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21B1 -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121B1
KR102060121B1 KR1020180038209A KR20180038209A KR102060121B1 KR 102060121 B1 KR102060121 B1 KR 102060121B1 KR 1020180038209 A KR1020180038209 A KR 1020180038209A KR 20180038209 A KR20180038209 A KR 20180038209A KR 102060121 B1 KR102060121 B1 KR 10206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unit
optic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703A (ko
Inventor
현동원
Original Assignee
현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동원 filed Critical 현동원
Publication of KR2018011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7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or depth of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94Fibers, light pi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3Optical louvre elements, e.g. for directional light blo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02B6/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with fibre bundle in form of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 및 복수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본체와 굴절률이 다른 광학 섬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Lens for camera and camera lens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장착되는 카메라용 렌즈와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SNS에 업로드 하는 네트워킹이 증가함에 따라 카메라 렌즈가 적용된 장치의 수와 종류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니즈가 확대되어 가고 있으므로, 기능적으로 특화된 카메라 렌즈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메라 렌즈는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퍼쳐를 구비한다. 어퍼쳐는 통상적으로 렌즈의 중앙에 배치되는데, 촬영시의 간섭을 최소화 하고, 렌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어퍼쳐의 크기는 작다. 그러나, 어퍼쳐의 크기가 작으면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어두운 장소에서의 촬영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여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 화질이 개선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용 렌즈에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는 카메라용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 및 복수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본체와 굴절률이 다른 광학 섬유부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에 상기 중앙 광학부를 일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 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 섬유부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섬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섬유부의 길이 방항과 상기 렌즈 본체의 두께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는 상기 제2 섬유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렌즈 본체의 두께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제2 섬유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섬유부와 상기 제2 섬유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섬유부와 상기 제3 섬유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섬유부의 직경은 상기 제2 섬유부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제2 섬유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섬유부와 상기 제2 섬유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섬유부와 상기 제3 섬유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1 섬유부의 직경은 상기 제2 섬유부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서로 연결되어 섬유 루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렌즈 본체의 두께방향이 소정의 각을 형성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광학 섬유부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후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후면보다 상기 전면에 인접하거나, 상기 본체의 상기 전면보다 상기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외벽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유리 섬유 또는 광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의 내벽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광학부를 향하는 광은 상기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를 향하는 상기 광 중 일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의 외벽에는 광흡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렌즈, 및 상기 렌즈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이 수렴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는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 및 복수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본체와 굴절률이 다른 광학 섬유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광학부를 향하는 광은 상기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를 향하는 상기 광 중 일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키고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므로, 그 자체가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와 함께 종래의 조리개가 설치되더라도, 조리개의 개구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어 어두운 곳에서 촬영시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2의 카메라용 렌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2의 카메라용 렌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의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9a 내지 도 9g는 도 7의 카메라용 렌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2의 카메라용 렌즈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a를 참조하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0), 제2 하우징(20), 필터부(30), 이미지 센서(40) 및 카메라용 렌즈(1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은 내부에 카메라용 렌즈(100)가 배치된다. 또한, 제1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반사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카메라 본체(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30)는 카메라용 렌즈(10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카메라용 렌즈(100)를 통과한 광에 대해서 필터링을 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0)는 제2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로 들어오는 광을 통해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제1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후술 하듯이 카메라용 렌즈(100)의 광학 섬유부가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카메라용 렌즈(100)는 종래의 카메라 렌즈의 기능과 조리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a)는 카메라 렌즈부(5)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렌즈부(5)는 종래에 사용되는 카메라 렌즈 중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카메라 렌즈부(5)와 함께 배치되어, 광학 섬유부가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용 렌즈(100)는 종래의 카메라 렌즈 기능과 조리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카메라용 렌즈(100)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카메라 렌즈부(5)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와 함께 조리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조리개는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카메라용 렌즈(100)에서 정렬된 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통과하고, 다른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카메라용 렌즈(100)가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용 렌즈(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1의 카메라용 렌즈(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카메라용 렌즈(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100)는 렌즈 본체(150)와 광학 섬유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도1a와 도1b에서와 같이 통상의 광학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카메라용 렌즈(100)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은 카메라용 렌즈(100)의 두께 방향의 중심 라인(CL)의 방향과 입사되는 빛의 방향 사이 각도로 정의한다. 따라서, 입사각이 작다는 의미는 카메라용 렌즈(100)에 거의 수직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의미하고, 입사각이 크다는 의미는 카메라용 렌즈(100)의 측면에서 카메라용 렌즈(100)를 향하여 입사하는 것을 의미 한다.
렌즈 본체(150)는 전면(150a)과 후면(150b)을 가질 수 있다. 전면(150a)은 외부 광이 입사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후면(150b)은 전면(150a)에 대응하며 이미지 센서(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외부의 광은 전면(150a)으로 입사하고 렌즈 본체(150)를 이동하여 후면(150b)을 통과할 수 있다.
렌즈 본체(150)는 중앙 광학부(110),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되는 전이부(120) 및 가장자리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150)는 외부의 광이 투과되는 영역이다.
