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550B1 -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550B1
KR102059550B1 KR1020180160253A KR20180160253A KR102059550B1 KR 102059550 B1 KR102059550 B1 KR 102059550B1 KR 1020180160253 A KR1020180160253 A KR 1020180160253A KR 20180160253 A KR20180160253 A KR 20180160253A KR 102059550 B1 KR102059550 B1 KR 10205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group
layer
compoun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문기
고병수
임철수
김현아
김규식
박용필
한갑종
오유진
Original Assignee
(주)랩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1035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595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랩토 filed Critical (주)랩토
Priority to KR102018016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550B1/ko
Priority to PCT/KR2019/011129 priority patent/WO2020122359A1/ko
Priority to CN201980081996.4A priority patent/CN113195485A/zh
Priority to US17/296,442 priority patent/US11952372B2/en
Priority to EP19894603.0A priority patent/EP3875455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5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63/54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 C07D263/56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63/57Aryl or substituted ar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H01L51/0071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UV영역의 고에너지 외부 광원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내부의 유기물들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질적인 수명 향상에 기여하는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물층; 제2 전극 상에 배치된 캡핑층;을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34966158-pat0011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고, l, n 및 m은 0 내지 4의 정수임.)

Description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Tribenzazole amine derivativ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상기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핑층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캡핑층에서 상기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에 의해 고굴절률 특성과 자외선 흡수 특성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것이다.
초창기의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종이었던 CRT(Cathode Ray Tube)에서부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까지 지난 몇 십년간 디스플레이 산업은 눈부시게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작은 평면표시소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LCD는 시야각이 제한되고, 자체 발광형이 아니므로 별도의 광원을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기 발광 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Orag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주목받고 있다.
OLED는 1963년 Pope 등에 의하여 안트라센(Anthracene) 방향족 탄화수소의 단결정을 이용한 캐리어 주입형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EL)의 연구가 최초로 시도되었고, 이러한 연구로부터 유기물에서의 전하주입, 재결합, 여기자 생성, 발광 등의 기초적 메커니즘과 전기발광 특성 등에 대한 많은 이해와 연구가 시작되었다.
또한, 1987년 Tang과 Van Slyke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다층 박막 구조를 이용하여 고효율의 특성을 보고한 이후 [Tang, C. W., Van Slyke, S. A. Appl. Phys. Lett. 51, 913 (1987)], O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의 우수한 특성뿐만 아니라 LCD 배면광 및 조명 등에 사용이 가능한 높은 잠재력을 가져 각광을 받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Kido, J., Kimura, M., and Nagai, K., Science 267, 1332 (1995)]. 특히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자의 구조 변화 및 물질 개발 등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Sun, S., Forrest, S. R., Appl. Phys. Lett. 91, 263503 (2007)/Ken-Tsung Wong, Org. Lett., 7, 2005, 5361-5364].
OLED 디스플레이의 기본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양극(Anode),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 (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그리고 음극(Cathode)의 다층 구조로 구성되며, 전자 유기 다층막이 양 전극 사이에 형성된 샌드위치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현상이란 유기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하는 현상을 말한다. 유기 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유기 발광 소자는 통상 양극과 음극 및 이들 사이에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유기물층은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기 다른 물질로 구성된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며, 예컨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에서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양극에서는 정공이, 음극에서는 전자가 유기물층으로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만났을 때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며, 이 엑시톤이 바닥상태로 떨어질 때 빛이 나게 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자발광, 고휘도, 고효율, 낮은 구동전압, 넓은 시야각, 높은 콘트라스트, 고속 응답성 등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기 발광 소자에서 유기물층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기능에 따라, 발광 재료와 전하 수송 재료, 예컨대 정공 주입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전자 주입 재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발광 재료는 발광색에 따라 청색, 녹색, 적색 발광 재료와 좀 더 나은 천연색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란색 및 주황색 발광 재료가 있다. 또한, 색순도의 증가와 에너지 전이를 통한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광 재료로서 호스트/도판트 계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원리는 발광층을 주로 구성하는 호스트보다 에너지 대역 간극이 작고 발광 효율이 우수한 도판트를 발광층에 소량 혼합하면, 호스트에서 발생한 엑시톤이 도판트로 수송되어 효율이 높은 빛을 내는 것이다. 이때 호스트의 파장이 도판트의 파장대로 이동하므로, 이용하는 도판트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파장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가 갖는 우수한 특징들을 충분히 발휘하기에 충분하게 소자 내 유기물층을 이루는 물질, 예컨대 정공 주입 물질, 정공 수송 물질, 발광 물질, 전자 수송 물질, 전자 주입 물질 등이 개발되었고 상용화된 제품들에 의해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유기 발광 소자의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 자체의 발광 특성 이외에 다른 특성들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외부광원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곧 고에너지를 갖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환경이 지속됨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물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고에너지 광원에 노출을 막기 위해 적외선 흡수특성을 갖는 캡핑층을 적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의 시야각 특성은 넓다고 알려져 있지만 광원 스펙트럼 관점에서는 시야각에 따라 상당한 편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루는 유리 기판, 유기물, 전극재료 등의 전체 굴절률과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파장에 따른 적절한 굴절률 값과의 편차가 발생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청색의 필요한 굴절률 값이 크고 파장이 길어질수록 필요 굴절률의 값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언급된 적외선 흡수특성과 적정 굴절률을 동시에 만족하는 캡핑층을 이루는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내부 발광 효율 (internal luminescent efficiency)과 외부 발광 효율로 나눌 수 있다. 내부 발광 효율은 유기층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엑시톤이 형성되어 광변환이 이루어지는가와 관련이 있고 외부 발광 효율은 유기층에서 생성된 광이 유기 발광 소자 외부로 방출되는 효율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내부 발광 효율뿐만 아니라 외부 발광 효율을 높여야 한다. 외부 발광 효율을 높이고 오랜 시간 주광하에 노출할 때에 야기될 수도 있는 여러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능의 캡핑층(CPL) 화합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CPL 기능 중에서 UV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한 캡핑층(CPL) 물질 개발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2307호(발명의 명칭: 고굴절률 캡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효율과 수명을 개선할 수 있고 동시에 시야각 특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유기 발광 소자용 캡핑층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성의 개선을 위해 캡핑층을 적용한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물층; 상기 유기물층 상에 배치된 제2전극; 및 제2 전극 상에 배치된 캡핑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물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Z1, Z2 및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O, S 또는 NR4이고(단, R4는 페닐임),
R1,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이고, l, n 및 m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은 정공 수송 영역, 상기 정공 수송 영역 상에 배치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전자 수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캡핑층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자외선 흡수특성을 나타내어 외부 광원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내 유기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갖는 고유의 효율과 수명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캡핑층을 사용함으로써 광효율 향상, 발광 스펙트럼 반치폭 감소, 시야각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어서 현재 상용화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다양한 요구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재료특성에 관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은 중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실릴기, 붕소기, 포스핀 옥사이드기, 포스핀 설파이드기, 알킬기, 할로겐화 알킬기, 알콕시기, 알케닐기,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및 헤테로 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된 치환기 각각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페닐기는 아릴기로 해석될 수도 있고, 페닐기로 치환된 페닐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 원자의 예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 이상 50 이하, 바람직하게 1 이상 6 이하이다.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i-부틸기, 2- 에틸부틸기, 3, 3-디메틸부틸기, n-펜틸기, i-펜틸기, 네오펜틸기, t-펜틸기, 시클로펜틸기, 1-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2-에틸펜틸기, 4-메틸-2-펜틸기, n-헥실기, 1-메틸헥실기, 2-에틸헥실기, 2-부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4-t-부틸시클로헥실기, n-헵틸기, 1-메틸헵틸기, 2,2-디메틸헵틸기, 2-에틸헵틸기, 2-부틸헵틸기, n-옥틸기, t-옥틸기, 2-에틸옥틸기, 2-부틸옥틸기, 2-헥실옥틸기, 3,7-디메틸옥틸기, 시클로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 아다만틸기, 2-에틸데실기, 2-부틸데실기, 2-헥실데실기, 2-옥틸데실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2-에틸도데실기, 2-부틸도데실기, 2-헥실도데실기, 2-옥틸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2-에틸헥사데실기, 2-부틸헥사데실기, 2-헥실헥사데실기, 2-옥틸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n-노나데실기, n-이코실기, 2-에틸이코실기, 2-부틸이코실기, 2-헥실이코실기, 2-옥틸이코실기, n-헨이코실기, n-도코실기, n-트리코실기, n-테트라코실기, n-펜타코실기, n-헥사코실기, n-헵타코실기, n-옥타코실기, n-노나코실기, 및 n-트리아콘틸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탄화수소 고리기는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로부터 유도된 임의의 작용기 또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탄화수소 고리기는 고리 형성 탄소수 5 이상 20 이하의 포화 탄화수소 고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릴기는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로부터 유도된 임의의 작용기 또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아릴기는 단환식 아릴기 또는 다환식 아릴기일 수 있다. 