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366B1 - 환자 선정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366B1
KR102061366B1 KR1020147016664A KR20147016664A KR102061366B1 KR 102061366 B1 KR102061366 B1 KR 102061366B1 KR 1020147016664 A KR1020147016664 A KR 1020147016664A KR 20147016664 A KR20147016664 A KR 20147016664A KR 102061366 B1 KR102061366 B1 KR 102061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
gly
cys
cancer
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276A (ko
Inventor
그레쎄 탕 달스가르드
이안 앤드류 윌슨
Original Assignee
지이 헬쓰케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헬쓰케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이 헬쓰케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04Screening or testing of compounds for diagnosis of disorders, assessment of conditions, e.g. renal clearance, gastric emptying, testing for diabetes, allergy, rheuma, pancreas f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toxicity
    • G01N33/5017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toxicity for testing neoplastic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8Peptides, e.g. proteins, carriers being peptides, polyamino acids,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4753Hepatocyte growth factor; Scatter factor; Tumor cytotoxic factor II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23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u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Abstract

본 발명은 c-Met를 지향한 요법으로의 치료에 적합한 암 환자의 선정에 유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생체내에서의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영상화에 적합한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펩티드를 포함하는 영상화제를 채용한다. 치료 방법, c-Met를 지향한 요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그 영상화제와 펩티드의 용도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환자 선정방법{METHOD FOR PATIENT SELECTION}
본 발명은 c-Met를 지향한 요법으로의 치료에 적합한 암 환자의 선정에 유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생체내에서의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영상화에 적합한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펩티드를 포함하는 영상화제를 채용한다. 치료 방법, c-Met의 요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그 영상화제와 펩티드의 용도가 또한 개시된다.
산란인자 (SF)로도 알려져 있는 간세포 성장인자 (HGF)는 상처 치유 및 혈관신생과 같은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관여되는 성장인자이다. HGF와 그의 수용체 (c-Met)와의 상호작용의 고-친화도 상호작용은 종양 성장, 침윤 및 전이에 관련되어 있다.
크누드슨(Knudsen) 등은 전립선암에서의 HGF와 c-Met의 역할을 영상화와 요법에 대한 관련 가능성과 함께 재검토하였다 (문헌 [Adv.Cancer Res., 91, 31-67 (2004)]). 진단 및 요법을 위한 표지 항-met 항체가 WO 03/057155, EP 2127683 A1 및 WO 2011/110642에 기재되어 있다.
c-Met는 상피 기원의 다수의 인간 암에서 종양 성장, 침윤 및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Met는 대부분의 암종에 의하여 발현되며, 정상 조직 대비 그의 상승된 발현이 다음의 암에서 검출되었다: 폐암, 유방암, 결장직장암, 췌장암, 두경부암, 위암, 간세포암, 난소암, 신장암, 신경교종, 흑색종 및 다수의 육종. 결장직장 암종 (CRC)의 경우에, c-Met의 과발현이 질환의 최초 전신생물 병소인 이형성 이상선와소에서 검출되었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경우에, c-Met는 보고된 바에 의하면 원발성 종양의 대략 80%에서 발현 또는 과발현된다고 한다. 골로의 전립선암 전이에서는, c-Met가 골 전이의 80%가 넘는 사례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상 조건하에서, c-Met는 상피세포상에 발현되고 중간엽-유래 HGF에 의하여 주변분비 방식으로 활성화된다. 정상 세포에서 c-Met의 활성화는 일시적인 사건이며 엄격히 조절된다. 그러나 종양세포의 경우에 c-Met는 구성적으로 활성일 수 있다. 암에서 이상 c-Met 자극은 c-Met 돌연변이 (예를 들어, 구조 변화)를 활성화시키는 c-Met 증폭/과발현을 통해 및 자가분비 신호전달 루프의 생성을 통한 자율적 성장 제어의 획득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c-Met 수용체의 결손 하향조절 역시 세포막에서의 이상 c-Met 발현에 기여할 것이다. c-Met의 과발현은 HGF-의존적이고 (자가분비/주변분비), 반면에 돌연변이에 의하여 초래된 구조 변화는 HGF-독립적이다 (예를 들어, 세포외 도메인의 상실).
WO 2004/078778에서는 c-Met 또는 c-Met와 HGF를 포함하는 복합체에 결합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다량체 펩티드 구축물을 개시하고 있다. 펩티드의 대략 10종의 상이한 구조적 부류가 기재되어 있다. WO 2004/078778에서는 펩티드를 시험관내 및 생체내 적용을 위하여 검출가능한 표지로, 또는 치료적 적용을 위하여 약물로 표지시킬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검출가능한 표지는 효소, 형광 화합물, 광학 염료, 상자성 금속 이온, 초음파 조영제 또는 방사성핵종일 수 있다. WO 2004/078778의 바람직한 표지는 방사성 또는 상자성이라고 진술하고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 킬레이트화제에 의하여 킬레이트화되는 금속을 포함한다. WO 2004/078778은 거기에서의 방사성핵종이 다음의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음을 진술하고 있다: 18F, 124I, 125I, 131I, 123I, 77Br, 76Br, 99mTc, 51Cr, 67Ga, 68Ga, 47Sc, 167Tm, 141Ce, 111In, 168Yb, 175Yb, 140La, 90Y, 88Y, 153Sm, 166Ho, 165Dy, 166Dy, 62Cu, 64Cu, 67Cu, 97Ru, 103Ru, 186Re, 203Pb, 211Bi, 212Bi, 2l3Bi, 2l4Bi, 105Rh, 109Pd, 117mSn, 149Pm, 161Tb, 177Lu, 198Au 및 199Au. WO 2004/078778에서는 진단 목적상 바람직한 방사성핵종은 64Cu, 67Ga, 68Ga, 99mTc 및 111In이고, 99mTc이 특히 바람직하다고 진술하고 있다 (62쪽).
WO 2008/139207에서는 녹색 내지는 근적외선 파장 600-1200 nm의 광을 사용하여 생체내에서 포유동물 신체를 영상화하기에 적합한 광학 리포터 영상화 모이어티로 표지되는 17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의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개시하고 있다. 그 c-Met 결합 펩티드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Cysa-X1-Cysc-X2-Gly-Pro-Pro-X3-Phe-Glu-Cysd-Trp-Cysb-Tyr-X4-X5-X6
상기 서열에서,
X1은 Asn, His 또는 Tyr이고;
X2는 Gly, Ser, Thr 또는 Asn이고;
X3은 Thr 또는 Arg이고;
X4는 Ala, Asp, Glu, Gly 또는 Ser이고;
X5는 Ser 또는 Thr이고;
X6은 Asp 또는 Glu이고;
Cysa -d는 각각 잔기 a와 b 및 c와 d가 고리화하여 2개의 별개의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도록 하는 시스테인 잔기이다. WO 2008/139207의 광학 리포터는 바람직하게는 시아닌 염료이다.
WO 2009/016180에서는 WO 2008/139207의 것들과 유사한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광학 리포터는 벤조피릴리움 염료이다. WO 2008/139207 및 WO 2009/016180의 작용제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 광학적 적용, 특히 인체의 생체내에서의 광학적 영상화에 유용한 것으로 진술하고 있다. 결장직장암의 광학적 영상화가 바람직한 적용이다.
WO 2011/020925에서는 항-c-Met 항체 및 그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WO 2011/020925에서는 항체를 사용하여 항-c-Met 항체로의 치료에 대한 환자의 감수성(susceptibility)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방법은 종양의 c-Met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시험관내 방법 (종양 샘플의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의 사용을 수반한다. 그러나 당해 방법은 여전히 전술한 단점을 동반하는 생검에 의지하고 있다.
머천트(Merchant) 등 (문헌 [2011 ASCO Meeting; J.Clin.Oncol., Abstract 10632, Suppl. (2011)])은 마우스 이종이식편에서 c-Met의 분자적 영상화를 위한 76Br 또는 89Zr-로 표지한 항-c-Met 항체 (MetMabTM)를 개시하고 있다. 작용제는 신속한 종양 흡수 및 느린 클리어런스(clearance)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c-Met를 지향하는 약물 화학요법제 ("항 c-Met 요법")가 다수의 조직체에서 개발중에 있다. 그러한 작용제는 전형적으로 전이성 질환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임상 결과에 따르면 환자 예후는 종양의 c-Met 상태에 대한 지식에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c-Met 상태는 항-c-Met 요법에 대한 반응의 전조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현재, c-Met 상태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생검 샘플의 면역조직화학적 (IHC) 분석에 의하여 판정될 수 있지만, 생검은 침습성이고 (환자에게 다소간의 위험이 따름), 대표적인 샘플로 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로 건강한 조직이 채취되는 경우에, 또는 종양 불균일성에 기인하여, 종양의 가장 활동적인 부분에 대한 분자 프로파일을 나타내지 않는 종양의 절편이 채취되는 경우에 샘플링 오류라는 본래부터의 위험이 존재한다 [N.Engl.J.Med., 366(10); 883-892 (2012)]. 또한, 생검은 샘플링한 종양에 대해서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지 전체 환자의 종양 및/또는 종양 전이 부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항 c-Met 요법은 제2 또는 제3 선택 요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비-처리 종양을 대표하는 만족스러운 품질의 생검 물질은 이용될 수 없거나, 또는 잠재적으로는 더 이상 종양의 분자 프로파일에 대하여 대표성을 나타낼 수 없다. 전술한 문제에 기인한 것 뿐만 아니라 다소간의 이환 위험률이 따르게 됨에 따라 생검을 통한 재-샘플링은 일반적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근간의 연구에서 [Cancer Discovery, 1(1); 44-53 (2011)], 진행된 질환을 보유한 전처리한 NSCLC 환자 (n=139)에서 새로운 생검을 행하고 치료의 선택을 위한 실시간 바이오마커 분석을 활용하는 유용성이 탐구되었다. 환자를 분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치료에 배정하는 것이 긍정적 치료 결과의 확률을 증가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비록 생검 절차는 보고된 바에 의하면 시험에서 잘 용인되었다고 하지만, 환자의 11.5%에서 기흉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비록 바이오마커에 기초한 치료 계층화를 위해서는 환자를 재-생검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위험이 없지는 않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c-Met를 차단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인 MetMAbTM (로슈(Roche))에 대한 II상 시험에서 [2011 ASCO Annual Meeting & http://www.roche.com/media/media_releases/med-cor-2011-05-19.htm], NSCLC 환자를 다음의 어느 한쪽에 무작위화하였다:
(i) MetMAb + 에를로티닙 (EGFR 억제제); 또는
(ii) 위약 + 에를로티닙.
c-Met 상태는 아카이브(archive) 샘플의 IHC 및 FISH 분석에 의하여 판정하였다 (대략 50%가 IHC에 의하여 양성이었다). 전체 환자군에서 (즉, 높은 및 낮은 c-Met 발현을 보이는 환자 포함), 두 처리간에 차이는 없었다. 데이터 분석시, 아카이브 생검 샘플의 후향적 IHC 분석에 기초하면, 전체 생존 중앙값은 MetMAb 군에서 12.6개월 대비 에를로티닙 군에서 3.8개월이었다 (p=0.002). 또한, MetMAb를 에를로티닙과 조합하여 처리한 낮은 c-Met 발현을 보이는 환자는 에를로티닙 단독과 비교하여 보다 나쁜 결과를 보였다. 처리전 생검의 예기되는 수집(prospective collection)은 시험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며, 아카이브 샘플에 기초한 c-Met 채점이 연구 집단을 충분히 나타내었는지는 알지 못한다.