렌즈 본체(150)는 비교적 경질 재료, 비교적 연질 굴곡성의 반강성 재료, 또는 이들 경질 재료와 연질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본체(15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술폰(polysulfone, PSF), 기타 비교적 경질의 불활성 광학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150)는 실리콘 수지(silicone), 하이드로겔(hydrogel), 열불안정성 재료(thermolabile materials), 및 기타 굴곡성을 가지면서 반강성인 광학 재료일 수 있다. 렌즈 본체(150)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에 사용되는 광학 재료일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렌즈 본체(150)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전면(150a)이 두께방향인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후면(150b)이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전면(150a) 및 후면(150b)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면(150a) 및 후면(150b)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150a) 및 후면(150b)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광학부(110)는 렌즈 본체(1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전이부(120)는 중앙 광학부(110)를 둘러싸며,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이부(120)는 중앙 광학부(110)에서 가장자리부(130) 갈수록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두께는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이부(120)는 소정의 홈(Groove)이 형성되어 중앙 광학부(110)와 가장자리부(130)를 구별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외곽부분에 일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적어도 일부가 중앙 광학부(11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의 단면은 다각형이거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는 대략 다각기둥 형상이거나, 대략 원형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를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고리 형의 띠(ban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섬유부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에 인접하고 중앙 광학부(110)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섬유부(161)와, 제1 섬유부(16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부(162)와, 제2 섬유부(162)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 제2 섬유부(162) 및 제3 섬유부(163)는 각각 전면(150a)에서 후면(150b)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각각의 길이방향과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은 중앙 광학부(110)의 반경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입사각이 큰 빛이 입사하면, 상기 빛이 광학 섬유부(160)의 측벽에 의해서 반사될 수 있다. 이때, 광학 섬유부(160)는 경사를 가지는바 입사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빛을 정렬할 수 있다.
상세히, 제1 섬유부(161)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은 제1 각(α)을 형성하고, 제2 섬유부(162)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은 제2 각(β)을 형성하며, 제3 섬유부(163)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은 제3 각(γ)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각은 제2각 보다 크고, 제1 각 보다 크다. 또한, 제3 각은 제2 각보다 크다. 따라서, 광학 섬유부(160)는 중심라인(CL)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배치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2의 카메라용 렌즈(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를 보면, 광학 섬유부(160')는 길이방향의 중심이 일 영역(P)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 제2 섬유부(162') 및 제3 섬유부(163')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은 일 영역(P)에 모이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외부의 광을 일 영역으로 수렴하여 시야를 확보 할 수 있다.
다시, 도4을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되는 영역의 거리(b)는 중앙 광학부(110)의 직경(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은 대부분 중앙 광학부(110)를 통과하고, 입사각이 큰 일부의 빛만 광학 섬유부(160)에서 반사시켜 광을 정렬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입사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광의 이동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은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과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 보다 크거나,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광학 섬유부(160)로 입사하는 광을 입사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는 광 섬유 또는 유리 섬유의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2의 카메라용 렌즈(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용 렌즈(100)의 변형예들은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6a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a)는 전면(150a)에서 후면(150b)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a) 및 제2 섬유부(162a)는 전면(150a)에서 후면(150b)을 향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광학 섬유부(160a)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a)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a)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후면(150b)으로는 광학 섬유부(160)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b)는 제1 섬유부(161b)와 제2 섬유부(162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150a)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광학 섬유부(160b)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b)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b)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6c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c)는 후면(15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후면(150b)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전면(150a)으로는 광학 섬유부(160c)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c)는 제1 섬유부(161c)와 제2 섬유부(162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후면(150b)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외부 광은 전이부(120)에 입사되어 광학 섬유부(160c)를 향하여 이동한다.
광학 섬유부(160c)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광학 섬유부(160c)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c)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c)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d)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렌즈 본체(15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d)는 제1 섬유부(161d)와 제2 섬유부(162d)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d)와 제2 섬유부(162d)는 후면(150b)보다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광학 섬유부(160d)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d)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d)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e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e)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렌즈 본체(15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e)는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는 전면(150a)보다 후면(15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광학 섬유부(160e)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e)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e)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f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f)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f)는 렌즈 본체(150)의 두께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f)는 제1 섬유부(161f)와 제2 섬유부(162f)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는 전면(150a)과 후면(15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7의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200)는 렌즈 본체(250)와 광학 섬유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250)는 중앙 광학부(210), 전이부(220) 및 가장자리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2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광학 섬유부(260)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섬유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에 인접하고 중앙 광학부(210)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와, 제1 섬유부(26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부(26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부(262)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는 각각의 길이방향과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은 중앙 광학부(210)의 반경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은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40)에 밝고 선명한 상(image)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를 통과하는 광은 형성된 상(image)을 밝게 조절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는 중앙 광학부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광학 섬유부의 직경은 반경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섬유부(261)의 직경을 크게 설계 하면 이미지 센서(40)로 정렬되는 빛의 양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정렬된 빛은 초점 심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정렬된 빛을 최대한 많이 확보함으로써, 조리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용 렌즈(2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3 섬유부(263)의 직경을 작게 한다면, 같은 면적 안에 포함된 광학 섬유의 밀도를 증가시켜, 카메라용 렌즈(200)의 외측을 향하여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여, 초점심도의 향상을 방해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한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섬유부(261)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 전이부(220)에서 제1 섬유부(261)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든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이부(220)에 입사되는 광이 많아진다. 