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845B1 -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845B1
KR102058845B1 KR1020190118247A KR20190118247A KR102058845B1 KR 102058845 B1 KR102058845 B1 KR 102058845B1 KR 1020190118247 A KR1020190118247 A KR 1020190118247A KR 20190118247 A KR20190118247 A KR 20190118247A KR 102058845 B1 KR102058845 B1 KR 10205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peaker frame
unit
grip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화
박수병
Original Assignee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박수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박수병 filed Critical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또는 PA용 스피커를 제조하기 위한 준비, 조립, 완성, 건조, 검사라인을 일괄적으로 자동화함으로서 공정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도모함에 있어 상기 준비라인중 스프커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스피커 프레임(F)을 회전유닛(100) 상면에 복수개 이상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된 적층유닛(110)에 적층 가능하도록 하여 각 적층유닛(110)이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토록 한 후 상기 회전유닛(100)의 중앙에 구비된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상기 적층유닛(110)에 적층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쉬프트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부(10)와 상기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쉬프트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그립한 후 회전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가능하도록 하는 그립부(20)와 상기 그립부(20)에 의해 그립 이동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와 이송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기 전에 스피커 프레임(F)을 정위치로 교정하는 위치교정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유닛(110)은,
회전유닛(100) 상면에 구비된 회전판(101)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중앙에는 센터봉(111)이 고정되어 있고 일측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봉(112)이 복수개 이상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13)과, 상기 센터봉(111)에 끼워져 센터봉(111)을 축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봉(112)이 관통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114)과, 상기 슬라이딩판(114) 하단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114)과 함께 슬라이딩되되 상기 고정판(113)과 슬라이딩판(114) 간격을 고정키 간격유지부재(115)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스피커 프레임를 요크와 결합키 위한 준비 공정으로서 스피커 프레임을 자동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에 있어 스피커 프레임의 형상에 의해 균일하게 적재되지 아니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여 스피커 프레임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으로서 원활한 작업공정과 메인 라인의 오류 및 적체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Speaker Frame Auto Feeder for Speaker Automation Production}
본 발명은 오디오 또는 PA용 스피커를 제조하기 위한 준비, 조립, 완성, 건조, 검사라인을 일괄적으로 자동화함으로서 공정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도모함에 있어 상기 준비라인중 스프커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speaker)는 전기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시켜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음파를 방출하는 음향 장치이다.
이와 같은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오디오 등의 대량 생산에 발맞춰 대량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스피커의 생산 시간 단축과 조립성 및 생산성의 향상이 본 기술 분야에서 향상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피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피커 제조는 본체 프레임의 하단에 요크를 장착하는 요크장착 단계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마그넷과 플레이트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마그넷 및 플레이트 부착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에 관형의 조립 지그를 끼워 넣는 조립 지그 설치 단계와, 상기 조립 지그의 외주면에 보이스코일을 끼워 넣는 보이스코일 설치 단계와, 상기 보이스코일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면 사이에 댐퍼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댐퍼 부착 단계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단 내측에 엣지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엣지 부착 단계와, 상기 엣지의 내측단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상단 둘레에 콘페이퍼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콘페이퍼 부착 단계와, 상기 조립 지그가 설치된 상태로 접착제가 건조되도록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1차 건조 단계와, 상기 1차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조립 지그를 분리하고 상기 콘페이퍼의 상면 중앙에 더스트캡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더스트캡 부착 단계와, 접착제가 건조되도록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와, 검사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복잡한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제조공정을 종래에는 각 공정 또는 단계마다 수동으로 인력을 투입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였고 이로 인하여 스피커의 생산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스피커의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짐으로서 대량생산의 추세에 부합되지아니 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불량률이 높고 수작업에 따른 인력의 낭비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대부분이 스피커의 조립 방법이나 제조방법만 존재하고 스피커의 조립 공정이나 제조 공정을 하나의 생산 라인에서 자동화하는 장치적인 측면에서 매우 소홀하였고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제조 및 조립 공정에서 발생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노출된 상태로서 특히, 스피커 프레임과 요크의 결합을 위한 준비 공정인 메인 라인에 스프커 프레임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술이 종래에 존재치 아니하고 이와 같은 기술이 존재치 아니함은 스피커 프레임 자체의 형상적 문제점으로 인해 균일하게 일정간격으로 적재되지 