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82B1 - 제품 패키징 용지 - Google Patents

제품 패키징 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82B1
KR102061782B1 KR1020170077316A KR20170077316A KR102061782B1 KR 102061782 B1 KR102061782 B1 KR 102061782B1 KR 1020170077316 A KR1020170077316 A KR 1020170077316A KR 20170077316 A KR20170077316 A KR 20170077316A KR 102061782 B1 KR102061782 B1 KR 10206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ent line
packaging paper
product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734A (ko
Inventor
철 석
Original Assignee
철 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 석 filed Critical 철 석
Priority to KR102017007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7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65D65/12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formed with crease lines to facilitate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품 패키징 용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품 패키징 용지의 하부에 제1 내측 절곡선이 형성되고, 제1 내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2 내측 절곡선이 형성되며, 제2 내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3 내측 절곡선이 형성되고, 제3 내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4 내측 절곡선이 형성되고, 제4 내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5 내측 절곡선이 형성되며, 제5 내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6 내측 절곡선이 형성되고, 제6 내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7 내측 절곡선이 형성되며, 제7 내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1 외측 절곡선이 형성되고, 제1 외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2 외측 절곡선이 형성되고, 제2 외측 절곡선의 상부에 제8 내측 절곡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구조의 제품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접는 방식으로 제품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과정의 효율성 및 제작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제품 패키징 용지{Product Packaging Paper}
본 발명은 제품 패키징 용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 구조의 제품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접는 방식으로 제품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과정의 효율성 및 제작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구매자가 제품 패키지 구조체를 장식물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패키징 용지에 관한 것이다.
음반, 게임 CD 등과 같이 실제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품을 패키징함에 있어서는, 제품의 실제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장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제품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장체는 제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심리적 만족감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포장체 내부에 제품 이외에도 제품에 대한 설명서, 홍보 자료 등을 함께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제품 포장체는 그 제작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 및 재질의 복합성으로 인해 제작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제품 포장체는 제품의 구매 이후에 구매자에 의해 해체된 상태에서는 다은 용도를 갖지 못하고 폐기 처분됨으로써, 자원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 구조의 제품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접는 방식으로 제품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과정의 효율성 및 제작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구매자가 제품 패키지 구조체를 장식물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패키징 용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패키징 용지는, 제품 패키징 용지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하부에 제1 내측 절곡선(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 절곡선(21)의 상부에 제2 내측 절곡선(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내측 절곡선(22)의 상부에 제3 내측 절곡선(23)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내측 절곡선(23)의 상부에 제4 내측 절곡선(24)이 형성되고, 상기 제4 내측 절곡선(24)의 상부에 제5 내측 절곡선(25)이 형성되며, 상기 제5 내측 절곡선(25)의 상부에 제6 내측 절곡선(26)이 형성되고, 상기 제6 내측 절곡선(26)의 상부에 제7 내측 절곡선(27)이 형성되며, 상기 제7 내측 절곡선(27)의 상부에 제1 외측 절곡선(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의 상부에 제2 외측 절곡선(3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절곡선(32)의 상부에 제8 내측 절곡선(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7 내측 절곡선(27)과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 사이의 영역에 제품을 고정시키는 고정홀(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내측 절곡선(22)의 상부에 제3 내측 절곡선(23) 사이의 영역에 제품 홍보물(2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내측 절곡선(24)과 상기 제5 내측 절곡선(25)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과 상기 제2 외측 절곡선(32) 사이의 영역과 포개어지며, 제품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 수납 공간에 수납된 제품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가 상기 고정홀(15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구조의 제품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접는 방식으로 제품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과정의 효율성 및 제작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구매자는 제품 패키지 구조체를 장식물로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반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음반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반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장식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품 패키징 용지 및 제품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제품 패키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제품은 음반, 게임 CD 등의 다양한 제품이 될 수 있을 것이나, 이하에서는 음반 패키징 용지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반 패키징 용지를 이용하여 음반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이용하여 음반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조자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면(前面)에 가수의 브로마이드 사진 등이 인쇄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상부, 하부, 및 중앙부에 각각 절곡 지시선(10)을 표시한다.