제1 섬유부(261)는 중앙 광학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중앙 광학부(210) 가까운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높이고, 중앙 광학부(210)에서 먼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하는 카메라용 렌즈(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9a 내지 도 9g는 도 7의 카메라용 렌즈(2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용 렌즈(200)의 변형예들은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a)는 전면(250a)에서 후면(250b)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a)는 제1 섬유부(261a), 제2 섬유부(262a) 및 제3 섬유부(263a)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250a)에서 후면(250b)로 연장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a)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c)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b)는 전면(25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b)는 전면(250a)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후면(250b)으로는 광학 섬유부(260b)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b)는 제1 섬유부(261b), 제2 섬유부(262b) 및 제3 섬유부(263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250a)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b)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b)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9c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c)는 후면(25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c)는 후면(250b)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전면(250a)으로는 광학 섬유부(260c)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c)는 제1 섬유부(261c), 제2 섬유부(262c) 및 제3 섬유부(263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후면(250b)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c)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c)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d)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d)는 렌즈 본체(25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d)는 제1 섬유부(261d), 제2 섬유부(262d) 및 제3 섬유부(263d)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d), 제2 섬유부(262d) 및 제3 섬유부(263d)는 후면(250b)보다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d)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d)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e)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e)는 렌즈 본체(25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e)는 제1 섬유부(261e), 제2 섬유부(262e) 및 제3 섬유부(263e)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e), 제2 섬유부(262e) 및 제3 섬유부(263e)는 전면(250a)보다 후면(25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e)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de)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f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f)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f)는 렌즈 본체(250)의 두께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f)는 제1 섬유부(261f), 제2 섬유부(262f) 및 제3 섬유부(263f)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f)와 제2 섬유부(162f)는 전면(250a)과 후면(25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g는 도 7의 카메라용 렌즈(20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용 렌즈(200)의 변형예는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260g)는 외벽(261g)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는 제1 방향으로 테이퍼진 외벽(261g)을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260g)는 전면(250a)에 형성되는 단면은 크고, 후면(250b)으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들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를 입사한 광 중 일부는 테이퍼진 외벽(261g)에 부딪칠 수 있다. 즉, 광학 섬유부(260g)에 통과하는 광 중 일부를 다시 외벽(261g)에 부딪혀서 광학 섬유부(260g)를 투과하는 광의 양을 줄 일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는 테이퍼진 외벽(261g)에 의해 광학 섬유부(260g)의 부피를 감소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입사된 빛을 재 반사하여 광을 정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300)는 렌즈 본체(350)와 광학 섬유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350)는 중앙 광학부(310), 전이부(320) 및 가장자리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3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360)는 복수개의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360)는 전이부(320)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360)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밴드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밴드를 가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360)는 중앙 광학부(3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섬유밴드(361)와, 제1 섬유밴드(36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밴드(362)와, 제2 섬유밴드(362)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3 섬유밴드(3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섬유밴드(361)와 제2 섬유밴드(362)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제2 섬유밴드(362)와 제3 섬유밴드(363)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각 섬유밴드들은 렌즈 본체(35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어느 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350)의 어느 일면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인접하게 배치되고나, 렌즈 본체(3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서술한 원 실시예의 기재를 원용하기로 한다.
카메라용 렌즈(300)는 섬유밴드들 사이의 간격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섬유 밴드들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으로 인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4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400)는 렌즈 본체(450)와 광학 섬유부(461, 462)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450)는 중앙 광학부(410), 전이부(420) 및 가장자리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461, 462)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는 복수개의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중앙 광학부(410)의 외측에는 제1 광학 섬유부(461)가 복수개의 띠를 형성하고, 전이부(420)와 가장자리부(430) 사이에는 제2 광학 섬유부(4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 섬유부(462)는 제1 광학 섬유부(461)보다 적은 개수의 띠를 형성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410)에 이미지 형성을 위한 주된 빛이 입사되므로, 제1 광학 섬유부(461)는 중앙 광학부(410)의 외측에 복수개를 띠를 형성하여, 많은 양의 빛을 정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광학 섬유부(462)는 렌즈 본체(450)의 외곽에 배치되어, 입사각도가 큰 일부의 광을 정렬한다.즉, 제1 광학 섬유부(461)와 제2 광학 섬유부(462)의 배치로 인해서, 렌즈 본체(450)으로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1 광학 섬유부(461)는 중앙 광학부(410)를 따라 복수개의 섬유 밴드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밴드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각 섬유 밴드들은 렌즈 본체(45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어느 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450)의 어느 일면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렌즈 본체(4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서술한 원 실시예의 기재를 원용하기로 한다.
카메라용 렌즈(400)는 섬유 밴드들 사이의 간격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섬유 밴드들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으로 인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500)는 렌즈 본체(550)와 광학 섬유부(5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550)는 중앙 광학부(510), 전이부(520) 및 가장자리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5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560)는 렌즈 본체(550)의 전체에 걸쳐서, 복수개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560)는 서로 연결되는 섬유 루프를 형성하고, 각 섬유 루프는 폐회로를 가진다.
