되는 점화충전 시작각으로 계산된다.
상기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은 상기 점화각차이 보정값을 상기 점화충전 시작각과 곱하여 계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실제 점화각과 목표 점화각의 차이를 점화 충전 시작각 보정으로 해소함으로써 급격한 엔진 회전수 변동에서도 항상 정확한 점화각 제어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떠한 운전 조건에서도 실제 점화각을 목표 점화각에 맞춰줌으로써 목표 점화각 대비 점화시기의 지/진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엔진의 노킹 또는 출력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 충전에 대한 타임 세그먼트 선도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Nn-1)과 다음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Nn)사이를 T세그먼트로 정하고, T세그먼트사이에서 이루어지는 Td(충전시작과 목표점화사이의 충전시간), θ(점화각), θ충전시작(충전시작각), θ목표점화(목표점화각), θ차이(점화각차이), 가속도[(Nn-Nn-1)/T세그먼트]에 대한 정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하 설명되는 제어로직은 ECU(Engine Control Unit 또는 Electronic Control Unit)을 통해 구현되고, 정의된 용어로 설명된다.
S10은 엔진 구동 시 목표 점화각과 실제 점화각 차이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는 ECU에서 판단되며, 이를 위해 ECU는 냉각수온, 배터리 상태 등이 고려되어 점화코일 충전 시간을 정하고, 엔진 회전을 고려하여 각 실린더별 세그먼트 시작시 충전 시작각을 결정한다. 이 경우, Nn에 대한 θ충전시작은 초기충전시간으로 정의하고, 다음 수식으로 계산된다.
수학식 : θ충전시작 = θ목표점화 - Td x ω, 여기서 ω는 각속도로서, 이는 밸브 타이밍을 구분하는 캠샤프트나 또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에 대한 각속도이다.
S20은 실제 점화각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ECU는 목표 점화각에서 실제 점화각을 빼줌으로써 그 차이로 점화각 차이를 계산한다.
수학식 : θ차이 = θ목표점화 ?? θ실제점화(실제 점화각)
S30은 가속도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ECU는 다음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과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의 차를 그 간격으로 나누어 가속도를 계산한다.
수학식 : 가속도 = (Nn-Nn-1)/T세그먼트
S40은 가속도에 의한 점화각 차이 보정값 α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ECU에는 α가 엔진회전수(RPM)의 변화량에 의해 결정되도록 맵(map)으로 구축된다. 특히, 차량 가속은 점화지연을 발생시키는 반면 차량 감속은 조기점화를 발생시키므로 α는 0에 가까울수록 작은 값을 가고, 반면 양 또는 음의 방향으로 커질수록 큰 값을 갖는다.
S50은 점화 충전 시작각 보정값 β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ECU는 점화각 차이에 가속도에 의한 점화각 차이 보정값 α를 곱하여 계산한다.
수학식 : β = θ차이 x α
S60은 다음 세그먼트 점화 충전 시작각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ECU는 이전 세그먼트 점화 충전 시작각에 β 반영한다.
수학식 : θ충전시작 = θ목표점화 - Td x ω + β
그러므로, T세그먼트 이후 이어지는 다음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Nn)와 그 다음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Nn+1)사이로 정의된 T세그먼트에서는 S10에서 계산된 점화각 차이가 반영되고, 이로부터 θ차이가 보정됨으로써 차량의 가속이나 감속에 따른 급격한 엔진회전수(RPM)의 변화가 발생하는 점화지연이나 조기점화가 방지된다.
S70은 S10내지 S60의 과정이 엔진 구동중 ECU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됨을 의미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은 설정한 점화코일의 초기점화충전시간으로 점화가 이루어진 후 ECU(Engine Control Unit)에 의한 목표 점화각과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이 판단되고, 목표 점화각과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 시 실제 점화각 차이값에 대한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으로 초기점화충전시간을 보정해 보정 점화충전시간이 결정됨으로써 엔진 회전수(RPM)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실제 점화각과 목표 점화각의 차이를 해소하고, 이로부터 급격한 엔진회전수(RPM)의 변동에서도 항상 정확한 점화각 제어가 이루어진다.
T세그먼트 :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Nn-1)과 다음 세그먼트 계산 시작시점(Nn)사이
Td : 충전시작과 목표점화사이의 충전시간
θ : 점화각 θ충전시작 : 충전시작각
θ목표점화 : 목표점화각
θ차이 : 점화각차이