한편, 도 1에서의 절곡 지시선(10)은 음반 패키지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음반 구매자가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조립을 해체하여 다시 음반 패키징 용지(100)로 복원시킨 후에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전시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아울러, 제조자는 도 1에서의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상단부의 중앙과 하단부의 중앙을 각각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1cm)만큼 절개함으로서 슬릿(170)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슬릿(170) 또한 구매자가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전시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그 다음, 제조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를 동일한 폭만큼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내측으로 포개어지도록 접는다.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를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내측으로 포개어지도록 접음으로써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배면(背面)이 전면(前面)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총 10개의 가로 방향의 평행한 절곡선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총 10개의 절곡선은 8개의 내측 절곡선과 2개의 외측 절곡선으로 구성되며, 도 2에서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내측 절곡선은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도록 하는 절곡선이고, 외측 절곡선은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바깥쪽으로 접도록 하는 절곡선이다.
구체적으로, 제조자는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하부에 제1 내측 절곡선(21)을 형성하고, 제1 내측 절곡선(21)의 상부에 제1 간격(t)을 두고 제2 내측 절곡선(22)을 형성하며, 제2 내측 절곡선(22)의 상부에 제2 간격(w)을 두고 제3 내측 절곡선(23)을 형성하고, 제3 내측 절곡선(23)의 상부에 제1 간격(t)을 두고 제4 내측 절곡선(24)을 형성하며, 제4 내측 절곡선(24)의 상부에 제5 내측 절곡선(25)을 형성하고, 제5 내측 절곡선(25)의 상부에 제1 간격(t)를 두고 제6 내측 절곡선(26)을 형성하며, 제6 내측 절곡선(26)의 상부에 제7 내측 절곡선(27)을 형성하고, 제7 내측 절곡선(27)의 상부에 제1 간격(t)를 두고 제1 외측 절곡선(31)을 형성하며, 제1 외측 절곡선(31)의 상부에 제2 외측 절곡선(32)을 형성하고, 제2 외측 절곡선(32)의 상부에 제1 간격(t)을 두고 제8 내측 절곡선(28)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제조자는 제7 내측 절곡선(27)과 제1 외측 절곡선(31) 사이의 영역의 중앙부에 약 직경 2mm의 고정홀(150)을 도 2에서와 같이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고정홀(150)은 음반 모듈(300)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제조자는 제2 내측 절곡선(22)과 제3 내측 절곡선(23) 사이의 영역에 엽서, 카드, 소책자 등과 같은 음반 홍보물(200)을 배치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 내측 절곡선(22)과 제3 내측 절곡선(23) 사이의 간격인 제2 간격(w)은 음반 홍보몰의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제1 내측 절곡선(21)과 제2 내측 절곡선(22) 사이의 간격이자, 제3 내측 절곡선(23)과 제4 내측 절곡선(24) 사이의 간격인 제1 간격(t)은 음반 홍보물(20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 제조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2 내측 절곡선(22)과 제3 내측 절곡선(23) 사이의 영역에 음반 홍보물(200)이 놓여진 상태에서 제2 내측 절곡선(22)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고, 제1 내측 절곡선(21)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음으로써, 음반 홍보물(200)의 하부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그 다음, 제조자는 음반 홍보물(200)의 하부가 음반 패키징 용지(100)에 의해 포장된 상태에서 음반 홍보물(200)을 세움과 동시에 제3 내측 절곡선(23)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은 다음, 음반 홍보물(200)을 뒤집음과 동시에 제4 내측 절곡선(24)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게 되며, 그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음반 홍보물(200)은 음반 패키징 용지(100)에 의해 상하부가 모두 포장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 다음, 제조자는 도 6에서와 같이, 제5 내측 절곡선(25)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고, 제6 내측 절곡선(26)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으며, 제7 내측 절곡선(27)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고, 제1 외측 절곡선(31)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바깥쪽으로 접으며, 제2 외측 절곡선(32)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바깥쪽으로 접고, 제8 내측 절곡선(28)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음으로써,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입체 구조를 형성한다.
