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683B1 -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683B1
KR102059683B1 KR1020190045292A KR20190045292A KR102059683B1 KR 102059683 B1 KR102059683 B1 KR 102059683B1 KR 1020190045292 A KR1020190045292 A KR 1020190045292A KR 20190045292 A KR20190045292 A KR 20190045292A KR 102059683 B1 KR102059683 B1 KR 10205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user
unit
seat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보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는,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좌석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좌석조명; 각각의 좌석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좌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전환하는 복수의 스위치;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정보를 사용자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좌석정보 저장부; 사용자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 식별코드 인식부를 통해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좌석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좌석정보 중 사용자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하는 좌석정보 조회부; 좌석정보 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좌석정보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 중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및 스위치 제어부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으며,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좌석조명을 온 제어하는 좌석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KIOSK CAPABLE OF INDIVIDUALLY CONTROLLING ACCORDING TO US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록된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으로 사용자의 좌석에 대한 전원공급, 좌석조명, 출입통제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관리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배정된 좌석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는 무인 정보제공 단말기로서, 전시장, 은행, 쇼핑몰, 이벤트 행사장 등에 설치되어 대중에게 무인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근에는 키오스크가 프린터, 터치스크린, 팩스, 출입문 개폐장치 등과 같은 주변의 다양한 외부 전자기기들과 연결됨으로써, 단순히 정보의 제공만이 아니라 주변의 외부 전자기기들을 제어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키오스크는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study cafe) 등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에게 바코드(bar code), QR(Quick Release) 코드 등과 같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급하고, 고유의 식별코드의 인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키오스크는 다수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보유한 독서실, 스터디 카페 등의 서비스 환경에서 무인으로 등록된 회원에게 좌석을 배정하고, 각각의 회원들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 등을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큰 환영을 받고 있다.
그런데,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 등과 같은 서비스 환경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 등록된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배정된 좌석에 착석하지 않고 임의로 좌석을 변경하여 착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해 키오스크 상에서 관리되는 서비스 환경과 실제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환경이 달라지고, 서비스 환경이 혼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 등과 같은 서비스 환경에서는 등록된 사용자가 배정된 좌석을 이탈하는 경우에 좌석의 조명을 소등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 등과 같은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특정의 시간간격을 지정하여 등록을 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등록된 시간간격을 넘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더라도 해당 서비스 환경 내에 머무르는 관리자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직접적으로 제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4607호 (공개일자: 2017. 06. 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등록된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으로 사용자의 좌석에 대한 전원공급, 좌석조명, 출입통제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관리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배정된 좌석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는,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좌석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좌석조명; 각각의 상기 좌석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전환하는 복수의 스위치;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좌석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좌석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좌석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하는 좌석정보 조회부; 상기 좌석정보 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좌석정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스위치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상기 좌석조명을 온 제어하는 좌석조명 제어부; 상기 복수의 좌석에 대한 좌석 배치도를 저장하는 배치도 저장부;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 상기 좌석 배치도 중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좌석까지의 최단거리의 경로에 있는 좌석을 1차적으로 검색하는 제1좌석 검색부; 상기 제1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되는 좌석 중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2차적으로 검색하는 제2좌석 검색부; 상기 제2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좌석 중 상기 좌석조명 제어부에 의해 좌석조명이 온 제어된 좌석을 3차적으로 검색하는 제3좌석 검색부; 및 상기 제3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좌석의 수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실내조명을 온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조명을 오프 제어하는 실내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도 저장부는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구분하고, 상기 제2좌석 검색부는 상기 제1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좌석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좌석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키오스크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운영시간을 저장하는 운영시간 저장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운영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운영시간 판단부; 및 상기 운영시간 판단부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한다.
전술한 키오스크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을 저장하는 입실시간 저장부; 및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입실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입실시간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입문 제어부는 상기 입실시간 판단부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을 개폐 제어한다.