아니함으로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스피커 프레임의 메인 라인 공급을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서 작업의 지연 및 인력 낭비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출원 제10-2002-7006643호 국내 특허출원 제10-2011-0093136호 국내 특허출원 제10-2012-0067971호 국내 특허출원 제10-2017-00731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피커 프레임를 요크와 결합키 위한 준비 공정으로서 스피커 프레임을 자동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에 있어 스피커 프레임의 형상에 의해 균일하게 적재되지 아니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여 스피커 프레임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으로서 원활한 작업공정과 메인 라인의 오류 및 적체를 방지하도록 한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스피커 프레임(F)을 회전유닛(100) 상면에 복수개 이상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된 적층유닛(110)에 적층 가능하도록 하여 각 적층유닛(110)이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토록 한 후 상기 회전유닛(100)의 중앙에 구비된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상기 적층유닛(110)에 적층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쉬프트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부(10)와 상기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쉬프트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그립한 후 회전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가능하도록 하는 그립부(20)와 상기 그립부(20)에 의해 그립 이동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와 이송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기 전에 스피커 프레임(F)을 정위치로 교정하는 위치교정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유닛(110)은,
회전유닛(100) 상면에 구비된 회전판(101)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중앙에는 센터봉(111)이 고정되어 있고 일측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봉(112)이 복수개 이상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13)과, 상기 센터봉(111)에 끼워져 센터봉(111)을 축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봉(112)이 관통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114)과, 상기 슬라이딩판(114) 하단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114)과 함께 슬라이딩되되 상기 고정판(113)과 슬라이딩판(114) 간격을 고정키 간격유지부재(115)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상기 회전유닛(100)은 원판 형상의 회전판(101) 하측에는 피동축(102)이 구비되고 상기 피동축(102)에는 제1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벨트(B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판(101)이 회전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삭제
상기 쉬프트유닛(120)은, 상기 회전판(101) 상면 중앙에 고정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 제2 모터(M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121)에는 제2 벨트(B2)가 체결되어 있는 메인브라켓(122)과, 상기 메인브라켓(122)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101)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레일(123)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브라켓(124)과, 상기 제2 벨트(B2)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123)에 체결되어 승하강 가능한 제1 승하강브라켓(125)과, 상기 제1 승하강브라켓(125)과 고정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2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6)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후방에는 제1 유압실린더(127)에 의해 수평으로 인입출되는 쉬프트바(128)가 형성된 쉬프트브라켓(129)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상기 그립부(20)는, 제2 유압실린더(201)가 최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201)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운동을 하는 제2 승하강브라켓(200)과, 상기 제2 승하강브라켓(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211)이 구비된 제1 회전모터(210)와, 상기 회전축(211)의 회전에 의해 정역 또는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2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20) 양단 바닥 이면에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의 중앙을 그립 가능하도록 방사형상의 다수개의 자석재질의 그립봉(231)이 형성되어 있는 그립브라켓(230)을 포함되어 이루어진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상기 이송부(3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게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 형성된 가로대(300) 사이 양단 내측 및 소정의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복수개의 롤러(3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측 가로대(300) 내측에 구비된 롤러(310)들에는 이송벨트(320)가 체결되며 타측 가로대(300) 내측에 구비된 롤러(310)들에는 또 다른 이송벨트(320)가 체결되어 상기 이송벨트(320) 사이에는 공간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310)들은 상기 가로대(300)의 외측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제3 모터(M3)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공간부(330) 바닥에는 일정간격마다 쉬프트혼(3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상기 위치교정부(40은, 상기 이송부(30)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3 유압실리더(40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승강혼(400)과, 상기 승강혼(40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2 회전모터(4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상기 이송부(30)의 상측에는 제4 유압실린더(35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되 전방에 제4 모터(M4)가 구비되고 그 하단에 회동하는 브러쉬(352)가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352)의 양측에 제1 스프링(S)이 장착된 유동방지봉(353)이 구비되어 있는 이물질제거브라켓(350)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상기 그립브라켓(230)은, 양측에 제5 유압실린더(232)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고정축(2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233) 하단에는 상기 그립봉(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립봉(231) 외주부에는 제2 스프링(234)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5 유압실린더(232)와 고정축(233) 사이에는 승하강하우징(235)이 구비되어 상기 제5 유압실린더(232)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와,