Claims (6)

  1. (A) 설정한 점화코일의 초기점화충전시간으로 점화가 이루어진 후 ECU(Engine Control Unit)에 의한 목표 점화각과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이 판단되고;
    (B) 상기 목표 점화각과 상기 실제 점화각의 차이 발생 시 실제 점화각 차이값을 계산하며;
    (C) 상기 실제 점화각 차이값에 대한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으로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을 보정해 보정 점화충전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에서,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은 초기충전시작각으로 결정되고, 상기 초기충전시작각은 목표점화각에서 초기충전시간이 포함된 세그먼트간격과 각속도의 곱을 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에서, 상기 실제 점화각 차이는 목표점화각에서 실제 점화각을 빼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정 점화충전시간은 충전시작각으로 결정되고, 상기 충전시작각은 목표점화각에서 초기충전시간이 포함된 세그먼트간격과 각속도의 곱에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을 더한 값을 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에서, 상기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은, (c-1)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이 적용된 초기 세그먼트와 점화 후 이어지는 다음 세그먼트의 차를 초기 세그먼트와 다음 세그먼트 간격으로 나누어 가속도를 계산하고, (c-2) 엔진회전수증가나 감소에 따른 가속도에 의한 점화각차이 보정값을 계산하며, (c-3) 상기 점화각차이 보정값과 상기 초기점화충전시간이 시작되는 점화충전 시작각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화충전 시작각 보정값은 상기 점화각차이 보정값을 상기 점화충전 시작각과 곱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KR1020140142560A 2014-10-21 2014-10-21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KR10206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60A KR102063435B1 (ko) 2014-10-21 2014-10-21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60A KR102063435B1 (ko) 2014-10-21 2014-10-21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33A KR20160046533A (ko) 2016-04-29
KR102063435B1 true KR102063435B1 (ko) 2020-01-13

Family

ID=5591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560A KR102063435B1 (ko) 2014-10-21 2014-10-21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2354A1 (en) 2007-10-30 2010-10-1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ethod of controlling the ignition of a gazoline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242A (ja) * 1991-07-03 1993-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点火信号発生装置
KR19990010357A (ko) * 1997-07-16 1999-02-18 박병재 점화시기 보정제어장치
DE19906390A1 (de) * 1999-02-16 2000-08-17 Bosch Gmbh Robert Zünd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KR100527440B1 (ko) 2002-04-12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점화시기 제어방법
JP4795876B2 (ja) * 2006-07-07 2011-10-19 株式会社ニッキ ガソリン代替燃料エンジンの点火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2354A1 (en) 2007-10-30 2010-10-1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ethod of controlling the ignition of a gazoline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33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199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567930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JP2008069713A (ja)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RU2014149001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преждевременного воспламенения
JP2014199040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4732305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0273929B2 (en) Ignition tim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514015B2 (en)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799556B1 (en) Ignition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063435B1 (ko) 점화 코일 충전 시작각 제어 방법
JP2011012607A (ja) 内燃機関用制御装置
US9581100B2 (en) Vehicle torque compensation system
US20170114728A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092549A (ja) 内燃機関の停止制御装置
JP6213368B2 (ja) 電子制御装置
JP5998904B2 (ja) 内燃機関の失火判定装置
JP6489960B2 (ja) 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JP201012710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522205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25016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813194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00750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520736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S6217369A (ja) 内燃エンジンのアイドル時の点火時期制御方法
JP2009121407A (ja) 内燃機関の回転速度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