삭제
또한, 전술한 키오스크는,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은, 키오스크에 의해 실행되는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에 있어서,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좌석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의 좌석조명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좌석에 대한 좌석 배치도를 저장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좌석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전환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마련하는 단계;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저장된 상기 좌석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상기 좌석정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스위치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단계;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 상기 좌석 배치도 중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좌석까지의 최단거리의 경로에 있는 제1좌석을 1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되는 상기 제1좌석 중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제2좌석을 2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되는 상기 제2좌석 중 좌석조명이 온 제어된 제3좌석을 3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제3좌석의 수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실내조명을 온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상기 좌석조명을 온 제어하며, 상기 실내조명을 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배치도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구분하고, 상기 제2좌석을 검색하는 단계는 검색되는 상기 제1좌석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운영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저장된 상기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의 시간이 상기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한다.
전술한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저장된 상기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의 시간이 상기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을 개폐 제어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좌석조명을 온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된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으로 사용자의 좌석에 대한 전원공급, 좌석조명, 출입통제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관리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배정된 좌석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된 사용자가 배정된 좌석을 이탈하는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좌석조명을 자동으로 소등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 등과 같은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특정의 시간간격을 지정하여 등록을 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등록된 시간간격을 넘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면 자동으로 좌석의 조명을 소등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록된 시간간격 내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키오스크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독서실용 좌석의 평면도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좌석배치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다수의 회원을 보유하며 각각의 회원에 대응하여 지정된 좌석을 배정하는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 등과 같은 서비스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의 서비스 환경뿐만 아니라 각각의 회원에게 지정된 좌석을 배정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환경이라면,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키오스크(100)가 독서실 서비스 환경에 적용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키오스크(100)는 독서실의 출입문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자(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에게 다양한 선택메뉴, 입력창 등을 제공하며, 제공된 선택메뉴에 대응하는 선택신호, 입력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로부터 기 발급된 바 코드(bar code), QR(Quick Release) 코드 등과 같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10)는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30)로부터 다양한 설정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설정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설정신호에 따라 독서실의 서비스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100)는 좌석조명(102), 스위치(104), 좌석정보 저장부(106), 식별코드 인식부(108), 좌석정보 조회부(110), 스위치 제어부(112), 좌석조명 제어부(114), 네트워크 통신부(116), 운영시간 저장부(118), 운영시간 판단부(120), 출입문 제어부(122), 입실시간 저장부(124), 입실시간 판단부(126), 배치도 저장부(128),제1좌석 검색부(130), 제2좌석 검색부(132), 제3좌석 검색부(134), 실내조명 제어부(136) 및 전자기기 제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조명(102)은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좌석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좌석조명(102)은 도 3의 독서실용 좌석의 평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좌석(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104)는 각각의 좌석(2)에 대응하여 복수로 설치되며, 각각의 좌석(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전환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104)는 각각의 좌석(2)에 대응하여 마련된 콘센트(4)와 연결되며, 콘센트(4)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전환할 수 있다.
좌석정보 저장부(106)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정보를 사용자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즉,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좌석(2)은 각각 고유의 좌석식별정보를 가지며, 사용자가 독서실 서비스를 등록하는 경우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좌석이 배정된다. 이때, 좌석정보 저장부(106)는 등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와 해당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의 좌석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식별코드 인식부(108)는 사용자(10)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한다. 즉, 사용자(1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설치된 독서실 서비스에 등록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10)에게는 바 코드, QR 코드 등의 고유의 식별코드가 발급된다. 이때, 사용자(10)가 독서실에 입실하기 위하여 키오스크(100) 또는 지정된 장치에 발급받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접근시키면, 식별코드 인식부(108)는 접근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10)의 등록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좌석정보 조회부(110)는 식별코드 인식부(108)를 통해 사용자(10)의 고유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좌석정보 저장부(106)에 저장된 좌석정보 중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한다. 즉, 좌석정보 조회부(110)는 식별코드 인식부(108)에 의해 고유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인식된 고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10)를 판단하며, 좌석정보 저장부(106)에 저장된 좌석정보 중 판단된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한다.