상기 가로대(300)중 어느 하나의 가로대(300) 외측 상기 쉬프트혼(340)의 위치에 일치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센서(37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또 다른 가로대(300)의 외측에는 상기 이송벨트(320)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스피커 프레임를 요크와 결합키 위한 준비 공정으로서 스피커 프레임을 자동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에 있어 스피커 프레임의 형상에 의해 균일하게 적재되지 아니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여 스피커 프레임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으로서 원활한 작업공정과 메인 라인의 오류 및 적체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적재부의 분리 사시도 및 쉬프트유닛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회전유닛의 회전상태 및 적층유닛에 스피커 프레임을 적재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회전유닛과 적층유닛에서 도 4의 회전된 상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회전유닛과 적층유닛에서 도 5에서 쉬프트유닛에 의해 스피커 프레임이 쉬프트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그립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그립부의 그립봉이 적층유닛에서 쉬프트유닛에 의해 쉬프트된 스피커 프레임을 그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도 8의 그립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이송부로 이송키 위한 바로 전단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도 9의 그립된 스피커 프레임을 이송부에 안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그립된 스피커 프레임을 이송부에 안착키 위해 승하강하우징을 제5 유압실린더에 의해 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송부의 전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송부의 정면도 및 이물질제거브라켓의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스피커 프레임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스피커 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이관시 스피커 프레임의 센터부를 교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위치교정부의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적재부의 분리 사시도 및 쉬프트유닛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회전유닛의 회전상태 및 적층유닛에 스피커 프레임을 적재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회전유닛과 적층유닛에서 도 4의 회전된 상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회전유닛과 적층유닛에서 도 5에서 쉬프트유닛에 의해 스피커 프레임이 쉬프트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그립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그립부의 그립봉이 적층유닛에서 쉬프트유닛에 의해 쉬프트된 스피커 프레임을 그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도 8의 그립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이송부로 이송키 위한 바로 전단계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도 9의 그립된 스피커 프레임을 이송부에 안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그립된 스피커 프레임을 이송부에 안착키 위해 승하강하우징을 제5 유압실린더에 의해 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송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송부의 정면도 및 이물질제거브라켓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스피커 프레임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인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에서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스피커 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이관시 스피커 프레임의 센터부를 교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위치교정부의 확대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오디오 또는 PA용 스피커 및 기타 스피커 등을 제조하기 위한 준비, 조립, 완성, 건조, 검사라인을 일괄적으로 자동화함으로서 공정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상기 준비라인중 스프커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피커 프레임(F)를 적재하는 적재부(10),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를 그립하여 이송부(30)으로 이송하는 그립부(20) 및 이송부(30)에 이송된 스피커 프레임(F)를 다음 공정으로 이관하기 전에 스피커 프레임(F)의 정위치 이관을 위한 위치교정부(40)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적재부(10)는 크게 회전유닛(100)과 적층유닛(110), 쉬프트유닛(120)으로 나눌 수 있고,
상기 적재부(10)는 도 1 및 도 2와 더불어 상세히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F)을 회전유닛(100) 상면에 복수개 이상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된 적층유닛(110)에 적층 가능하도록 하여 각 적층유닛(110)이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토록 한 후 상기 회전유닛(100)의 중앙에 구비된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상기 적층유닛(110)에 적층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쉬프트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회전유닛(1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회전판(101) 하측에 피동축(102)이 구비되고 상기 피동축(102)에는 제1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벨트(B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판(101)이 회전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며,
상기 적층유닛(11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100) 상면에 구비된 회전판(101)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중앙에는 센터봉(111)이 고정되어 있고 일측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봉(112)이 복수개 이상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13)과,
상기 센터봉(111)에 끼워져 센터봉(111)을 축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봉(112)이 관통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114)과,
상기 슬라이딩판(114) 하단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114)과 함께 슬라이딩되되 상기 고정판(113)과 슬라이딩판(114) 간격을 고정키 간격유지부재(115)로 구성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도 3에 도시된 다수개의 센터봉(111)에 스피커 프레임(F)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하여 놓으면 자동으로 공정이 진행되되 도 4는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든 센터봉(111)에 스피커 프레임(F)을 적재하는 것이다.
