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19B1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9819B1 KR102059819B1 KR1020170158297A KR20170158297A KR102059819B1 KR 102059819 B1 KR102059819 B1 KR 102059819B1 KR 1020170158297 A KR1020170158297 A KR 1020170158297A KR 20170158297 A KR20170158297 A KR 20170158297A KR 102059819 B1 KR102059819 B1 KR 102059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 oscillation
- actuator
- signals
- oscillation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0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self-induction of one or more coi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differentially influencing two coils
- G01D5/2291—Linear or rotary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 (LVDTs/RVDTs) having a single primary coil and two secondary coil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1—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hielding from electromagnetic fields, i.e. structural association with shiel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1—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hielding from electromagnetic fields, i.e. structural association with shields
- H02K11/014—Shield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141—Shield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25—Detecting co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는 피검출부의 이동에 따라 주파수가 변동되는 발진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를 포함하는 발진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 각각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하는 주파수 하향부, 및 상기 주파수 하향부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발진 신호에 따라 상기 피검출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은 고정된 초점에 의해 사물을 촬영하는 단초점 방식의 카메라 모듈을 채용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기술 개발에 따라 자동초점(AF: Autofocus) 조정이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에 따른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손떨림 보정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위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홀 센서를 채용함 없이, 마그네트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는 피검출부의 이동에 따라 주파수가 변동되는 발진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를 포함하는 발진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 각각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하는 주파수 하향부, 및 상기 주파수 하향부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발진 신호에 따라 상기 피검출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는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홀 센서를 채용하지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간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산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하향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산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하향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로,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 유닛(110), 액츄에이터(120), 및 렌즈 모듈(13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볼 베어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자동초점조절 기능과 손떨림보정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이 자동초점조절 기능과 손떨림보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렌즈 모듈(130)은 하우징 유닛(110)의 내부에서 광축 방향(Z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X축 및 Y축 방향) 각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 유닛(110)은 하우징(111)과 쉴드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성형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1)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1)의 제1 측면에는 제1 액츄에이터(121)의 일부가 장착되고, 하우징(111)의 제2 내지 제4 측면에는 제2 액츄에이터(122)의 일부가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내부에 렌즈 모듈(1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렌즈 모듈(130)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11)은 6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1)의 저면은 이미지 센서를 위한 홀이 형성되고, 하우징(111)의 상면은 렌즈 모듈(130)의 장착을 위한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의 제1 측면은 제1 액츄에이터(121)의 제1 구동 코일(121a)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우징(111)의 제2 및 제3 측면은 제2 액츄에이터(122)의 제2 구동 코일(12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제4 측면은 제2 액츄에이터(122)의 복수의 센싱 코일(122d)이 삽입될 수 잇도록 개방될 수 있다.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일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4개 측면만을 덮도록 구성되거나,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쉴드 케이스(112)는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고,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쳐 통신 장애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쉴드 케이스(112)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하우징(111)의 하부에 장착되는 기판의 접지패드에 접지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쉴드 케이스(112)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쉴드 케이스(112)의 내부면에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거나, 전도성 필름 또는 전도성 테이프가 쉴드 케이스(112)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이 때, 전도성 도료로는 전도성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츄에이터(120)는 렌즈 모듈(13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액츄에이터(121), 및 렌즈 모듈(130)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액츄에이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하우징(111) 및 렌즈 모듈(130)의 제1 프레임(131)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액츄에이터(121)의 일부는 하우징(111)의 제1 측면에 장착되고, 제1 액츄에이터(121)의 나머지 부분은 제1 프레임(131)의 제1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렌즈 모듈(13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액츄에이터(121)는 제1 구동 코일(121a), 제1 마그네트(121b), 제1 기판(121c), 적어도 하나의 AF 센싱 코일(12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코일(121a) 및 AF 센싱 코일(121d)은 제1 기판(121c)에 형성된다. 제1 기판(121c)은 하우징(111)의 제1 측면에 장착되고, 제1 마그네트(121b)는 제1 기판(121c)과 마주하는 제1 프레임(131)의 제1 측면(131c)에 장착된다.