그 결과, 음반 패키징 용지(100)에서의 제4 내측 절곡선(24)과 제5 내측 절곡선(25) 사이의 영역은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고, 제3 내측 절곡선(23)과 제4 내측 절곡선(24) 사이의 영역과, 제5 내측 절곡선(25)과 제6 내측 절곡선(26) 사이의 영역은 각각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외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7 내측 절곡선(27)과 제1 외측 절곡선(31) 사이의 영역과, 제2 외측 절곡선(32)과 제8 내측 절곡선(28) 사이의 영역과, 제1 내측 절곡선(21)과 제2 내측 절곡선(22) 사이의 영역은 각각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내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외측벽과 내측벽을 통해 음반 패키지 구조체는 내부에는 음반 홍보물(200)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외부에는 음반 모듈(300)을 수납할 수 있는 외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제7 내측 절곡선(27)과 제1 외측 절곡선(3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벽과, 제2 외측 절곡선(32)과 제8 내측 절곡선(28)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벽으로 인해, 제1 외측 절곡선(31)과 제2 외측 절곡선(32) 사이의 영역은,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4 내측 절곡선(24)과 제5 내측 절곡선(25) 사이의 영역과 맞닿아 포개어지며 함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7 내측 절곡선(27)으로부터 제1 외측 절곡선(31) 및 제2 외측 절곡선(32)을 거쳐 제8 내측 절곡선(28)까지 이어지는 영역은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상면에 형성된 외부 공간인 함몰부(Sunken Area)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 공간에는 음원이 저장된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형태로 제작되는 음반 모듈(300)이 설치되게 된다. 즉,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 공간은 제품 수납 공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음반 모듈(300)의 상부에는 스마트 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이어폰 단자 형태의 연결 단자(3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조자는 음반 모듈(300)에 구비된 연결 단자(350)를 제7 내측 절곡선(27)과 제1 외측 절곡선(31)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150)에 삽입함으로써, 음반 모듈(300)을 함몰 공간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외측 절곡선(31)과 제2 외측 절곡선(32) 사이의 영역인 상부 바닥면이, 제4 내측 절곡선(24)과 제5 내측 절곡선(25) 사이의 영역인 하부 바닥면과 밀착됨으로써 함몰 공간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 바닥면과 하부 바닥면을 클립이나, 핀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제조자는 도 7에서와 같이 음반 모듈(300)이 설치된 음반 패키지 구조체를 도 8에서와 같이 음반 모듈(300)이 노출되는 투명 창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싱(400)의 내부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음반 모듈(300)에 대한 패키징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키징된 제품을 구입한 구매자는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접힘 구조를 해체함으로써, 다시 도 1에서와 같은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형태로 환원한 다음, 음반의 가수의 브로마이드 사진 등이 인쇄되어 있는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장식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와 같이 구매자는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중앙부에 표시되어 있는 절곡 지시선(10)에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를 안쪽으로 접은 다음,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표시되어 있는 절곡 지시선(10)을 따라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양단부를 안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슬릿(170)을 서로 교차하도록 끼움으로써 음반 패키징 용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삼각 텐트 구조의 장식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절곡 지시선, 21: 제1 내측 절곡선,
22: 제2 내측 절곡선, 23: 제3 내측 절곡선,
24: 제4 내측 절곡선, 25: 제5 내측 절곡선,
26: 제6 내측 절곡선, 27: 제7 내측 절곡선,
28: 제8 내측 절곡선, 31: 제1 외측 절곡선,
32: 제2 외측 절곡선, 100: 음반 패키징 용지,
150: 고정홀, 170: 슬릿,
200: 음반 홍보물, 300: 음반 모듈,
350: 연결 단자, 400: 외부 케이싱.