다음, 쉬프트 유닛(1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01) 상면 중앙에 고정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 제2 모터(M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121)에는 제2 벨트(B2)가 체결되어 있는 메인브라켓(122)과,
상기 메인브라켓(122)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101)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레일(123)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브라켓(124)과,
상기 제2 벨트(B2)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123)에 체결되어 승하강 가능한 제1 승하강브라켓(125)과,
상기 제1 승하강브라켓(125)과 고정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2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6)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후방에는 제1 유압실린더(127)에 의해 수평으로 인입출되는 쉬프트바(128)가 형성된 쉬프트브라켓(129)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적층유닛(110)의 센터봉(111)에 스피커 프레임(F)를 적재한 후 컨트롤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회전유닛(100)이 회전하게 되는데 계속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센터봉(111)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이 모두 소진된 후에 다시 회전하는 방식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하는 그립부(20) 하부에 위치한 센터봉(111)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를 상기 제2 모터(M2)가 구동하면 구동롤러(121)에 결합된 제2 벨트(B2)에 의해 제1 승하강브라켓(125)이 승강하되 그 이전에 상기 제1 유압실린더(127)의 작동에 의해 상기 쉬프트바(128)가 인출되면서 상기 적층유닛(110)의 슬라이딩판(114) 하단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후 제1 승하강브라켓(125)이 승강되면 상기 슬라이딩판(114) 위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가 상측으로 승강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그립부(20)에서 그립 가능한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스피커 프레임(F)이 그립되어 이송부(30)로 이송되면 상기 제1 승하강브라켓(125)에 적정위치로 재차 승강되는 구조이다.
다음, 그립부(20)은 상기와 같이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쉬프트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그립한 후 회전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인 하기에서 설명하는 이송부(30) 도달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그립부(2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압실린더(201)가 최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201)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운동을 하는 제2 승하강브라켓(200)과,
상기 제2 승하강브라켓(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211)이 구비된 제1 회전모터(210)와,
상기 회전축(211)의 회전에 의해 정역 또는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2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20) 양단 바닥 이면에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의 중앙을 그립 가능하도록 방사형상의 다수개의 자석재질의 그립봉(231)이 형성되어 있는 그립브라켓(2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브라켓(230)은, 양측에 제5 유압실린더(232)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고정축(2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233) 하단에는 상기 그립봉(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립봉(231) 외주부에는 제2 스프링(234)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5 유압실린더(232)와 고정축(233) 사이에는 승하강하우징(235)이 구비되어 상기 제5 유압실린더(232)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그립부(30)는 적정 위치에 도달한 센터봉(111)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압실린더(201)에 의해 제2 승하강브라켓(200)이 하강하여 그립봉(231)이 그립한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모터(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플레이트(220)가 회전하면서 하기에 설명하는 이송부(30)으로 이송하되, 상기 화전플레이트(220)에는 복수개의 그립브라켓(230)이 구비되어 있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립브라켓(230)이 스피커 프레임(F)를 그립후 이송부(30)로 위치 회전하면 반대쪽에 구비된 그립브라켓(230)이 센터봉(111)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승하강브라켓(125)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어 정위치에 놓인 스피커 프레임(F)을 그립하여 또 다시 회전하여 이송부(30)로 위치하는 순환방식인 것이다.