스위치 제어부(112)는 좌석정보 조회부(110)에 의해 조회된 좌석정보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104) 중 사용자(10)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한다. 즉, 스위치 제어부(112)는 좌석정보 조회부(110)에 의해 좌석정보가 조회되면, 복수의 스위치(104) 중 해당 좌석정보에 대응하는 스위치(104)를 온 제어함으로써, 좌석정보에 대응하는 좌석(2)의 콘센트(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좌석조명 제어부(114)는 스위치 제어부(112)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으며, 사용자(10)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10)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10)의 좌석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을 온 제어한다. 이때, 좌석조명 제어부(114)는 각각의 좌석(2)에 대응하여 설치된 적외선 거리측정센서(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좌석조명 제어부(114)는 스위치 제어부(112)의 온 제어에 따라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2)에 전원이 공급되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6)는 공급된 전원에 기반하여 설정된 범위 이내에 사용자(10)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10)의 착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석조명 제어부(114)는 적외선 거리측정센서(6)에 의해 사용자(10)의 착석이 결정되면, 사용자(10)의 좌석(2)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을 온 제어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는 등록된 사용자가 독서실에 입실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좌석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가 독서실에 입실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의 좌석에 착석하기 전에는 좌석조명이 불필요하게 점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독서실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배정된 자신의 좌석에 착석하는 경우에만 좌석조명이 점등되며, 임의로 좌석을 변경하여 착석하는 경우에는 좌석조명이 점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석을 임의로 변경하여 착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116)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30)와 통신한다. 이때, 네트워크 통신부(116)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30)로부터 설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10)의 입실여부, 등록된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의 점등여부 등에 대한 독서실 상황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운영시간 저장부(118)는 관리자단말기(118)에 의해 설정된 운영시간을 저장한다. 즉, 운영시간 저장부(118)는 네트워크(2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로부터 설정된 운영시간의 설정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운영시간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운영시간 저장부(118)는 요일별, 공휴일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 운영시간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운영시간 판단부(120)는 식별코드 인식부(108)를 통해 사용자(10)에 대응하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운영시간 저장부(118)에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운영시간 판단부(120)는 식별코드 인식부(108)를 통해 사용자(10)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운영시간 저장부(118)에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출입문 제어부(122)는 운영시간 판단부(120)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실내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을 개폐 제어한다. 즉, 출입문 제어부(122)는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운영시간 저장부(118)에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출입문을 열림 제어하여 사용자(10)가 독서실 내로 입실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스위치 제어부(112)는 출입문 제어부(122)에 의해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104)를 온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출입문 제어부(122)가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운영시간 저장부(118)에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출입문 제어부(122)는 현재의 시간이 운영시간 저장부(118)에 저장된 운영시간의 시작시간일 때에 키오스크(100)의 전원을 온 시키며 운영시간의 종료시간일 때에 키오스크(100)의 전원을 오프 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입문 제어부(122)는 키오스크(100)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사용자(10)에게 독서실의 운영시간과 함께 현재의 시간이 독서실의 운영시간이 아님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독서실의 운영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운영시간에 따라 무인으로 독서실의 출입문을 개폐 제어할 수 있다.
입실시간 저장부(124)는 사용자(10)에 대응하여 관리자단말기(30)에 의해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을 저장한다. 즉, 관리자단말기(30)는 등록된 각각의 사용자(10)에 대응하여 독서실에 입실이 가능한 입실가능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입실시간 저장부(124)는 관리자단말기(30)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사용자의 입실가능시간을 사용자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입실시간 판단부(126)는 식별코드 인식부(108)를 통해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입실시간 저장부(124)에 저장된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즉, 입실시간 판단부(126)는 식별코드 인식부(108)를 통해 사용자(10)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해당 사용자(10)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출입문 제어부(122)는 입실시간 판단부(126)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출입문을 개폐 제어한다. 또한, 좌석조명 제어부(114)는 입실시간 판단부(126)는 입실시간 판단부(126)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해당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을 온 제어할 수 있다.