올리너(Oliner) 등 [J Clin Oncol 30, Suppl., abstr 4005 (2012)]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또는 전이성 위 또는 위식도 접합부 암을 보유한 환자에서 에피루비신, 시스플라틴 및 카페시타빈 (ECX)과 조합하여 행한 HGF 항체 릴로투무맙 (암젠( Amgen))의 2상 연구에 대한 데이터를 최근에 발표하였다. c-Met 고-종양 환자 (> 50% 종양세포 양성)는 위약 및 ECX로 처리한 환자와 비교하여 조합 요법으로 처리시 향상된 전체 생존 중앙값을 보였다. 반대로, c-Met 저-종양 환자 (≤ 50% 양성)는 위약 및 ECX으로 처리한 환자와 비교하여 조합 요법으로 처리시 바람직하지 못한 전체 생존쪽으로의 경향을 보였다. 위약 및 ECX 군에서, c-Met 고-종양 환자는 c-Met 저-종양 환자보다 더 불량한 전체 생존을 보였다.
따라서 종양의 c-Met 상태 및/또는 환자의 종양 전이 부담을 평가하여 개별 환자가 항 c-Met 요법으로부터 이익을 얻게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보다 덜 침습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NSCLC, 결장직장암 (CRC) 및 위암과 같은 암에서 c-Met 요법의 개시전 판단 과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환자의 종양(들)의 c-Met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항 c-Met 요법을 위해서는, 진료의는 아주반트 c-Met 억제제 요법을 개시하기 전에 환자의 c-Met 상태 (종양 및 전이)를 알아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새로 진단받은 환자에 대해서는 진단 생검의 분자 분석으로부터 해결책을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표준 요법에 실패한 환자의 경우, 비록 임의의 아카이브 샘플이 이용가능하다 하더라도 그것이 질환의 현재 상태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개별 환자가 항 c-Met 요법으로부터 이익을 얻게되는 시기의 판정에서 의사를 보조한다. 중요하게는, 방법은 항 c-Met 요법이 효과가 없거나 또는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게 될 그러한 처리 환자의 배제에 또한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생검에 비해 환자에게 훨씬 더 적은 위험이 따르고, 모든 종양 및 전이 (예를 들어, 생검이 곤란한 종양 부위의 발현, 또는 이전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전이의 부위 포함)에 대한 총 c-Met 부담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그러므로 생검 샘플의 분석에 비하여 (만일 그러한 샘플이 이용가능하다고 해도) 환자에 대한 보다 완벽한 사진을 부여한다. 또한, 방법은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영상화를 반복하는 데에 적합하며, 따라서 항 c-Met 요법의 모니터링에 이용될 수 있다.
MetMabTM는 8 내지 12일의 조합 제거 반감기를 보이며, 따라서 생체내 영상화를 위한 이상적인 약물동태학을 보유하지 않는다 (백그라운드로부터의 클리어런스가 극도로 느리기 때문에).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작용제는 환자에의 투여 1시간 안에 영상화를 가능케 해준다.
본 발명은 항 c-Met 요법을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또한 제공한다. 이는 소정 요법이 개별 환자에 성공적임이 판명되고 (따라서 지속할 가치가 있는지), 또는 효능이 없는지 (그리하여 상이한 치료 또는 의약으로의 조속한 변경을 가능케 해주는)를 판정하는 데에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i)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영상화제를 제공하는 단계;
(ii) 환자에게 사전에 투여된 단계 (i)의 영상화제로 암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영상화하는 단계; 및
(iii) 단계 (ii)의 영상화로부터 상기 부위에서 상기 영상화제의 상승된 흡수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v) 단계 (iii)의 판정이 상승된 흡수를 나타내는 경우, 암은 c-Met를 과발현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항 c-Met 요법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며;
(v) 단계 (iii)으로부터의 판정이 상승된 흡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암은 c-Met를 과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고, 항 c-Met 요법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며;
여기에서 상기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하기 화학식 I의 18 내지 30량체 시클릭 펩티드인,
이전에 암 진단을 받은 개별 환자가 항 c-Met 요법으로의 치료에 감수성인지 여부의 판정을 보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
Z1-[cMBP]-Z2
상기 식에서,
cMBP는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고:
<화학식 II>
-(A)x-Q-(A')y-
[여기에서, Q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 (SEQ-1)이고:
-Cysa-X1-Cysc-X2-Gly-Pro-Pro-X3-Phe-Glu-Cysd-Trp-Cysb-Tyr-X4-X5-X6-
(여기에서, X1은 Asn, His 또는 Tyr이고;
X2는 Gly, Ser, Thr 또는 Asn이고;
X3은 Thr 또는 Arg이고;
X4는 Ala, Asp, Glu, Gly 또는 Ser이고;
X5는 Ser 또는 Thr이고;
X6은 Asp 또는 Glu이고;
Cysa -d는 각각 잔기 a와 b 및 c와 d가 고리화하여 2개의 별개의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도록 하는 시스테인 잔기이다);
A 및 A'은 독립적으로 Cys 이외의 임의 아미노산이고, 단 A와 A' 중 적어도 하나는 존재하고 Lys이며;
x 및 y는 독립적으로 값 0 내지 13의 정수이고, [x + y] = 1 내지 13이도록 선택된다];
Z1은 cMBP의 N-말단에 부착되며 H 또는 MIG이고;
Z2는 cMBP의 C-말단에 부착되며 OH, OBc 또는 MIG이고,
여기에서 Bc는 생체적합성 양이온이고;
각각의 MIG는 독립적으로 cMBP 펩티드의 생체내 대사를 억제하거나 저해하는 생체적합성 기인 대사 억제기이고;
여기에서 cMBP는 A 또는 A' 기의 Lys 잔기에서 18F로 표지된다.
용어 "c-Met"는 그의 통상적인 의미를 가지며, 간세포 성장인자 (HGF) 수용체 - "MET"로도 알려져 있음 - 를 언급한다. HGF는 산란인자 (SF)로도 알려져 있다.
용어 "환자"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생체내에서의 무손상 포유동물 신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대상체를 언급한다. 어구 "이전에 암 진단을 받은"이란 환자가 이미 암 양성 진단을 받았고 바람직하게는 그 개별 환자에서의 암의 적어도 원발 부위(들)의 위치를 알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진단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어구는 병변이 암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고, 항 c-Met 요법으로의 치료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임상 진단이 내려지는 전-암성(pre-cancerous) 병변을 또한 포함한다.
어구 "치료에 감수성인"이란, 개별 환자가 치료에 의해 기대수명을 연장하고/하거나 환자의 안녕에 미치는 암성 병태의 영향을 감소시키게 될 암의 형태를 앓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 개별 환자에 대한 의약 복용의 총이익:위험 비율은 따라서 플러스이다 (즉, 유익하다).
용어 "항 c-Met 요법"이란, 수용체의 직접 억제를 통하여 (예를 들어, 항-c-Met 항체); 그의 리간드 HGF의 불활성화를 통하여 (예를 들어, AMG102, L2G7); c-Met에의 HGF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예를 들어, NK4); 또는 c-Met 키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예를 들어, PHA-665752 및 SU11274) HGF/c-Me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작용제를 포함하는 의약을 환자에 전달시키는 화학요법을 의미한다. 의약은 임의 적합한 투여경로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항 c-Met 요법"은 체외방사선요법을 배제한다. 바람직한 그러한 요법은 제2 측면 (하기)에서 기재한다.
용어 "영상화제"는 포유동물 신체의 생체내 영상화에 적합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은 생체내에서의 무손상 포유동물 신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대상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영상화제는 최소 침습성 방식으로, 즉, 전문 의학지식하에서 수행시 포유동물 대상체에 대한 실질적인 건강상의 위험 없이 포유동물 신체에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최소 침습성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국소 또는 전신 마취에 대한 필요없이 상기 대상체의 말초정맥중으로의 정맥내 투여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체내 영상화"는 포유동물 대상체의 내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영상을 비-침습적으로 생성하는 기술을 언급한다.
용어 "사전에 투여"란 포유동물 대상체에 영상화제가 부여되는 임상의를 수반하는 단계가 영상화에 앞서 이미 수행되었음을 의미한다.
용어 "상승된 흡수"는 암의 관심 영역에서 흡수한 영상화제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인접 조직 백그라운드에서의 그러한 신호 대비 표적:백그라운드 비율이 플러스임을 의미한다. 최소의 그러한 비율은 종양:근육 또는 종양:혈액 비율에 관하여 1.1:1이다.
용어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 "c-Met" (또는 간단히 "MET")로도 알려져 있음 - 에 결합하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그러한 펩티드는 화학식 I의 18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의 시클릭 펩티드이다. 그러한 펩티드는 약 20 nM 미만의 c-Met에 대한 겉보기 KD를 갖는다. 상기 펩티드의 cMBP 서열은 프롤린 잔기를 포함하며, 그러한 잔기는 골격 아미드 결합의 시스/트랜스 이성질체화를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cMBP 펩티드는 임의의 그러한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Z1 기는 cMBP의 최종 아미노산 잔기의 아민 기, 즉 아미노 말단을 치환한다. 따라서, Z1이 H인 경우, cMBP의 아미노 말단은 최종 아미노산 잔기의 유리 NH2 기로 종결된다. Z2 기는 cMBP의 최종 아미노산 잔기의 카르보닐 기 - 즉, 카르복시 말단을 치환한다. 따라서, Z2가 OH인 경우, cMBP의 카르복시 말단은 최종 아미노산 잔기의 유리 CO2H 기로 종결되고, Z2가 OBc인 경우 그 말단 카르복시 기는 CO2Bc 기로서 이온화된다.
용어 "생체적합성 양이온" (Bc)은 이온화된 음으로 하전된 기와 염을 형성하는 양으로 하전된 카운터이온을 의미하고, 여기에서 상기 양으로 하전된 카운터이온은 또한 무독성이고 따라서 포유동물 신체, 특히 인체에의 투여에 적합하다. 적합한 생체적합성 양이온의 예는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알칼리 금속 나트륨 또는 칼륨; 알칼리 토금속 칼슘과 마그네슘; 및 암모늄 이온. 바람직한 생체적합성 양이온은 나트륨 및 칼륨,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이다.