이때, 핵심적인 것은 상기 스피커 프레임(F)가 센터봉(111) 적재시 나란히 정렬되게 적재된 것이 아니므로 이로 인하여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그립봉(231)이 정확하게 스피커 프레임(F)를 그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그립봉(231)의 외주부에 제2 스프링(234)을 장착하여 그립봉(231)이 탄력적으로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피커 프레임(F)가 비록 센터봉(111)에 정렬되어 적재되지 아니하더라도 그립하는데는 문제가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그립브라켓(230)이 이송부(30)의 정위치에 스피커 프레임(F)을 안착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유압실린더(232)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하우징(235)가 하강하면서 그립봉(231)에 그립된 스피커 프레임(F)를 강제로 탈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 상기 그립부(20)에 의해 그립 이동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에 대한 설명으로서,
상기 이송부(3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게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 형성된 가로대(300) 사이 양단 내측 및 소정의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복수개의 롤러(3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측 가로대(300) 내측에 구비된 롤러(310)들에는 이송벨트(320)가 체결되며 타측 가로대(300) 내측에 구비된 롤러(310)들에는 또 다른 이송벨트(320)가 체결되어 상기 이송벨트(320) 사이에는 공간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310)들은 상기 가로대(300)의 외측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제3 모터(M3)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공간부(330) 바닥에는 일정간격마다 쉬프트혼(3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의 상측에는 제4 유압실린더(35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되 전방에 제4 모터(M4)가 구비되고 그 하단에 회동하는 브러쉬(352)가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352)의 양측에 제1 스프링(S)이 장착된 유동방지봉(353)이 구비되어 있는 이물질제거브라켓(350)을 포함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300)중 어느 하나의 가로대(300) 외측 상기 쉬프트혼(340)의 위치에 일치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센서(37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또 다른 가로대(300)의 외측에는 상기 이송벨트(320)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그립부(20)의 그립브라켓(230)이 회전하여 이송부(30)의 적정 위치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F)를 안착시키되 이때 안착부위는 이송벨트(320) 위에 상기 스피커 프레임(F)를 안착시켜 이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송벨트(320) 위에 안착되어 이송하는 과정에서 후발로 이송되는 스피커 프레임(F)이 이송벨트(320)에 안착되지 아니한 상태라면 상기 센서(370)가 감지하며 이와 같이 감지된 상태에서는 쉬프트혼(340)이 승강하여 전방에 이송된 스피커 프레임(F)를 승강하여 이송벨트(320)로 부터 탈락 이격하여 후발로 이송되는 스피커 프레임(F)가 안착 감지된 연후에 센서(370)에 의해 쉬프트혼(340)이 하강하여 스피커 프레임(F)을 다시 이송벨트(320)에 안착하여 이송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침으로서 전체적인 이송부(30)의 지체 및 작동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순차적이고 원활하게 이송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브라켓(230)이 스피커 프레임(F)를 이송부(30)의 이송벨트(320)의 소정의 위치 즉, 쉬프트혼(340) 상부에 안착시키면 센서(370)가 이를 감지하고 동시에 제4 유압실린더(351)의 하강과 동시에 제4 모터(M4)의 구동에 의해 브러쉬(352)가 스피커 프레임(F)의 내부에 남아있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되 이때 브러쉬(352)의 회전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F)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러쉬(352)의 하강과 동시에 양측에 유동방지봉(353)이 함께 하강하여 스피커 프레임(F)을 압압하여 스피커 프레임(F)의 유동을 방지하여 스피커 프레임(F)이 안정적으로 소정의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여 안착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유동방지봉(353)에는 제1 스프링(S)이 구비되어 있어 유동방지봉(353)의 탄력성을 유지하여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물질 제거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마지막 공정으로 이송부(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송되어 이송부(30)에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기 전에 스피커 프레임(F)을 정위치로 교정하는 위치교정부(4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교정부(4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교정부(40)는, 상기 이송부(30)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3 유압실리더(40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승강혼(400)과, 상기 승강혼(40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2 회전모터(4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스피커 프레임(F)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단자연결부가 정위치에 위치하여야 이후 구성요소의 조립시 정확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단자연결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조립될 경우에는 스피커의 본래의 기능을 발휘치 못함으로서 폐기되어야 하는 등 불량 스피커 제조율이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교정부(40)가 존재하는 것으로서,