광학 섬유부(560)를 통과하는 외부의 광은 정렬되므로, 섬유 루프의 내부로 들어오는 광은 렌즈 본체(550)를 통과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560)는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므로,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규칙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500)는 섬유 루프 사이의 간격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섬유 루프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으로 인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고, 섬유 루프에 의해서 외부의 광을 정렬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6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600)는 렌즈 본체(650)와 광학 섬유부(6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650)는 중앙 광학부(610), 전이부(620) 및 가장자리부(6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6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660)는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섬유 밴드를 형성하고, 각 섬유 밴드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3에서 광학 섬유부(660)는 제1 섬유 밴드(661), 제2 섬유 밴드(662) 및 제3 섬유 밴드(663)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섬유 밴드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660)의 각 섬유 밴드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갈수로 작을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661)의 직경은 제2 섬유 밴드(662)의 직경보다 크고, 제2 섬유 밴드(662)의 직경은 제3 섬유 밴드(6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섬유 밴드의 직경이 크면 광학 섬유로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더 많은 양의 광을 정렬할 수 있다. 직경이 가장 큰 제1 섬유 밴드(661)는 중앙 광학부(610)에 배치되므로, 중앙으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할 수 있다. 중앙부분에 정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초점 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660)의 섬유 밴드 사이의 간격은 반경방향으로 줄어들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661)와 제2 섬유 밴드(662) 사이의 거리(d1)는 제2 섬유 밴드(662)와 제3 섬유 밴드(663) 사이의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앙 광학부(610)에 배치되는 제1 섬유 밴드(661)와 제2 섬유 밴드(662) 사이의 거리(d1)가 크므로, 중앙으로 통과하는 입사각도가 작은 광은 d1으로 통과되므로, 밝은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7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700)는 렌즈 본체(750)와 광학 섬유부(7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750)는 중앙 광학부(710), 전이부(720) 및 가장자리부(7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7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760)는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섬유 밴드를 형성하고, 각 섬유 밴드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4에서 광학 섬유부(760)는 제1 섬유 밴드(761), 제2 섬유 밴드(762) 및 제3 섬유 밴드(763)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섬유 밴드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760)의 각 섬유 밴드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갈수로 클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761)의 직경은 제2 섬유 밴드(762)의 직경보다 작고, 제2 섬유 밴드(762)의 직경은 제3 섬유 밴드(76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섬유 밴드의 직경이 크면 광학 섬유로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더 많은 양의 광을 정렬할 수 있다. 직경이 가장 큰 제3 섬유 밴드(763)는 중앙 광학부(710)에 최외곽에 배치되므로, 입사각도가 큰 광을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760)의 섬유 밴드 사이의 간격은 반경방향으로 클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761)와 제2 섬유 밴드(762) 사이의 거리(d3)는 제2 섬유 밴드(762)와 제3 섬유 밴드(763) 사이의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앙 광학부(710)에 배치되는 제1 섬유 밴드(761)와 제2 섬유 밴드(762) 사이의 거리(d3)가 작으므로, 제1 섬유 밴드(761)와 제2 섬유 밴드(76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효과적으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8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800)는 렌즈 본체(850)와 광학 섬유부(8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850)는 중앙 광학부(810), 전이부(820) 및 가장자리부(8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8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860)는 중앙 광학부(810)와 전이부(820)의 전체에 걸쳐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860)가 렌즈 본체(850)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렌즈 전면(850)에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할 수 있다. 만약, 다양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외부 광원이 배치된다면, 렌즈 본체(850)에는 입사각도가 작은 광과, 입사각도가 큰 광이 혼재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렌즈 본체(850)의 전체에 걸쳐서 입사되는 모든 광을 정렬할 필요가 있다. 광학 섬유부(860)는 중앙 광학부(810)와 전이부(820)의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므로, 렌즈 전면에 걸쳐서 입사각도가 큰 광이 혼재하여 입사되더라도, 입사각도가 큰 광을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16은 도2의 카메라용 렌즈(100)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100)에 의해서 이미지가 명확하게 생성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통상적인 카메라 렌즈는 광량을 확보하기 위한 조리개(aperture)를 구비한다. 조리개의 개구는 중앙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개의 개구는 렌즈의 중앙에 작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100)는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여 선명한 상을 형성할 수 있다.
D1은 원거리에서 광이 입사되는 것을 나타내며, D2와 D3는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을 나타낸다. D2는 광학 섬유부(160)를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벼, D3은 입사되는 각이 커서 광학 섬유부(160)의 측벽에 반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D1과 같이 멀리서 입사되는 광은 중앙 광학부(110) 또는 광학 섬유부(160)에 수직으로 들어와서 통과한다. 즉, 멀리서 들어오는 광은 대부분 카메라용 렌즈(100)를 통과할 수 있다.
D2와 같이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각이 작은 광이 입사되면, 즉 카메라용 렌즈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입사되면 광은 광학 섬유부(160)를 통과할 수 있다. 입사각이 작은 광은 중앙 광학부(110) 및 광학 섬유부(160)를 모두 통과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D3와 같이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각이 큰 광이 입사되면, 광은 광학 섬유부(160)에 반사될 수 있다. 즉, 카메라용 렌즈(100)는 근거리에서 입사각이 큰 경우, 중앙 광학부(110)를 향하는 빛은 통과하나, 광학 섬유부(160)를 향하는 빛은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와 달라 반사한다.
특히, 빛은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은 전이부(120)와 상이하므로, 입사각이 큰 빛은 전이부(120)를 통과하고,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서 반사된다.
또,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 광흡수 도료 등을 도포할 수 있다. 입사각이 큰 빛은 전이부(120)를 통과하거나,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도료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입사하는 빛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바 광학 섬유부(160)에서 광을 정렬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광학 섬유부(160)는 핀홀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여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중앙 광학부(110)에 입사되는 광은 투과하나, 광학 섬유부(160)에 입사되는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광학 섬유부가 빛을 정렬하고, 빛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 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므로, 그 자체가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리개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렌즈의 움직임이 필요 없거나 적어지므로 카메라 모듈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초점(focus)을 맞추기 위해서 조절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와 함께 조리개가 설치되더라도, 조리개의 개구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어두운 곳에서 촬영시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0), 제2 하우징(20), 필터부(30), 이미지 센서(40) 및 카메라용 렌즈(1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은 내부에 카메라용 렌즈(100)가 배치된다. 또한, 제1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반사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카메라 본체(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30)는 카메라용 렌즈(10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카메라용 렌즈(100)를 통과한 광에 대해서 필터링을 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0)는 제2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로 들어오는 광을 통해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제1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후술 하듯이 카메라용 렌즈(100)의 광학 섬유부가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카메라용 렌즈(100)는 종래의 카메라 렌즈의 기능과 조리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a)는 카메라 렌즈부(5)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렌즈부(5)는 종래에 사용되는 카메라 렌즈 중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카메라 렌즈부(5)와 함께 배치되어, 광학 섬유부가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용 렌즈(100)는 종래의 카메라 렌즈 기능과 조리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카메라용 렌즈(100)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카메라 렌즈부(5)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와 함께 조리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조리개는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카메라용 렌즈(100)에서 정렬된 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통과하고, 다른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카메라용 렌즈(100)가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용 렌즈(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a의 카메라용 렌즈(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카메라용 렌즈(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100)는 렌즈 본체(150)와 광학 섬유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도 1a와 도 1b에서와 같이 통상의 광학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카메라용 렌즈(100)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은 카메라용 렌즈(100)의 두께 방향의 중심 라인(CL)의 방향과 입사되는 빛의 방향 사이 각도로 정의한다. 따라서, 입사각이 작다는 의미는 카메라용 렌즈(100)에 거의 수직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의미하고, 입사각이 크다는 의미는 카메라용 렌즈(100)의 측면에서 카메라용 렌즈(100)를 향하여 입사하는 것을 의미 한다.