아릴기의 고리 형성 탄소수는 6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 6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플루오레닐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릴기, 바이페닐기, 터페닐기, 쿼터페닐기, 퀸크페닐기, 섹시페닐기, 트리페닐에닐기, 피레닐기, 페릴렌일기, 나프타세닐기, 파이레닐기, 벤조 플루오란테닐기, 크리세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플루오레닐기는 치환될 수 있고, 치환기 2개가 서로 결합하여 스피로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아릴기는 이종 원소로 O, N, P, Si 및 S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다. N 및 S 원자는 경우에 따라 산화될 수 있고, N 원자(들)은 경우에 따라 4차화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의 고리 형성 탄소수는 2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 2 이상 20 이하이다. 헤테로아릴기는 단환식 헤테로아릴기 또는 다환식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다. 다환식 헤테로아릴기는 예를 들어, 2환 또는 3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로는 티오펜기, 퓨란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릴기, 티아졸기, 옥사졸기, 옥사디아졸기, 트리아졸기, 피리딘기, 비피리딘기, 피리미딘기, 트리아진기, 테트라진기, 트리아졸기, 테트라졸기, 아크리딜기, 피리다진기, 피라지닐기, 퀴놀린기, 퀴나졸린기, 퀴녹살린기, 페녹사진기, 프탈라진기, 피리도 피리미딘기, 피리도 피라지노 피라진기, 이소퀴놀린기, 신놀리기, 인돌기, 이소인돌기, 인다졸기, 카바졸기, N-아릴카바졸기, N-헤테로아릴카바졸기, N-알킬카바졸기, 벤조옥사졸기, 벤조이미다졸기, 벤조티아졸기, 벤조카바졸기, 벤조티오펜기, 벤조티오펜기, 벤조이소티아졸릴, 벤조이속사졸릴, 디벤조티오펜기, 티에노티오펜기, 벤조퓨란기, 페난트롤린기, 페난트리딘기, 티아졸기, 이소옥사졸기, 옥사디아졸기, 티아디아졸기, 이소티아졸기, 이속사졸기, 페노티아진기, 벤조디옥솔기, 디벤조실롤기 및 디벤조퓨란기, 이소벤조퓨란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환식 헤테로 아릴기 또는 다환식 헤테로 아릴기에 상응하는 N-옥사이드 아릴기, 예를 들어, 피리딜 N-옥사이드기, 퀴놀릴 N-옥사이드기 등의 4차 염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실릴기는 알킬 실릴기 및 아릴 실릴기를 포함한다. 실릴기의 예로는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비닐디메틸실릴기, 프로필디메틸실릴기, 트리페닐실릴기, 디페닐실릴기, 페닐실릴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붕소기는 알킬 붕소기 및 아릴 붕소기를 포함한다. 붕소기의 예로는 트리메틸붕소기, 트리에틸붕소기, t-부틸디메틸붕소기, 트리페닐붕소기, 디페닐붕소기, 페닐붕소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알케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 2 이상 10 이하이다. 알케닐기의 예로는 비닐기, 1-부테닐기, 1-펜테닐기, 1,3-부타디에닐 아릴기, 스티레닐기, 스티릴비닐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인접하는 기”는 해당 치환기가 치환된 원자와 직접 연결된 원자에 치환된 치환기, 해당 치환기가 치환된 원자에 치환된 다른 치환기 또는 해당 치환기와 입체구조적으로 가장 인접한 치환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1,2-디메틸벤젠(1,2-dimethylbenzene)에서 2개의 메틸기는 서로 “인접하는 기”로 해석될 수 있고, 1,1-디에틸시클로펜테인(1,1-diethylcyclopentene)에서 2개의 에틸기는 서로 “인접하는 기”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판(100)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전극(110), 정공주입층(210), 정공수송층(215), 발광층(220), 전자수송층(230), 전자주입층(235), 제2 전극(120), 캡핑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서로 마주하고 배치되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에는 유기물층(200)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물층(200)은 정공주입층(210), 정공수송층(215), 발광층(220), 전자수송층(230), 전자주입층(23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캡핑층(300)은 제2 전극(120)위에 증착되는 기능층으로써,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따른 유기물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제1 전극(110)은 도전성을 갖는다. 제1 전극(110)은 금속 합금 또는 도전성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일반적으로 양극(anode)이지만 전극으로의 기능은 제한하지 않는다.
제1 전극(110)은 기판(100) 상부에 전극 물질을 증착법, 전자빔 증발 또는 스퍼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의 재료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내부로 정공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높은 일함수를 갖는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캡핑층(30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방향이 전면 발광일 경우에 적용되며, 따라서 제1 전극(110)은 반사형 전극을 사용한다. 이들의 재료로는 산화물이 아닌 Mg(마그네슘), Al(알루미늄), Al-Li(알루미늄-리튬), Ca(칼슘), Mg-In(마그네슘-인듐), Mg-Ag(마그네슘-은)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최근에 와서는 CNT(탄소나노튜브), Graphene(그래핀) 등 탄소기판 유연 전극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물층(200)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층(200)이 복수의 층인 경우, 유기물층(200)은 제1 전극(110) 상에 배치된 정공수송영역(210~215), 상기 정공 수송영역 상에 배치된 발광층(220), 상기 발광층(220) 상에 배치된 전자 수송 영역(230~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핑층(300)은 후술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화합물을 포함한다.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제1 전극(110) 상에 제공된다.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정공 주입층(210), 정공 수송층(215), 정공 버퍼층 및 전자 저지층(EB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내로 원활한 정공 주입과 수송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정공이동도가 전자이동도 보다 빠르기 때문에 전자 수송영역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정공 주입층(210) 또는 정공 수송층(215)의 단일층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정공 주입 물질과 정공 수송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의 구조를 갖거나, 제1 전극(110)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210)/정공 수송층(215), 정공 주입층(210)/정공 수송층(215)/정공 버퍼층, 정공 주입층(210)/정공 버퍼층, 정공 수송층(215)/정공 버퍼층, 또는 정공 주입층(210)/정공 수송층(215)/전자 저지층(EBL)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공 수송 영역(210~215) 중 정공 주입층(210)은 양극 위로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증착법에 의하여 정공 주입층(210)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정공주입층(210) 재료로 사용하는 화합물, 목적으로 하는 정공주입층(210)의 구조 및 열적 특성 등에 따라 100 내지 500℃에서 증착 속도를 1Å/s 전후로 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정한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핀 코팅법에 의하여 정공주입층(210)을 형성하는 경우 코팅 조건은 정공주입층(210) 재료로 사용하는 화합물과 계면으로 형성되는 층들 간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고른 막형성을 위해 코팅속도, 코팅 후 용매 제거를 위한 열처리 등이 필요하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2
상기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예를 들면, m-MTDATA, TDATA, 2-TNATA, NPB, β-NPB, TPD, Spiro-TPD, Spiro-NPB, methylated-NPB, TAPC, HMTPD, TCTA(4,4',4"-트리스(N-카바졸일)트리페닐아민(4,4',4"-tris(Ncarbazolyl) triphenylamine)), Pani/DBSA (Polyaniline/Dodecylbenzenesulfonic acid:폴리아닐린/도데실벤젠술폰산),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4-styrene sulfonate):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Pani/CSA (Polyaniline/Camphor sulfonicacid : 폴리아닐린/캠퍼술폰산), PANI/PSS (Polyaniline)/Poly(4-styrenesulfonate):폴리아닐린)/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3
상기 정공 수송 영역(210~215)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10,000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정공 수송영역(210~215)의 해당 유기물층들은 같은 두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정공 주입층(210)의 두께가 50Å이면 정공 수송층(215)의 두께는 1000Å, 전자 저지층의 두께는 500Å을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수송영역(210~215)의 두께 조건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동전압 상승이 커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효율과 수명을 만족하는 정도로 정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층(200)은 정공주입층(210), 정공수송층(215), 정공주입 기능과 정공수송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층, 버퍼층, 전자저지층, 발광층(220), 정공저지층, 전자수송층(230), 전자주입층(235), 및 전자수송 기능과 전자주입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층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층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발광층(220)과 마찬가지로 특성 향상을 위해 도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공 수송 영역(210~215) 내로 전하-생성 물질의 도핑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하-생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HOMO와 LUMO가 굉장히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전하-생성 물질의 LUMO는 정공수송층(215) 물질의 HOMO와 유사한 값을 갖는다. 이러한 낮은 LUMO로 인하여 LUMO의 전자가 비어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인접한 정공수송층(215)에 쉽게 정공을 전달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전하-생성 물질은 예를 들면, p-도펀트일 수 있다. 상기 p-도펀트는 퀴논 유도체, 금속 산화물 및 시아노기-함유 화합물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p-도펀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테트라사이아노퀴논다이메테인(TCNQ) 및 2,3,5,6-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사이아노-1,4-벤조퀴논다이메테인(F4-TCNQ) 등과 같은 퀴논 유도체; 텅스텐 산화물 및 몰리브덴 산화물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및 하기 화합물 2-22 등과 같은 시아노기-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4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앞서 언급한 물질 외에, 도전성 향상을 위하여 전하 생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하 생성 물질은 정공 수송 영역(210~215) 내에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전하 생성 물질은 예를 들어, p-도펀트(dopant)일 수 있다. p-도펀트는 퀴논(quinone) 유도체, 금속 산화물 및 시아노(cyano)기 함유 화합물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p-도펀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TCNQ(Tetracyanoquinodimethane) 및 F4-TCNQ(2,3,5,6-tetrafluoro-tetracyanoquinodimethane) 등과 같은 퀴논 유도체, 텅스텐 산화물 및 몰리브덴 산화물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공 수송 영역(210~215)은 정공 주입층(210) 및 정공 수송층(215) 외에, 정공 버퍼층 및 전자 저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버퍼층은 발광층(22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른 공진 거리를 보상하여 광 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공 버퍼층에 포함되는 물질로는 정공 수송 영역(210~215)에 포함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저지층은 전자 수송 영역(230~235)으로부터 정공 수송 영역(210~215)으로의 전자 주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층이다. 전자 저지층은 정공 수송영역으로 이동하는 전자를 저지할 뿐 아니라 발광층(220)에서 형성된 엑시톤이 정공수송영역(210~215)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높은 T1 값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높은 T1값을 갖는 발광층(220)의 호스트 등을 전자저지층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발광층(220)은 정공 수송 영역(210~215) 상에 제공된다. 발광층(220)은 예를 들어 약 100Å 내지 약 1000Å 또는, 약 100Å 내지 약 3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발광층(220)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층(220)은 정공과 전자가 만나 엑시톤을 형성하는 영역으로 발광층(220)을 이루는 재료는 높은 발광 특성 및 원하는 발광색을 나타내도록 적절한 에너지밴드 갭을 가져야 하며 일반적으로 호스트와 도판트 두가지 역할을 가지는 두 재료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는 하기 TPBi, TBADN, ADN("DNA"라고도 함), CBP, CDBP, TCP, mC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특성이 적절하다면 재료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5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6