이송부(30) 끝단에 위치하여 이송된 스피커 프레임(F)의 단자연결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혼(400)이 상기 제3 유압실린더(401)에 승강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혼(400)이 제2 회전모터(410)에 의해 세밀하게 좌우 회전되거나 또는 진동하여 단자연결부가 정위치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적층유닛(110)의 센터봉(111) 마다 스피커 프레임(F)를 적재한 후 컨트롤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회전유닛(100)이 회전하게 되는데 계속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센터봉(111)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이 모두 소진된 후에 다시 회전하는 방식이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20) 하부에 위치한 센터봉(111)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를 상기 제2 모터(M2)가 구동하면 구동롤러(121)에 결합된 제2 벨트(B2)에 의해 제1 승하강브라켓(125)이 승강하되 그 이전에 상기 제1 유압실린더(127)의 작동에 의해 상기 쉬프트바(128)가 인출되면서 상기 적층유닛(110)의 슬라이딩판(114) 하단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후 제1 승하강브라켓(125)이 승강되면 상기 슬라이딩판(114)이 승강하고 이로서 슬라이딩판(114) 위에 적재된 스피커 프레임(F) 전체가 상측으로 승강되어 그립부(20)에서 그립 가능한 위치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 그립부(20)는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쉬프트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그립한 후 회전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인 이송부(30) 도달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스피커 프레임(F)가 이송부(30)로 이송되면 상기 제1 승하강브라켓(125)이 적정위치로 재차 승강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220)가 회전하여 상기 그립부(20)의 나머지 반대방향에 위치한 그립브라켓(230)이 스피커 프레임(F)을 그립하여 이송부(30)로 이송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그립부(20)의 그립브라켓(230)이 회전하여 이송부(30)의 적정 위치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F)를 안착시키되 이때 안착부위는 이송벨트(320) 위에 상기 스피커 프레임(F)를 안착시켜 이송하되, 이송벨트(320) 위에 안착되어 이송하는 과정에서 후발로 이송되는 스피커 프레임(F)이 이송벨트(320)에 안착되지 아니한 상태라면 상기 센서(370)가 감지하며 이와 같이 감지된 상태에서는 쉬프트혼(340)이 승강하여 전방에 이송된 스피커 프레임(F)를 승강하여 이송벨트(320)로 부터 탈락 이격하여 후발로 이송되는 스피커 프레임(F)가 안착 감지된 연후에 센서(370)에 의해 쉬프트혼(340)이 하강하여 스피커 프레임(F)을 다시 이송벨트(320)에 안착하여 이송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침으로서 전체적인 이송부(30)의 지체 및 작동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순차적이고 원활하게 이송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이송하여 상기 이송부(30) 끝단에 스피커 프레임(F)가 위치하면 스피커 프레임(F)의 단자연결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혼(400)이 상기 제3 유압실린더(401)에 승강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혼(400)이 제2 회전모터(410)에 의해 세밀하게 좌우 회전되거나 또는 진동하여 단자연결부가 정위치에 위치토록 한 후 다음 공정으로 이관함으로서 본 발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스피커 프레임를 요크와 결합키 위한 준비 공정으로서 스피커 프레임을 자동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에 있어 스피커 프레임의 형상에 의해 균일하게 적재되지 아니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여 스피커 프레임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메인 라인에 공급함으로서 원활한 작업공정과 메인 라인의 오류 및 적체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적재부 20 ; 그립부
30 ; 이송부 40 ; 위치교정부
100 ; 회전유닛 101 ; 회전판
102 ; 피동축 110 ; 적층유닛
111 ; 센터봉 112 ; 가이드봉
113 ; 고정판 114 ; 슬라이딩판
115 ; 간격유지부재 120 ; 쉬프트유닛
121 ; 구동롤러 122 ; 메인브라켓
123 ; 가이드레일 124 ; 가이드브라켓
125 ; 제1 승하강브라켓 126 ; 고정플레이트
127 ; 제1 유압실린더 128 ; 쉬프트바
129 ; 쉬프트브라켓 200 ; 제2 승하강브라켓
201 ; 제2 유압실린더 210 ; 제1 회전모터
211 ; 회전축 220 ; 회전플레이트
230 ; 그립브라켓 231 ; 그립봉
232 ; 제5 유압실린더 233 ; 고정축
234 ; 제2 스프링 235 ; 승하강하우징
300 ; 가로대 310 ; 롤러
320 ; 이송벨트 330 ; 공간부
340 ; 쉬프트혼 350 ; 이물질제거브라켓
351 ; 제4 유압실린더 352 ; 브러쉬
353 ; 유동방지봉 360 ; 간격조절부재
400 ; 승강혼 401 ; 제3 유압실린더
410 ; 제2 회전모터 F ; 스피커 프레임
M1 ; 제1 모터 M2 ; 제2 모터
M3 ; 제3 모터 M4 ; 제4 모터
B1 ; 제1 벨트 B2 ; 제2 벨트
S ; 제1 스프링 370 ; 센서

Claims (10)