렌즈 본체(150)는 전면(150a)과 후면(150b)을 가질 수 있다. 전면(150a)은 외부 광이 입사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후면(150b)은 전면(150a)에 대응하며 이미지 센서(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외부의 광은 전면(150a)으로 입사하고 렌즈 본체(150)를 이동하여 후면(150b)을 통과할 수 있다.
렌즈 본체(150)는 중앙 광학부(110),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되는 전이부(120) 및 가장자리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150)는 외부의 광이 투과되는 영역이다.
렌즈 본체(150)는 비교적 경질 재료, 비교적 연질 굴곡성의 반강성 재료, 또는 이들 경질 재료와 연질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본체(15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술폰(polysulfone, PSF), 기타 비교적 경질의 불활성 광학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150)는 실리콘 수지(silicone), 하이드로겔(hydrogel), 열불안정성 재료(thermolabile materials), 및 기타 굴곡성을 가지면서 반강성인 광학 재료일 수 있다. 렌즈 본체(150)는 종래의 카메라 렌즈에 사용되는 광학 재료일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렌즈 본체(150)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전면(150a)이 두께방향인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후면(150b)이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전면(150a) 및 후면(150b)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면(150a) 및 후면(150b)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150a) 및 후면(150b)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광학부(110)는 렌즈 본체(1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전이부(120)는 중앙 광학부(110)를 둘러싸며,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이부(120)는 중앙 광학부(110)에서 가장자리부(130) 갈수록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두께는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이부(120)는 소정의 홈(Groove)이 형성되어 중앙 광학부(110)와 가장자리부(130)를 구별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외곽부분에 일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적어도 일부가 중앙 광학부(11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의 단면은 다각형이거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는 대략 다각기둥 형상이거나, 대략 원형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를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고리 형의 띠(ban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섬유부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에 인접하고 중앙 광학부(110)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섬유부(161)와, 제1 섬유부(16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부(162)와, 제2 섬유부(162)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 제2 섬유부(162) 및 제3 섬유부(163)는 각각 전면(150a)에서 후면(150b)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각각의 길이방향과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은 중앙 광학부(110)의 반경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입사각이 큰 빛이 입사하면, 상기 빛이 광학 섬유부(160)의 측벽에 의해서 반사될 수 있다. 이때, 광학 섬유부(160)는 경사를 가지는바 입사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빛을 정렬할 수 있다.
상세히, 제1 섬유부(161)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은 제1 각(α)을 형성하고, 제2 섬유부(162)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은 제2 각(β)을 형성하며, 제3 섬유부(163)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은 제3 각(γ)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각은 제2각 보다 크고, 제1 각 보다 크다. 또한, 제3 각은 제2 각보다 크다. 따라서, 광학 섬유부(160)는 중심라인(CL)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배치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2의 카메라용 렌즈(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를 보면, 광학 섬유부(160')는 길이방향의 중심이 일 영역(P)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 제2 섬유부(162') 및 제3 섬유부(163')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은 일 영역(P)에 모이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외부의 광을 일 영역으로 수렴하여 시야를 확보 할 수 있다.
다시, 도4을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되는 영역의 거리(b)는 중앙 광학부(110)의 직경(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은 대부분 중앙 광학부(110)를 통과하고, 입사각이 큰 일부의 빛만 광학 섬유부(160)에서 반사시켜 광을 정렬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입사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광의 이동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은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과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 보다 크거나,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광학 섬유부(160)로 입사하는 광을 입사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는 광 섬유 또는 유리 섬유의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2의 카메라용 렌즈(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용 렌즈(100)의 변형예들은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6a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a)는 전면(150a)에서 후면(150b)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a) 및 제2 섬유부(162a)는 전면(150a)에서 후면(150b)을 향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광학 섬유부(160a)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a)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a)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후면(150b)으로는 광학 섬유부(160)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b)는 제1 섬유부(161b)와 제2 섬유부(162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150a)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광학 섬유부(160b)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b)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b)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6c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c)는 후면(15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후면(150b)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전면(150a)으로는 광학 섬유부(160c)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c)는 제1 섬유부(161c)와 제2 섬유부(162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후면(150b)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외부 광은 전이부(120)에 입사되어 광학 섬유부(160c)를 향하여 이동한다.
