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466B1 -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466B1
KR102062466B1 KR1020180117360A KR20180117360A KR102062466B1 KR 102062466 B1 KR102062466 B1 KR 102062466B1 KR 1020180117360 A KR1020180117360 A KR 1020180117360A KR 20180117360 A KR20180117360 A KR 20180117360A KR 102062466 B1 KR102062466 B1 KR 10206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paper
ceramic layer
coated
mixe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호
Original Assignee
나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호 filed Critical 나영호
Priority to KR102018011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8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0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70Multistep processes; Apparatus for adding one or several substances in portions or in various ways to the paper,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group of this main grou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6Special paper or cardboard manufactured by dry method; Apparatus or processes for forming webs by dry method from mainly short-fibre or particle material, e.g. paper pul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코팅 요리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황토분말과 실리콘오일을 차례대로 코팅하여 음식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한 황토 코팅 요리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박엽지;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는 황토세라믹층; 및 상기 황토세라믹층에 코팅되는 실리콘세라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코팅 요리지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loess-coated cooking 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황토분말과 실리콘오일을 차례대로 코팅하여 음식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한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소수지가 상부면에 코팅된 후라이팬이나 구이팬 등의 조리팬을 사용하여 생선이나 육류 등의 음식재료를 조리하면 음색재료가 고열에 의해 연소되면서 연기와 수증기와 유증기 및 냄새가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기름도 조리팬의 사방으로 튀게 된다.
이러한 연기와 수증기와 유증기 및 냄새는 주방은 물론 거실이나 침실로 퍼지고 환기를 시키더라도 실외로 쉽게 배출되지 않아 실내환경을 오염시키고, 기름은 조리팬을 비롯하여 조리팬 주위에 있는 가열수단과 싱크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리팬의 가열면에 코팅된 불소수지는 조리도구에 긁혀서 벗겨지거나 사용기간에 따라 서서히 닳아 없어지고 조리팬의 장기간 사용시 음식재료가 쉽게 눌러붙어 연기와 냄새를 더욱 가중시키고 세척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리팬을 사용하여 음색재료를 조리하면서 그 상부면에 음식재료가 눌러붙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음색재료가 타지 않게 하여 연기와 냄새를 줄이고 기름이 사방으로 튀지 않게 하는 종이호일을 조리팬의 상부면에 깔아서 사용하였다.
여기서 종래의 종이호일은 종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황토가 코팅된 것과, 종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실리콘이 코팅된 것으로 대별되고 있다.
그러나 황토가 코팅된 종래의 종이호일은 황토와 함께 혼합되는 바인더와의 배합비가 최적화되지 않고 코팅공정의 기술 완성도가 떨어짐에 따라 황토의 코팅시 종이에 부착되는 황토의 양이 매우 적어 기능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실리콘이 코팅된 종래의 종이호일은 실리콘과 함께 혼합되는 바인더와의 배합비가 최적화되지 않고 코팅공정의 기술 완성도가 떨어짐에 따라 실리콘의 코팅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기능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바인더와 배합비 및 코팅공정으로 인해 실리콘과 황토는 종이에 함께 코팅할 수도 없으므로 종이호일의 기능적 한계를 극복할 수 없고 종이호일의 사용을 꺼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연기나 냄새를 최소화하며 음식재료가 눌러붙지 않게 하는 기능이 강화된 종이호일을 개발하여 음식재료를 조리팬으로 조리할 때 발생하는 고충이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노력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4250호, 2016.05.25.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2366호, 2017.03.02.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6519호, 2009.11.12.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황토와 실리콘을 탈락되지 않도록 견고하고 균일하게 코팅하여 음식재료를 눌러붙지 않게 하는 기능과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는 박엽지;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는 황토세라믹층; 및 상기 황토세라믹층에 코팅되는 실리콘세라믹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황토세라믹층은 400~5,000메쉬의 적황토분말 40~75중량부와 세라믹액 100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코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세라믹층은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실리콘오일 4~70중량부가 혼합된 제2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코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방법은 박엽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400~5,000메쉬의 적황토분말 40~7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상기 제1혼합코팅액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반건조하여 