  1. 스피커 프레임(F)을 회전유닛(100) 상면에 복수개 이상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된 적층유닛(110)에 적층 가능하도록 하여 각 적층유닛(110)이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토록 한 후 상기 회전유닛(100)의 중앙에 구비된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상기 적층유닛(110)에 적층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쉬프트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부(10)와 상기 쉬프트유닛(120)에 의해 쉬프트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그립한 후 회전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가능하도록 하는 그립부(20)와 상기 그립부(20)에 의해 그립 이동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와 이송된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을 순차적으로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기 전에 스피커 프레임(F)을 정위치로 교정하는 위치교정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유닛(110)은,
    회전유닛(100) 상면에 구비된 회전판(101)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중앙에는 센터봉(111)이 고정되어 있고 일측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봉(112)이 복수개 이상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13)과,
    상기 센터봉(111)에 끼워져 센터봉(111)을 축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봉(112)이 관통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114)과,
    상기 슬라이딩판(114) 하단 중앙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114)과 함께 슬라이딩되되 상기 고정판(113)과 슬라이딩판(114) 간격을 고정키 간격유지부재(115)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100)은 원판 형상의 회전판(101) 하측에는 피동축(102)이 구비되고 상기 피동축(102)에는 제1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벨트(B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판(101)이 회전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유닛(120)은,
    상기 회전판(101) 상면 중앙에 고정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 제2 모터(M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121)에는 제2 벨트(B2)가 체결되어 있는 메인브라켓(122)과,
    상기 메인브라켓(122)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101)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레일(123)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브라켓(124)과,
    상기 제2 벨트(B2)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123)에 체결되어 승하강 가능한 제1 승하강브라켓(125)과,
    상기 제1 승하강브라켓(125)과 고정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2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6)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후방에는 제1 유압실린더(127)에 의해 수평으로 인입출되는 쉬프트바(128)가 형성된 쉬프트브라켓(129)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20)는,
    제2 유압실린더(201)가 최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201)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운동을 하는 제2 승하강브라켓(200)과,
    상기 제2 승하강브라켓(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211)이 구비된 제1 회전모터(210)와,
    상기 회전축(211)의 회전에 의해 정역 또는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2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20) 양단 바닥 이면에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프레임(F)의 중앙을 그립 가능하도록 방사형상의 다수개의 자석재질의 그립봉(231)이 형성되어 있는 그립브라켓(230)을 포함되어 이루어진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게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 형성된 가로대(300) 사이 양단 내측 및 소정의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복수개의 롤러(3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측 가로대(300) 내측에 구비된 롤러(310)들에는 이송벨트(320)가 체결되며 타측 가로대(300) 내측에 구비된 롤러(310)들에는 또 다른 이송벨트(320)가 체결되어 상기 이송벨트(320) 사이에는 공간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310)들은 상기 가로대(300)의 외측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제3 모터(M3)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공간부(330) 바닥에는 일정간격마다 쉬프트혼(3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교정부(40)는,
    상기 이송부(30)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3 유압실리더(40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승강혼(400)과,
    상기 승강혼(40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2 회전모터(4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의 상측에는 제4 유압실린더(35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되 전방에 제4 모터(M4)가 구비되고 그 하단에 회동하는 브러쉬(352)가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352)의 양측에 제1 스프링(S)이 장착된 유동방지봉(353)이 구비되어 있는 이물질제거브라켓(350)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브라켓(230)은,