배치도 저장부(128)는 복수의 좌석에 대한 좌석 배치도를 저장한다. 이때, 배치도 저장부(12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 각각의 좌석들이 배치된 형태를 좌석 배치도로 저장하며, 출입문(8)으로부터 각각의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4에는 출입문(8)으로부터 각각의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방향에 따라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동일한 방향의 경로 역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제1좌석 검색부(130)는 배치도 저장부(128)에 저장된 좌석 배치도 중 출입문(8)으로부터 사용자의 좌석까지의 최단거리의 경로에 있는 좌석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석 배치도에서 사용자의 좌석이 16번 좌석이라고 가정하면, 제1좌석 검색부(130)는 출입문(8)으로부터 16번의 좌석까지의 경로에 있는 1번, 10번, 11번, 21번, 20번, 12번, 19번, 13번, 18번, 14번, 17번의 좌석을 검색할 수 있다.
제2좌석 검색부(132)는 제1좌석 검색부(130)에 의해 검색되는 좌석 중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2좌석 검색부(132)는 제1좌석 검색부(130)에 의해 검색된 좌석들 중에서 제2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으로 1번, 10번, 11번, 21번의 좌석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2좌석 검색부(132)는 제1좌석 검색부(130)에 의해 검색된 좌석들 중에서 제3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으로 11번, 20번, 12번, 19번, 13번, 18번, 14번, 17번의 좌석을 검색할 수 있다.
제3좌석 검색부(134)는 제2좌석 검색부(132)에 의해 검색되는 좌석 중 좌석조명 제어부(114)에 의해 좌석조명이 온 제어된 좌석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3좌석 검색부(134)는 제2영역에 대응하여 제2좌석 검색부(132)에 의해 검색된 1번, 10번, 11번, 21번의 좌석 중 좌석조명 제어부(114)에 의해 좌석조명(102)이 온 제어된 좌석이 몇번 몇번의 좌석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3좌석 검색부(134)는 제3영역에 대응하여 제2좌석 검색부(132)에 의해 검색된 11번, 20번, 12번, 19번, 13번, 18번, 14번, 17번의 좌석 중 좌석조명 제어부(114)에 의해 좌석조명(102)이 온 제어된 좌석이 몇번 몇번의 좌석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실내조명 제어부(136)는 제3좌석 검색부(134)에 의해 검색된 좌석의 수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실내조명을 온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실내조명 제어부(136)는 제2영역에 대응하여 제3좌석 검색부(134)에 의해 검색된 좌석이 전혀 없는 경우, 제2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실내조명을 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조명 제어부(136)는 제3영역에 대응하여 제3좌석 검색부(134)에 의해 검색된 좌석이 17번, 19번인 경우, 제3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실내조명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내조명 제어부(136)는 좌석조명 제어부(114)에 의해 사용자(10)가 자신의 좌석에 착석한 것으로 감지되면, 온 제어된 실내조명을 오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독서실에 입실하여 자신의 좌석위치로 이동하기까지 각각의 경로의 밝기를 고려하여 최소한으로 실내조명을 온 제어할 수 있다.
전자기기 제어부(138)는 스위치 제어부(112)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며, 좌석조명 제어부(114)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실, 스터디 카페, 공용 오피스 등의 서비스 환경에서는 각각의 좌석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등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전자기기 제어부(138)는 스위치 제어부(112)의 온 제어에 따라 각각의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제어부(138)는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는 각각의 전자기기를 온 동작시키며, 사용자가 좌석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각각의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은 도 2에 나타낸 키오스크(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키오스크(100)는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좌석에 각각 대응하여 좌석조명(102)을 마련한다(S102). 예를 들어, 키오스크(100)는 도 3의 독서실용 좌석의 평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좌석(2)의 전면에 좌석조명(102)을 마련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각각의 좌석(2)에 대응하여, 각각의 좌석(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전환하는 복수의 스위치(104)를 마련한다(S104). 예를 들어, 키오스크(100)는 각각의 좌석(2)에 대응하는 콘센트(4)와 각각 연결되며, 콘센트(4)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전환하는 스위치(104)를 마련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복수의 좌석에 대한 좌석 배치도를 저장한다(S106). 이때, 키오스크(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 각각의 좌석들이 배치된 형태를 좌석 배치도로 저장하며, 출입문(8)으로부터 각각의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정보를 사용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108). 즉,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좌석(2)은 각각 고유의 좌석식별정보를 가지며, 사용자가 독서실 서비스를 등록하는 경우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좌석이 배정된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등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와 해당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의 좌석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30)와 통신한다(S110). 이때,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30)로부터 설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10)의 입실여부, 등록된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의 점등여부 등에 대한 독서실 상황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키오스크(100)는 관리자단말기(118)에 의해 설정된 운영시간을 저장한다(S112). 