황토세라믹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상기 황토세라믹층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실리콘오일 4~70중량부가 혼합된 제2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상기 제2혼합코팅액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경화시켜 실리콘세라믹층을 형성하여 황토 코팅 요리지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방법은 박엽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20~70메쉬의 적황토분말 40~7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코팅액을 분사하여 황토세라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상기 황토세라믹층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실리콘오일 4~70중량부가 혼합된 제2혼합코팅액을 분사하여 실리콘세라믹층을 형성하여 황토 코팅 요리지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는 박엽지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황토와 세라믹액으로 이루어지거나 실리콘오일과 세라믹액으로 이루어진 혼합코팅액이 도포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부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상기 박엽지를 압착하여 상기 혼합코팅액을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박엽지를 상기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의 사이로 진입하기 전에 예비 건조하고 상기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의 사이를 통과한 상기 박엽지를 건조하여 상기 혼합코팅액을 경화시켜 황토세라믹층 또는 실리콘세라믹층을 형성하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는 박엽지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후단 상부에 배치되고 황토와 세라믹액으로 이루어지거나 실리콘오일과 세라믹액으로 이루어진 혼합코팅액을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사된 상기 혼합코팅액을 건조시켜 황토세라믹층 또는 실리콘세라믹층을 형성하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황토세라믹층과 실리콘세라믹층이 차례대로 견고하게 형성됨에 따라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효과적으로 방사하여 음식재료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음식재료가 눌러붙지 않게 하는 고착방지 기능을 강화하여 연기와 냄새 및 유증기를 최소화하고 기름 튐 현상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조리팬으로 육류 등의 음식재료를 조리할 때 음색재료가 타고 눌러붙지 않게 조리팬의 상부면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는 황토와 실리콘을 포함하는 코팅재료를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다층으로 견고하게 코팅하여 쉽게 탈락되지 않아 냄새와 연기와 유증기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름 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황토를 포함하는 제1혼합코팅액을 코팅하여 황토세라믹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황토세라믹층에 실리콘오일을 포함하는 제1혼합코팅액을 코팅하여 실리콘세라믹층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황토세라믹층과 실리콘세라믹층이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쉽게 탈락되지 않는 견고한 부착력을 가진 상태로 코팅됨으로써 음식재료가 눌러붙지 않는 고착방지 기능도 강화될 수 있고 황토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수분증발 억제, 탈취 및 항균 기능도 발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1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엽지(110)와 황토세라믹층(120) 및 실리콘세라믹층(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엽지(110)는 황토 코팅 요리지(100)의 기재가 되는 구성이다.
이때 박엽지(110)는 펄프지, 유지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표면이 가공된 내유지인 노루지와 크라프트지와 황산지 및 글라신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황토세라믹층(120)은 박엽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황토와 세라믹을 포함하는 제1혼합코팅액이 일정두께로 코팅되는 구성이다.
이때 제1혼합코팅액은 미세입자의 황토분말을 바인더 역할을 하는 세라믹액에 혼합하여 박엽지(110)에 일정두께로 도포한 후 가열 건조하여 경화시킨 것이므로 황토가 박엽지(110)에 균일하게 코팅되고 세라믹에 의해 보호되어 박엽지(110)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조리팬의 상부면에 깔고 그 위에서 음식재료를 조리하면 황토세라믹층(120)을 이루는 황토와 세라믹으로부터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어 음식재료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잡내도 제거하며 대장균과 녹농균 등을 포함하는 세균과 곰팡이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세라믹층(130)은 박엽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황토세라믹층(120)에 실리콘과 세라믹을 포함하는 제2혼합코팅액이 일정두께로 코팅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2혼합코팅액은 실리콘오일을 바인더 역할을 하는 세라믹액에 혼합하여 황토세라믹층(120)에 일정두께로 도포한 후 가열 건조하여 경화시킨 것이므로 실리콘오일이 박엽지(110)에 균일하게 코팅되고 세라믹에 의해 보호되어 박엽지(110)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조리팬의 상부면에 깔고 그 위에서 음식재료를 조리하면 실리콘세라믹층(130)을 이루는 실리콘과 세라믹에 의해 음식재료가 타거나 눌러붙지 않고 내부 깊이까지 익혀 음식재료의 맛과 향을 높일 수 있고 냄새와 연기와 유증기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름 튐 현상도 방지하여 조리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방법(S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엽지 준비 단계(S110), 제1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20), 황토세라믹층 형성 단계(S130), 제2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40) 및 실리콘세라믹층 형성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엽지 준비 단계(S110)는 기재로 사용되는 박엽지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박엽지는 