용어 "대사 억제기" (MIG)는 아미노 말단 (Z1) 또는 카르복시 말단 (Z2) 중 어느 하나에서 cMBP 펩티드의 생체내 대사를 억제하거나 저해하는 생체적합성 기를 의미한다. 그러한 기는 당업자에게 주지이고 펩티드 아민 말단에 대하여는:
N-아실화 기 -NH(C=O)RG (여기에서, 아실 기 -(C=O)RG는 C1-6 알킬 또는 C3-10 아릴 기로부터 선택된 RG를 가지거나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빌딩 블록을 포함한다)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펩티드 카르복시 말단에 대하여는: 카르복스아미드, tert-부틸 에스테르, 벤질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에스테르, 아미노 알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빌딩 블록. 바람직한 그러한 PEG 기는 하기 화학식 IA 또는 IB의 바이오모디파이어이다:
<화학식 IA>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1
p는 1 내지 10의 정수인 화학식 IA의 17-아미노-5-옥소-6-아자-3,9,12,15-테트라옥사헵타데카노산. 이와 달리, 하기 화학식 IB의 프로피온산 유도체에 기반한 PEG-유사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B>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2
상기 식에서, p는 화학식 IA에 대하여 정의한 바와 같고 q는 3 내지 15의 정수이다.
화학식 IB에서, p는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고, q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이다.
바람직한 그러한 아미노 말단 MIG 기는 아세틸, 벤질옥시카르보닐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이다.
용어 "18F-방사성표지"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가 거기에 방사성동위원소 18F가 공유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18F는 C-F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아릴 결합을 통해 적절히 부착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결합은 생체내에서 비교적 안정하고, 따라서 cMBP 펩티드로부터의 18F 방사성표지의 대사적 절단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18F는 바람직하게는 C-F 플루오로아릴 결합을 통해 부착된다. 18F는 cMBP의 아미노산 중 하나에 직접 부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cMBP상에 방사성플루오린화 치환기의 일부로서 접합된다. 상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L)n-18F
상기 식에서,
L은 화학식 -(A)m-의 합성 링커 기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A는 독립적으로 -CR2-, -CR=CR-, -C≡C-, -CR2CO2-, -CO2CR2-, -NR(C=O)-, -(C=O)NR-, -NR(C=O)NR-, -NR(C=S)NR-, -SO2NR-, -NRSO2-, -CR2OCR2-, -CR2SCR2-, -CR2NRCR2-, -CR2-O-N=, -CR2-O-NR-, -CR2-O-NH(CO)-, C4-8 시클로헤테로알킬렌 기, C4-8 시클로알킬렌 기, C5-12 아릴렌 기, 또는 C3-12 헤테로아릴렌 기, 아미노산, 당 또는 단분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빌딩 블록이며;
각각의 R은 H, C1-4 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1-4 알콕시알킬 또는 C1-4 히드록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값 1 내지 20의 정수이고;
n은 값 0 또는 1의 정수이다.
용어 "아미노산"은 자연-발생 또는 순수하게 합성 기원일 수 있고, 광학적으로 순수, 즉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및 그에 따라 키랄성이거나,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일 수 있는 L- 또는 D-아미노산, 아미노산 유사체 (예를 들어, 나프틸알라닌) 또는 아미노산 모방물을 의미한다. 아미노산에 대한 통상적인 3문자 또는 1문자 약어가 본원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아미노산은 광학적으로 순수하다. 용어 "아미노산 모방물"은 동배체(isostere)인, 즉 천연 화합물의 입체 및 전자 구조를 모방하도록 설계된 자연-발생 아미노산의 합성 유사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동배체는 당업자에게 주지이며 뎁시펩티드, 레트로-인버소(retro-inverso) 펩티드, 티오아미드, 시클로알칸 또는 1,5-이치환 테트라졸을 포함하며 그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문헌 [M. Goodman, Biopolymers, 24, 137, (1985)] 참조).
용어 "펩티드"는 펩티드 결합 (즉, 한 아미노산의 아민을 또 다른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당"은 모노-, 디- 또는 트리-사카라이드를 의미한다. 적합한 당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3
글루코스, 갈락토스, 말토스, 만노스 및 락토스. 임의로는, 당은 아미노산에의 용이한 커플링을 허용하도록 관능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미노산의 글루코사민 유도체는 펩티드 결합을 통해 다른 아미노산에 접합시킬 수 있다. 아스파라긴의 글루코사민 유도체 (노바바이오켐(NovaBiochem)으로부터 시판)는 이의 일례이다:
A 및 A'이 "Cys 이외의 임의 아미노산"일 때, 그것은 A 및 A' 기의 부가적인 아미노산이 유리 티올 기, 특히 Cys 잔기를 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부가적인 Cys 잔기는 Q 서열의 Cysa-Cysb Cysc-Cysd 디술피드 가교와의 디술피드 가교 스크램블링 위험을 가져오게 되고, 그 결과 c-Met 결합 친화도의 상실 또는 감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특징
제1 측면의 방법에서, 암은 바람직하게는 비-소세포 폐암 (NSCLC), 결장직장암, 위암, 췌장암, 두경부암, 난소암, 유방암, 흑색종, 신경교종 또는 육종, 또는 상피 기원의 다른 암이다. 암의 종양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종양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은 NSCLC, 결장직장암 또는 위암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암은 NSCLC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cMBP 펩티드는 c-Met/HGF 복합체에의 c-Met의 결합에 대하여 약 10 nM 미만 (형광편광 검정 측정에 기초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nM 범위의 KD를 가지며, 3 nM 미만이 이상적이다.
화학식 I 및 II의 cMBP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IA로 표시되고, cMBP는 오직 하나의 Lys 잔기를 포함한다:
<화학식 IIA>
-(A)x-Q-(A')z-Lys-
상기 식에서,
A는 화학식 II에 대하여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값 0 내지 12의 정수이고, [x + z] = 0 내지 12이다.
따라서, 화학식 IIA에서 단일 Lys 잔기는 cMBP의 C-말단에 특이적으로 위치된다. 그에 따라 그것은 18F 방사성표지가 바람직하게는 C-말단 위치에 위치됨을 의미한다.
Q는 바람직하게는 SEQ-2 또는 SEQ-3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Ser-Cysa-X1-Cysc-X2-Gly-Pro-Pro-X3-Phe-Glu-Cysd-Trp-Cysb-Tyr-X4-X5-X6 (SEQ-2);
Ala-Gly-Ser-Cysa-X1-Cysc-X2-Gly-Pro-Pro-X3-Phe-Glu-Cysd-Trp-Cysb-Tyr-X4-X5-X6-Gly-Thr (SEQ-3).
SEQ-1, SEQ-2 및 SEQ-3에서, X3은 바람직하게는 Arg이다.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에서, -(A)x- 또는 -(A')y- 기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것들로부터 선택되는 링커 펩티드를 포함한다:
-Gly-Gly-Gly-Lys- (SEQ-4),
-Gly-Ser-Gly-Lys- (SEQ-5) 또는
-Gly-Ser-Gly-Ser-Lys- (SEQ-6).
제1 측면의 cMBP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서열 (SEQ-7)을 갖는다:
Ala-Gly-Ser-Cysa-Tyr-Cysc-Ser-Gly-Pro-Pro-Arg-Phe-Glu-Cysd-Trp-Cysb-Tyr-Glu-Thr-Glu-Gly-Thr-Gly-Gly-Gly-Ly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영상화제는 MIG 기에 의하여 보호된 양쪽 cMBP 펩티드 말단을 가지며, 즉 바람직하게는 Z1 Z2 둘 다는 보통은 상이하게 되는 MIG이다. 양쪽 펩티드 말단을 이러한 방식으로 보호하는 것은 생체내 영상화 적용에 중요한데, 그렇지 않을 경우 신속한 펩티드 대사가 예상되고 c-Met에 대한 선택적 결합 친화도의 상실이 결과로서 수반되기 때문이다. Z1 Z2 둘 다가 MIG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Z1은 아세틸이고 Z2는 1급 아미드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Z1은 아세틸이고 Z2는 1급 아미드이며 18F 모이어티는 cMBP의 라이신 잔기의 엡실론 아민 측쇄에 부착된다.
방사성플루오린화 치환기 -(L)n-18F는 c-Met 결합 펩티드의 N-말단의 알파 아미노 기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임의 아미노-치환 아미노산 (예를 들어, Lys 잔기)의 아민 측쇄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MBP의 Lys 잔기의 엡실론 (ε) 아민 기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방사성플루오린화 치환기 -(L)n-18F는 n = 1을 가지며, 즉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합성 링커 기가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한 그러한 치환기는 페닐 기에 결합된 18F 방사성표지를 포함하고, 즉 치환기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A)xC6H4-18F
상기 식에서,
A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값 0 내지 5의 정수이다.
가장 바람직한 그러한 치환기는 플루오린화 활성 에스테르로의 Lys 아민 잔기의 N-아실화, 또는 Lys 아민 잔기의 아미노옥시 유도체와 플루오린화 벤즈알데히드의 축합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생기고,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4
제1 측면의 영상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i) 및 (ii)를 포함하는 영상화제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i) 제1 측면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
(ii) 비-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
(여기에서 상기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i)과 (ii)에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여기에서 비-표지 cMBP 펩티드는 상기 18F-표지 cMBP 펩티드의 몰량의 50배 이하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한다).
조성물중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용어 "조성물"은 그의 통상적인 의미를 가지며, 즉 특정된 성분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용액 형태일 수 있다.