제1 기판(121c)에는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구동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1 마그네트(121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 IC(Driver IC: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제1 구동 코일(121a)에 제공되는 경우, 제1 구동 코일(121a)에서 자속이 발생하고, 제1 구동 코일(121a)에서 발생되는 자속은 제1 마그네트(121b)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게 되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하우징(111)에 대하여 제1 프레임(131) 및 렌즈 배럴(134)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제1 프레임(131)의 이동에 의해 제1 프레임(131)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AF 센싱 코일(121d)에 의해 제1 마그네트(121b)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제1 프레임(131) 및 렌즈 배럴(134)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F 센싱 코일(121d)은 제1 구동 코일(121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AF 센싱 코일(121d)의 인덕턴스는 제1 마그네트(121b)의 변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21b)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AF 센싱 코일(121d)에 영향을 미치는 마그네트(121b)의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AF 센싱 코일(121d)의 인덕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적어도 하나의 AF 센싱 코일(121d)의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134) 및 제1 프레임(131)의 변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액츄에이터(121)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와 AF 센싱 코일(121d)은 소정의 발진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AF 센싱 코일(121d)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하나의 커패시터와 하나의 AF 센싱 코일(121d)은 소정의 LC 발진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와 상기 AF 센싱 코일(121d)은 널리 알려진 콜피츠 발진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발진 회로에서 생성되는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134)의 변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진 회로를 형성하는 AF 센싱 코일(121d)의 인덕턴스가 변경되는 경우, 발진 회로에서 생성되는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므로 주파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렌즈 배럴(134)의 변위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122)는 하우징(111) 및 렌즈 모듈(130)의 제3 프레임(133)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액츄에이터(122)의 일 부분은 하우징(111)의 제2 측면 내지 제4 측면에 장착되고, 제2 액츄에이터(122)의 나머지 부분은 제3 프레임(133)의 제2 측면 내지 제4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2 액츄에이터(122)는 하우징(111) 및 제3 프레임(133)의 제2 내지 제4 측면의 일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제2 내지 제4 측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2 액츄에이터(122)는 렌즈 모듈(130)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액츄에이터(122)는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 복수의 제2 마그네트(122b), 제2 기판(122c), 복수의 OIS 센싱 코일(122d), 및 피검출부(122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 및 복수의 OIS 센싱 코일(122d)은 제2 기판(122c)에 형성된다. 일 예로,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은 2개 구비되어, 2개의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은 제2 기판(122c)의 제2 및 제3 측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OIS 센싱 코일(122d)은 2개 마련되어, 2개의 OIS 센싱 코일(122d)은 제2 기판(122c)의 제4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OIS 센싱 코일(122d)은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렌즈 배럴(134)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제2 기판(122c)은 대체로 사격형 중 적어도 하나의 변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우징(111)의 제2 측면 내지 제4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제2 마그네트(122b)는 제2 기판(122c)의 제2 구동 코일(122a)과 마주하도록 제3 프레임(133)의 제2 및 제3 측면에 각각 장착되고, 피검출부(122e)는 제2 기판(122c)의 OIS 센싱 코일(122d)과 마주하도록 제3 프레임(133)의 제4 측면에 장착된다.