즉, 키오스크(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로부터 설정된 운영시간의 설정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운영시간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요일별, 공휴일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 운영시간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에 대응하여 관리자단말기(30)에 의해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을 저장한다(S114). 즉, 관리자단말기(30)는 등록된 각각의 사용자(10)에 대응하여 독서실에 입실이 가능한 입실가능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100))는 관리자단말기(30)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사용자의 입실가능시간을 사용자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한다(S116). 즉, 사용자(1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설치된 독서실 서비스에 등록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10)에게는 바 코드, QR 코드 등의 고유의 식별코드가 발급된다. 이때, 사용자(10)가 독서실에 입실하기 위하여 키오스크(100) 또는 지정된 장치에 발급받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접근시키면, 키오스크(100)는 접근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10)의 등록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에 대응하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운영시간 저장부(118)에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8). 즉,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저장된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120). 즉,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해당 사용자(10)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키오스크(100)는 현재의 시간이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실내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을 개폐 제어할 수 있다(S122). 즉,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출입문을 열림 제어하여 사용자(10)가 독서실 내로 입실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현재의 시간이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출입문을 개폐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가 입실을 요청하는 시간이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키오스크(100)는 현재의 시간이 저장된 운영시간의 시작시간일 때에 전원이 자동으로 온 되며, 운영시간의 종료시간일 때에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키오스크(100)는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사용자(10)에게 독서실의 운영시간과 함께 현재의 시간이 독서실의 운영시간이 아님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의 고유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저장된 좌석정보 중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한다(S124). 즉,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의 고유의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인식된 고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10)를 판단하며, 저장된 좌석정보 중 판단된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한다.
키오스크(100)는 조회된 좌석정보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104) 중 사용자(10)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한다(S126). 즉, 키오스크(100)는 고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좌석정보가 조회되면, 복수의 스위치(104) 중 해당 좌석정보에 대응하는 스위치(104)를 온 제어함으로써, 좌석정보에 대응하는 좌석(2)의 콘센트(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 경우, 키오스크(100)는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104)를 온 제어할 수도 있다.
키오스크(100)는 저장된 좌석 배치도 중 출입문(8)으로부터 사용자의 좌석까지의 최단거리의 경로에 있는 좌석을 제1좌석으로 검색한다(S128).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석 배치도에서 사용자의 좌석이 16번 좌석이라고 가정하면, 키오스크(100)는 출입문(8)으로부터 16번의 좌석까지의 경로에 있는 1번, 10번, 11번, 21번, 20번, 12번, 19번, 13번, 18번, 14번, 17번의 좌석을 검색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제1좌석으로 검색되는 좌석 중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제2좌석으로 검색한다(S130). 예를 들어, 키오스크(100)는 제1좌석으로 검색된 좌석들 중에서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좌석으로 1번, 10번, 11번, 21번의 좌석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제1좌석으로 검색된 좌석들 중에서 제3영역에 위치하는 제2좌석으로 11번, 20번, 12번, 19번, 13번, 18번, 14번, 17번의 좌석을 검색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제2좌석으로 검색되는 좌석 중 좌석조명이 온 제어된 좌석을 제3좌석으로 검색한다(S132). 예를 들어, 키오스크(100)는 제2영역에 대응하여 제2좌석으로 검색된 1번, 10번, 11번, 21번의 좌석 중 좌석조명(102)이 온 제어된 좌석이 몇번 몇번의 좌석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제3영역에 대응하여 제2좌석으로 검색된 11번, 20번, 12번, 19번, 13번, 18번, 14번, 17번의 좌석 중 좌석조명(102)이 온 제어된 좌석이 몇번 몇번의 좌석인지를 검색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검색된 제3좌석의 수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S134),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실내조명을 온 제어한다(S136). 예를 들어, 키오스크(100)는 제2영역에 대응하여 제3좌석으로 검색된 좌석이 전혀 없는 경우, 제2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실내조명을 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제3영역에 대응하여 제3좌석으로 검색된 좌석이 17번, 19번인 경우, 제3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실내조명을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사용자(10)가 자신의 좌석에 착석한 것으로 감지되면, 온 제어된 실내조명을 오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독서실에 입실하여 자신의 좌석위치로 이동하기까지 각각의 경로의 밝기를 고려하여 최소한으로 실내조명을 온 제어할 수 있다.