용어 "비-표지"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가 비-방사성, 즉 18F 또는 여타 방사성동위원소로 방사성표지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1종 이상의 그러한 펩티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고, 그러한 비-표지 펩티드는 제4 측면 (하기)의 비-방사성 전구체를 주로 포함한다. 용어 "비-표지"는 19F로 표지한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배제하며, 여기에서 상기 19F는 상기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방사성표지에 사용되는 18F-플루오라이드에 존재하고 따라서 동일한 방사성표지 반응의 생성물이다.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플루오린-치환 화합물이 플루오린 원자의 동위원소에서만 차이가 나면, 그들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화학적으로 행동할 것이고, 따라서 그들의 분리는 극도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비-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 또는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부착된 기 Z1 및/또는 Z2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비-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상응하는 18F-표지 펩티드의 몰량의 30배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배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배 미만으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한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용액 형태이고, 여기에서 성분 (i)과 (ii)는 둘 다 용액으로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은 생체적합성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그러한 용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그러한 생체적합성 용매는 이하에서 기재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성 용매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영상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화제를 생체적합성 담체와 함께 포유동물 투여에 적합한 멸균 형태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생체적합성 담체"는, 조성물이 생리학적으로 용인가능하도록, 즉 독성이나 과도한 불편 없이 포유동물 신체에 투여될 수 있도록 영상화제가 현탁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용해될 수 있는 유체, 특히 액체이다. 생체적합성 담체는 적절하게는 주사가능한 담체 액체, 예컨대 주사용 멸균 발열물질-비함유수; 수용액, 예컨대 염수 (유리하게는 주사용 최종 생성물이 등장성이 되도록 균형잡혀질 수 있는); 생체적합성 완충제를 포함하는 수성 완충제 용액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완충제); 1종 이상의 장성(tonicity)-조절 물질 (예를 들어, 혈장 양이온과 생체적합성 카운터이온의 염)의 수용액, 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또는 수크로스), 당 알콜 (예를 들어,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글리콜 (예를 들어, 글리세롤), 또는 다른 비-이온성 폴리올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이다.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 담체는 주사용 발열물질-비함유수, 등장성 염수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제이다. 완충제의 사용은 pH 조절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임의로는 가용화제로서 5 내지 10% v/v 에탄올과 더불어 7.5 이상의 pH로 유지된다. 제약 조성물은 부가적인 임의 부형제, 예컨대: 항미생물 보존제, pH 조절제, 충전제, 방사선 보호제, 가용화제 또는 삼투질농도 조절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영상화제 조성물은 Z1 = Z2 = MIG이 부착된 SEQ-7의 cMBP 펩티드, 및 파라-아미노벤조산 방사선 보호제와 에탄올 방사선 보호제/가용화제의 조합을 수성 완충제중에 포함한다. 그러한 바람직한 조성물중 SEQ-7의 바람직한 펩티드는 펩티드 1이고, 바람직한 18F-표지 cMBP 펩티드는 화합물 3이다. 방사능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350 MBq/ml 미만이고, pABA 농도는 2 mg/ml, 및 에탄올은 약 5 내지 10% vol/vol,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vol/vol이다.
영상화제 및 생체적합성 담체는 시린지 또는 캐뉼러에 의한 용액의 첨가 및 취출을 가능케 해주면서, 멸균 완전성(integrity) 및/또는 방사능 안전성의 유지를 가능케 해주는 밀폐 용기, 그에 더하여 임의로는 불활성 헤드스페이스 가스 (예를 들어, 질소 또는 아르곤)를 포함하는 적합한 바이얼 또는 용기로 각각 공급된다.
제약 조성물은 무균 제조 (즉, 무균실) 조건하에서 제조하여 목적하는 멸균 비-발열성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핵심 성분, 특히 회합된 시약과 그에 더하여 영상화제와 접촉하게 되는 장치의 부품 (예를 들어, 바이얼)은 멸균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및 시약은 멸균여과, 예를 들어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최종멸균, 오토클레이빙, 건열 또는 화학 처리 (예를 들어, 에틸렌 옥시드로)를 비롯하여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멸균시킬 수 있다. 최소수의 조작이 수행될 필요가 있도록, 일부 성분을 미리 멸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방 조치로, 제약 조성물의 제조시에 최종 단계로서 적어도 멸균여과 단계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면의 영상화제는 적합한 전구체의 방사성플루오린화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전구체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i) Z1 = Z2 = MIG 화학식 I의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 또는
(ii) 아미노옥시-관능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
용어 "아미노옥시-관능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거기에 아미노옥시 관능기가 공유결합된 화학식 I의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의미한다. 그러한 아미노옥시 기는 화학식 -O-NH2, 바람직하게는 -CH2O-NH2로 표시되며, 아미노옥시 기의 아민은 알데히드와의 축합 반응에서 Lys 아민 기보다 더 반응성이어서 옥심 에테르를 형성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한 아미노옥시 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cMBP의 Lys 잔기에서 적절히 부착된다.
전구체는 비-방사성이며, 고도의 화학적 순도로 수득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18F의 적합한 공급원과의 반응시, 반응이 만족스러운 방사화학적 순도 (RCP)로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또한 설계된다. "18F의 적합한 공급원"은 전구체의 성질에 좌우된다. 전구체가 화학식 I의 비-표지 c-Met 결합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우, 비-표지 펩티드의 라이신 (Lys) 잔기의 아민 기는 방사성표지의 부위이도록 설계된다. Z1 = Z2 = MIG이므로 cMBP 펩티드의 말단은 보호된다. 바람직한 그러한 c-Met 결합 펩티드 및 바람직한 Z1/Z2 기는 제1 측면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따라서, 18F의 적합한 공급원은 라이신 아민 기, 바람직하게는 Lys 엡실론 아민과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반응하도록 설계된다.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멸균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고체이다.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옥시-관능화 c-Met 결합 펩티드이다.
화학식 I의 c-Met 결합 펩티드, 즉 본 발명의 Z1-[cMBP]-Z2는 다음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i) 목적하는 cMBP 펩티드와 동일한 펩티드 서열을 갖고 Cysa Cysb는 보호되지 않으며, Cysc Cysd 잔기는 티올-보호기를 갖는 선형 펩티드를 고체상 펩티드 합성하는 단계;
(ii) 단계 (i)로부터의 펩티드를 용해 상태의 수성 염기로 처리하여 Cysa Cysb를 연결하는 제1 디술피드 결합을 갖는 모노시클릭 펩티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i) Cysc Cysd 티올-보호기를 제거하고 고리화하여, 목적하는 비시클릭 펩티드 생성물 Z1-[cMBP]-Z2인, Cysc Cysd를 연결하는 제2 디술피드 결합을 수득하는 단계.
용어 "보호기"는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반응은 억제하거나 저해하되, 분자의 나머지를 변형시키지 않는 온화한 충분 조건하에서 해당 관능기로부터 절단될 수 있게 충분히 반응성이도록 설계되는 기를 의미한다. 탈보호 후, 목적 생성물이 수득된다. 아민 보호기는 당업자에게 주지이며 다음의 것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Boc (Boc가 tert-부틸옥시카르보닐인 경우), Fmoc (Fmoc가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인 경우), 트리플루오로아세틸, 알릴옥시카르보닐, Dde [즉, 1-(4,4-디메틸-2,6-디옥소시클로헥실리덴)에틸] 또는 Npys (즉, 3-니트로-2-피리딘 술페닐). 적합한 티올 보호기는 Trt (트리틸), Acm (아세트아미도메틸), t-Bu (tert-부틸), tert-부틸티오, 메톡시벤질, 메틸벤질 또는 Npys (3-니트로-2-피리딘 술페닐)이다. 추가 보호기의 사용에 대해서는 문헌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ition, Theorodora W. Greene and Peter G. M. Wuts, [Wiley Blackwell, (2006)]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아민 보호기는 Boc 및 Fmoc, 가장 바람직하게는 Boc이다. 바람직한 아민 보호기는 Trt 및 Acm이다.
실시예 1 및 2는 보다 구체적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고체상 펩티드 합성의 추가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문헌 [P. Lloyd-Williams, F. Albericio and E. Girald; Chemical Approaches to the Synthesis of Peptides and Proteins, CRC Press, 1997]에 기재되어 있다. cMBP 펩티드는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최적으로 저장되고 냉동장치에서 유지시킨다. 용해 상태로 사용시, 디술피드 가교의 스크램블링 위험을 수반하므로 7을 초과하는 pH는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아미노옥시-관능화 c-Met 결합 펩티드는 푀트코(Poethko) 등 [J.Nucl.Med., 45, 892-902 (2004)], 쉬어마허(Schirrmacher) 등 [Bioconj.Chem., 18, 2085-2089 (2007)], 솔바켄(Solbakken) 등 [Bioorg.Med.Chem.Lett, 16, 6190-6193 (2006)] 또는 글레이서(Glaser) 등 [Bioconj. Chem., 19, 951-957 (2008)]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미노옥시 기는 임의로는 두 단계로 접합시킬 수 있다. 우선, N-보호 아미노옥시 카르복실산 또는 N-보호 아미노옥시 활성화 에스테르를 c-Met 결합 펩티드에 접합시킨다. 두 번째로, 중간체 N-보호 아미노옥시-관능화 c-Met 결합 펩티드를 탈보호하여 목적 생성물을 수득한다 (상기 인용한 솔바켄 및 글레이서 논문 참조). N-보호 아미노옥시 카르복실산, 예컨대 Boc-NH-O-CH2(C=O)OH는 예를 들어 노바바이오켐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i) 전술한 바와 같은 전구체의 제공;
(ii) 상기 전구체가 Z1 = Z2 = MIG인 화학식 I의 비-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우, 활성화제의 존재하에서 18F-표지 활성화 에스테르 또는 18F-표지 카르복실산 중 어느 하나와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시클릭 펩티드의 cMBP의 Lys 잔기에서 아미드 결합을 통해 접합된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수득;
(iii) 상기 전구체가 아미노옥시-관능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우,
(a) 활성화제의 존재하에서 18F-표지 활성화 에스테르 또는 18F-표지 카르복실산과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관능화 펩티드의 아미노옥시 위치에서 아미드 결합을 통해 접합된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수득; 또는
(b) 18F-표지 알데히드와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관능화 펩티드의 아미노옥시 위치에서 옥심 에테르 결합을 통해 접합된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수득.
용어 "활성화 에스테르" 또는 "활성 에스테르"는, 보다 양호한 이탈기가 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아민과 같은 친핵체와의 보다 수월한 반응을 가능케 해주는 회합된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의미한다. 적합한 활성 에스테르의 예는 다음과 같다: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 술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펜타플루오로페놀; 펜타플루오로티오페놀; 파라-니트로페놀;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PyBOP (즉,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바람직한 활성 에스테르는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또는 펜타플루오로페놀 에스테르, 특히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이다.
용어 "활성화제"는 아민과 카르복실산간의 커플링을 촉진하여 아미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시약을 의미한다. 적합한 그러한 활성화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카르보디이미드, 예컨대 EDC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및 N,N'-디알킬카르보디이미드,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또는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및 트리아졸, 예컨대 HB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보다 세부사항은 문헌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ition, pages 508-510, Wiley Interscience (2001)]에 수록되어 있다. 바람직한 그러한 활성화제는 EDC이다.
18F-표지 활성화 에스테르, 예컨대 [18F]SFB는 글레이서(Glaser) 등 및 거기에 실린 참고문헌 [J.Lab.Comp.Radiopharm., 52, 327-330 (2009)]의 방법, 또는 매릭(Marik) 등 [Appl.Rad.Isot., 65(2), 199-203 (2007)]의 자동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5
18F-표지 카르복실산은 상기 인용된 매릭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q가 3인 화학식 18F(CH2)2O[CH2CH2O]qCH2CHO의 18F-표지 지방족 알데히드는 글레이서 등 [Bioconj.Chem., 19(4), 951-957 (2008)]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18F-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는 글레이서 등 [J.Lab.Comp.Radiopharm., 52, 327-330 (2009)]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전구체 Me3N+-C6H4-CHO.CF3SO3 -는 하카(Haka) 등 [J.Lab.Comp.Radiopharm., 27, 823-833 (1989)]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된다.