제2 기판(122c)에는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2 구동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는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2 마그네트(122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는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 IC(Driver IC: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 장치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제2 구동 코일(122a)에 제공되는 경우, 제2 구동 코일(122a)에서 자속이 발생하고, 제2 구동 코일(122a)에서 발생되는 자속은 제2 마그네트(122b)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한다. 제2 구동 장치는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과 복수의 제2 마그네트(122b) 사이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제1 프레임(131)에 대한 제2 프레임(132) 또는 제3 프레임(133)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제2 프레임(132) 또는 제3 프레임(133)의 이동에 의해 제2 프레임(132) 또는 제3 프레임(133)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122)는 복수의 OIS 센싱 코일(122d)에 의해 피검출부(122e)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제2 프레임(132) 및 제3 프레임(133)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 배럴(134)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피검출부(122e)는 자성체 및 도체, 요크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122)는 복수의 OIS 센싱 코일(122d)의 인덕턴스 변화로부터 피검출부(122e)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제2 프레임(132) 또는 제3 프레임(133)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렌즈 모듈(130)은 하우징 유닛(1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렌즈 모듈(130)은 하우징(111)과 쉴드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에 적어도 3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다. 렌즈 모듈(130)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 모듈(130)은 제1 프레임(131), 제2 프레임(132), 및 제3 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31)은 하우징(11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31)은 전술된 제1 액츄에이터(121)에 의해 하우징(111)의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1)에는 복수의 안내 홈(131a, 131b)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31)의 제1 측면에는 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안내 홈(131a)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131)의 안쪽 바닥면의 4개 모서리에는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안내 홈(131b)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프레임(131)은 적어도 3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된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31)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은 제3 프레임(133)의 제2 마그네트(122b)와 하우징(111)의 제2 구동 코일(122a)이 마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제1 프레임(131)의 제4 측면은 제3 프레임(133)의 피검출부(122e)와 하우징(111)의 OIS 센싱 코일(122d)이 마주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의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의 제2 안내 홈(131b)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32)에는 복수의 안내 홈(132a)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2 프레임(132)의 모서리에는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4개의 제3 안내 홈(132a)이 형성된다.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에 장착된다.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에 대해 광축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의 제3 안내 홈(132a)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33)에는 복수의 제2 마그네트(122b) 및 피검출부(122e)가 장착된다. 일 예로, 제3 프레임(133)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에는 2개의 제2 마그네트(122b)가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제4 측면에는 피검출부(122e)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프레임(133)은 생략될 수 있고, 제2 프레임(132)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130)은 렌즈 배럴(134)을 포함한다. 일 예로, 렌즈 모듈(13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134)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렌즈는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134)에 구비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렌즈 배럴(134)의 설계에 따른 수만큼 적층되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제3 프레임(133)에 장착된다. 일 예로, 렌즈 배럴(134)은 제3 프레임(133)에 끼워져 제3 프레임(133)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Z축 방향,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 배럴(134)은 제1 액츄에이터(121)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액츄에이터(122)에 의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 베어링부(140)는 렌즈 모듈(1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볼 베어링부(140)는 렌즈 모듈(130)이 광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볼 베어링부(140)는 제1 볼 베어링(141), 제2 볼 베어링(142), 제3 볼 베어링(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볼 베어링(141)은 제1 프레임(131)의 제1 안내 홈(131a)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131)이 광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볼 베어링(142)은 제1 프레임(131)의 제2 안내 홈(131b)에 배치되어, 제2 프레임(132)이 광축의 제1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볼 베어링(143)은 제2 프레임(132)의 제3 안내 홈(132a)에 배치되어, 제3 프레임(133)이 광축의 제2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볼 베어링(141, 142) 각각은 적어도 3개의 볼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 볼 베어링의 상기 적어도 3개의 볼은 제1 또는 제2 안내 홈(131a, 131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볼 베어링부(140)가 배치되는 모든 부위에는 마찰 및 소음저감을 위한 윤활 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안내 홈(131a, 131b, 132a)에는 점성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점성 유체로는 점성 및 윤활 특성이 우수한 그리스(grease)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200)는 도 1의 제2 액츄에이터(122)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의 액츄에이터(200)가 도 1의 제2 액츄에이터(122)에 대응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광학식 흔들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렌즈 배럴을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액츄에이터(200)가 광학식 흔들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구동 장치(210)는 구동 코일(2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마그네트에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200)는 구동 장치(210), 구동 코일(220), 피검출부(230) 및 위치 검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2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신호(Sin)와 위치 검출부(240)로부터 생성되는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구동 신호(Sdr)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Sdr)를 구동 코일(2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코일(220)에 구동 장치(21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Sdr)가 인가되는 경우, 구동 코일(220)과 마그네트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렌즈 배럴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240)는 마그네트와 구동 코일(22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렌즈 배럴의 위치를 피검출부(230)를 통해 산출하여 피드백 신호(Sf)를 생성하고, 피드백 신호(Sf)를 구동 장치(210)에 제공할 수 있다. 피검출부(230)는 렌즈 배럴의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렌즈 배럴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고, 위치 검출부(240)의 센싱 코일과 대향할 수 있다. 일 예로, 피검출부(230)는 도 1의 피검출부(122e)에 대응될 수 있다.