내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박엽지로는 노루지와 크라프트지와 황산지 및 글라신지 등을 포함하는 식품전용 포장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20)는 황토분말과 세라믹액을 혼합한 제1혼합코팅액을 박엽지(110)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혼합코팅액은 황토분말 40~75중량부와 세라믹액 100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여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황토분말이 40중량부 미만이면 원적외선 방사량이 적고 75중량부 초과이면 세라믹액의 접착력 저하로 황토가 탈락이 쉽고 색상도 선명하지 않게 되므로 황토분말과 세라믹액을 상기한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황토분말은 입자크기가 400~5,000메쉬인 것을 사용하고 원적외선 방사량이 가장 많은 적황토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세라맥액으로는 용제가 일액형 알콜계 세라믹액 또는 수계 이액형 세라믹액이고 20~45%의 고형분을 가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혼합코팅액을 박엽지(110)의 일면에 도포할 때는 입경 100~250메쉬의 메쉬롤을 장착한 코팅기를 사용하여 4~12gsm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때 메쉬롤의 입경이 100메쉬 미만이면 도포량이 많고 원활하게 도포가 되지 않아 황토의 탈락이 쉽게 되고 250메쉬 초과이면 도포량이 적어 황토의 효능이 떨어지므로 상기한 입경범위의 메쉬롤을 사용하여 제1혼합코팅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한편, 제1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20)는 제1혼합코팅액을 박엽지(110)에 도포하기 전에 제1혼합코팅액의 원활한 도포를 위해 박엽지(110)를 가열건조기에 통과시키면서 150~200℃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1차 예비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토세라믹층 형성 단계(S130)는 박엽지(110)를 가열건조기에 통과시키면서 100~250℃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제1혼합코팅액을 반건조하여 황토세라믹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가열건조기의 온도가 150℃ 이상이고 건조 시간이 30분 이상이면 제1혼합코팅액이 완전 경화되어 후술할 제2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40)와 실리콘세라믹층 형성 단계(S150)에서 제2혼합코팅액이 원활하게 도포되지 않고 실리콘세라믹층(130)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40)는 실리콘오일과 세라믹액을 혼합한 제2혼합코팅액을 박엽지(110)의 일면에 형성된 황토세라믹층(120)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2혼합코팅액은 실리콘오일 4~70중량부와 세라믹액 100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여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오일의 혼합비율이 4중량부 미만이면 음식재료가 눌러붙지 않게 하는 고착방지 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70중량부 초과이면 고착방지 기능 대비 비용이 증가되므로 실리콘오일과 세라믹액을 상기한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리콘오일은 열을 가하면 경화되어 굳어지는 열경화성 실리콘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액은 제1혼합코팅액에 사용된 세라믹액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혼합코팅액을 황토세라믹층(120)에 도포할 때는 입경 100~250메쉬의 메쉬롤을 장착한 코팅기를 사용하여 4~12gsm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때 메쉬롤의 입경이 100메쉬 미만이면 도포량이 과다하여 원활한 도포가 되지 않고 250메쉬 초과이면 도포량이 적어 고착방지 기능이 미미하여 상기한 입경범위의 메쉬롤을 사용하여 제2혼합코팅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40)는 제2혼합코팅액을 황토세라믹층(120)에 도포하기 전에 제2혼합코팅액의 원활한 도포를 위해 박엽지(110)를 가열건조기에 통과시키면서 150~200℃에서 가열 건조하는 2차 예비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세라믹층 형성 단계(S150)는 박엽지(110)를 가열건조기에 통과시키면서 100~250℃에서 30분이상 가열하여 그 황토세라믹층(120)에 도포된 제2혼합코팅액을 경화시켜 실리콘세라믹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가열건조기의 온도와 시간이 150℃ 미만이고 30분 미만이면 제2혼합코팅액이 경화되지 않고 250℃ 초과이고 30분 초과이면 박엽지(110)가 손상되므로 상기한 온도조건으로 작동시켜 가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박엽지(110)의 일면에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할 수 있고 음식재료의 눌러붙지 않게 고착방지 기능을 강화된 황토 코팅 요리지(100)의 제조를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세라믹층 형성 단계(S150)는 카본램프 또는 적외선램프를 구비한 램프건조기를 사용하여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최종적으로 열처리하는 최종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열처리 단계는 카본램프 또는 적외선램프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하여 160~220℃에서 30분 이상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한 번 더 열처리함으로써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을 박엽지(110)에 견고하게 정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박엽지(110)의 타면에도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면 도 2와 같이 박엽지(110)의 양면에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이 차례대로 형성된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방법(S100)은 제1혼합코팅액과 제2혼합코팅액을 도포하는 방식이 아닌 분사하여 코팅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즉, 제1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20)에서는 박엽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제1혼합코팅액을 제1혼합코팅액스프레이를 통해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고, 제2혼합코팅액 도포 단계(S140)에서는 박엽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제2혼합코팅액을 제2혼합코팅액스프레이를 통해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한다.