일 실시예의 발광층(220)의 도판트는 유기 금속 착물일 수 있다. 일반적인 도판트의 함량은 0.01 내지 20%로 선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발광층(220) 상에 제공된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정공 저지층, 전자 수송층(230) 및 전자 주입층(2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전자 주입층(235) 또는 전자 수송층(230)의 단일층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전자 주입 물질과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의 구조를 갖거나, 발광층(220)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전자 수송층(230)/전자 주입층(235), 정공 저지층/전자 수송층(230)/전자 주입층(235)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000Å 내지 약 1500Å인 것일 수 있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LB법(Langmuir-Blodgett), 잉크젯 프린팅법, 레이저 프린팅법, 레이저 열전사법(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LITI)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이 전자 수송층(230)을 포함할 경우, 전자 수송 영역(230)은 안트라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수송 영역은 예를 들어,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um), 1,3,5-tri[(3-pyridyl)-phen-3-yl]benzene, 2,4,6-tris(3'-(pyridin-3-yl)biphenyl-3-yl)-1,3,5-triazine, 2-(4-(N-phenylbenzoimidazolyl-1-ylphenyl)-9,10-dinaphthylanthracene, TPBi(1,3,5-Tri(1-phenyl-1H-benzo[d]imidazol-2-yl)phenyl),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TAZ(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NTAZ(4-(Naphthalen-1-yl)-3,5-diphenyl-4H-1,2,4-triazole), tBu-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BAlq(Bis(2-methyl-8-quinolinolato-N1,O8)-(1,1'-Biphenyl-4-olato)aluminum), Bebq2(beryllium bis(benzoquinolin-10-olate), ADN(9,10-di(naphthalene-2-yl)anthracene)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7
전자 수송층(230)은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 따라 빠른 전자이동도 혹은 느린 전자이동도의 재료로 선택되므로 다양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 하기 Liq나 Li이 도핑되기도 한다.
전자 수송층(230)들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약 1000Å, 예를 들어 약 150Å 내지 약 500Å일 수 있다. 전자 수송층(230)들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 상승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전자 수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이 전자 주입층(235)을 포함할 경우,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금속재료를 선택하며, LiF, LiQ(Lithium quinolate), Li2O, BaO, NaCl, CsF, Yb와 같은 란타넘족 금속, 또는 RbCl, RbI와 같은 할로겐화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주입층(235)은 또한, 전자 수송 물질과 절연성의 유기금속염(organometal salt)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금속염은 에너지 밴드 갭(energy band gap)이 대략 4eV 이상의 물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유기금속염은 금속 아세테이트(metal acetate), 금속 벤조에이트(metal benzoate), 금속 아세토아세테이트(metal acetoacetate),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metal acetylacetonate) 또는 금속 스테아레이트(stear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주입층(235)들의 두께는 약 1Å 내지 약 100Å, 약 3Å 내지 약 90Å일 수 있다. 전자 주입층(235)들의 두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 상승 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전자 주입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전자 수송 영역(230~235)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공 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저지층은 예를 들어,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및 Balq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120)은 전자 수송 영역(230~235) 상에 제공된다. 제2 전극(120)은 공통 전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투과형 전극 또는 반투과형 전극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제1 전극(110)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낮은 일함수를 갖는 금속, 전기전도성 화합물, 합금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이다. 제2 전극(120)은 Li(리튬), Mg(마그네슘), Al(알루미늄), Al-Li(알루미늄-리튬), Ca(칼슘), Mg-In(마그네슘-인듐), Mg-Ag(마그네슘-은)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질로 형성된 반사막이나 반투과막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 구조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전극(120)은 보조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120)가 보조 전극과 연결되면, 제2 전극(120)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기판(100) 상에 전극 및 유기물층을 형성하며, 이때 기판(100) 재료는 경성 또는 연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성 재료로는 소다라임 글래스, 무알칼리 글래스,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성 재료로는 PC(폴리카보네이트), PES(폴리에테르술폰), COC(싸이클릭올리펜코폴리머),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에 각각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전극(110)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은 정공 수송 영역(210~215)을 거쳐 발광층(220)으로 이동되고, 제2 전극(120)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전자 수송 영역(230~235)을 거쳐 발광층(220)으로 이동된다.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220)에서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며, 여기자가 여기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떨어지면서 발광하게 된다.
발광층(220)에서 발생된 광경로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유,무기물들의 굴절률에 따라 매우 다른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전극(120)을 통과하는 빛은 제2 전극(120)의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투과되는 빛들만 통과할 수 있다. 그 외 임계각보다 크게 제2 전극(120)에 접촉하는 빛들은 전반사 또는 반사되어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다.
캡핑층(300)에 사용하는 박막의 유기 물질 배향 방향에 따라 헤이즈(Haze)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런 헤이즈(Haze)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빛이 산란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해 효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에 3차 아민과 벤즈아졸 사이의 페닐렌기에 다양한 알킬기가 치환되면 박막의 유기 물질 배향 방향과 거칠기에 영향을 끼쳐 헤이즈(Haze)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킬기가 비치환된 화학식 1 화합물은 헤이즈(Haze)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발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캡핑층(300)의 굴절률이 높으면 이러한 전반사 또는 반사 현상을 줄여서 발광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또한 적절한 두께를 갖게 되면 미소공동(Micro-cavity)현상의 극대화로 높은 효율 향상과 색순도 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캡핑층(30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가장 바깥에 위치하게 되며, 소자의 구동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소자특성에는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캡핑층(30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내부 보호역할과 동시에 소자의 특성 향상 두가지 관점에서 모두 중요하다. 유기물질들은 특정한 파장영역의 광에너지를 흡수하며 이는 에너지밴드 갭에 의존한다. 이 에너지밴드 갭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내부의 유기물질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UV영역의 흡수를 목적으로 조정하면 캡핑층(300)이 광학특성 개선을 포함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보호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기물층 및/또는 캡핑층에 사용되는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화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Z1, Z2 및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O, S 또는 NR4 이고(단, R4 는 페닐임),
R1,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이고, l, n 및 m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에 표시된 화합물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124884369-pat00009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0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1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2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3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4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5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6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7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8
Figure 112018124884369-pat00019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0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1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2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3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4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5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6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7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8
Figure 112018124884369-pat00029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0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1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2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3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4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5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일 실시예의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간체 합성예 1: 중간체(2)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6
(중간체(2)의 합성)
1구 30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 60.0 g(171.80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37.4 g(206.20 mmol) 및 톨루엔 1143mL를 첨가한 후 Pd(dba)2 4.9 g(8.59 mmol), BINAP 10.7 g(17.20 mmol), NaOt-Bu 49.5 g(515.4 mmol)을 넣고 110 ℃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EA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켜 무기물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THF 700mL에 희석한 후 6N HCl 100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산성화(pH<2)하여 상온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교반 후 석출된 고체는 필터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필터한 고체는 Na2CO3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염기성화(pH>8)시킨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A=1:1)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EA 처리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2)) 26.8 g(수율: 54.7%)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2: 중간체(5)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7
(중간체(4)의 합성)
2-아미노페놀(2-aminophenol) 10.0 g(0.09 mol), 4-브로모벤즈알데히드(4-Bromobenzaldehyde) 16.9 g(0.09 mol)과 에탄올 114mL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건조하여 Crude 중간체(3)를 얻었다. 정제 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다음 반응을 진행한다.