위치 검출부(240)는 복수의 센싱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에 따라 렌즈 배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의 일 측에 마련되는 피검출부(230)가 이동하는 경우, 센싱 코일과 피검출부 간의 거리 및 중첩 면적이 변화하므로, 위치 검출부(240)는 피검출부(23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에 따라 렌즈 배럴의 X축 및 Y축 방향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검출부(240)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싱 코일은 도 1의 제2 액츄에이터(122)에 포함되는 복수의 OIS 센싱 코일(122d)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산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위치 검출부(240)에 의한 렌즈 배럴의 위치 산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부(240)는 발진부(241), 주파수 하향부(243), 연산부(245), 및 산출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부(241)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를 포함하여, 복수의 발진 신호(Sosc)를 생성할 수 있다. 발진부(241)는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는 피검출부(230)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 각각은 센싱 코일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소정의 LC 발진기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진 회로(241a)는 제1 센싱 코일(L1)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발진 회로(241b)는 제2 센싱 코일(L2)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에 구비되는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은 도 1의 제2 액츄에이터(122)에 포함되는 복수의 OIS 센싱 코일(122d)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은 도 1의 제2 기판(122c)의 제4 측면에 배치되어, 피검출부(122e)와 대향하는 2개의 OIS 센싱 코일(122d)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은 렌즈 배럴의 일면과 대향하여, 일 방향 - 도 1의 X축 방향 - 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는 널리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발진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의 발진 신호(Sosc1, Sosc2)의 주파수는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발진 회로가 센싱 코일과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LC 발진기로 구현되는 경우, 발진 신호(Sosc)의 주파수(f)는 하기의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l은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c는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렌즈 배럴이 이동하는 경우, 발진부(241)의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에 영향을 미치는 피검출부(230)의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므로,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에서 출력되는 제1 발진 신호(Sosc1), 및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는 피검출부(230)의 이동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출부(230)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의 변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피검출부(230)와 발진부(241) 사이에 투자율이 높은 자성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주파수 하향부(243)는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 각각에서 출력되는 제1 발진 신호(Sosc1), 및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를 하향할 수 있다. 주파수 하향부(243)는 제1 발진 신호(Sosc1), 및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를 하향하여,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하향부의 블록도이다.
주파수 하향부(243)는 기준 신호(Sref)가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믹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믹서는 제1 믹서(243a) 및 제2 믹서(2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믹서(243a) 및 제2 믹서(243b) 각각은 제1 발진 회로(241a) 및 제2 발진 회로(241b)에서 출력되는 제1 발진 신호(Sosc1), 및 제2 발진 신호(Sosc2)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믹서(243a)는 기준 신호(Sref)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1 발진 신호(Sosc1)의 주파수를 하향할 수 있고, 제2 믹서(243b)는 기준 신호(Sref)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를 하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믹서(243a)는 제1 발진 신호(Sosc1)에서 기준 신호(Sref)를 차분하여,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믹서(243b)는 제2 발진 신호(Sosc2)에서 기준 신호(Sref)를 차분하여,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믹서(243a) 및 제2 믹서(243b)로 하나의 기준 신호(Sref)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신호(Sref)가 제1 믹서(243a) 및 제2 믹서(243b) 각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다른 기준 신호(Sref)의 주파수는 제1 발진 신호(Sosc1)와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진 신호(Sosc1)와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센싱 감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믹서(243a) 및 제2 믹서(243b)에는 동일한 기준 신호(Sref)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1 발진 신호(Sosc1)와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경우, 동일한 기준 신호(Sref)가 제1 믹서(243a) 및 제2 믹서(243b)로 제공되는 경우, 센싱 감도가 상이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감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발진 신호(Sosc1)와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서로 다른 기준(Sref)이 제1 믹서(243a) 및 제2 믹서(243b)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발진 신호(Sosc1)를 하향하는 제1 기준 신호와 제1 발진 신호(Sosc1)의 차와 제2 발진 신호(Sosc2)를 하향하는 제2 기준 신호와 제2 발진 신호(Sosc2)의 차는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연산부(245)는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를 연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산부(245)는 기준 클럭(CLK)을 이용하여 제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부(245)는 발진 신호를 기준 클럭(CLK)을 이용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기준 클럭(CLK)의 수와 기준 클럭(CLK)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산부(245)는 기준 구간 동안의 발진 신호를 기준 클럭(CLK)으로 카운트 할 수 있다.