    양측에 제5 유압실린더(232)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고정축(2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233) 하단에는 상기 그립봉(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립봉(231) 외주부에는 제2 스프링(234)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5 유압실린더(232)와 고정축(233) 사이에는 승하강하우징(235)이 구비되어 상기 제5 유압실린더(232)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300)중 어느 하나의 가로대(300) 외측 상기 쉬프트혼(340)의 위치에 일치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센서(37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또 다른 가로대(300)의 외측에는 상기 이송벨트(320)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KR1020190118247A 2019-09-25 2019-09-25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KR10205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47A KR102058845B1 (ko) 2019-09-25 2019-09-25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47A KR102058845B1 (ko) 2019-09-25 2019-09-25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845B1 true KR102058845B1 (ko) 2019-12-24

Family

ID=6900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247A KR102058845B1 (ko) 2019-09-25 2019-09-25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7526A (zh) * 2020-05-09 2020-07-31 东莞市博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芯柱组装设备
CN114735412A (zh) * 2022-05-05 2022-07-12 和音电子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全自动音圈骨架成型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67B1 (ko) * 2001-01-22 2004-05-27 주식회사 라셈텍 반도체 제조장치
KR20110093136A (ko) 2010-02-11 2011-08-18 김대현 프린트기용 송풍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강제순환식 프린트기
KR20120067971A (ko) 2010-12-16 2012-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방법
KR101235984B1 (ko) * 2011-09-07 2013-02-21 부전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3133A (ko) 2015-12-18 2017-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산소 재순환 기능을 갖는 개질형 연료전지 잠수함 시스템 및 이의 산소 재순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67B1 (ko) * 2001-01-22 2004-05-27 주식회사 라셈텍 반도체 제조장치
KR20110093136A (ko) 2010-02-11 2011-08-18 김대현 프린트기용 송풍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강제순환식 프린트기
KR20120067971A (ko) 2010-12-16 2012-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방법
KR101235984B1 (ko) * 2011-09-07 2013-02-21 부전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3133A (ko) 2015-12-18 2017-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산소 재순환 기능을 갖는 개질형 연료전지 잠수함 시스템 및 이의 산소 재순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7526A (zh) * 2020-05-09 2020-07-31 东莞市博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芯柱组装设备
CN114735412A (zh) * 2022-05-05 2022-07-12 和音电子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全自动音圈骨架成型机
CN114735412B (zh) * 2022-05-05 2024-04-02 和音电子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全自动音圈骨架成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845B1 (ko)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TWI473288B (zh) 在金屬沉積單元中定位一或多個特別是用於光伏電池之電子電路基板的定位裝置
JP2006281355A (ja) 精密部品の組み立て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精密部品の組み立て装置
CN107322294B (zh) 一种喇叭制作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246511A (zh) 透镜及模具移送系统
CN107275135A (zh) 定时盘自动组装机
CN215811452U (zh) 一种双工位玛钢管件潜水式气密自动试验机
CN211763771U (zh) 自动保压设备
KR102067960B1 (ko)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자동 검사장치
KR20100072816A (ko) 기판 이송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13146243A (zh) 全自动轴承座组装设备及方法
KR102059365B1 (ko)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더스트 캡 자동 공급장치
CN115213660B (zh) 一种磁极a侧的装配工艺及磁控管阳极组件生产工艺
CN207183123U (zh) 定时盘自动组装机
JP3449695B2 (ja) タイヤ形成用円筒状プライの搬送装置
CN113245841B (zh) 一种全自动新能源汽车线圈装配线及其生产工艺
CN109687654B (zh) 一种电机壳全自动组装系统和组装方法
CN113246512B (zh) 透镜及模具移送系统
CN113246509B (zh) 透镜及模具移送系统
CN117088113B (zh) 一种显示屏生产测试装置
CN113246508B (zh) 透镜及模具移送系统
CN219278580U (zh) 推杆振动盘供料机构
CN116528107B (zh) 一种运动耳机机芯结构的制造设备
CN214326382U (zh) 石膏板翻板装置
CN109936645A (zh) 一种手机听筒网纱自动组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