중간체(3)를 디클로로메탄 370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2,3-디클로로-5,6-디사이아노-p-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 22.8 g(0.10 mol)을 천천히 넣었다. 하루 동안 교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4)) 30.5 g(수율: 94.4%)을 얻었다.
(중간체(5)의 합성)
1구 10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4) 10.0 g(36.50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7.9 g(43.80 mmol) 및 톨루엔 243 mL를 첨가한 후 Pd(dba)2 1.1 g(1.82 mmol), BINAP 2.3 g(3.65 mmol), Cs2CO3 35.7 g(109.40 mmol)을 넣고 110 ℃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감압하에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THF 182mL에 희석한 후 진한 염산 30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산성화(pH<2)하여 상온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필터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필터한 고체는 Na2CO3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염기성화(pH>8)시킨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5)) 5.9 g(수율: 78.2%)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3: 중간체(8)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8
(중간체(7)의 합성)
2-아미노벤조티올(2-aminobenzothiol) 10.0 g(76.88 mmol), 4-브로모벤즈알데히드(4-Bromobenzaldehyde) 12.8 g(69.42 mol)과 에탄올 130mL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건조하여 Crude 중간체(6)를 얻었다. 정제 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중간체(6)를 디클로로메탄 320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2,3-디클로로-5,6-디사이아노-p-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 19.9 g(0.09 mol)을 천천히 넣었다. 하루 동안 교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7)) 26.6 g(수율: 90.2%)을 얻었다.
(중간체(8)의 합성)
1구 10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7) 26.6 g(91.67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19.9 g(110.00 mmol) 및 톨루엔 270mL를 첨가한 후 Pd(dba)2 2.6 g(4.58 mmol), BINAP 5.7 g(9.17 mmol), Cs2CO3 89.6 g(275.00 mmol)을 넣고 110 ℃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감압하에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THF 300mL에 희석한 후 진한 염산 30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산성화(pH<2)하여 상온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필터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필터한 고체는 Na2CO3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염기성화(pH>8)시킨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8)) 17.8 g(수율: 85.8%)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4: 중간체(11)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39
(중간체(10)의 합성)
1구 2000mL 플라스크에 2-아미노-4-메틸페놀(2-Amino-4-methylphenol) 25.0 g(203.00 mmol), 4-브로모벤즈알 데하이드(4-Bromobenzaldehyde) 45.1 g(243.60 mmol) 및 에탄올 812mL과 혼합한 다음 8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반응물을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진공으로 4시간동안 건조하여 갈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9)) 58.9 g을 얻었다.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구 20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9) 58.9 g(202.90 mmol)과 디클로메탄 1015m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DDQ(2,3-Dichloro-5,6-dicyano-1,4-benzoquinone) 55.3 g(243.60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첨가 후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DCM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A:HEX=1:1:3)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DCM과 MeOH로 slurry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0)) 49.58 g(수율: 84.8%, 순도: 99.6 %)을 얻었다.
(중간체(11)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0) 10.0 g(34.70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7.6 g(41.60 mmol) 및 톨루엔 174mL를 첨가한 후 Pd(dba)2 1.0 g(1.73 mmol), BINAP 2.2 g(3.47 mmol), Sodium tert-butoxide 10.0 g(104.20 mmol)을 넣고 11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THF 174mL에 희석한 후 6N HCl 174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산성화(pH<2)하여 상온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교반 후 Na2CO3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염기성화(pH>8)시킨 후 EA로 추출하여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1:2)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아세톤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1)) 3.4 g(수율: 44.8%)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5: 중간체(14)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0
(중간체(12)의 합성)
4-아미노-3-브로모벤조니트릴(4-Amino-3-bromobenzonitrile) 50.0 g(253.76 mmol), 4-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4-Bromobenzoyl chloride) 55.7 g(253.76 mmol) 및 피리딘(Pyridine) 500mL를 넣고 12시간 이상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였다. 디아이소프로필 에테르(IPE)로 고체화하여 미황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12)) 75.6 g(수율: 78.3 %)을 얻었다.
(중간체(13)의 합성)
1구 1 L 플라스크에 중간체(12) 75.6 g(251.05 mmol), CuI 2.39 g(12.55 mmol), 1,10-Phenanthroline 4.5 g(25.10 mmol), Cs2CO3 148.7 g(456.56 mmol) 및 니트로벤젠(Nitrobenzene) 800mL를 하루종일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DCM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켰다. 용매 제거 후 고체를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미황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13)) 42.3 g(수율: 56.3%)을 얻었다.
(중간체(14)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3) 5.0 g(16.72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4.5 g(25.07 mmol), Pd(dba)2 961.0 mg(1.67 mmol), BINAP 2.08 g(3.34 mmol), NaOtBu 4.82 g(50.15 mmol) 및 톨루엔 80mL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THF 50mL와 6 N HCl 50mL를 넣고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주고 Na2CO3 용액으로 중화시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을 농축한 후 DCM에 녹여 Hexane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4)) 3.3 g(수율: 85.0%)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6: 중간체(17)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1
(중간체(16)의 합성)
2-아미노-4-t-부틸페놀(2-amino-4-tert-butylphenol) 10.0 g(60.52 mmol), 4-브로모벤즈알데히드(4-Bromobenzaldehyde) 11.2 g(60.52 mmol)과 에탄올 100mL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건조하여 Crude 중간체(15)를 얻었다. 정제 처리 과정을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한다.
중간체(15)를 디클로로메탄 370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2,3-디클로로-5,6-디사이아노-p-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 15.1 g(66.57 mmol)을 천천히 넣었다. 하루 동안 교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16)) 15.3 g(수율: 76.5%)을 얻었다.
(중간체(17)의 합성)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6) 5.0 g(15.14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4.1 g(22.71 mmol), Pd(dba)2 870.0 mg(1.51 mmol), BINAP 1.9 g(3.03 mmol), Cs2CO3 14.8 g(45.42 mmol) 및 톨루엔 70mL를 혼합한 다음, 11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THF 70mL와 진한 HCl 20mL를 넣고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주고 Na2CO3 용액으로 중화시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한 후 Hexane으로 고체화하여, 흰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17)) 2.0 g(수율: 50.3%)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7: 중간체(20)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2
(중간체(18)의 합성)
2-브로모-4-플루오로아닐린 (2-Bromo-4-fluoroaniline) 30.0 g(157.88 mmol), 4-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4-Bromobenzoyl chloride) 34.6 g(157.88 mmol) 및 THF 300mL를 넣고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한다. 디아이소프로필 에테르(IPE)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18)) 42.6 g(수율: 72.3%)을 얻었다.
(중간체(19)의 합성)
1구 1 L 플라스크에 중간체(18) 42.6 g(114.20 mmol), CuI 1.1 g(5.71 mmol), 1,10-Phenanthroline 2.1 g(11.42 mmol), Cs2CO3 74.4 g(228.41 mmol) 및 니트로벤젠(Nitrobenzene) 800mL를 하루종일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DCM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켰다. 용매 제거 후 고체를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미황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19)) 21.8 g(수율: 65.3 %)을 얻었다.
(중간체(20)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9) 10.0 g(34.23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7.5 g(41.08 mmol), Pd(dba)2 984.2 mg(1.71 mmol), BINAP 2.1 g(3.42 mmol), Cs2CO3 33.4 g(102.70 mmol) 및 톨루엔 100mL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THF 50mL와 6 N HCl 50mL를 넣고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주고 Na2CO3 용액으로 중화시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을 농축한 후 DCM에 녹여 Hexane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20)) 5.1 g(수율: 65.5%)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8: 중간체(24)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3
(중간체(22)의 합성)
2-아미노-4-브로모페놀(2-amino-4-bromophenol) 20.0 g(106.37 mmol), 4-클로로벤즈알데히드(4-Chlorobenzaldehyde) 14.9 g(106.37 mmol)과 에탄올 200mL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건조하여 Crude 중간체(21)를 얻었다. 정제 처리 과정을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한다.