단, 제1혼합코팅액스프레이를 통해 제1혼합코팅액을 막힘 없이 원활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제1혼합코팅액을 조성할 때 20~70메쉬의 적황토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황토세라믹층 형성 단계(S130)는 생략되고 실리콘세라믹층 형성 단계(S150)에서 카본램프 또는 적외선램프를 구비한 램프건조기를 사용하여 박엽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차례대로 분사된 제1혼합코팅액과 제2혼합코팅액을 가열 건조하여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이 차례대로 형성된 황토 코팅 요리지(100)의 제조를 완료한다.
단, 제1혼합코팅액과 제2혼합코팅액의 분사량은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의 코팅 두께가 각각 0.1~10㎛가 되도록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200)는 공급부와 가이드부와 도포부와 압착부와 건조부 및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공급롤(21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롤(221)과 제2가이드롤(222) 및 제3가이드롤(2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부는 제1메쉬롤(241)과 제2메쉬롤(242)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압착부는 제1혼합코팅액조(231)와 제2혼합코팅액조(232)와 제1압착롤(251)과 제2압착롤(2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는 제1가열건조기(261)와 제2가열건조기(262) 및 램프건조기(2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롤(210)은 롤 형태로 감겨 있는 박엽지(110)를 길게 풀어서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가이드롤(221)은 공급롤(210)의 후단 상부에 배치되어 공급롤(210)에 의해 공급되는 박엽지(110)를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견인한 후 하방으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혼합코팅액조(231)는 제1가이드롤(221)의 후단 하부에 배치되어 황토분말과 세라믹액을 혼합한 제1혼합코팅액(A)을 저장하는 구성이고, 제1혼합코팅액(A)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메쉬롤(241)은 제1혼합코팅액조(231)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 운동하면서 제1혼합코팅액조(231)에 저장된 제1혼합코팅액(A)을 외주면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압착롤러(251)는 제1메쉬롤(241)의 일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제1가이드롤(221)에 의해 제1메쉬롤(241)과의 사이로 안내되어 통과하는 박엽지(110)의 일면에 제1메쉬롤(241)에 수용된 제1혼합코팅액(A)이 코팅되도록 제1메쉬롤(241) 측으로 박엽지(110)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가열건조기(261)는 제1메쉬롤(241)과 제1가이드롤(221)의 사이에 배치되어 박엽지(110)를 2회에 걸쳐서 가열 건조하는 구성이다.
즉, 제1가열건조기(261)는 박엽지(110)가 제1메쉬롤(241)과 제1압착롤(251)의 사이를 통과하기 이전에 박엽지(110)를 1차로 예비 건조하고 제1메쉬롤(241)과 제1압착롤(25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일면에 제1혼합코팅액(A)이 도포된 박엽지(110)를 재차 건조하여 박엽지(110)의 일면에 황토세라믹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2가이드롤(222)은 제1가열건조기(261)의 후단 상부에 배치되어 제1가열건조기(261)에서 건조된 박엽지(110)를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방으로 안내한 후 다시 하방으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혼합코팅액조(232)는 제2가이드롤(222)의 후단 하부에서 배치되어 실리콘오일과 세라믹액을 혼합한 제2혼합코팅액(B)을 저장하는 구성이고, 제2혼합코팅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메쉬롤(242)은 제2혼합코팅액조(232)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 운동하면서 제2혼합코팅액조(232)에 저장된 제2혼합코팅액(B)을 외주면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압착롤러(252)는 제2메쉬롤(242)의 일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제2가이드롤(222)에 의해 제2메쉬롤(242)과의 사이로 안내되어 통과하는 박엽지(110)에 형성된 황토세라믹층(120)에 제2메쉬롤(242)에 수용된 제2혼합코팅액(B)이 코팅되도록 제2메쉬롤(242) 측으로 박엽지(110)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가열건조기(263)는 제2메쉬롤(242)과 제2가이드롤(222)의 사이에 배치되어 박엽지(110)를 2회에 걸쳐서 가열 건조하는 구성이다.