산출부(247)는 연산부(245)로부터 전달되는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에 따라 렌즈 배럴의 X축 및 Y축 방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산출부(247)는 하기의 수학식 2과 같이,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차에 따라 렌즈 배럴의 X축 방향의 위치(P_x)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렌즈 배럴이 X축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센싱 코일(L1)의 인덕턴스의 변화와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 변화의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렌즈 배럴이 X축의 일 방향으로 이동시, 제1 센싱 코일(L1)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는 경우,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차로부터, X방향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247)는 하기의 수학식 3와 같이,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합에 따라, 렌즈 배럴의 Y축 방향의 위치(P_y)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렌즈 배럴이 Y축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의 변화는 동일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이 Y축의 일 방향으로 이동시,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가 증가하고, 렌즈 배럴이 Y축의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 제1 센싱 코일(L1) 및 제2 센싱 코일(L2)의 인덕턴스가 감소한다.
따라서,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합으로부터, Y축 방향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247)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고, 메모리에는 주파수 변화율의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렌즈 배럴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FeRAM(Ferroelectric RAM) 중 하나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산출부(247)는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따른 연산 결과를 메모리에 기 저장된 렌즈 배럴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렌즈 배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렌즈 배럴의 X축 방향의 위치(P_x) 및 Y축 방향의 위치(P_y)에 대한 제1 발진 신호(Sosc1)의 주파수(f_Sosc1),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f_Sosc2),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를 나타낸다.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주파수 변화율에 대해 살펴보면,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에 대한 제1 주파수 변화율(V1) 및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에 대한 제2 주파수 변화율(V2)은 하기의 수학식 4 및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f_Sosc1_d_max는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의 최대값, 및 f_Sosc1_d_min은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또한, f_Sosc1_d_ref는 제1 하향 발진 신호(Sosc1_d)의 주파수(f_Sosc1_d)의 기준값을 나타내고, 일 예로, 제1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기준값은 제1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최대값 및 최소값 중 하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학식 5에서 f_Sosc2_d_max는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최대값, 및 f_Sosc2_d_min은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또한, f_Sosc2_d_ref는 제2 하향 발진 신호(Sosc2_d)의 주파수(f_Sosc2_d)의 기준값을 나타내고, 일 예로, 제2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기준값은 제2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최대값 및 최소값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발진 신호(Sosc1)의 주파수(f_Sosc1), 및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f_Sosc2)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발진 신호(Sosc1)의 주파수(f_Sosc1)에 대한 제1 주파수 변화율(V1`) 및 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f_Sosc2)에 대한 제2 주파수 변화율(V2`)은 하기의 수학식 6 및 수학식 7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6에서 f_Sosc1_max는 제1 발진 신호(Sosc1)의 주파수(f_Sosc1)의 최대값, 및 f_Sosc1_min은 제1 발진 신호(Sosc1)의 주파수(f_Sosc1)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또한, f_Sosc1_ref는 제1 발진 신호(Sosc1)의 주파수(f_Sosc1)의 기준값을 나타내고, 일 예로, 제1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기준값은 제1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최대값 및 최소값 중 하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학식 7에서 f_Sosc2_max는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f_Sosc2)의 최대값, 및 f_Sosc2_min은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f_Sosc2)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또한, f_Sosc2_ref는 제2 발진 신호(Sosc2)의 주파수(f_Sosc2)의 기준값을 나타내고, 일 예로, 제2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기준값은 제2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최대값 및 최소값 중 하나일 수 있다.