광학 섬유부(160c)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광학 섬유부(160c)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c)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c)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d)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렌즈 본체(15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d)는 제1 섬유부(161d)와 제2 섬유부(162d)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d)와 제2 섬유부(162d)는 후면(150b)보다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광학 섬유부(160d)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d)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d)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e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e)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렌즈 본체(15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e)는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는 전면(150a)보다 후면(15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광학 섬유부(160e)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e)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e)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카메라용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미지 센서(40)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f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f)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f)는 렌즈 본체(150)의 두께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f)는 제1 섬유부(161f)와 제2 섬유부(162f)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는 전면(150a)과 후면(15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7의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200)는 렌즈 본체(250)와 광학 섬유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250)는 중앙 광학부(210), 전이부(220) 및 가장자리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2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광학 섬유부(260)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섬유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에 인접하고 중앙 광학부(210)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와, 제1 섬유부(26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부(26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부(262)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는 각각의 길이방향과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은 중앙 광학부(210)의 반경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은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40)에 밝고 선명한 상(image)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를 통과하는 광은 형성된 상(image)을 밝게 조절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는 중앙 광학부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광학 섬유부의 직경은 반경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섬유부(261)의 직경을 크게 설계 하면 이미지 센서(40)로 정렬되는 빛의 양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정렬된 빛은 초점 심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정렬된 빛을 최대한 많이 확보함으로써, 조리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용 렌즈(2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3 섬유부(263)의 직경을 작게 한다면, 같은 면적 안에 포함된 광학 섬유의 밀도를 증가시켜, 카메라용 렌즈(200)의 외측을 향하여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여, 초점심도의 향상을 방해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한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섬유부(261)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 전이부(220)에서 제1 섬유부(261)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든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이부(220)에 입사되는 광이 많아진다. 제1 섬유부(261)는 중앙 광학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중앙 광학부(210) 가까운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높이고, 중앙 광학부(210)에서 먼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의 기능을 구현하는 카메라용 렌즈(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9a 내지 도 9g는 도 7의 카메라용 렌즈(2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용 렌즈(200)의 변형예들은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a)는 전면(250a)에서 후면(250b)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a)는 제1 섬유부(261a), 제2 섬유부(262a) 및 제3 섬유부(263a)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250a)에서 후면(250b)로 연장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a)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c)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b)는 전면(25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b)는 전면(250a)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후면(250b)으로는 광학 섬유부(260b)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b)는 제1 섬유부(261b), 제2 섬유부(262b) 및 제3 섬유부(263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250a)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b)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b)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9c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c)는 후면(25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c)는 후면(250b)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전면(250a)으로는 광학 섬유부(260c)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c)는 제1 섬유부(261c), 제2 섬유부(262c) 및 제3 섬유부(263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후면(250b)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c)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c)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d)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d)는 렌즈 본체(25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d)는 제1 섬유부(261d), 제2 섬유부(262d) 및 제3 섬유부(263d)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d), 제2 섬유부(262d) 및 제3 섬유부(263d)는 후면(250b)보다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d)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d)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e)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e)는 렌즈 본체(25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e)는 제1 섬유부(261e), 제2 섬유부(262e) 및 제3 섬유부(263e)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e), 제2 섬유부(262e) 및 제3 섬유부(263e)는 전면(250a)보다 후면(25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e)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de)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f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f)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f)는 렌즈 본체(250)의 두께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f)는 제1 섬유부(261f), 제2 섬유부(262f) 및 제3 섬유부(263f)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f)와 제2 섬유부(162f)는 전면(250a)과 후면(25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g는 도 7의 카메라용 렌즈(20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용 렌즈(200)의 변형예는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260g)는 외벽(261g)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는 제1 방향으로 테이퍼진 외벽(261g)을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260g)는 전면(250a)에 형성되는 단면은 크고, 후면(250b)으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들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를 입사한 광 중 일부는 테이퍼진 외벽(261g)에 부딪칠 수 있다. 즉, 광학 섬유부(260g)에 통과하는 광 중 일부를 다시 외벽(261g)에 부딪혀서 광학 섬유부(260g)를 투과하는 광의 양을 줄 일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는 테이퍼진 외벽(261g)에 의해 광학 섬유부(260g)의 부피를 감소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입사된 빛을 재 반사하여 광을 정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300)는 렌즈 본체(350)와 광학 섬유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350)는 중앙 광학부(310), 전이부(320) 및 가장자리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3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360)는 복수개의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360)는 전이부(320)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360)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밴드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밴드를 가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360)는 중앙 광학부(3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섬유밴드(361)와, 제1 섬유밴드(36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밴드(362)와, 제2 섬유밴드(362)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3 섬유밴드(3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섬유밴드(361)와 제2 섬유밴드(362)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제2 섬유밴드(362)와 제3 섬유밴드(363)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각 섬유밴드들은 렌즈 본체(35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어느 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350)의 어느 일면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인접하게 배치되고나, 렌즈 본체(3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서술한 원 실시예의 기재를 원용하기로 한다.
카메라용 렌즈(300)는 섬유밴드들 사이의 간격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섬유 밴드들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으로 인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4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400)는 렌즈 본체(450)와 광학 섬유부(461, 462)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450)는 중앙 광학부(410), 전이부(420) 및 가장자리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461, 462)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는 복수개의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중앙 광학부(410)의 외측에는 제1 광학 섬유부(461)이 복수개의 띠를 형성하고, 전이부(420)와 가장자리부(430) 사이에는 제2 광학 섬유부(4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 섬유부(462)는 제1 광학 섬유부(461)보다 적은 개수의 띠를 형성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410)에 이미지 형성을 위한 주된 빛이 입사되므로, 제1 광학 섬유부(461)는 중앙 광학부(410)의 외측에 복수개를 띠를 형성하여, 많은 양의 빛을 정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광학 섬유부(462)는 렌즈 본체(450)의 외곽에 배치되어, 입사각도가 큰 일부의 광을 정렬한다.즉, 제1 광학 섬유부(461)와 제2 광학 섬유부(462)의 배치로 인해서, 렌즈 본체(450)으로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1 광학 섬유부(461)는 중앙 광학부(410)를 따라 복수개의 섬유 밴드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밴드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각 섬유 밴드들은 렌즈 본체(45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어느 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450)의 어느 일면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렌즈 본체(4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서술한 원 실시예의 기재를 원용하기로 한다.