아미노옥시-관능화 c-Met 펩티드에 18F-표지 알데히드의 접합은 바람직하게는 플래벨(Flavell) 등 [J.Am.Chem.Soc., 130(28), 9106-9112 (2008)]에 의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 아닐린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보호된 아미노옥시 c-Met 펩티드 (예컨대, 화합물 1)를 전구체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유리 아미노옥시 유도체 (예컨대, 화합물 2)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체 합성은 자동화하기에 보다 수월한 반면에 보호된 전구체로는 전형적으로 수작업 탈보호 단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영상화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수득될 수 있다:
(i)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제조; 및
(ii)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로부터 비-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단계 (ii)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하나 이상의 SPE 카트리지(들)을 사용하여 HPLC 또는 SPE (고체상 추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SPE는 자동 합성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고, HPLC는 그 밖의 상황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5는 본 발명의 화합물 3에 대한 적합한 HPLC 방법을 제공한다.
영상화제가 제약 조성물로서 제공되는 경우에,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자동 합성기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용어 "자동 합성기"는 사티아무르티(Satyamurthy) 등 [Clin.Positr.Imag., 2(5), 233-253 (1999)]에 의하여 기재된 바와 같은 단위 조작의 원리에 기반한 자동화 모듈을 의미한다. 용어 '단위 조작'은 복잡한 과정을 광범위의 물질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일련의 단순 조작 또는 반응으로 축소시킴을 의미한다. 그러한 자동 합성기는 특히 방사성의약품 조성물을 소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방법에 바람직하다. 그들은 지이 헬스케어(GE Healthcare); 시티아이 인코포레이티드(CTI Inc.); 이온 빔 애플리케이션 소시에테 아노님(Ion Beam Application S.A.) (슈맹 뒤 사이클로트론 3(Chemin du Cyclotron 3), 벨기에 베-1348 루벵-라-뇌브); 레이테스트(Raytest, 독일) 및 바이오스캔 (Bioscan, 미국)을 비롯하여 광범위의 공급체 [사티아무르티 등, 상기]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i) 제1 측면의 판정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 및
(ii) 항 c-Met 요법이 환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단계 (i)이 판정되면, 상기 환자에 대한 항 c-Met 요법을 개시하거나 또는 지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전에 암 진단을 받은 개별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측면에서의 영상화제 및 판정 방법의 바람직한 측면은 제1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용어 "항 c-Met 요법"은 제1 측면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항 c-Met 요법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비-단백질성 c-Met 억제제;
(b) 항-Met 항체 또는 그의 단편;
(c) 항-HGF 항체 또는 그의 단편;
(d) c-Met 신호전달 경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약물; 또는
그들의 조합.
용어 "비-단백질성"은 그의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 바람직한 그러한 c-Met 억제제는 합성이다. 용어 "합성"은 그의 통상적인 의미, 즉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예를 들어 포유동물 신체로부터 단리되는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인공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한 화합물은 그들의 제조 및 불순물 프로파일이 완전히 제어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Met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소형 분자"이며, 즉 2000 달톤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달톤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달톤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어구 "c-Met 신호전달 경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약물"은 c-Met 조절, 발현 또는 기능에 대한 억제/길항 또는 아고니스트(agonistic)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방식으로 c-Met 신호전달 경로를 상류 또는 하류에서 방해하는 약리학적 활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Apc 유전자의 전사 및 c-Met의 하류 발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 약물의 예는 β-카테닌 억제제 또는 NFκB/IKK 억제제이다. 항 c-Met 요법의 추가 세부사항은 토쉬(Toschi) 등 [Clin.Cancer Res., 14(19), 5941-5946 (2008)]에 의하여 제공된다. 2개의 항 c-Met 요법이 승인을 받았으며 (크리조티닙(crizotinib) 및 카보잔티닙(cabozantinib)), 보다 많은 것들이 현재 임상개발중에 있으며 (http://clinicaltrials.gov/ct2/search 및 다양한 과학 모임의 초록에 기초)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6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7
제2 측면에서, 항 c-Met 요법은 임의로는 부가적인 치료와의 조합 요법의 일부로서 전달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부가적인 치료는 다음의 것들 중에서 선택된다:
(i) EGFR 억제제;
(ii)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iii) VEGF 억제제;
(iv) 표준 암 화학요법 약물; 및
(v) β-카테닌 억제제.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요법의 개시 후 1회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제1 측면의 단계 (ii)와 (iii) 각각의 영상화 및 판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전에 암 진단을 받았고 제2 측면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항 c-Met 요법으로 사전에 치료를 받은 개별 환자의 요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3 측면에서의 영상화제 및 판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제1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제3 측면에서의 항 c-Met 요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제2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제3 측면의 모니터링 방법에서, 환자 암의 관심 영역(들)의 다중 영상이 수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 영상화 기술이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그리하여 예컨대 영상 감산 및/또는 상이한 시점에서의 종양:백그라운드 비율의 분석을 이용하여 항 c-Met 요법, 또는 c-Met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법 (예를 들어, 비-소세포 폐암에서 에를로티닙에 실패하는 환자에서의 c-Met의 상향조절 [Cappuzz et al., Annal.Oncol., 20: 298-304 (2009); 및 [Engelman, et al., Science 316, 1039-1043 (2007)], 및 방사선내성으로 이끄는 이온화 조사에 반응한 c-Met의 상향조절 [De Bacco et al., J.Natl.Cancer Inst., 103(8), 645-61 (2011)])에 반응하여 c-Met 과발현의 정도가 변하였는지 여부의 판정을 보조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요법의 지속; 투여량의 변경; 상이한 항 c-Met 요법으로의 변경; 조합 요법, 선택적 수술(elective surgery)의 개시 또는 요법 진행의 종료의 견지에서 환자 관리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요법 개시 1개월내에서 c-Met의 생체내 발현을 판정하는 기준선 스캔, 뒤이어 행해지는 제2 스캔은 종양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추후 시점에서 평가될 때 요법에 대한 궁극적인 반응을 표시할 가능성을 갖는다. 요법의 개시 후 c-Met 발현의 급락은 요법 반응을 예보하는 것이라고 가정된다. 이의 임상적 유용성은 무익한 요법의 적용에 소모되는 시간과 돈을 줄이는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순차적 스캔은 항-c-Met 요법이 항-종양 효과의 지속에 실패하고 있다는 조기 신호를 제공할 가능성을 갖는다. 그 경우에, c-Met 발현에 있어서 변화 (또는 가능하게는 상승)의 결여는 요법의 실패를 정확하게 및 신뢰가능하게 예측하는 가능성을 갖는다. 이러한 점은 보다 효능이 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대체요법으로의 조속한 전환을 촉진하게 될 것이므로 임상적 유용성이 클 수 있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측면의 판정 방법; 제2 측면의 치료 방법, 또는 제3 측면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제1 측면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제4 측면에서의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바람직한 측면은 제1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측면의 판정 방법; 제2 측면의 치료 방법, 또는 제3 측면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제1 측면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제5 측면에서의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 및 판정 방법의 바람직한 측면은 제1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제5 측면에서의 치료 방법의 바람직한 측면은 제2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제5 측면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바람직한 측면은 제3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제6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2 측면의 치료 방법, 또는 제3 측면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제2 측면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항 c-Met 요법의 용도를 제공한다.
제6 측면에서의 항 c-Met 요법의 바람직한 측면은 제1 측면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을 이하에서 상술되는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은 양쪽 말단에 대사 억제기 (Z1 = Z2 = MIG)를 갖는 본 발명의 cMBP 펩티드 (펩티드 1)의 합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보호된 전구체 (화합물 1)의 합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3은 플루오린-표지 c-Met 펩티드의 비-방사성 플루오린화 (즉, 19F) 카운터파트 (화합물 3A)의 합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18F-방사성플루오린화 c-Met 펩티드 (화합물 3B)의 합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5는 표지 및 비-표지 c-Met 결합 펩티드의 분리를 위한 HPLC 조건을 제공한다.
실시예 6은 동물 종양 모델에서 본 발명의 18F-표지 펩티드 (화합물 3B)의 생체내분포를 제공한다. 결과는 HT-29 종양에서 발현된 인간 c-Met 수용체에의 결합, 및 따라서 종양 영상화에 대한 유용성을 보여준다. 실시예 7은 실시예 6의 종양 흡수가 특이적임을 증명해 보여주는데, 그 이유는 그 흡수가 비-방사성 19F-표지 c-Met 결합 펩티드 (화합물 3A)의 공-투여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8은 19F-표지 c-Met 결합 펩티드의 공-투여시 영장류에서 약 40%의 감소된 간 흡수를 또한 증명해 보여준다. c-Met 수용체에 대한 친화도를 갖지 않는 펩티드의 19F-표지 스크램블드 버전의 공-투여는 간 흡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간은 고-수준의 c-Met 발현을 보이고, 그러므로 19F-표지 cMBP와의 경쟁에 따른 흡수의 감소는 생체내에서의 특이적 c-Met 결합의 증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9는 SPE 카트리지 정제의 자동화 사용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합물 3B의 자동 합성을 제공한다. 결과는 당해 접근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3B가 고-순도 및 만족스러운 방사화학적 수율로 수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10은 본 발명의 영상화제를 사용하는 인간 영상화를 기재한다.
약어
통상적인 1문자 또는 3문자 아미노산 약어가 사용된다.
%id: %주입량
Ac: 아세틸
Acm: 아세트아미도메틸
ACN: 아세토니트릴
Boc: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DCM: 디클로로메탄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술폭시드
EDC: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Fmoc: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HB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SPyU: O-(N-숙신이미딜)-N,N,N',N'-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HS: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MM: N-메틸모르폴린
NMP: 1-메틸-2-피롤리디논
pABA: 파라-아미노벤조산
Pbf: 2,2,4,6,7-펜타메틸디히드로벤조푸란-5-술포닐
PBS: 포스페이트-완충 염수
p.i.: 주사후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SPE: 고체상 추출
SUV: 표준 흡수치
tBu: tert-부틸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IS: 트리이소프로필실란
Trt: 트리틸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8
실시예 1: 펩티드 1의 합성
단계 (a): 보호된 전구체 선형 펩티드의 합성
전구체 선형 펩티드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Ac-Ala-Gly-Ser-Cys-Tyr-Cys(Acm)-Ser-Gly-Pro-Pro-Arg-Phe-Glu-Cys(Acm)-Trp-Cys-Tyr-Glu-Thr-Glu-Gly-Thr-Gly-Gly-Gly-Lys-NH2
0.1 mmol 링크 아미드 노바겔(Rink Amide Novagel) 수지로 출발하는 Fmoc 화학작용을 이용하여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Applied Biosystems) 433A 펩티드 합성기상에서 펩티딜 수지 H-Ala-Gly-Ser(tBu)-Cys(Trt)-Tyr(tBu)-Cys(Acm)-Ser(tBu)-Gly-Pro-Pro-Arg(Pbf)-Phe-Glu(OtBu)-Cys(Acm)-Trp(Boc)-Cys(Trt)-Tyr(tBu)-Glu(OtBu)-Thr(ψMe , Mepro)-Glu(OtBu)-Gly-Thr(tBu)-Gly-Gly-Gly-Lys(Boc)-폴리머를 조립하였다. 과량의 1 mmol 전-활성화(pre-activated) 아미노산 (HBTU 사용)을 커플링 단계에서 적용하였다. Glu-Thr 슈도프롤린 (노바바이오켐 05-20-1122)을 서열에 혼입시켰다. 수지를 질소 버블러 장치로 이송하여 DCM (5 mL)에 용해시킨 아세트산 무수물 (1 mmol)과 NMM (1 mmol)의 용액으로 60 min 동안 처리하였다. 무수물 용액을 여과제거하고 수지를 DCM으로 세척한 다음 질소 스트림하에서 건조시켰다.