Claims (3)

  1.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제작에 이용되는 제품 패키징 용지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하부에 제1 내측 절곡선(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 절곡선(21)의 상부에 제2 내측 절곡선(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내측 절곡선(22)의 상부에 제3 내측 절곡선(23)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내측 절곡선(23)의 상부에 제4 내측 절곡선(24)이 형성되고, 상기 제4 내측 절곡선(24)의 상부에 제5 내측 절곡선(25)이 형성되며, 상기 제5 내측 절곡선(25)의 상부에 제6 내측 절곡선(26)이 형성되고, 상기 제6 내측 절곡선(26)의 상부에 제7 내측 절곡선(27)이 형성되며, 상기 제7 내측 절곡선(27)의 상부에 제1 외측 절곡선(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의 상부에 제2 외측 절곡선(3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절곡선(32)의 상부에 제8 내측 절곡선(28)이 형성되며,
    상기 제4 내측 절곡선(24)과 상기 제5 내측 절곡선(25)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과 상기 제2 외측 절곡선(32) 사이의 영역과 포개어지며, 상기 음반 패키지 구조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품 수납 공간인 함몰 공간의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7 내측 절곡선(27)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 및 상기 제2 외측 절곡선(32)을 거쳐 상기 제8 내측 절곡선(28)까지 이어지는 영역은 상기 함몰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과 상기 제2 외측 절곡선(32) 사이의 영역인 함몰 공간의 바닥면에서의 상부 바닥면이, 상기 제4 내측 절곡선(24)과 상기 제5 내측 절곡선(25) 사이의 영역인 함몰 공간의 바닥면에서의 하부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 바닥면과 상기 하부 바닥면이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인 제품 패키징 용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내측 절곡선(27)과 상기 제1 외측 절곡선(31) 사이의 영역에 제품을 고정시키는 고정홀(150)이 형성되는 것인 제품 패키징 용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절곡선(22)의 상부에 제3 내측 절곡선(23) 사이의 영역에 제품 홍보물(200)이 배치되는 것인 제품 패키징 용지.
KR1020170077316A 2017-06-19 2017-06-19 제품 패키징 용지 KR10206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16A KR102061782B1 (ko) 2017-06-19 2017-06-19 제품 패키징 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16A KR102061782B1 (ko) 2017-06-19 2017-06-19 제품 패키징 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734A KR20180137734A (ko) 2018-12-28
KR102061782B1 true KR102061782B1 (ko) 2020-01-02

Family

ID=6500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316A KR102061782B1 (ko) 2017-06-19 2017-06-19 제품 패키징 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7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8251A (ja) 2000-08-11 2004-03-18 ミードウエストヴェイコ・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 カートンおよびカートンブランク
KR101192112B1 (ko) * 2010-07-30 2012-10-17 이우순 완충부를 가지는 간지조립체 및 이를 내장하는 포장용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8251A (ja) 2000-08-11 2004-03-18 ミードウエストヴェイコ・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 カートンおよびカートンブランク
KR101192112B1 (ko) * 2010-07-30 2012-10-17 이우순 완충부를 가지는 간지조립체 및 이를 내장하는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734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9835A (en) Foldable frame structure
US20060113215A1 (en) Wrap-type carton
US20080000118A1 (en) Display apparatus for sales promotion
KR102061782B1 (ko) 제품 패키징 용지
CN102438839A (zh) 立体型贺卡及其保护盒
JP6218488B2 (ja) 表示機能付き包装用箱
US200702092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eeting card having motion mechanism
US8650779B1 (en) Gift card holder for a floral arrangement
JP2008179371A (ja) 包装用箱
JP4820212B2 (ja) 立上片付ケース
JP2021091475A (ja) 陳列スタンドに変形可能な梱包箱
KR101188989B1 (ko) 포장용 상자 구조
JP5698177B2 (ja) 包装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8576B2 (ja) 立体化物品、立体化物品用シート、立体化物品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立体化物品の製造方法
JP6818561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用スタンド
US20100077639A1 (en) Greeting sign
JP2003081275A (ja) ボトル用の景品ホルダ
JP2002321726A (ja) 包装箱、包装箱用段ボール及び包装箱の製造方法
JP2008007163A (ja) パッケージ
JPS633928Y2 (ko)
JP3199762U (ja) 包装箱
JP2005001751A (ja) 容器付き台紙
JP2016171902A (ja) 展示台用基材
JP2005255239A (ja) 窓付き封筒
JP3118671U (ja) メモリカード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