카메라용 렌즈(400)는 섬유 밴드들 사이의 간격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섬유 밴드들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으로 인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500)는 렌즈 본체(550)와 광학 섬유부(5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550)는 중앙 광학부(510), 전이부(520) 및 가장자리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5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560)는 렌즈 본체(550)의 전체에 걸쳐서, 복수개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560)는 서로 연결되는 섬유 루프를 형성하고, 각 섬유 루프는 폐회로를 가진다.
광학 섬유부(560)를 통과하는 외부의 광은 정렬되므로, 섬유 루프의 내부로 들어오는 광은 렌즈 본체(550)를 통과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560)는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므로,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규칙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500)는 섬유 루프 사이의 간격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섬유 루프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으로 인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고, 섬유 루프에 의해서 외부의 광을 정렬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6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600)는 렌즈 본체(650)와 광학 섬유부(6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650)는 중앙 광학부(610), 전이부(620) 및 가장자리부(6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6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660)는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섬유 밴드를 형성하고, 각 섬유 밴드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3에서 광학 섬유부(660)는 제1 섬유 밴드(661), 제2 섬유 밴드(662) 및 제3 섬유 밴드(663)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섬유 밴드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660)의 각 섬유 밴드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갈수로 작을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661)의 직경은 제2 섬유 밴드(662)의 직경보다 크고, 제2 섬유 밴드(662)의 직경은 제3 섬유 밴드(6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섬유 밴드의 직경이 크면 광학 섬유로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더 많은 양의 광을 정렬할 수 있다. 직경이 가장 큰 제1 섬유 밴드(661)는 중앙 광학부(610)에 배치되므로, 중앙으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할 수 있다. 중앙부분에 정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초점 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660)의 섬유 밴드 사이의 간격은 반경방향으로 줄어들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661)와 제2 섬유 밴드(662) 사이의 거리(d1)은 제2 섬유 밴드(662)와 제3 섬유 밴드(663) 사이의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앙 광학부(610)에 배치되는 제1 섬유 밴드(661)와 제2 섬유 밴드(662) 사이의 거리(d1)가 크므로, 중앙으로 통과하는 입사각도가 작은 광은 d1으로 통과되므로, 밝은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7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700)는 렌즈 본체(750)와 광학 섬유부(7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750)는 중앙 광학부(710), 전이부(720) 및 가장자리부(7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7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760)는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섬유 밴드를 형성하고, 각 섬유 밴드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4에서 광학 섬유부(760)는 제1 섬유 밴드(761), 제2 섬유 밴드(762) 및 제3 섬유 밴드(763)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섬유 밴드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760)의 각 섬유 밴드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갈수로 클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761)의 직경은 제2 섬유 밴드(762)의 직경보다 작고, 제2 섬유 밴드(762)의 직경은 제3 섬유 밴드(76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섬유 밴드의 직경이 크면 광학 섬유로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더 많은 양의 광을 정렬할 수 있다. 직경이 가장 큰 제3 섬유 밴드(763)는 중앙 광학부(710)에 최외곽에 배치되므로, 입사각도가 큰 광을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760)의 섬유 밴드 사이의 간격은 반경방향으로 클 수 있다. 즉, 제1 섬유 밴드(761)와 제2 섬유 밴드(762) 사이의 거리(d3)은 제2 섬유 밴드(762)와 제3 섬유 밴드(763) 사이의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앙 광학부(710)에 배치되는 제1 섬유 밴드(761)와 제2 섬유 밴드(762) 사이의 거리(d3)가 작으므로, 제1 섬유 밴드(761)와 제2 섬유 밴드(76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효과적으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8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800)는 렌즈 본체(850)와 광학 섬유부(8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850)는 중앙 광학부(810), 전이부(820) 및 가장자리부(8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8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860)는 중앙 광학부(810)와 전이부(820)의 전체에 걸쳐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860)가 렌즈 본체(850)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렌즈 전면(850)에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할 수 있다. 만약, 다양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외부 광원이 배치된다면, 렌즈 본체(850)에는 입사각도가 작은 광과, 입사각도가 큰 광이 혼재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렌즈 본체(850)의 전체에 걸쳐서 입사되는 모든 광을 정렬할 필요가 있다. 광학 섬유부(860)는 중앙 광학부(810)와 전이부(820)의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므로, 렌즈 전면에 걸쳐서 입사각도가 큰 광이 혼재하여 입사되더라도, 입사각도가 큰 광을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16은 도2의 카메라용 렌즈(100)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렌즈(100)에 의해서 이미지가 명확하게 생성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통상적인 카메라 렌즈는 광량을 확보하기 위한 조리개(aperture)를 구비한다. 조리개의 개구는 중앙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개의 개구는 렌즈의 중앙에 작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100)는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여 선명한 상을 형성할 수 있다.
D1은 원거리에서 광이 입사되는 것을 나타내며, D2와 D3는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을 나타낸다. D2는 광학 섬유부(160)를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벼, D3은 입사되는 각이 커서 광학 섬유부(160)의 측벽에 반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D1과 같이 멀리서 입사되는 광은 중앙 광학부(110) 또는 광학 섬유부(160)에 수직으로 들어와서 통과한다. 즉, 멀리서 들어오는 광은 대부분 카메라용 렌즈(100)를 통과할 수 있다.
D2와 같이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각이 작은 광이 입사되면, 즉 카메라용 렌즈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입사되면 광은 광학 섬유부(160)를 통과할 수 있다. 입사각이 작은 광은 중앙 광학부(110) 및 광학 섬유부(160)를 모두 통과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D3와 같이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각이 큰 광이 입사되면, 광은 광학 섬유부(160)에 반사될 수 있다. 즉, 카메라용 렌즈(100)는 근거리에서 입사각이 큰 경우, 중앙 광학부(110)를 향하는 빛은 통과하나, 광학 섬유부(160)를 향하는 빛은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와 달라 반사한다.