즉, 제2가열건조기(263)는 박엽지(110)가 제2메쉬롤(242)과 제2압착롤(252)의 사이를 통과하기 이전에 박엽지(110)를 1차로 예비 건조하고 제2메쉬롤(242)과 제2압착롤(25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황토세라믹층(120)에 제2혼합코팅액(B)이 도포된 박엽지(110)를 재차 건조하여 박엽지(110)에 형성된 황토세라믹층(120)에 실리콘세라믹층(130)을 더 형성한다.
상기 제2가이드롤(223)은 제2가열건조기(263)의 후단 상부에 배치되어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이 박엽지(110)의 일면에 차례대로 형성된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방으로 안내한 후 다시 하방으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수롤(270)은 제2가이드롤(223)의 후단 하부에 배치되어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롤에 권취하는 구성이다.
상기 램프건조기(280)는 회수롤(270)의 하부에 배치되고 카본램프 또는 적외선램프가 구비되어 카본램프 또는 적외선램프의 열기를 통해 롤에 권취되는 황토 코팅 요리지(100)를 최종적으로 열처리하여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을 박엽지(110)에 완전히 정착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혼합코팅액(A)과 제2혼합코팅액(B)을 각각 스프레이 방식으로 박엽지(110)의 일면에 차례대로 분사하여 코팅하는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단, 이때는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200)가 공급부와 분사부와 건조부 및 회수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제1혼합코팅액스프레이(291)와 제2혼합코팅액스프레이(29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롤(221), 제1혼합코팅액조(231), 제1메쉬롤(241), 제1압착롤(251), 제1가열건조기(261), 제2가이드롤(222), 제2혼합코팅액조(232), 제2메쉬롤(242), 제2압착롤(252), 제2가열건조기(262), 제3가이드롤(223) 대신에 공급롤(210)과 회수롤(270)의 사이 상부에 제1혼합코팅액(A)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제1혼합코팅액스프레이(291)와 제2혼합코팅액(B)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제2혼합코팅액스프레이(292)를 전후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 형태의 박엽지(110)가 공급롤(210)에 의해 직선으로 길게 풀려 회수롤(270)에 의해 다시 롤 형태로 권취되는 과정에서 그 일면을 향하여 제1혼합코팅액스프레(291)에 의해 제1혼합코팅액(A)과 제2혼합코팅액스프레이(292)에 의해 제2혼합코팅액(B)이 차례대로 분사되어 도포된 후 램프건조기(280)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박엽지(110)의 일면에 황토세라믹층(120)과 실리콘세라믹층(130)이 차례대로 코팅된 황토 코팅 요리지(100)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황토 코팅 요리지
110: 박엽지
120: 황토세라믹층
130: 실리콘세라믹층
200: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장치
210: 공급롤
221: 제1가이드롤
222: 제2가이드롤
223: 제3가이드롤
231: 제1혼합코팅액조
232: 제2혼합코팅액조
241: 제1메쉬롤
242: 제2메쉬롤
251: 제1압착롤
252: 제2압착롤
262: 제1가열건조기
262: 제2가열건조기
270: 회수롤
280: 램프건조기
291: 제1혼합코팅액스프레이
292: 제2혼합코팅액스프레이
A: 제1혼합코팅액
B: 제2혼합코팅액

Claims (7)

  1. 박엽지;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는 황토세라믹층; 및
    상기 황토세라믹층에 코팅되는 실리콘세라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코팅 요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세라믹층은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400~5,000메쉬의 적황토분말 40~7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코팅 요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세라믹층은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실리콘오일 4~70중량부가 혼합된 제2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코팅 요리지.