수학식 4 및 수학식 6을 참조하면, 제1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량 Df_Sosc1_d과 제1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량 Df_Sosc1은 동일하나, 제1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 기준값 f_Sosc1_d_ref이 제1 발진 신호의 주파수 기준값 f_Sosc1_ref 보다 작으므로, 제1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이 제1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학식 5 및 수학식 7을 참조하면, 제2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량 Df_Sosc2_d과 제2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량 Df_Sosc2은 동일하나, 제2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 기준값 f_Sosc2_d_ref이 제2 발진 신호의 주파수 기준값 f_Sosc2_ref 보다 작으므로, 제2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이 제2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진 신호를 하향함으로써, 피검출부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카메라 모듈
110: 하우징 유닛
111: 하우징
112: 쉴드 케이스
120: 렌즈 배럴
121: 제1 액츄에이터
121a: 제1 구동 코일
121b: 제1 마그네트
121c: 제1 기판
121d: AF 센싱 코일
122: 제2 액츄에이터
122a: 제2 구동 코일
122b: 제2 마그네트
122c: 제2 기판
122d: OIS 센싱 코일
122e: 피검출부
130: 렌즈 모듈
131: 제1 프레임
132: 제2 프레임
133: 제3 프레임
134: 렌즈 배럴
140: 볼 베어링부
141: 제1 볼 베어링
142: 제2 볼 베어링
143: 제3 볼 베어링
200: 액츄에이터
210: 구동 장치
220: 구동 코일
230: 피검출부
240: 위치 검출부
241: 발진부
241a: 제1 발진 회로
241b: 제2 발진 회로
243: 주파수 하향부
245: 연산부
247: 산출부
110: 하우징 유닛
111: 하우징
112: 쉴드 케이스
120: 렌즈 배럴
121: 제1 액츄에이터
121a: 제1 구동 코일
121b: 제1 마그네트
121c: 제1 기판
121d: AF 센싱 코일
122: 제2 액츄에이터
122a: 제2 구동 코일
122b: 제2 마그네트
122c: 제2 기판
122d: OIS 센싱 코일
122e: 피검출부
130: 렌즈 모듈
131: 제1 프레임
132: 제2 프레임
133: 제3 프레임
134: 렌즈 배럴
140: 볼 베어링부
141: 제1 볼 베어링
142: 제2 볼 베어링
143: 제3 볼 베어링
200: 액츄에이터
210: 구동 장치
220: 구동 코일
230: 피검출부
240: 위치 검출부
241: 발진부
241a: 제1 발진 회로
241b: 제2 발진 회로
243: 주파수 하향부
245: 연산부
247: 산출부
Claims (16)
- 피검출부의 이동에 따라 주파수가 변동되는 발진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를 포함하는 발진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 각각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하는 주파수 하향부; 및
상기 주파수 하향부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발진 신호에 따라 상기 피검출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은 상기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 보다 큰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하향부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하향하는 적어도 두 개의 믹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믹서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믹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 각각과 상기 기준 신호를 차분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믹서에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신호 각각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 각각의 주파수 차는 동일한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 각각은 상기 피검출부와 대향 배치되는 센싱 코일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발진 신호의 차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코일이 배치되는 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상기 피검출부의 변위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발진 신호의 합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코일이 배치되는 면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피검출부의 변위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삭제
- 피검출부의 이동에 따라 주파수가 변동되는 발진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를 포함하는 발진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회로 각각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을 증가시키는 주파수 하향부; 및
상기 주파수 하향부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발진 신호 각각에 따라 상기 피검출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하향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 변화율 보다 큰 주파수 변화율을 가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하향부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하향하는 적어도 두 개의 믹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믹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 각각과 상기 기준 신호를 차분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믹서에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신호 각각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진 신호 각각의 주파수 차는 동일한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297A KR102059819B1 (ko) | 2017-11-24 | 2017-11-24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US16/001,521 US10859793B2 (en) | 2017-11-24 | 2018-06-06 | Actuator for a camera module |