중간체(21)를 디클로로메탄 600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2,3-디클로로-5,6-디사이아노-p-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 26.5 g(117.01 mmol)을 천천히 넣었다. 하루 동안 교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22)) 22.6 g(수율: 68.8%)을 얻었다.
(중간체(23)의 합성)
중간체(22) 22.6 g(73.24 mmol), 페닐보론산(Phenylboronic acid) 9.4 g(76.91 mmol), Pd(PPh3)4 4.2 g(3.66 mmol), 2M K2CO3 73 mL(146.49 mmol), 톨루엔 150mL 및 에탄올 75mL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생성된 침전을 감압 여과하고 톨루엔, 물, 메탄올로 세척하여 감압 건조하였다. 건조한 침전을 클로로포름 1000mL에 가열 용해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부피의 1/10 정도로 농축하고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 건조하여 고체 화합물(중간체(23)) 15.3 g(수율: 68.3%)을 얻었다.
(중간체(24)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3) 15.3 g(50.04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10.9 g(60.05 mmol), Pd(dba)2 1.4 mg(2.50 mmol), BINAP 1.6 g(2.50 mmol), Cs2CO3 48.9 g(150.12 mmol) 및 톨루엔 150mL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THF 100mL와 6N HCl 100mL를 넣고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주고 Na2CO3 용액으로 중화시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을 농축한 후 DCM에 녹여 Hexane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24)) 11.6 g(수율: 80.9%)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9: 중간체(28)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4
(중간체(26)의 합성)
2-아미노-4-브로모페놀(2-amino-5-bromophenol) 20.0 g(106.37 mmol), 4-클로로벤즈알데히드(4-Chlorobenzaldehyde) 14.9 g(106.37 mmol)과 에탄올 200mL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건조하여 Crude 중간체(25)를 얻었다. 정제 처리 과정을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한다.
중간체(25)를 디클로로메탄 600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2,3-디클로로-5,6-디사이아노-p-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 26.5 g(117.01 mmol)을 천천히 넣었다. 하루 동안 교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26)) 22.6 g(수율: 68.8%)을 얻었다.
(중간체(27)의 합성)
중간체(26) 22.6 g(73.24 mmol), 페닐보론산(Phenylboronic acid) 9.4 g(76.91 mmol), Pd(PPh3)4 4.2 g(3.66 mmol), 2M K2CO3 73 mL(146.49 mmol), 톨루엔 150mL 및 에탄올 75mL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생성된 침전을 감압 여과하고 톨루엔, 물, 메탄올로 세척하여 감압 건조하였다. 건조한 침전을 클로로포름 1000mL에 가열 용해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부피의 1/10 정도로 농축하고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 건조하여 고체 화합물(중간체(27)) 15.3 g(수율: 68.3%)을 얻었다.
(중간체(28)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7) 15.3 g(50.04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10.9 g(60.05 mmol), Pd(dba)2 1.4 mg(2.50 mmol), BINAP 1.6 g(2.50 mmol), Cs2CO3 48.9 g(150.12 mmol) 및 톨루엔 150mL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THF 100mL와 6N HCl 100mL를 넣고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주고 Na2CO3 용액으로 중화시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을 농축한 후 DCM에 녹여 Hexane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28)) 11.6 g(수율: 80.9%)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0: 중간체(30)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5
(중간체(29)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4-브로모벤질아민 10.0 g(53.75 mmol), 페난트렌-9,10-디온(Phenanthrene-9,10-dione) 11.2 g(53.75 mmol), Ag2CO3 22.2 g(80.62 mmol) 및 1,4-디옥산 100mL를 혼합한 다음, 50℃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옅은 노란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29)) 12.3 g(수율: 61.1%)을 얻었다.
(중간체(30)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9) 7.0 g(18.70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5.1 g(28.1 mmol) 및 톨루엔 187mL를 첨가한 후 Pd(dba)2 0.5 g(0.94 mmol), BINAP 1.2 g(1.87 mmol), Sodium tert-butoxide 5.4 g(56.10 mmol)을 넣고 11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감압하에 CHCl3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THF 93mL에 희석한 후 진한 염산 40.0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산성화(pH<2)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Na2CO3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염기성화(pH>8)시킨 후 CHCl3로 추출하여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CHCl3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30)) 3.2 g(수율: 55.2 %)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1: 중간체(33)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6
(중간체(32)의 합성)
2-아미노페놀(2-aminophenol) 10.0 g(0.09 mol), 4-브로모벤즈알데히드(4-Bromobenzaldehyde) 16.9 g(0.09 mol)과 에탄올 114mL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건조하여 Crude 중간체(31)를 얻었다. 정제 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다음 반응을 진행한다.
중간체(31)를 디클로로메탄 370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2,3-디클로로-5,6-디사이아노-p-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 22.8 g(0.10 mol)을 천천히 넣었다. 하루 동안 교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32)) 30.5 g(수율: 94.4%)을 얻었다.
(중간체(33)의 합성)
1구 1000 mL 플라스크에 중간체(32) 10.0 g(36.50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7.9 g(43.80 mmol) 및 톨루엔 243mL를 첨가한 후 Pd(dba)2 1.1 g(1.82 mmol), BINAP 2.3 g(3.65 mmol), Cs2CO3 35.7 g(109.40 mmol)을 넣고 11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감압하에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THF 182mL에 희석한 후 진한 염산 30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산성화(pH<2)하여 상온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필터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필터한 고체는 Na2CO3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염기성화(pH>8)시킨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33)) 5.9 g(수율: 78.2%)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2: 중간체(36)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7
(중간체(35)의 합성)
1구 2000mL 플라스크에 2-아미노-4-메톡시페놀(2-Amino-4-methoxyphenol) 25.0 g(203.00 mmol), 4-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4-Bromobenzaldehyde) 45.1 g(243.60 mmol) 및 에탄올 812mL과 혼합한 다음 8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반응물을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진공으로 4시간동안 건조하여 갈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34)) 58.9 g을 얻었다.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구 20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34) 58.9 g과 디클로메탄 1015m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DDQ(2,3-Dichloro-5,6-dicyano-1,4-benzoquinone) 55.3 g(243.60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첨가 후 하루 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DCM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A:HEX=1:1:3)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DCM과 MeOH로 slurry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35)) 49.58 g(수율: 84.8%, 순도: 99.6 %)을 얻었다.
(중간체(36)의 합성)
1구 500mL 플라스크에 중간체(35) 10.0 g(34.70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7.6 g(41.60 mmol) 및 톨루엔 174mL를 첨가한 후 Pd(dba)2 1.0 g(1.73 mmol), BINAP 2.2 g(3.47 mmol), Sodium tert-butoxide 10.0 g(104.20 mmol)을 넣고 11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THF 174mL에 희석한 후 6N HCl 174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산성화(pH<2)하여 상온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교반 후 Na2CO3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염기성화(pH>8)시킨 후 EA로 추출하여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1:2)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아세톤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베이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36)) 3.4 g(수율: 44.8%)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3: 중간체(39)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8
(중간체(37)의 합성)
2-브로모-4-tert-부틸아닐린 (2-Bromo-4-tert-butylaniline) 30.0 g(157.88 mmol), 4-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4-Bromobenzoyl chloride) 34.6 g(157.88 mmol) 및 THF 300mL를 넣고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한다. 디아이소프로필 에테르(IPE)로 고체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37)) 42.6 g(수율: 72.3%)을 얻었다.
(중간체(38)의 합성)
1구 1 L 플라스크에 중간체(37) 42.6 g(114.20 mmol), CuI 1.1 g(5.71 mmol), 1,10-Phenanthroline 2.1 g(11.42 mmol), Cs2CO3 74.4 g(228.41 mmol) 및 니트로벤젠(Nitrobenzene) 800mL를 하루종일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DCM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켰다. 용매 제거 후 고체를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미황색의 고체 화합물(중간체(38)) 21.8 g(수율: 65.3 %)을 얻었다.
(중간체(39)의 합성)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38) 5.0 g(15.14 mmol), 벤조페논 이민(Benzophenone imine) 4.1 g (22.71 mmol), Pd(dba)2 871.0 mg(1.51 mmol), BINAP 1.9 g(3.03 mmol), NaOtBu 8.7 g(90.85 mmol) 및 톨루엔 80mL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을 celite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THF 50mL와 6N HCl 50mL를 넣고 하루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a2CO3 용액으로 중화시켜 CHCl3로 추출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6:1)로 정제하고 DCM에 녹인 후 Hexane를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중간체(39) 2.4 g(수율: 59.8%)을 얻었다.