특히, 빛은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은 전이부(120)와 상이하므로, 입사각이 큰 빛은 전이부(120)를 통과하고,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서 반사된다.
또,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 광흡수 도료 등을 도포할 수 있다. 입사각이 큰 빛은 전이부(120)를 통과하거나,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도료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입사하는 빛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바 광학 섬유부(160)에서 광을 정렬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광학 섬유부(160)는 핀홀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여 이미지 센서(40)에 상이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용 렌즈(100)는 중앙 광학부(110)에 입사되는 광은 투과하나, 광학 섬유부(160)에 입사되는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광학 섬유부가 빛을 정렬하고, 빛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 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는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므로, 그 자체가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리개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렌즈의 움직임이 필요 없거나 적어지므로 카메라 모듈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초점(focus)를 맞추기 위해서 조절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와 함께 조리개가 설치되더라도, 조리개의 개구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어두운 곳에서 촬영시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

  1.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 및
    복수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본체와 굴절률이 다른 광학 섬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광학부를 향하는 광은 상기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를 향하는 상기 광 중 일부만 상기 광학 섬유부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에 생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며,
    상기 광학 섬유부는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섬유 밴드를 형성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을 일주하는 제1 섬유 밴드;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 섬유 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 섬유 밴드를 일주하는 제2 섬유 밴드; 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 섬유 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섬유 밴드를 일주하는 제3 섬유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 밴드와 상기 제2 섬유 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섬유 밴드와 상기 제3 섬유 밴드 사이의 거리 보다 길고,
    상기 제1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2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제2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3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 보다 큰, 카메라용 렌즈.
  2.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 및
    복수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본체와 굴절률이 다른 광학 섬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광학부를 향하는 광은 상기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를 향하는 상기 광 중 일부만 상기 광학 섬유부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에 생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며,
    상기 광학 섬유부는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섬유 밴드를 형성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을 일주하는 제1 섬유 밴드;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 섬유 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 섬유 밴드를 일주하는 제2 섬유 밴드; 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 섬유 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섬유 밴드를 일주하는 제3 섬유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 밴드와 상기 제2 섬유 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섬유 밴드와 상기 제3 섬유 밴드 사이의 거리 보다 짧고,
    상기 제1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2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3 섬유 밴드를 형성하는 하나의 광학 섬유부의 단면적 보다 작은, 카메라용 렌즈.
  3. 삭제
  4. 삭제
KR1020180038209A 2017-03-31 2018-04-02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60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935 2017-03-31
KR20170041935 201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703A KR20180111703A (ko) 2018-10-11
KR102060121B1 true KR102060121B1 (ko) 2019-12-27

Family

ID=6367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209A KR102060121B1 (ko) 2017-03-31 2018-04-02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29073A1 (ko)
KR (1) KR102060121B1 (ko)
WO (1) WO201818238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3953A1 (en) 2005-04-14 2013-02-28 Acufocus, Inc. Ophthalmic devices having a degradation resistant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380A (en) * 1980-05-21 1982-05-25 Xerox Corporation Gradient index lens array having reduction properties
JPS62287215A (ja) * 1986-06-06 1987-12-1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照明光学系装置
US4674011A (en) * 1986-09-10 1987-06-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Alignment reference device
US6717749B2 (en) * 2001-11-01 2004-04-06 Pentax Corporation Cemented lens group
US20030231850A1 (en) * 2002-03-18 2003-12-18 Filhaber John F. Optical fiber array
CN100489587C (zh) * 2005-01-28 2009-05-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变折射率透镜模组
JP2007199175A (ja) * 2006-01-24 2007-08-09 Fujifilm Corp レンズ及びレンズの製造方法
ES2970433T3 (es) * 2009-08-13 2024-05-28 Acufocus Inc Método de fabricación de implantes intraoculares con máscara y lentes
KR101069110B1 (ko) * 2009-12-04 2011-09-30 손준홍 조절성 인공 수정체
KR20120128985A (ko) * 2011-05-18 2012-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굴절률 변화 렌즈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US10368978B2 (en) * 2015-08-13 2019-08-06 Dong Won HYUN Adjustable intraocular le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3953A1 (en) 2005-04-14 2013-02-28 Acufocus, Inc. Ophthalmic devices having a degradation resistant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380A1 (ko) 2018-10-04
US20190129073A1 (en) 2019-05-02
KR20180111703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5810B2 (en) Optical element, imaging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KR200492211Y1 (ko) 근적외선 이미징 렌즈
US8780461B2 (en) Optical lens and lens unit using the same
JP2020024392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5881924B1 (ja) カプセル型内視鏡
KR20050095406A (ko) 입사파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파를 억제하는 카메라 렌즈장치
TWI740172B (zh) 擋環及採用該擋環的鏡頭
TW201520588A (zh) 取像鏡頭及行動裝置
KR102060121B1 (ko)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8964111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8498068B2 (en) Lens module
TWI412869B (zh) 投影型顯示裝置
US20120033421A1 (en)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KR102041688B1 (ko) 렌즈
TWI420230B (zh) 間隔環及使用該間隔環的鏡頭模組
TWI741315B (zh) 墊圈及採用該墊圈的鏡頭
CN212540767U (zh) 非球面聚焦透镜及透镜组
TWI448760B (zh) 鏡頭模組
US20130063553A1 (en) Panoramic Optic Clear Enclosure
CN107817592B (zh) 一种外接镜头
JP202102189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CN212540847U (zh) 物镜组、镜头及连续变焦系统
KR20150041470A (ko) 피코 프로젝터 및 이에 적용되는 광학 렌즈
JPH05142485A (ja) 内視鏡照明光学系
CN212933025U (zh) 遮光元件和光学成像镜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