CN201811137789.XA CN109842748B (zh) | 2017-11-24 | 2018-09-28 | 致动器、相机模块和便携式通信终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297A KR102059819B1 (ko) | 2017-11-24 | 2017-11-24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0264A KR20190060264A (ko) | 2019-06-03 |
KR102059819B1 true KR102059819B1 (ko) | 2019-12-27 |
Family
ID=6663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8297A KR102059819B1 (ko) | 2017-11-24 | 2017-11-24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859793B2 (ko) |
KR (1) | KR102059819B1 (ko) |
CN (1) | CN10984274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579A (ko) * | 2017-10-24 | 2019-05-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CN111948779A (zh) * | 2019-05-17 | 2020-11-17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驱动机构 |
US11681202B2 (en) * | 2019-08-16 | 2023-06-20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KR102356804B1 (ko) * | 2020-04-23 | 2022-01-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20220035622A (ko) * | 2020-09-14 | 2022-03-2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9914A (ja) * | 2010-02-26 | 2011-09-15 | Kawasaki Heavy Ind Ltd | 変位量検出装置 |
JP2016099218A (ja) * | 2014-11-21 | 2016-05-30 | センサテック株式会社 | 金属体検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8910A (en) * | 1995-12-22 | 1997-12-16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position sensor |
JP4390347B2 (ja) | 1999-03-15 | 2009-12-24 | 株式会社アミテック | 位置検出装置 |
JP2005091156A (ja) | 2003-09-17 | 2005-04-07 | Tohoku Univ | 磁界センサユニット |
JP4540354B2 (ja) | 2004-01-30 | 2010-09-08 | Hoya株式会社 | 像ブレ補正装置 |
JP2005283546A (ja) | 2004-03-31 | 2005-10-13 | Nec Tokin Corp | 磁気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磁気検出方法 |
JP5233922B2 (ja) * | 2009-09-03 | 2013-07-10 | 株式会社ニコン | 振動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レンズ鏡筒、及び、光学装置 |
KR101892300B1 (ko) | 2011-12-29 | 2018-09-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
US10123004B2 (en) | 2016-01-28 | 2018-11-06 | Olympus Corporation |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ng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
US9883098B2 (en) | 2016-03-09 | 2018-01-30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
KR102628090B1 (ko) * | 2016-03-09 | 2024-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
2017
- 2017-11-24 KR KR1020170158297A patent/KR1020598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06 US US16/001,521 patent/US10859793B2/en active Active
- 2018-09-28 CN CN201811137789.XA patent/CN10984274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9914A (ja) * | 2010-02-26 | 2011-09-15 | Kawasaki Heavy Ind Ltd | 変位量検出装置 |
JP2016099218A (ja) * | 2014-11-21 | 2016-05-30 | センサテック株式会社 | 金属体検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0264A (ko) | 2019-06-03 |
CN109842748B (zh) | 2020-12-22 |
US20190162930A1 (en) | 2019-05-30 |
US10859793B2 (en) | 2020-12-08 |
CN109842748A (zh) | 2019-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9765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2059819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1892853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2041668B1 (ko) |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센싱 유닛 | |
KR20190045579A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US11163211B2 (en) | Camera module actuator | |
KR102538913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059821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 |
KR102104451B1 (ko) |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액츄에이터 | |
US10331013B2 (en) | Actuator of camera module | |
KR102194710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2437802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2653204B1 (ko) |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액츄에이터 | |
KR102586949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27721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20190045578A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20220133606A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