키오스크(100)는 스위치(104)의 온 전환에 의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6)에 전원이 공급되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6)를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며(S138), 사용자(10)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10)의 좌석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을 온 제어할 수 있다(S140). 즉, 키오스크(100)는 스위치(104)의 온 전환에 따라 적외선 거리측정센서(6)에 전원이 공급되면, 설정된 범위 이내에 사용자(10)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10)의 착석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적외선 거리측정센서(6)에 의해 사용자(10)의 착석이 결정되면 사용자(10)의 좌석(2)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을 온 제어한다. 이때,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입실요청에 대응하여 현재의 시간이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해당 사용자(10)에 대응하는 좌석조명(102)을 온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스위치(104)의 온 전환에 따라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여 설치된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등의 각각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착석이 결정되는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는 각각의 전자기기를 온 동작시키며, 사용자가 좌석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각각의 전자기기를 오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는 등록된 사용자가 독서실에 입실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좌석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가 독서실에 입실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의 좌석에 착석하기 전이나 좌석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는 좌석조명이 불필요하게 점등되지 않도록 하고, 좌석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등이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독서실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배정된 자신의 좌석에 착석하는 경우에만 좌석조명이 점등되고 좌석에 대응하는 전자기기가 동작하며, 임의로 좌석을 변경하여 착석하는 경우에는 좌석조명이 점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좌석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도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석을 임의로 변경하여 착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좌석 4: 콘센트
6: 적외선 거리측정센서 8: 출입문
10: 사용자 20: 네트워크
30: 관리자단말기 100: 키오스크
102: 좌석조명 104: 스위치
106: 좌석정보 저장부 108: 식별코드 인식부
110: 좌석정보 조회부 112: 스위치 제어부
114: 좌석조명 제어부 116: 네트워크 통신부
118: 운영시간 저장부 120: 운영시간 판단부
122: 출입문 제어부 124: 입실시간 저장부
126: 입실시간 판단부 128: 배치도 저장부
130: 제1좌석 검색부 132: 제2좌석 검색부
134; 제3좌석 검색부 136; 실내조명 제어부

Claims (10)

  1.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좌석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좌석조명;
    각각의 상기 좌석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전환하는 복수의 스위치;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좌석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좌석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좌석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하는 좌석정보 조회부;
    상기 좌석정보 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좌석정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스위치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상기 좌석조명을 온 제어하는 좌석조명 제어부;
    상기 복수의 좌석에 대한 좌석 배치도를 저장하는 배치도 저장부;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 상기 좌석 배치도 중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좌석까지의 최단거리의 경로에 있는 좌석을 1차적으로 검색하는 제1좌석 검색부;
    상기 제1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되는 좌석 중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2차적으로 검색하는 제2좌석 검색부;
    상기 제2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좌석 중 상기 좌석조명 제어부에 의해 좌석조명이 온 제어된 좌석을 3차적으로 검색하는 제3좌석 검색부; 및
    상기 제3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좌석의 수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실내조명을 온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조명을 오프 제어하는 실내조명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도 저장부는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구분하고,
    상기 제2좌석 검색부는 상기 제1좌석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좌석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좌석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운영시간을 저장하는 운영시간 저장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운영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운영시간 판단부; 및
    상기 운영시간 판단부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을 저장하는 입실시간 저장부; 및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입실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입실시간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 제어부는 상기 입실시간 판단부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상기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기기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6. 키오스크에 의해 실행되는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에 있어서,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좌석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의 좌석조명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좌석에 대한 좌석 배치도를 저장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좌석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전환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마련하는 단계;
    등록된 사용자에게 배정된 좌석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저장된 상기 좌석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좌석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상기 좌석정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스위치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단계;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 상기 좌석 배치도 중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좌석까지의 최단거리의 경로에 있는 제1좌석을 1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되는 상기 제1좌석 중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제2좌석을 2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되는 상기 제2좌석 중 좌석조명이 온 제어된 제3좌석을 3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제3좌석의 수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실내조명을 온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의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상기 좌석조명을 온 제어하며, 상기 실내조명을 오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배치도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구분하고,
    상기 제2좌석을 검색하는 단계는 검색되는 상기 제1좌석 중 상기 사용자의 좌석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좌석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운영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저장된 상기 운영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의 시간이 상기 운영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이 열림 제어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입실가능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현재의 시간이 저장된 상기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의 시간이 상기 입실가능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을 개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조명을 온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좌석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 난방기, 냉풍기, 좌석온도 조절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개별제어방법.