상기 합성된 중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다양한 아릴 아민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1: 화합물 2-1(LT18-30-267)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49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2.0 g(7.01 mmol), 중간체(4) 5.1 g(14.72 mmol) 및 Xylene 100mL를 첨가한 후 50℃에서 교반한 후 Pd(dba)2 403.0 mg(0.70 mmol), Sodium tert-butoxide 2.0 g(21.03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 (50wt% in Toluene) 567.2 mg(1.40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CHCl3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Hexane으로 고체화하여 노란색의 고체을 수득한 후 CHCl3 800mL에 가열하여 녹인 후 charcoal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Hot CHCl3:EA=20:1)을 사용하여 셀라이트와 SiO2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CHCl3:HEX=1:1:5)로 정제하였다.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1(LT18-30-267) 3.1 g(수율: 65.8%)을 얻었다.
실시예 2: 화합물 2-2(LT18-30-198)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0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5) 1.8 g(8.56 mmol), 중간체(4) 5.9 g(21.40 mmol) 및 Xylene 85.6mL 를 첨가한 후 50℃에서 교반한 후 Pd(dba)2 0.5 g(0.86 mmol), Sodium tert-butoxide 4.9 g(51.40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 (50wt% in Toluene) 0.69 g(1.71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감압하에 CHCl3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Hexane으로 고체화하여 노란색의 고체를 수득한 후 CHCl3 800mL에 가열하여 녹인 후 charcoal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Hot CHCl3:EA=20:1)을 사용하여 셀라이트와 SiO2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CHCl3:HEX=1:1:5)로 정제하였다.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2(LT18-30-198) 3.0 g(수율: 59.1%)을 얻었다.
실시예 3: 화합물 2-3(LT18-30-238)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1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8) 2.0 g(8.84 mmol), 중간체(4) 5.1 g(21.4 mmol) 및 Xylene 100mL를 첨가한 후 50℃에서 교반한 후 Pd(dba)2 0.5 g(0.88 mmol), Sodium tert-butoxide 2.6 g(26.51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 (50wt% in Toluene) 0.72 g(1.77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감압하에 CHCl3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Hexane으로 고체화하여 노란색의 고체을 수득한 후 CHCl3 800mL에 가열하여 녹인 후 charcoal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Hot CHCl3:EA=20:1)을 사용하여 셀라이트와 SiO2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CHCl3:HEX=1:1:5)로 정제하였다.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3(LT18-30-238) 2.6 g(수율: 48.0%)을 얻었다.
실시예 4: 화합물 2-4(LT18-30-346)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2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1) 1.5 g(6.69 mmol), 중간체(4) 5.50 g(20.10 mmol) 및 Xylene 45mL를 첨가하였다. Pd(dba)2 0.39 g(0.66 mmol), Sodium tert-butoxide 3.7 g(40.10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 (50wt % in Toluene) 0.5 g(1.34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DCM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1:5)로 정제하였다. 아세톤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4(LT18-30-346)을 2.6 g(수율: 63.7%)을 얻었다.
실시예 5: 화합물 2-5(LT18-30-305)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3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4) 3.4 g(14.28 mmol), 중간체(4) 9.0 g(32.85 mmol), Pd(dba)2 821.0 mg(1.43 mmol), 50% t-Bu3P 1.2 g(2.86 mmol), NaOtBu 8.2 g (85.70 mmol) 및 Xylene 8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9:1)로 정제하고 아세톤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5(LT18-30-305) 675 mg(수율: 7.6%)을 얻었다.
실시예 6: 화합물 2-7(LT18-30-292)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4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39) 2.4 g(9.05 mmol), 중간체(4) 6.0 g (21.72 mmol), Pd(dba)2 520.0 mg(0.90 mmol), 50% t-Bu3P 732.0 mg(1.81 mmol), NaOtBu 5.2 g(54.29 mmol) 및 Xylene 6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20:1)로 정제하고 아세톤에 녹인 후 MeOH를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7(LT18-30-292) 3.5 g(수율: 58.9%)을 얻었다.
실시예 7: 화합물 2-10(LT18-30-252)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5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7) 2.0 g(7.51 mmol), 중간체(4) 5.2 g(18.77 mmol), Pd(dba)2 432.0 mg(0.75 mmol), 50% t-Bu3P 607.0 mg(1.50 mmol), NaOtBu 4.3 g(45.06 mmol) 및 Xylene 75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넣고 CHCl3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20:1)로 정제하고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10(LT18-30-252) 2.4 g(수율: 48.3%)을 얻었다.
실시예 8: 화합물 2-12(LT18-30-362)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6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0) 2.0 g(8.76 mmol), 중간체(4) 5.0 g(18.40 mmol) 및 Xylene 50mL를 첨가하였다. Pd(dba)2 0.50 g(0.66 mmol), Sodium tert-butoxide 2.5 g(26.29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 (50wt % in Toluene) 0.7 g(1.75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DCM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1:5)로 정제하였다. 아세톤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12(LT18-30-362)을 3.1 g(수율: 57.5%)을 얻었다.
실시예 9: 화합물 2-13(LT18-30-342)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7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4) 1.5 g(5.20 mmol), 중간체(4) 3.2 g(11.50 mmol), NaOtBu 2.0 g(21.00 mmol), Xylene 150mL와 같이 넣고 교반하다가 Pd(dba)2 0.2 g(0.30 mmol), P(t-Bu)3 0.1 mL(0.4 mmol)를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제거하고 CHCl3로 celite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3:1)로 정제하여 약간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13(LT18-30-342) 2.2 g(수율: 62.3%)을 얻었다.
실시예 10: 화합물 2-14(LT18-30-384)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8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8) 1.5 g(5.20 mmol), 중간체(4) 3.2 g(11.50 mmol), NaOtBu 2.0 g(21.00 mmol), Xylene 150mL와 같이 넣고 교반하다가 Pd(dba)2 0.2 g(0.30 mmol), P(t-Bu)3 0.1 mL(0.4 mmol)를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제거하고 CHCl3로 celite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3:1)로 정제하여 약간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14(LT18-30-384) 2.0 g(수율: 58.3%)을 얻었다.
실시예 11: 화합물 2-15(LT18-30-302)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59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30) 2.5 g(8.06 mmol), 중간체(4) 5.7 g(20.90 mmol)및 Xylene 80.6mL를 첨가하였다. Pd(dba)2 0.5 g(0.81 mmol), Sodium tert-butoxide 4.6 g(48.30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50wt% in Toluene) 0.7 g(1.61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석출된 고체를 Hexane과 MeOH를 사용하여 필터하여 갈색 고체 화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를 클로로포름에 녹여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EA=20:1)로 정제하였다. 아세톤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황갈색의 고체 화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을 클로로포름에 녹여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CHCl3:HEX=1:1:1)로 정제하였다.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15(LT18-30-302)을 2.4 g(수율: 43.5%)을 얻었다.
실시예 12: 화합물 2-23(LT18-30-321)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0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5) 1.5 g(7.13 mmol), 중간체(16) 5.7 g (17.12 mmol), Pd(dba)2 410.0 mg(0.71 mmol), 50% t-Bu3P 577 mg(1.43 mmol), NaOtBu 4.1 g(42.81 mmol) 및 Xylene 7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고, 물을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20:1)로 정제하고 아세톤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23(LT18-30-321) 2.4 g(수율: 47.1%)을 얻었다.
실시예 13: 화합물 2-25(LT18-30-269)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1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33) 1.8 g(8.56 mmol), 중간체(32) 6.1 g(22.30 mmol) 및 Xylene 57mL를 첨가하였다. Pd(dba)2 0.5 g(0.86 mmol), Sodium tert-butoxide 4.9 g(51.40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50wt% in Toluene) 0.7 g(1.71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석출된 고체를 Hexane으로 필터하여 베이지색의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을 뜨거운 클로로포름에 녹여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ot CHCl3:EA=50:1)로 정제하였다. CHCl3와 Hexane으로 slurry하여 옅은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25(LT18-30-269)을 3.1 g(수율: 60.9%)을 얻었다.
실시예 14: 화합물 2-26(LT18-30-245)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2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5) 1.5 g(7.13 mmol), 중간체(32) 4.9 g(17.84 mmol), Pd(dba)2 410.0 mg(0.71 mmol), 50% t-Bu3P 577.0 mg(1.43 mmol), NaOtBu 4.1 g(42.81 mmol) 및 Xylene 5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고체를 여과한 후 물과 메탄올로 씻어서 건조하였다. 건조한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EA=8:1)로 정제하고 메탄올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26(LT18-30-245) 1.6 g(수율: 36.9%)을 얻었다.
실시예 15: 화합물 2-27(LT18-30-260)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3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36) 1.7 g(7.03 mmol), 중간체(4) 4.8 g(17.59 mmol), Pd(dba)2 404.5 mg(0.70 mmol), 50% t-Bu3P 569.0 mg(1.41 mmol), NaOtBu 4.1 g(42.20 mmol) 및 Xylene 7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넣고 CHCl3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8:1)로 정제하고 EA와 MeOH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27(LT18-30-260) 2.1 g(수율: 48.3%)을 얻었다.