측쇄 보호기의 동시 제거 및 수지로부터 펩티드의 절단을 2.5% TIS, 2.5% 4-티오크레졸과 2.5% 물을 함유하는 TFA (10 mL)에서 2.5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수지를 여과제거하고, TFA를 진공제거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를 잔사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공기건조하여 264 mg의 조(crude) 펩티드를 수득하였다.
조 펩티드의 정제용 HPLC (구배: 40 min에 걸쳐서 20-30% B, 여기에서 A = H2O/0.1% TFA 및 B = ACN/0.1% TFA, 유량: 10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Phenomenex Luna) 5μ C18 (2) 250 x 21.20 mm, 검출: UV 214 nm, 생성물 체류시간: 30 min)에 의한 정제로 100 mg의 순수 펩티드 1 선형 전구체를 수득하였다. 순수 생성물을 분석용 HPLC (구배: 10 min에 걸쳐서 10-40% B, 여기에서 A = H2O/0.1% TFA 및 B = ACN/0.1% TFA, 유량: 0.3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3μ C18 (2) 50 x 2 mm, 검출: UV 214 nm, 생성물 체류시간: 6.54 min)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전자분사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추가 생성물 특성해석을 수행하였다 (MH2 2+ 계산치: 1464.6, MH2 2+ 실측치: 1465.1).
단계 (b): 모노시클릭 Cys4 -16 디술피드 가교의 형성
Cys4-16;
Ac-Ala-Gly-Ser-Cys-Tyr-Cys(Acm)-Ser-Gly-Pro-Pro-Arg-Phe-Glu-Cys(Acm)-Trp-Cys-Tyr-Glu-Thr-Glu-Gly-Thr-Gly-Gly-Gly-Lys-NH2
단계 (a)로부터의 선형 전구체 (100 mg)를 5% DMSO/물 (200 mL)에 용해시키고,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용액을 pH 6으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일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이어서 TFA를 사용하여 pH 2로 조정하고 용매의 대부분을 진공증발에 의하여 제거하였다. 잔사 (40 mL)를 생성물 정제를 위하여 정제용 HPLC 칼럼상에 분할 주입하였다.
잔사의 정제용 HPLC (구배: 10 min 동안 0% B, 이어서 40 min에 걸쳐서 0-40% B, 여기에서 A = H2O/0.1% TFA 및 B = ACN/0.1% TFA, 유량: 10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5μ C18 (2) 250 x 21.20 mm, 검출: UV 214 nm, 생성물 체류시간: 44 min)에 의한 정제로 72 mg의 순수 화합물 1 모노시클릭 전구체를 수득하였다.
순수 생성물 (이성질체 P1 내지 P3의 혼합물로서)을 분석용 HPLC (구배: 10 min에 걸쳐서 10-40% B, 여기에서 A = H2O/0.1% TFA 및 B = ACN/0.1% TFA, 유량: 0.3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3μ C18 (2) 50 x 2 mm, 검출: UV 214 nm, 생성물 체류시간: 5.37 min (P1); 5.61 min (P2); 6.05 min (P3))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전자분사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추가 생성물 특성해석을 수행하였다 (MH2 2+ 계산치: 1463.6, MH2 2 + 실측치: 1464.1 (P1); 1464.4 (P2); 1464.3 (P3)).
단계 (c): 제2 Cys6 -14 디술피드 가교 (펩티드 1)의 형성
단계 (b)로부터의 모노시클릭 전구체 (72 mg)를 질소 블랭킷하에서 75% AcOH/물 (72 mL)에 용해시켰다. AcOH (4.8 mL)중의 1M HCl (7.2 mL) 및 0.05M I2를 그 순서로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45 min 동안 교반하였다. 1M 아스코르브산 (1 mL)을 첨가하여 무색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용매의 대부분을 진공증발시키고 잔사 (18 mL)를 물/0.1% TFA (4 mL)로 희석한 다음 생성물을 정제용 H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잔사의 정제용 HPLC (구배: 10 min 동안 0% B, 이어서 40 min에 걸쳐서 20-30% B, 여기에서 A = H2O/0.1% TFA 및 B = ACN/0.1% TFA, 유량: 10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5μ C18 (2) 250 x 21.20 mm, 검출: UV 214 nm, 생성물 체류시간: 43-53 min)에 의한 정제로 52 mg의 순수 펩티드 1을 수득하였다.
순수 생성물을 분석용 HPLC (구배: 10 min에 걸쳐서 10-40% B, 여기에서 A = H2O/0.1% TFA 및 B = ACN/0.1% TFA, 유량: 0.3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3μ C18 (2) 50 x 2 mm, 검출: UV 214 nm, 생성물 체류시간: 6.54 min)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전자분사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추가 생성물 특성해석을 수행하였다 (MH2 2+ 계산치: 1391.5, MH2 2 + 실측치: 1392.5).
실시예 2: 화합물 1의 합성
(Boc-아미노옥시)아세트산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138 mg, 0.72 mmol), EDC (138 mg, 0.72 mmol)와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83 mg, 0.72 mmol)를 DMF (1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25 min 동안 진탕시키고, 이어서 DMF (5 ml)중 펩티드 1 (1.0 g, 0.3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min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심(Sym.)-콜리딘 (239 ㎕, 1.8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 ml)로 희석하고, 생성물을 정제용 RP-HPL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HPLC 조건: 워터스 프렙(Waters Prep) 4000 시스템, 용매 A = H2O/0.1% TFA 및 용매 B = ACN/0.1% TFA; 구배: 60 min에 걸쳐서 20-40% B; 유량 = 50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10 ㎛ C18 (2) 250 x 50 mm; 검출: UV 214 nm.
정제 화합물 1의 수율: 690 mg (65%). 실측치 m/z: 1478.4, 기대치 MH2 2 +: 1478.1.
실시예 3: 화합물 3A의 합성
단계 (a): N-(4-플루오로벤질리덴)아미노옥시아세트산의 제조
(Boc-아미노옥시)아세트산 (96 mg, 0.50 mmol)과 4-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53 ㎕, 0.50 mmol)를 포름산 (0.5 ml)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135 min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어서 20% ACN/물/0.1% TFA (7 ml)로 희석하고, 생성물을 반-정제용 RP-HPL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HPLC 조건: 베크만 시스템 골드(Beckman System Gold); 용매 A = H2O/0.1% TFA 및 용매 B = ACN/0.1% TFA; 구배: 40 min에 걸쳐서 25-35% B; 유량 = 10 ml/min;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5 ㎛ C18 (2) 250 x 21.2 mm; 검출: UV 214 nm.
수율: 92 mg (93%).
단계 (b): 화합물 3A의 제조
N-(4-플루오로벤질리덴)아미노옥시아세트산 [단계 (a)로부터, 43 mg, 0.22 mmol]과 PyBOP (112 mg, 0.22 mmol)를 DMF (2 ml)에 용해시켰다. DMF (10 ml)중 DIPEA (157 ㎕, 0.9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min 동안 진탕하였다. 용액을 이어서 DMF (10 ml)중 펩티드 1 (500 mg, 0.18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 min 동안 진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어서 물 (20 ml)로 희석하고,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용매 A = H2O/0.1% 암모늄 아세테이트 및 용매 B = ACN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HPLC 조건. 수율: 291 mg (55%)의 순수 물질. 실측치 m/z: 988.6, 기대치 MH3 3 +: 987.7.
실시예 4: 화합물 1로부터 화합물 3B의 합성
단계 (a): 화합물 1의 탈보호에 의한 화합물 2의 수득
5-ml 반응 바이얼 중의 화합물 1 (7 mg, 2.37 μM)을 물 (10 ㎕)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90 ㎕)으로 처리하고, 이어서 밀폐 바이얼 안에 넣어 음파조(sonic bath)에서 10분 동안 침지시켰다. 이어서 수성 TFA를 진공제거하고 (대략 30 min), 잔사를 시트레이트 완충제 (pH 2.6, 1.7 mL)에서 재구성한 다음 자동 합성기 카세트 (패스트랩(FastLab)TM, 지이 헬스케어 리미티드(GE Healthcare Ltd))상에 위치 14에서 로딩하였다.
단계 (b): 18 F-벤즈알데히드의 합성 및 정제
은(silver) 표적을 구비한 젬스 펫트레이스(GEMS PETtrace) 사이클로트론을 사용하여 [18O](p,n) [18F] 핵반응을 통해 [18F]플루오라이드를 생성하였다. 1.5 내지 3.5 mL의 총 표적부피를 사용하였다. 래디오플루오라이드(radiofluoride)를 워터스 QMA 카트리지 (카보네이트로 미리 조건화)상에 트래핑하고, 플루오라이드를 물 (80 ㎕)과 아세토니트릴 (320 ㎕)중 Kryptofix2.2.2.(4 mg, 10.7 μM)와 탄산칼륨 (0.56 mg, 4.1 μM)의 용액으로 용리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용액을 QMA 카트리지에서 반응용기쪽으로 축출하였다. [18F]플루오라이드를 정상(steady) 질소 스트림 및 진공하에 120℃에서 9분 동안 건조시켰다. 디메틸술폭시드 (1.1 mL)중 트리메틸암모늄 벤즈알데히드 트리플레이트 (문헌 [Haka et al., J.Lab.Comp.Radiopharm., 27, 823-833 (1989)]) (3.3 mg, 10.5 μM)를 건조 [18F]플루오라이드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05℃에서 7분 동안 가열하여 4-[18F]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를 생성하였다. 표지 효율은 69 ± 3% (감쇠 보정)이었다.
조 표지 혼합물을 이어서 수산화암모늄 용액으로 희석하고 MCX+ SPE 카트리지 (패스트랩 시퀀스의 일부로서 물로 미리 조건화)상에 로딩하였다. 카트리지를 물로 세척한 다음, 4-[18F]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를 에탄올 (1 mL)에서 다시 반응용기로 용리시키기 전에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18F]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의 대략 13% (감쇠 보정)는 카트리지상에 트래핑된 채 잔류하였다.