  4. 박엽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400~5,000메쉬의 적황토분말 40~7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상기 제1혼합코팅액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반건조하여 황토세라믹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상기 황토세라믹층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실리콘오일 4~70중량부가 혼합된 제2혼합코팅액을 입경이 100~250메쉬인 코팅기를 이용하여 4~12gsm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상기 제2혼합코팅액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경화시켜 실리콘세라믹층을 형성하여 황토 코팅 요리지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방법.
  5. 박엽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박엽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20~70메쉬의 적황토분말 40~7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코팅액을 분사하여 황토세라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상기 황토세라믹층에 세라믹액 100중량부와 실리콘오일 4~70중량부가 혼합된 제2혼합코팅액을 분사하여 실리콘세라믹층을 형성하여 황토 코팅 요리지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코팅 요리지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7360A 2018-10-02 2018-10-02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KR10206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60A KR102062466B1 (ko) 2018-10-02 2018-10-02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60A KR102062466B1 (ko) 2018-10-02 2018-10-02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466B1 true KR102062466B1 (ko) 2020-01-06

Family

ID=6915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360A KR102062466B1 (ko) 2018-10-02 2018-10-02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11A (ko) * 2021-03-11 2022-09-20 위소이 음식물 조리용 종이호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029A (en) 1980-09-02 1984-07-31 Sanyo-Kokusaku Pulp Co., Ltd. Baking and cooking tray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926519B1 (ko) 2009-04-29 2009-11-12 (주)코리아마그네슘 황토세라믹이 함유된 일회용 한지 구이판
KR101255500B1 (ko) 2012-12-05 2013-04-16 이재훈 바닥판용 황토 판넬 및 그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029A (en) 1980-09-02 1984-07-31 Sanyo-Kokusaku Pulp Co., Ltd. Baking and cooking tray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926519B1 (ko) 2009-04-29 2009-11-12 (주)코리아마그네슘 황토세라믹이 함유된 일회용 한지 구이판
KR101255500B1 (ko) 2012-12-05 2013-04-16 이재훈 바닥판용 황토 판넬 및 그의 제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11A (ko) * 2021-03-11 2022-09-20 위소이 음식물 조리용 종이호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126B1 (ko) 2021-03-11 2023-03-09 위소이 음식물 조리용 종이호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466B1 (ko) 황토 코팅 요리지와 그 제조방법
KR101359700B1 (ko) 탄소 코팅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60109A1 (en) Apparatus for cooking by heat convection comprising temperature control layer
US8163394B2 (en) Aluminum fo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206419A (zh) 用于制备涂覆有多层不粘材料涂层的锅和平底锅的方法
KR102509126B1 (ko) 음식물 조리용 종이호일 및 그 제조방법
JP4845477B2 (ja) 油吸収性アルミニウム箔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2045B1 (ko) 프라이팬 제조방법
KR20120009537A (ko) 식품 가열 조리용 다용도 기름 흡착 시트
KR19980065124A (ko) 황토구이불판
KR20150144020A (ko) 유해물질 차단기능을 갖는 황토시트가 구비된 알루미늄 호일
KR20140013346A (ko) 게르마늄과 토르말린을 함유한 프라이팬 코팅방법 및 그 코팅방법으로 구성된 프라이팬
KR200430365Y1 (ko) 알루미늄 호일
KR101798859B1 (ko) 간장 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4301A (ko) 주방용품용 기능성 코팅 도료
KR100356499B1 (ko) 조리용 황토포지의 제조방법
KR19990036668U (ko) 훈제 구이기
EP3429374A1 (en) Seasoning product
KR101041980B1 (ko) 주방용 흡착지 제조 방법과 그에 의한 흡착지
KR102022000B1 (ko) 해조류 흡착제의 제조 방법
DE102015121335A1 (de) Gargutträger
KR20200117643A (ko) 황칠과 황토 그리고 숯의 효능을 극대화한 금속의 주방용품과 그 제조방법
KR101614649B1 (ko) 그릴용 시트
KR20060003725A (ko) 귀양석 분말을 가열조리부재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코팅구조
KR20050122300A (ko) 주방용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