실시예 16: 화합물 2-28(LT18-30-320)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4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1.5 g(7.13 mmol), 중간체(16) 5.7 g (17.12 mmol), Pd(dba)2 410.0 mg(0.71 mmol), 50% t-Bu3P 577 mg(1.43 mmol), NaOtBu 4.1 g(42.81 mmol) 및 Xylene 7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고, 물을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20:1)로 정제하고 아세톤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28(LT18-30-320) 2.4 g(수율: 47.1%)을 얻었다.
실시예 17: 화합물 2-29(LT18-30-319)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5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2.0 g(7.01 mmol), 중간체(7) 5.1 g(14.72 mmol) 및 Xylene 100mL를 첨가한 후 50℃에서 교반한 후 Pd(dba)2 403.0 mg(0.70 mmol), Sodium tert-butoxide 2.0 g(21.03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50wt% in Toluene) 567.2 mg(1.40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CHCl3으로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Hexane으로 고체화하여 노란색의 고체를 수득한 후 CHCl3 800mL에 가열하여 녹인 후 charcoal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Hot CHCl3:EA=20:1)을 사용하여 셀라이트와 SiO2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은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CHCl3:HEX=1:1:5)로 정제하였다. DCM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29(LT18-30-319) 3.1 g(수율: 65.8%)을 얻었다.
실시예 18: 화합물 2-31(LT18-30-361)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6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11) 1.9 g(8.47 mmol), 중간체(7) 7.3 g(25.40 mmol) 및 Xylene 56mL를 첨가하였다. Pd(dba)2 0.5 g(0.85 mmol), Sodium tert-butoxide 4.9 g(50.80 mmol) 및 tri-tert-butylphospine(50wt% in Toluene) 0.7 g(1.69 mmol)을 첨가한 후 125~13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을 감압 하에 DCM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A:HEX=1:1:5)로 정제하여 고체 화합물을 얻었다. 아세톤과 Hexane으로 slurry하여 노란색의 고체 화합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고체 화합물을 CHCl3에 완전히 녹인 후 Hexane를 천천히 첨가하여 재결정한 후 석출된 고체를 Hexane으로 필터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31(LT18-30-361) 3.4 g(수율: 63.2%)을 얻었다.
실시예 19: 화합물 2-33(LT18-35-300)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7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8) 2.0 g(8.84 mmol), 중간체(7) 5.4 g (18.56 mmol), Pd(dba)2 508.2 mg(0.88 mmol), 50% t-Bu3P 715.2 mg(1.77 mmol), NaOtBu 2.6 g(26.51 mmol) 및 Xylene 10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고, 물을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20:1)로 정제하고 아세톤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33(LT18-35-300) 3.1 g(수율: 54.4%)을 얻었다.
실시예 20: 화합물 2-40(LT18-30-345)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8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4) 1.8 g(6.30 mmol), 중간체(7) 4.0 g(13.80 mmol), NaOtBu 2.4 g(25.1 mmol), Xylene 150mL와 같이 넣고 교반하다가 Pd(dba)2 0.2 g(0.40 mmol), P(t-Bu)3 0.1 mL(0.50 mmol)를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제거하고 CHCl3로 celite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Hex=1:1→Hex:EA=3:1)로 정제하여 약간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40(LT18-30-345) 2.6 g(수율: 59.1%)을 얻었다.
실시예 21: 화합물 2-41(LT18-30-385)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69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8) 1.8 g(6.30 mmol), 중간체(7) 4.0 g(13.80 mmol), NaOtBu 2.4 g(25.1 mmol), Xylene 150mL와 같이 넣고 교반하다가 Pd(dba)2 0.2 g(0.40 mmol), P(t-Bu)3 0.1 mL(0.50 mmol)를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제거하고 CHCl3로 celite 패드에 통과시킨 후 감압 증류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Hex=1:1→Hex:EA=3:1)로 정제하여 약간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41(LT18-30-385) 2.5 g(수율: 58.1%)을 얻었다.
실시예 22: 화합물 2-55(LT18-35-301)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70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2) 1.5 g(5.26 mmol), 중간체(1) 3.9 g(11.04 mmol), Pd(dba)2 302.3 mg(0.53 mmol), 50% t-Bu3P 212.7 mg(1.05 mmol), NaOtBu 1.5 g(15.77 mmol) 및 Xylene 7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고, 물을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20:1)로 정제하고 아세톤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55(LT18-35-301) 2.0 g(수율: 46.3%)을 얻었다.
실시예 23: 화합물 2-56(LT18-35-302)의 합성
Figure 112018124884369-pat00071
1구 250mL 플라스크에 중간체(5) 2.0 g(9.51 mmol), 중간체(1) 7.0 g(19.98 mmol), Pd(dba)2 547.0 mg(0.95 mmol), 50% t-Bu3P 384.9 mg(0.95 mmol), NaOtBu 2.7 g(28.54 mmol) 및 Xylene 100mL를 혼합한 다음, 1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고, 물을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EA:20:1)로 정제하고 아세톤에 녹인 후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고체화하여, 노란색 고체의 화합물 2-56(LT18-35-302) 3.2 g(수율: 45.0%)을 얻었다.
<시험예>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Filmetrics社 F20 기기를 이용하여 n(refractive index)과 k(extinction coefficient)를 측정하였다.
유리기판(0.7T)을 Ethanol, DI, Acetone에 각각 10분씩 세척한 후, 유리기판 위에 화합물을 800Å 증착하여 광학 특성을 측정한다.
비교시험예 : Glass/REF01(80 nm)
광학 특성 소자는 Glass상에 REF01(80nm)을 증착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물을 증착하기 전에 Glass는 2×10- 2Torr에서 125W로 2분간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였다. 유기물은 9×10- 7Torr의 진공도에서 증착하였으며 유기물은 1Å/sec의 속도로 증착하였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72
< 시험예 1 내지 23 >
상기 비교시험예에서, REF01을 이용하는 대신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각의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시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 비교시험예 및 시험예 1 내지 23에서 제조된 광학 특성 샘플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냈다.
표 1에서 420nm 및 620nm 파장에서 굴절율 상수 및 380nm 파장에서의 흡수율 상수를 제시하였다.
구분 화합물 n(450nm, 620nm) k(380nm)
비교예01 REF01 2.138, 1.971 0.274
시험예 1 2-1
(LT18-30-267)
2.227, 1.980 0.634
시험예 2 2-2
(LT18-30-198)
2.326, 2.018 0.679
시험예 3 2-3
(LT18-30-238)
2.263, 1.997 0.598
시험예 4 2-4
(LT18-30-346)
2.500, 2.071 0.759
시험예 5 2-5
(LT18-30-305)
2.426, 2.108 0.693
시험예 6 2-7
(LT18-30-292)
2.362, 2.008 0.532
시험예 7 2-10
(LT18-30-252)
2.283, 1.953 0.658
시험예 8 2-12
(LT18-30-362)
2.463, 2.118 0.555
시험예 9 2-13
(LT18-30-342)
2.242, 1.988 0.619
시험예 10 2-14
(LT18-30-384)
2.512, 2.165 0.366
시험예 11 2-15
(LT18-30-302)
2.227, 1.980 0.634
시험예 12 2-23
(LT18-30-321)
2.426, 2.108 0.693
시험예 13 2-25
(LT18-30-269)
2.362, 2.008 0.532
시험예 14 2-26
(LT18-30-245)
2.283, 1.953 0.658
시험예 15 2-27
(LT18-30-260)
2.105, 1.906 0.141
시험예 16 2-28
(LT18-30-320)
2.333, 1.989 0.421
시험예 17 2-29
(LT18-30-319)
2.225, 1.954 0.659
시험예 18 2-31
(LT18-30-361)
2.227, 1.980 0.634
시험예 19 2-33
(LT18-35-300)
2.426, 2.108 0.693
시험예 20 2-40
(LT18-30-345)
2.362, 2.008 0.532
시험예 21 2-41
(LT18-30-385)
2.426, 2.108 0.693
시험예 22 2-55
(LT18-35-301)
2.362, 2.008 0.532
시험예 23 2-56
(LT18-35-302)
2.283, 1.953 0.658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REF01)의 450nm에서의 n값은 2.138 이었고, 이에 반해 대부분의 시험예 화합물들은 대체적으로 2.138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청색영역에서의 높은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높은 굴절률 값에 만족한다.