단계 (c): 아미노옥시 유도체 (화합물 2)와의 알데히드 축합
MCX+ 카트리지로부터 4-[18F]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의 용리를 귀환시키기에 앞서 화합물 2 (5 mg, 1.8 μmol)를 패스트랩 반응용기로 이송하였다. 혼합물을 이어서 70℃에서 17분 동안 가열하였다. 분석용 HPLC는 화합물 3B 생성물의 RCP가 63 ± 9%이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조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에 로딩하였다.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vs 아세토니트릴 시스템은 조 반응 혼합물의 3가지 가능한 방사성 성분, 즉 [18F]플루오라이드 (TR=0.5 min), [18F]화합물 3B (TR=6 min) 및 4-[18F]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TR=9 min)간의 완전한 분리를 부여하였다. HPLC 시스템으로부터 방사능의 회수는 양호하였으며, 회수효율 97%이었다. 정제 생성물은 약 6 min 체류시간을 수집함으로써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비-표지 펩티드로부터 n F-표지 c-Met 시클릭 펩티드의 HPLC 분리
화합물 3A를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i) 분석용 HPLC 조건
칼럼: 엑스브리지 쉴드(XBridge Shield) RP 18 (4,6x50) mm, 2.5 ㎛
수성 이동상 A: 10 mM NH4Ac (완충제) pH 약 6.8
유기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칼럼 온도: 25℃
유량: 1.2 ml/min
Figure 112014056829975-pct00009
(ii) 정제용 HPLC 조건
칼럼: 엑스브리지 쉴드 RP 18 (10x100) mm, 5 ㎛
수성 이동상 A: 10 mM NH4Ac (완충제) pH 약 6.8
유기 이동상 B: 에탄올 (90%) 이동상 A (10%)
칼럼 온도: 25℃
유량: 4 ml/min
Figure 112014056829975-pct00010
(iii) 분석용 및 정제용 HPLC 결과
Figure 112014056829975-pct00011
실시예 6: 종양-담지 누드 마우스에서 18 F-표지 c-Met 펩티드 (화합물 3B)의 생체내분포
CD-1 수컷 누드 마우스 (약 20 g)를 먹이와 물의 무제한 접근 허용하에 개별 환기 케이지에 수용시켰다. HT-29 세포 (ATCC, 카탈로그 번호 HTB-38)를 10% 우태 혈청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한 맥코이(McCoy) 5a 배지 (시그마 # M8403)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를 0.25% 트립신을 사용하여 70 내지 80% 밀집도에서 주 2회 1:3으로 분할하여 5% CO2중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우스에 세침 (25 G)을 사용하여 100 ㎕ 부피로 주사당 106 세포의 공칭 용량으로 1 부위 (목덜미)에 HT-29 세포 현탁액을 가벼운 가스 마취 (이소플루란)하에서 피하주사하였다. 이어서 종양을 20일 동안 또는 적어도 200 mm3 부피까지 (연구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발전하도록 허용하였다. 20일 성장기 경과 후, 동물에 화합물 3B (0.1 ml, 1-5 MBq/동물)를 꼬리 정맥을 통해 정맥내 볼러스로서 주사하였다. 주사후 다양한 시간에서 동물을 안락사시켜 해부하고, 하기 기관과 조직을 적출하였다:
종양 흡수는 2분에서 2.3 %id/g이었으며, 30분에서 정점에 이른 다음 (3.8 %id/g)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여 120 min pi에서는 1.9 %id/g에 이르렀다. 종양내 전체 체류는 83%이었다. 시간 경과에 따른 합리적으로 신속한 혈중 클리어런스가 있었다 (초기 2분 혈액은 9.2 %id/g이었으며 120 min pi에서는 0.81 %id/g로 감소한다). 핵심 백그라운드 조직 (예를 들어, 폐 및 간)은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클리어런스 프로파일을 따랐으며, 120 min pi에서의 흡수는 1.1 %id/g (간) 및 1.56 %id/g (폐)이다.
실시예 7: 종양-담지 누드 마우스에서 화합물 3B의 수용체 차단 연구
주사후 120분에서 해부한 동물을 가지고서, 100배 및 1000배 과량의 비-방사성 유사체인 화합물 3A (약 1.5 ㎍ 및 15 ㎍ 과량/동물)의 공-주사로 실시예 6의 연구를 반복하였다. 당해 연구에서의 모든 동물은 비슷한 체중이었다 (25 내지 30 g의 범위). 데이터는 화합물 3B의 종양 흡수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p<0.01)가 1000배 과량 비-표지 펩티드로 달성되었음을 증명해 보여주었다 (HT-29 종양 흡수는 1.9 → 1.1 %id/g로 하락하였다; 40% 감소).
실시예 8: 화합물 3B의 영장류 PET 영상화
3마리 암컷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에서의 화합물 3B의 생체내분포를 PET에 의하여 판정하였다. 두 추적자 주사를 각각의 경우에서 수행하였다:
(a) 추적자 단독 (화합물 3B) 3 MBq/kg (기준선 연구);
(b) 기준선 주사 4시간 후 화합물 3A 0.15 mg/kg의 공-주사 (봉쇄 연구)와 함께 추적자 9 MBq/kg.
추적자를 1 내지 3 mL로 볼러스 용량으로서 주사하고 뒤이어 1 mL 염수를 주사하였다. 방사능 측정을 위한 혈액 샘플 (0.2 ml)을 투여후 210분까지 간격을 두고 채취하였다. 동적 연구에서는 관심 영역을 골, 심장, 신장, 폐, 간 및 근육에 구획 표시하였다. 전신 연구에서는 관심 영역을 골, 뇌, 결장, 심장, 신장, 폐, 간, 근육, 췌장, 소장, 비장 및 방광에 구획 표시하였다. 시간-활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준 흡수치 (SUV)로 표시하였다.
동결절편 자가방사선술을 이용하여 시험관내에서의 붉은털원숭이 간에서 특이적 결합 (약 40%)이 관찰되었다. 붉은털원숭이 근육은 어떠한 특이적 결합도 갖는 것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에서의 생체내 연구는 화합물 3A 0.15 mg/kg의 공-주사후 >40% 감소한 간에서의 신속한 흡수를 보여주었다. 생체내에서의 근육에의 특이적 결합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9: SPE 정제를 이용한 화합물 3B의 자동 합성
패스트랩TM (지이 헬스케어 리미티드) 자동 합성기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예 4의 합성을 수행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약, 시린지 및 SPE 카트리지를 가지고서 카세트를 구성하였다.
QMA (4급 메틸암모늄 수처리), MCX+ (혼합 양이온 교환) 및 C2 (낮은 소수성) SPE 카트리지를 전부 워터스로부터 입수하였다.
패스트랩 시퀀스 동안, 카트리지는 (직렬로) 에탄올로 조건화하였다. 사용 직전에, 카트리지를 희석제 (0.2% 인산)로 프라이밍하였다. 조 반응 혼합물을 1% 인산으로 희석한 다음 SPE에 로딩하였다. 생성물을 6 mL 물 (80% 에탄올)에 용리시키기 전에 SPE를 물로 세척하고, 방사화학적 순도 (RCP)를 분석용 HPL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사용된 18F-플루오라이드의 출발량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았다:
Figure 112014056829975-pct00012
실시예 10: 인간 연구
이전에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진단을 받은 6명의 인간 환자에서 화합물 3B를 가지고 행하는 영상화를 연구하였다. 작용제는 잘 용인되었다 (부작용 없음). 6명의 환자중 5명은 추적자의 보통/높은 흡수를 나타내었고, 1명의 환자는 낮은 흡수를 보였다 (대측 부위와 유사). 이는 c-Met를 과발현하는 그러한 환자의 80%의 문헌 보고와 일치하는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GE Healthcare Limited <120> Method for Patient Selection <130> PZ11108 WO <160> 7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DISULFID <222> (1)..(13) <220> <221> VARIANT <222> (2)..(2) <223> N, H or Y <220> <221> DISULFID <222> (3)..(11) <220> <221> VARIANT <222> (4)..(4) <223> G, S, T or N <220> <221> VARIANT <222> (8)..(8) <223> T or R <220> <221> VARIANT <222> (15)..(15) <223> A, D, E, G or S <220> <221> VARIANT <222> (16)..(16) <223> S or T <220> <221> VARIANT <222> (17)..(17) <223> D or E <400> 1 Cys Xaa Cys Xaa Gly Pro Pro Xaa Phe Glu Cys Trp Cys Tyr Xaa Xaa 1 5 10 15 Xaa <210> 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DISULFID <222> (2)..(14) <220> <221> VARIANT <222> (3)..(3) <223> N, H OR Y <220> <221> DISULFID <222> (4)..(12) <220> <221> VARIANT <222> (5)..(5) <223> G, S, T or N <220> <221> VARIANT <222> (9)..(9) <223> T or R <220> <221> VARIANT <222> (16)..(16) <223> A, D, E, G or S <220> <221> VARIANT <222> (17)..(17) <223> S or T <220> <221> VARIANT <222> (18)..(18) <223> D or E <400> 2 Ser Cys Xaa Cys Xaa Gly Pro Pro Xaa Phe Glu Cys Trp Cys Tyr Xaa 1 5 10 15 Xaa Xaa <210> 3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DISULFID <222> (4)..(16) <220> <221> VARIANT <222> (5)..(5) <223> N, H or Y <220> <221> DISULFID <222> (6)..(14) <220> <221> VARIANT <222> (7)..(7) <223> G, S, T or N <220> <221> VARIANT <222> (11)..(11) <223> T or R <220> <221> VARIANT <222> (18)..(18) <223> A, D, E, G or S <220> <221> VARIANT <222> (19)..(19) <223> S or T <220> <221> VARIANT <222> (20)..(20) <223> D or E <400> 3 Ala Gly Ser Cys Xaa Cys Xaa Gly Pro Pro Xaa Phe Glu Cys Trp Cys 1 5 10 15 Tyr Xaa Xaa Xaa Gly Thr 20 <210> 4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 Gly Gly Gly Lys 1 <210> 5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 Gly Ser Gly Lys 1 <210> 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 Gly Ser Gly Ser Lys 1 5 <210> 7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DISULFID <222> (4)..(16) <220> <221> DISULFID <222> (6)..(14) <400> 7 Ala Gly Ser Cys Tyr Cys Ser Gly Pro Pro Arg Phe Glu Cys Trp Cys 1 5 10 15 Tyr Glu Thr Glu Gly Thr Gly Gly Gly Lys 20 25

Claims (18)

  1. (i) 18F-방사성표지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영상화제를 개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
    (ii) 단계 (i) 이후, 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을 사용해 암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영상화하는 단계; 및
    (iii) 단계 (ii)의 영상화로부터 상기 부위에서 상기 영상화제의 상승된 흡수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v) 단계 (iii)의 판정이 상승된 흡수를 나타내는 경우, 암은 c-Met를 과발현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항 c-Met 요법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며;
    (v) 단계 (iii)으로부터의 판정이 상승된 흡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암은 c-Met를 과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고, 항 c-Met 요법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며;
    여기에서 상기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는 하기 화학식 I의 18 내지 30량체 시클릭 펩티드이고,
    여기에서 항 c-Met 요법은 수용체 c-Met의 직접 억제를 통하여, c-Met에의 HGF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또는 c-Met 키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하는,
    이전에 암 진단을 받은 개별 환자가 항 c-Met 요법으로의 치료에 감수성인지 여부의 판정을 보조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화학식 I>
    Z1-[cMBP]-Z2