KR1020190045292A 2019-04-18 2019-04-18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 KR102059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92A KR102059683B1 (ko) 2019-04-18 2019-04-18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92A KR102059683B1 (ko) 2019-04-18 2019-04-18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683B1 true KR102059683B1 (ko) 2019-12-27

Family

ID=6906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292A KR102059683B1 (ko) 2019-04-18 2019-04-18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627A (ko) * 2020-04-13 2021-10-2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69U (ko) * 1998-08-31 2000-03-25 최윤선 좌석 점유에 따라 작동하는 전등 스위치
KR101045040B1 (ko) * 2011-02-21 2011-06-28 (주)주인정보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과 연동된 건물의 통합감시 제어시스템
KR101382214B1 (ko) * 2012-05-30 2014-04-07 (주)에스디시스템 조명유도 주차시스템
KR20160050841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70064607A (ko) 2015-12-01 2017-06-12 박상일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69U (ko) * 1998-08-31 2000-03-25 최윤선 좌석 점유에 따라 작동하는 전등 스위치
KR101045040B1 (ko) * 2011-02-21 2011-06-28 (주)주인정보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과 연동된 건물의 통합감시 제어시스템
KR101382214B1 (ko) * 2012-05-30 2014-04-07 (주)에스디시스템 조명유도 주차시스템
KR20160050841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70064607A (ko) 2015-12-01 2017-06-12 박상일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627A (ko) * 2020-04-13 2021-10-2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4455B1 (ko) * 2020-04-13 2021-11-1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220544A1 (ko) * 2020-04-13 2022-10-20 주식회사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040B1 (ko) 출입통제시스템과 연동된 건물의 통합감시 제어시스템
CN107272477B (zh) 基于用户位置控制器具设置的方法、设备及程序产品
JPH04320198A (ja) 周囲パラメータ設定システム
EP3637694B1 (en) Multi-source smart-home device control
US20190028290A1 (en)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for
JP6558921B2 (ja) 空調制御装置
TW201126296A (e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WO201610919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KR102059683B1 (ko) 사용자에 따라 적응적인 개별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개별제어방법
US10202256B2 (en) Interfacing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building security using switches
JP2017187195A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69560B2 (ja) 設備機器制御装置
CN112093604B (zh) 用于智能系统交互的移动应用
KR101944882B1 (ko) 공조, 조명, 설비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의 공조, 조명 제어 방법
KR20170130239A (ko) 객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211307A1 (en) Methods and Software For Allowing Users to Interact With Smart-Structures Having Securable Occupiable Spaces That Provide Private Retreat Spaces for Users
CN108059043A (zh) 目的地调度乘客检测
KR20120042346A (ko) 조명 제어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 장치, 건물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361605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45348B1 (ko) 출입문 개폐제어가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방법
KR20170132538A (ko) 공용건물관리시스템 및 방법
JP7296708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2862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aving on Access Control Products
JP2007235855A (ja) 室内機器制御装置及び室内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6060471A (ja) 住宅用rfid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