또한, UV영역의 시작단계에 해당하는 380nm에서의 k값 또한, 대부분의 시험예 화합물들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UV영역의 고에너지 외부 광원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내부의 유기물들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질적인 수명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소자 제작
소자 제작을 위해 투명 전극인 ITO는 양극 층으로 사용하였고, 2-TNATA는 정공 주입층, NPB는 정공 수송층, αβ-ADN은 발광층의 호스트, Pyrene-CN은 청색 형광 도판트, Liq는 전자 주입층, Mg:Ag은 음극으로 사용하였다. 이 화합물들의 구조는 하기의 화학식과 같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73
비교실시예 : ITO / 2-TNATA(60 nm) / NPB(20 nm) / αβ-ADN:10% Pyrene-CN(30 nm) / Alq3(30 nm) / Liq(2 nm) / Mg:Ag(1:9, 10 nm)
청색 형광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ITO(180 nm) / 2-TNATA (60 nm) / NPB (20 nm) / αβ-ADN:Pyrene-CN 10% (30 nm) / Alq3 (30 nm) / Liq (2 nm) / Mg:Ag (1:9, 10 nm) 순으로 증착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물을 증착하기 전에 ITO 전극은 2 × 10-2Torr에서 125W로 2분간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였다. 유기물은 9 × 10- 7Torr의 진공도에서 증착하였으며, Liq는 0.1 Å/sec, αβ-ADN은 0.18 Å/sec의 기준으로 Pyrene-CN는 0.02 Å/sec으로 동시 증착하였고, 나머지 유기물들은 모두 1 Å/sec의 속도로 증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캡핑층 물질은 REF01로 선택하였다. 소자 제작이 끝난 후 소자의 공기 및 수분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질소 기체로 채워져 있는 글러브 박스 안에서 봉지를 하였다. 3M사의 접착용 테이프로 격벽을 형성 후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흡습제인 바륨산화물(Barium Oxide)을 넣고 유리판을 붙였다.
Figure 112018124884369-pat00074
< 실시예 1 내지 23 >
상기 비교실시예에서, REF01을 이용하는 대신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각각의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 비교실시예 및 실시예 1 내지 23에서 제조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한 전기적 발광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화합물 구동전압
[V]
효율
[cd/A]
수명
(%)
비교실시예01 REF01 6.60 5.10 88.92
실시예 1 2-1
(LT18-30-267)
4.62 6.70 98.87
실시예 2 2-2
(LT18-30-198)
3.93 6.07 105.43
실시예 3 2-3
(LT18-30-238)
3.81 5.65 98.79
실시예 4 2-4
(LT18-30-346)
3.64 5.40 94.23
실시예 5 2-5
(LT18-30-305)
3.61 6.65 98.85
실시예 6 2-7
(LT18-30-292)
4.05 5.72 108.17
실시예 7 2-10
(LT18-30-252)
3.77 5.50 97.38
실시예 8 2-12
(LT18-30-362)
4.06 6.42 104.94
실시예 9 2-13
(LT18-30-342)
3.97 5.65 99.91
실시예 10 2-14
(LT18-30-384)
4.17 7.37 100.51
실시예 11 2-15
(LT18-30-302)
4.00 6.37 106.42
실시예 12 2-23
(LT18-30-321)
4.14 6.97 99.52
실시예 13 2-25
(LT18-30-269)
3.66 5.57 95.67
실시예 14 2-26
(LT18-30-245)
3.93 5.77 101.48
실시예 15 2-27
(LT18-30-260)
3.60 6.25 103.34
실시예 16 2-28
(LT18-30-320)
3.77 5.50 96.15
실시예 17 2-29
(LT18-30-319)
3.55 5.58 95.81
실시예 18 2-31
(LT18-30-361)
3.96 6.81 104.71
실시예 19 2-33
(LT18-35-300)
3.95 9.00 97.57
실시예 20 2-40
(LT18-30-345)
3.71 5.87 99.30
실시예 21 2-41
(LT18-30-385)
4.02 8.62 97.60
실시예 22 2-55
(LT18-35-301)
4.10 6.31 101.86
실시예 23 2-56
(LT18-35-302)
4.00 7.11 97.23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비롯한 유기 전자 소자의 캡핑층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를 비롯한 유기 전자 소자는 효율, 구동전압, 안정성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미소공동(Micro-cavity)현상의 능력이 우수하여 높은 효율 특성을 나타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OLED에서 캡핑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의외의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산업용 제품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합성예는 일 예시이며, 반응 조건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 및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치환기를 가지도록 합성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어 구조에 다양한 치환체를 도입함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100: 기판, 110: 제1 전극, 120: 제2 전극, 200: 유기물층, 210: 정공주입층, 215: 정공수송층, 220: 발광층, 230: 전자수송층, 235: 전자주입층, 300: 캡핑층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캡핑층용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19034966158-pat00106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고, l, n 및 m은 0 내지 4의 정수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캡핑층용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화학식 2]
    Figure 112019034966158-pat00107

    Figure 112019034966158-pat00108

    Figure 112019034966158-pat00109

    Figure 112019034966158-pat00110

    Figure 112019034966158-pat00111
  3.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물층으로 구성된 유기물층;
    상기 유기물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된 캡핑층;을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180160253A 2018-12-12 2018-12-12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5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253A KR102059550B1 (ko) 2018-12-12 2018-12-12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CT/KR2019/011129 WO2020122359A1 (ko) 2018-12-12 2019-08-30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201980081996.4A CN113195485A (zh) 2018-12-12 2019-08-30 三苯并吡咯胺衍生物以及包含该三苯并吡咯胺衍生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US17/296,442 US11952372B2 (en) 2018-12-12 2019-08-30 Tribenzazole 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same
EP19894603.0A EP3875455A4 (en) 2018-12-12 2019-08-30 TRIBENZAZOL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253A KR102059550B1 (ko) 2018-12-12 2018-12-12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550B1 true KR102059550B1 (ko) 2019-12-26

Family

ID=6910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253A KR102059550B1 (ko) 2018-12-12 2018-12-12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52372B2 (ko)
EP (1) EP3875455A4 (ko)
KR (1) KR102059550B1 (ko)
CN (1) CN113195485A (ko)
WO (1) WO202012235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0896A1 (ja) * 2020-01-08 2021-07-1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21166935A1 (ja) * 2020-02-17 2021-08-26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21177616A1 (ko) * 2020-03-04 2021-09-10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광효율 개선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기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0069A (ko) 2021-08-02 2023-02-10 주식회사 랩토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US11706943B2 (en) 2017-12-21 2023-07-18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2255A (zh) * 2019-09-26 2021-03-26 南京高光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含有三苯胺结构的有机电致发光材料及应用该材料的有机电致发光器件
WO2022025647A1 (ko) * 2020-07-31 2022-02-0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신규한 캡핑층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230026552A (ko) * 2021-08-12 2023-02-27 주식회사 랩토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68B1 (ko) * 2007-05-28 2008-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청색 유기전기 발광소재 및 이를 발광층 재료로 이용하는전기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38790D1 (de) * 2000-09-25 2009-07-09 Konica Corp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zelement und dafür verwendetes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zmaterial
WO2006045201A2 (en) * 2004-10-28 2006-05-04 Zheng-Hong Lu Alkaline fluoride dope molecular films and applications for p-n junction and field-effect transistor devices
KR101788366B1 (ko) 2014-11-24 2017-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굴절률 캡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5440084B (zh) * 2015-12-29 2018-03-16 西安交通大学 基于三苯胺的三金属核心铂配合物磷光材料及其合成方法
KR102046983B1 (ko) * 2018-08-03 2019-11-20 (주)피엔에이치테크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68B1 (ko) * 2007-05-28 2008-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청색 유기전기 발광소재 및 이를 발광층 재료로 이용하는전기발광소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6943B2 (en) 2017-12-21 2023-07-18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997870B2 (en) 2017-12-21 2024-05-28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1140896A1 (ja) * 2020-01-08 2021-07-1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4089156A4 (en) * 2020-01-08 2024-01-17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WO2021166935A1 (ja) * 2020-02-17 2021-08-26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21177616A1 (ko) * 2020-03-04 2021-09-10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광효율 개선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기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0069A (ko) 2021-08-02 2023-02-10 주식회사 랩토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5455A1 (en) 2021-09-08
EP3875455A4 (en) 2022-07-27
US20220017503A1 (en) 2022-01-20
US11952372B2 (en) 2024-04-09
WO2020122359A1 (ko) 2020-06-18
CN113195485A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171B1 (ko) 아릴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59550B1 (ko) 트리벤즈아졸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60645B1 (ko)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517278B1 (ko) 트리아진 또는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252493B1 (ko) 벤즈아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EP4129964A1 (en)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030385A (ko) 안트라센 또는 트라이페닐렌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10141824A (ko) 벤즈아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10141825A (ko) 벤즈아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417622B1 (ko)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470622B1 (ko)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517277B1 (ko) 시아노기가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261704B1 (ko)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30028821A (ko) 시아노기가 치환된 헤테로아릴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30025723A (ko) 시아노기가 치환된 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256222B1 (ko)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90082052A (ko) 아릴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274482B1 (ko)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460493B1 (ko) 디벤조 5원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443601B1 (ko) 3차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99172B1 (ko) 아릴 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561396B1 (ko) 다이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612519B1 (ko) 유기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40013989A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40013521A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23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029

Effective date: 20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