    상기 식에서,
    cMBP는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고:
    <화학식 II>
    -(A)x-Q-(A')y-
    [여기에서, Q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 (SEQ-1)이고:
    -Cysa-X1-Cysc-X2-Gly-Pro-Pro-X3-Phe-Glu-Cysd-Trp-Cysb-Tyr-X4-X5-X6-
    (여기에서, X1은 Asn, His 또는 Tyr이고;
    X2는 Gly, Ser, Thr 또는 Asn이고;
    X3은 Thr 또는 Arg이고;
    X4는 Ala, Asp, Glu, Gly 또는 Ser이고;
    X5는 Ser 또는 Thr이고;
    X6은 Asp 또는 Glu이고;
    Cysa-d는 각각 잔기 a와 b 및 c와 d가 고리화하여 2개의 별개의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도록 하는 시스테인 잔기이다);
    A 및 A'은 독립적으로 Cys 이외의 임의 아미노산이고, 단 A와 A' 중 적어도 하나는 존재하고 Lys이며;
    x 및 y는 독립적으로 값 0 내지 13의 정수이고, [x + y] = 1 내지 13이도록 선택된다];
    Z1은 cMBP의 N-말단에 부착되며 H 또는 MIG이고;
    Z2는 cMBP의 C-말단에 부착되며 OH, OBc 또는 MIG이고,
    여기에서 Bc는 생체적합성 양이온이고;
    각각의 MIG는 독립적으로 cMBP 펩티드의 생체내 대사를 억제하거나 저해하는 생체적합성 기인 대사 억제기이고;
    여기에서 cMBP는 A 또는 A' 기의 Lys 잔기에서 18F로 표지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cMBP는 하기 화학식 IIA로 표시되고 cMBP는 오직 하나의 Lys 잔기를 포함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화학식 IIA>
    -(A)x-Q-(A')z-Lys-
    상기 식에서,
    z는 값 0 내지 12의 정수이고,
    [x + z] = 0 내지 12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Q는 SEQ-2 또는 SEQ-3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Ser-Cysa-X1-Cysc-X2-Gly-Pro-Pro-X3-Phe-Glu-Cysd-Trp-Cysb-Tyr-X4-X5-X6 (SEQ-2);
    Ala-Gly-Ser-Cysa-X1-Cysc-X2-Gly-Pro-Pro-X3-Phe-Glu-Cysd-Trp-Cysb-Tyr-X4-X5-X6-Gly-Thr (SEQ-3).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3은 Arg인,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x- 또는 -(A')y- 기 중 어느 하나는 다음에서 선택되는 링커 펩티드를 포함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Gly-Gly-Gly-Lys- (SEQ-4),
    -Gly-Ser-Gly-Lys- (SEQ-5), 또는
    -Gly-Ser-Gly-Ser-Lys- (SEQ-6).
  6. 제5항에 있어서, cMBP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 (SEQ-7)을 갖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Ala-Gly-Ser-Cysa-Tyr-Cysc-Ser-Gly-Pro-Pro-Arg-Phe-Glu-Cysd-Trp-Cysb-Tyr-Glu-Thr-Glu-Gly-Thr-Gly-Gly-Gly-Lys.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Z1 Z2 둘 다 독립적으로 MIG인,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Z1은 아세틸이고 Z2는 1급 아미드인,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암은 비-소세포 폐암, 결장직장암, 위암, 췌장암, 두경부암, 난소암, 유방암, 흑색종, 신경교종 또는 육종인,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암은 비-소세포 폐암, 결장직장암 또는 위암인,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 c-Met 요법이 환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환자에 대한 항 c-Met 요법을 개시하거나 또는 지속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항 c-Met 요법은
    (a) 비-단백질성 c-Met 억제제;
    (b) 항-Met 항체;
    (c) 항-HGF 항체;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항 c-Met 요법은 부가적인 치료와의 조합 요법의 일부로서 전달되고, 여기에서 부가적인 치료는
    (i) EGFR 억제제;
    (ii)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iii) VEGF 억제제;
    (iv) 표준 암 화학요법; 및
    (v) β-카테닌 억제제 중에서 선택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 c-Met 요법이 환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환자에 대한 항 c-Met 요법을 개시하거나 또는 지속하고, 요법의 개시 후 1회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제1항 또는 제2항의 단계 (ii)와 (iii) 각각의 영상화 및 판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항 c-Met 요법은
    (a) 비-단백질성 c-Met 억제제;
    (b) 항-Met 항체;
    (c) 항-HGF 항체;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c-Met 결합 시클릭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체내 영상화용 조성물.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7016664A 2011-12-20 2012-12-19 환자 선정방법 KR102061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121914.4A GB201121914D0 (en) 2011-12-20 2011-12-20 Method for patient selection
GB1121914.4 2011-12-20
PCT/EP2012/076196 WO2013092742A1 (en) 2011-12-20 2012-12-19 Method for patient se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276A KR20140103276A (ko) 2014-08-26
KR102061366B1 true KR102061366B1 (ko) 2019-12-31

Family

ID=4557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664A KR102061366B1 (ko) 2011-12-20 2012-12-19 환자 선정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56303B2 (ko)
EP (1) EP2795317B1 (ko)
JP (1) JP6186371B2 (ko)
KR (1) KR102061366B1 (ko)
CN (2) CN103998929A (ko)
CA (1) CA2859572C (ko)
DK (1) DK2795317T3 (ko)
ES (1) ES2676184T3 (ko)
GB (1) GB201121914D0 (ko)
WO (1) WO2013092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21914D0 (en) 2011-12-20 2012-02-01 Ge Healthcare Ltd Method for patient selection
GB201314936D0 (en) 2013-08-21 2013-10-02 Ge Healthcare Ltd Radiolabelling method
GB201322456D0 (en) 2013-12-18 2014-02-05 Ge Healthcare Ltd Radiotracer compositions and methods
GB201611123D0 (en) * 2016-06-27 2016-08-10 Euremab Srl Anti met antibodiesand uses thereof
IT201800000535A1 (it) 2018-01-03 2019-07-03 Procedimenti per la cura del cancr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8778A2 (en) 2003-03-03 2004-09-16 Dyax Corp. PEPTIDES THAT SPECIFICALLY BIND HGF RECEPTOR (cMet) AND USES THEREOF
WO2011048029A1 (en) 2009-10-20 2011-04-28 Ge Healthcare As Cyclic peptide synthesis
KR101853993B1 (ko) 2010-08-18 2018-05-02 지이 헬쓰케어 리미티드 펩티드 방사성추적자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6185A4 (en) 2001-12-27 2007-06-20 Van Andel Res Inst PRESENT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ND TREATMENT OF TUMORS EXPRESSING MET AND BINDING THE HEPATOCYTIC GROWTH FACTOR
KR20150017387A (ko) 2007-05-16 2015-02-16 지이 헬스케어 에이에스 영상화를 위한 표지된 hgf 결합성 펩티드
GB0718967D0 (en) * 2007-09-28 2007-11-07 Ge Healthcare Ltd Peptide imaging agents
GB0803477D0 (en) * 2008-02-26 2008-04-02 Ge Healthcare As Therapy selection method
EP2127683A1 (en) 2008-05-29 2009-12-02 Metheresis Translational Research SA Anti-Met monoclonal antibody, fragment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use in tumor imaging, corresponding compositions and kits
AU2010273319B2 (en) 2009-07-15 2015-01-22 Nestec S.A. Drug selection for gastric cancer therapy using antibody-based arrays
EP2287197A1 (en) 2009-08-21 2011-02-23 Pierre Fabre Medicament Anti-cMET antibody and its use for the detection and the diagnosis of cancer
AU2011226103C1 (en) 2010-03-10 2016-04-28 Genmab A/S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c-Met
GB201103696D0 (en) * 2011-03-04 2011-04-20 Ge Healthcare Ltd Technetium labelled peptides
GB201121914D0 (en) 2011-12-20 2012-02-01 Ge Healthcare Ltd Method for patient sel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8778A2 (en) 2003-03-03 2004-09-16 Dyax Corp. PEPTIDES THAT SPECIFICALLY BIND HGF RECEPTOR (cMet) AND USES THEREOF
US20050214859A1 (en) * 2003-03-03 2005-09-29 Dyax Corp. Peptides that specifically bind HGF receptor (cMet) and uses thereof
WO2011048029A1 (en) 2009-10-20 2011-04-28 Ge Healthcare As Cyclic peptide synthesis
KR101853993B1 (ko) 2010-08-18 2018-05-02 지이 헬쓰케어 리미티드 펩티드 방사성추적자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2742A1 (en) 2013-06-27
EP2795317B1 (en) 2018-05-30
ES2676184T3 (es) 2018-07-17
US9956303B2 (en) 2018-05-01
CN109316609B (zh) 2022-03-18
JP6186371B2 (ja) 2017-08-23
JP2015507620A (ja) 2015-03-12
CA2859572A1 (en) 2013-06-27
KR20140103276A (ko) 2014-08-26
EP2795317A1 (en) 2014-10-29
DK2795317T3 (en) 2018-07-16
US20140335022A1 (en) 2014-11-13
CN109316609A (zh) 2019-02-12
CN103998929A (zh) 2014-08-20
CA2859572C (en) 2022-08-02
GB201121914D0 (en)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7135B2 (ja) Grpr陽性ガンの検出、診断及び治療のためのgrprアンタゴニスト
KR101853993B1 (ko) 펩티드 방사성추적자 조성물
EP2680889B1 (en) Radiolabelled octreotate analogues as pet tracers
KR102233726B1 (ko)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psma)의 18f-태그된 저해제 및 전립선암에 대한 조영제로서 이의 용도
KR102061366B1 (ko) 환자 선정방법
JP2008531988A (ja) 放射性標識ガリウム錯体、その合成法並びに悪性腫瘍におけるegfr発現のpet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使用
KR20140012112A (ko) 테크네튬 표지화 펩티드
JPWO2011027738A1 (ja) 膵島イメージング用分子プローブ及びその使用
JP2015083546A (ja) 癌の原発巣・骨転移の検査・治療用放射性標識薬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